KR890006886Y1 - 자동 소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886Y1
KR890006886Y1 KR2019860013488U KR860013488U KR890006886Y1 KR 890006886 Y1 KR890006886 Y1 KR 890006886Y1 KR 2019860013488 U KR2019860013488 U KR 2019860013488U KR 860013488 U KR860013488 U KR 860013488U KR 890006886 Y1 KR890006886 Y1 KR 890006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agent
extinguishing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3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4510U (ko
Inventor
요시다까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시무라뎃고오
요시다까 니시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시무라뎃고오, 요시다까 니시무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시무라뎃고오
Publication of KR8700145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45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8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20Resetting after use; Tools therefor
    • A62C37/21Resetting after use; Tools therefor automa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소화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소화 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노즐과 감지기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저면도.
제5도는 전자(電磁)밸브 제어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지기 3 : 물 분사노즐
4 : 소화제 분사노즐 5 : 탱크
6 : 파이프 7 : 송수파이프
9, 10 : 전자 밸브
본 고안은 소화제와 물을 빙용한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소화장치로서는 천정에 설치된 스프링클러헤드에 상시 고가수조(高架水槽) 또는 압력 탱크등에 의해서 수압이 가해져 있으며, 화재에 의한 열에 의해서 헤드가 작동온도에 달하여 살수를 개시하므로서, 개방 헤드와 고가수조와의 사이의 배관에 물이 흘러, 배관도중 착설되어 있는 자동 경보밸브가 유수작용에 의해 작동하여, 전지적 또는 기계적으로 경보를 발하는 것과 동시에 전기 제어반을 거쳐서 스프링클러 펌프를 기동(압력수조내의 압력 저항에 따라 압력 스위치를 작동시켜서 가압 송수장치를 기동시키는 것도 있다)시킨다.
또한 스프링클러 전용의 송수구를 설치하는 일도 있다.
화재의 발생에 따라 스프링클러 헤드로 부터 살수를 했을 때, 가연성, 인화성 액체의 경우, 오히려 화재를 확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살수에 의한 소화의 경우, 소화제와 같이 순간적으로 불꽃을 누르고, 그리고, 소화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재감지기의 부근에 설치한 물분사노즐 및 분사노즐과, 송수파이프를 경유하여 물분사 노즐과 접속하는 파이프와, 소화제충전 탱크와 소화제 분사노즐을 접속하는 파이프와, 각각의 파이프에 착설된 전자잽르로 이루어지며, 화재감지기로 부터의 화재 발생신호에 의해 초기 소화에 소화제를 소화제로 진화가 종료 되지 않은 경우 방수화도록 전자밸브를 열도록 구성한 것이다.
감지기에 의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면, 탱크쪽의 전자 밸브가 열려 지므로, 탱크내의 소화제가 파이프로부터 소화제 분사노즐로 향하며, 그리고 소화를 한다.
탱크의 소화제가 없어지면, 소화제의 분사가 종료된다.
소화제에 의한 진화가 종류되지 않은 경우, 송수 파이프쪽의 전자 밸브가 열려서, 물분사노즐로부터 물이 방수되어 진화작업이 종료되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천정(2)에 부착된 화재감지기로서, 이 감지기(1)의 부근에는 물분사노즐(3) 및 소화제 분사노즐(4)이 설치되어 있다.
(5)는 소화제의 충전탱크로서, 이 탱크(5)와 소화제 분사노즐(4)은 파이프(6)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7)은 송수 파이프로서, 이 송수 파이프(7)와 물분사노즐(3)은, 파이프(8)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 파이프(6)(8)의 도중에는 전자밸브(9)(10)가 착설되어 있다.
상기한 전자밸브(9)(10)은, 화재 발생에 따라 감지기(1)가 감지하면, 먼저 전자밸브(9)를 열므로, 탱크(5)내의 소화제를 파이프(6)를 거쳐서 노즐(4)로 부터 분사한다.
상기 소화제의 분사는 탱크(5)가 빈것으로 될 때까지 행하여 진다.
그러나, 소화제로 진화할 수 없는 경우, 감지기(1)가 설정 시간 및 설정온도를 지속하고 있는 상태라면, 전자밸브(10)를 열므로, 파이프(8)를 거쳐서 노즐(3)로부터 방수를 한다.
감지기(1)가 상온으로 복귀하여 전자밸브(10)를 닫고 방수를 중지한다. 또한 송수 파이프(7)의 도중에 펌프(11)를 설치하여, 전자밸브(10)의 열림과 동시에 운전을 개시하도록 해도된다.
본 장치의 제어회로로서는, 예를 들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면, 감지기(1)의 감지소자(S)의 주위온도가 설정온도(68℃~70℃)로 되고, 이 온도가 설정시간(약30초~40초)이상 계속하면 타이머(T-1)이 온으로 되어, 사이렌 또는 버저가 울림과 동시에, 릴레이(R-1)이 여자되어 소화기의 전자밸브(9)이 열려서, 소화제의 탱크(5)가 빈 것으로 될 때까지 약(30초간), 소화제가 토출된다. 이 때 아직 릴레이(R-1)의 여자 상태가 계속되고 있으면, 즉, 감지소자(S)의 주위온도가 높은 그대로 되어 있으면, 타이머(T2)가 작동하여 릴레이(R-2)가 온으로 되어서, 소화전의 전자밸브(10)가 열리는 동시에 펌프(11)가 동작하여 물분사 노즐(3)로 부터 물이 분사된다.
물의 분사에 의해서 감지기(1)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타이머(T-1)가 오프, 릴레이(R-1)가 비여자 상태로 되고, 타이머(T-2)가 오프로 되어서, 릴레이(R-2)가 비여자화되어, 전자밸브(10)가 닫혀지므로서, 지나친 물로 인한 피해가 방지된다. 감지기(1)의 고온 상태가 계속되면, 물의 분사가 계속되는 것은 물론, 일단 온도 강하 후, 재차 온도가 상승하여, 그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계속하면, 상기 동작이 반복되어서, 물의 분사가 재개된다.
또, 천정이나 지붕에 탱크를 설치하여, 각방의 소화제 분사노즐에 파이프를 개재해서 접속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관한 자동 소화장치에 의하면, 초기의 소화에 소화제를 사용하고, 소화제로 진화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 다시 방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가연성, 인화성 액체의 화재와 이에 따른 방수로 인한 화재의 역확산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 초기에 소화제를 사용하므로, 순간적으로 불꽃을 누르고, 그리고 소화를 할 수 있다.
또, 소화제에 의해 진화했을 때, 방수를 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방수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각종문제를 없앨 수 있다.

Claims (1)

  1. 화재 감지기(1)의 부근에 설치한 물분사노즐(3) 및 소화제 분사노즐(4)가 송수 파이프(7)를 경유하여 상기 물분사노즐(3)과 접속하는 파이프(8)와 소화제 충전탱크(5)와 상기 소화제 분사노즐(4)을 접속하는 파이프(6)와, 상기 각각의 파이프(6)(8)에 착설된 전자밸브(9)(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재 감지기(1)로부터의 화재 발생신호에 의해 초기 소화에 소화제를 소화제로 진화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방수하도록 전자 밸브(10)를 열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소화장치.
KR2019860013488U 1986-03-11 1986-09-02 자동 소화 장치 KR89000688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370 1986-03-11
JP1986036370U JPH04856Y2 (ko) 1986-03-11 1986-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510U KR870014510U (ko) 1987-10-06
KR890006886Y1 true KR890006886Y1 (ko) 1989-10-12

Family

ID=1246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3488U KR890006886Y1 (ko) 1986-03-11 1986-09-02 자동 소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41403A (ko)
JP (1) JPH04856Y2 (ko)
KR (1) KR890006886Y1 (ko)
DE (1) DE3627281A1 (ko)
FR (1) FR2595574A1 (ko)
GB (1) GB21876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0019A (en) * 1986-09-05 1994-09-27 Nohmi Bosai Kogyo Kabushiki Kaisha Fire protection system
US4984637A (en) * 1989-06-23 1991-01-15 Finnigan Wilfred J Electronic fire protection system
US5353879A (en) * 1989-12-18 1994-10-11 Kabushiki Kaisha Nagao Kogyo Door having smoke reducing apparatus associated therewith
DE19627353C1 (de) * 1996-06-27 1997-10-23 Feuerschutz G Knopf Gmbh Verfahren zur dynamischen Löschmittelanwendung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A2233281C (en) * 1997-05-16 2007-05-29 Ansul Incorporated Fire suppression system
US6131667A (en) * 1997-12-18 2000-10-17 Safety Inventions, Ltd., Part. Manual an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s
US5992532A (en) * 1998-08-11 1999-11-30 The Viking Corporation Wet pipe fire protection system
NO314022B1 (no) * 2000-11-01 2003-01-20 Ottestad Breathing Syst As Anordning ved et brannvannsystem
CN101455885B (zh) * 2007-12-16 2011-10-12 邢志国 能自动报警的智能灭火器
CN102671334B (zh) * 2012-01-12 2014-05-21 河南科技大学 一种室内消防装置
CN103295356A (zh) * 2013-06-05 2013-09-11 苏州惠瑞自动化集成有限公司 自动化火警检测系统
CN112286766A (zh) * 2020-11-02 2021-01-29 深圳市巨文科技有限公司 一种硬件故障报警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67107A (en) * 1930-01-04 1932-02-18 Automatic Sprinkler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GB393857A (en) * 1932-11-11 1933-06-15 Edward Leslie Champnes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ire-extinguishing apparatus
US2259500A (en) * 1939-08-22 1941-10-21 Norman J Thompson Fire extinguishing method
US3016956A (en) * 1959-05-19 1962-01-16 Specialties Dev Corp Fluid distributing system
US3762477A (en) * 1971-06-09 1973-10-02 G Mobley Fire protection system
DE2344908C2 (de) * 1973-09-06 1983-01-05 Verband der Sachversicherer e.V., 5000 Köln Verfahren zur automatischen Meldung und Löschung von Bränden sowie ortsfeste Feuerlöschanlagen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DE2423447C2 (de) * 1974-05-14 1982-11-2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utomatische Brandmelde- und Löscheinrichtung
FR2298344A1 (fr) * 1975-01-24 1976-08-20 Omnium Commercial Indl Financi Installation de lutte contre les incendies
US4027302A (en) * 1976-06-03 1977-05-31 W. E. Healey & Associates, Inc. Double detection circuit for conserving energy in fire detection systems and the like
US4183409A (en) * 1976-06-11 1980-01-15 Security Patrols Co., Ltd. Automatic fire-extinguishing system
US4183721A (en) * 1978-01-13 1980-01-15 Jenoff, Inc. Apparatus for automatically water charging a centrifugal fire pump
SU814359A1 (ru) * 1979-03-23 1981-03-23 Особ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Техники Установка дл тушени пожара взАКРыТОМ пОМЕщЕНии
US4356868A (en) * 1980-07-30 1982-11-02 Ransburg Corporation Fire-extinguisha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95574A1 (fr) 1987-09-18
GB2187641A (en) 1987-09-16
KR870014510U (ko) 1987-10-06
US4741403A (en) 1988-05-03
DE3627281A1 (de) 1987-09-17
JPH04856Y2 (ko) 1992-01-13
GB8619748D0 (en) 1986-09-24
JPS62145650U (ko) 198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6886Y1 (ko) 자동 소화 장치
US5992532A (en) Wet pipe fire protection system
KR102176163B1 (ko) 자동 소화 시스템
KR101993606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JP3609920B2 (ja) 固定式消火システム
WO2004098718A1 (en) Combined water spray fire protection system using common piping with gaseous fire protection system
JPH05253316A (ja) 消火設備
KR101053637B1 (ko)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CN212395697U (zh) 一种无线火灾报警自动灭火系统
JPH059563U (ja) 住宅用自動消火設備
SU735155A3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
KR102008986B1 (ko) 수소화불화탄소 하이드레이트를 이용한 자동소화장치 및 자동소화방법
KR200226898Y1 (ko) 간이형 스프링쿨러 장치
KR200226897Y1 (ko) 간이형 스프링쿨러 장치
JPH04129574A (ja) スプリンクラ設備
JP4553220B2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CN220472048U (zh) 一种功能材料干燥箱配套的安全机构
JPH07111B2 (ja) 自動消火装置
JPS6282980A (ja) 自動消火装置
KR20220088613A (ko) 순차적으로 화재 제압이 가능한 제어시스템
RU21539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в барокамере
KR970003309Y1 (ko) 포테이블(Potable) 화학 소화전
SU1443889A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KR0147502B1 (ko) 물분무식 자동소화장치
JPH046169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