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866Y1 -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866Y1
KR890006866Y1 KR2019860004781U KR860004781U KR890006866Y1 KR 890006866 Y1 KR890006866 Y1 KR 890006866Y1 KR 2019860004781 U KR2019860004781 U KR 2019860004781U KR 860004781 U KR860004781 U KR 860004781U KR 890006866 Y1 KR890006866 Y1 KR 890006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guide plate
drum
bracke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4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7055U (ko
Inventor
김설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04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866Y1/ko
Publication of KR870017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70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8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26Cleaning of foreign matter, e.g. paper powder, from imaging member
    • G03G2221/0068Cleaning mechanism
    • G03G2221/0089Mechan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소장치
제1도는 종래 장치의 일예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종래 장치의 다른예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소장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동상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단면도로서, 제4(a)도는 회전하면서 토너유도판의 토너를 쓸어내리는 상태를, 제4(b)도는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지축에 진동을 가하는 상태를 각각 보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럼 2 : 블레이드
3 : 토너회수통 4 : 토너유도판
5 : 지축 6 : 브래키트
6a, 6b : 벤딩부 6c : 고정부
7 : 중추 8 : 회전축
9 : 운송날개 9a : 고정판
9b : 진동인가필름
본 고안은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수통의 내부에 드럼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의 운송날개가 회전하면서 토너유도판에 미세진동을 가해주는 동시에 토너유도판에 퇴적되는 잔류토러를 하측으로 밀어내어 잔류토너를 보아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한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사진 복사기는 드럼의 외주면에 광도전성 감광층을 입혀서 이를 회전시키면서 감광층에 정전기를 형성하고, 여기에 토너로 현상하여 얻어진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시키게 되며, 통상 전자사진 복사기에는 전사공정을 완료하고 난 후 드럼의 표면에 잔류되어 부착된 토너를 제거시킨 회수하는 장치가 반드시 필요로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잔류토너의 회수를 위한 통상적인 청소장치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일예를 보면 드럼(1)의 중상측 외주면에 블레이드(blade)(2)가 드럼(1)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일정압력으로 표면을 마찰하면서 표면에 부착된 잔류토너(T)를 제거시키게 되고 이와같이 드럼(1)의 표면으로 부터 이탈되 잔류토너(T)를 회수하는 토너 회수통(3)이 설치되는데 그 하측단부는 드럼(1)의 표면으로 부터 낙하되는 잔류토너(T)가 들어갈 수 있도록 드럼(1)의 중하측 외주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같은 구조는 잔류토너의 회수는 대체적으로 가능하지만 잔류토너의 회수가 확실하지 못할 뿐만아니라 드럼 외주면의 많은 공간을 점하게 되는 결점을 안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2도와 같은 구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이는 회수통(3)의 하측단부가 블레이드(2)의 바로 밑에 위치하도록 하는 대신 그 선단부에 토너유도판(3a)를 경사지게 부착설치하여 드럼(1)의 표면에 접촉시켜서 잔류토너(T)를 회수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 또한 블레이드에 의한 이탈된 잔류토너의 회수가 복사기내의 환경조건 특히 습도조건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게된다.
즉,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그 유동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잔류토너가 토너유도판(3a)에 미끄러 내려오지 못하고 부착체류하여 그위에 계속 누적되게 된다. 따라서 토너 유도판(3a)에 누적된 잔류토너는 그 양이 증가하게 되면 드럼 및 복사기내의 오염원인이 되고, 그 중량이 무거워져서 드럼을 누르는 압력이 증가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감광체의 표면에 손상을 주게되는 복사기의 질적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토너유도판(3a)에 잔류토너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소 57-44173호에는 토너회수통(3)의 내부에 완판부분(6A)을 교락판(6B)을 구비한 안내판 지지부재(6)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판 지지부재(6)의 완판부분(6A)에 지축(5)의 직경보다 큰 원형관통공(7)이 형성되어 지축(5)이 관통삽입되고, 상기 교락판(6B)에 토너안내판(4)이 부착되며, 상기 완판부분(6A)의 후방측에 중추(8)가 고정된 토너크리닝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일본공개 특허공보 소 57-159568호에는 본체(23)의 하부에 토너안내판(10)이 그 선단을 감광체(1)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크리닝레버(3)로 떨어진 토너는 토너안내판(10) 상으로 자유낙하되며, 상기 토너안내판(10)에 낙하된 토너는 회전되는 토너안내회전부재(13)에 의하여 배출부재(12)측으로 이송되게 한 전자사진장치의 크리닝 장치가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토너안내판(4)을 균일하고 작은 대접력으로 드럼(1)의 외주면에 대접시켜 토너안내판(4)으로 낙하되는 잔류토너를 토너회수통으로 회수토록 하였으나, 상기한 바와같은 소극적인 방법으로는 토너안내판(4)에 퇴적되는 잔류토너를 보다 효과적으로 회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안내판(10)에 퇴적되는 잔류토너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토너안내회전부재(13)를 설치하였으나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토너안내회전부재(13)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동작으로 안내판(10)에 토너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잔류토너를 보다 효과적으로 회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일본 특허공보 소 58-781785호에는 감광드럼(1)의 일측에 설치되는 습찰제(3)의 예지부(4) 근방에 회전체(14)가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14)에는 단면이 사락형상인 회전축(15)의 각각의 면에 수개의 우근(16)이 부착되어 습찰제(3)의 에지부(4)와 감광드럼(1)의 표면을 습찰하도록 한 전자복사기의 토너제거장치가 알려지고 있으나, 상기한 바와같은 토너제거장치는 단순하게 회전되는 회전축(15)의 우근(16)에 의하여 습찰제(3)의 에지부(4) 및 감광드럼(1)의 토너를 제거시키는 구조로서 역시 잔류토너의 회수가 보다 확실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 56-44173호를 전제로 하여, 안내지지부재의 상측에 구동모우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회전축을 드럼과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고정판의 하측 연부에 탄성을 갖는 진동인가필름이 부착 된 운송날개를 축심방향으로 고정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으로 진동인가 필름에 의하여 안내지지부재에 미소진동을 부여하여 토너 안내판에 퇴적되는 잔류토너를 이송시키는 동시에 토너안내판에 퇴적되는 잔류토너를 토너회수통으로 하측으로 밀어 냄으로써 잔류토너를 보다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드럼(1)의 외주면에 일측에 위치하여 그 표면에 접하도록 블레이드(2)가 설치되고, 상기 드럼(1)의 일측에는 블레이드92)를 감싸는 토너회수통(3)이 설치되며, 상기 토너회수통(3)의 양측벽에 드럼(1)의 축심방향과 평행한 지축(5)이 설치되고, 상기 지축(5)에는 양단부에 지축(5)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천공된 축공(6a')(6b')을 보유하는 벤딩부(6a)(6b)를 구비함과 아울러 토너유도판(4)이 부착되는 고정부(6c)를 구비한 브래키트(6)가 유착되며, 상기 브래키트(6)의 일측면에 중추(7)가 나사로 고정되는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회수통(3)의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회수통(3)의 양측벽, 즉 상기 지축(5)의 상측에 그 지축(5)과 평행하도록 회전축(8)을 설치하여 그 일측단부를 구동모우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하고, 상기 회전축(8)에는 스테인레스 박판재질의 고정판(9a)의 하측연부에 탄력성을 갖는 진동인가필름(9b)을 부착시킨 운송날개(9)를 수개의 나사로 고정하여, 회전축(8)으로 회전되는 진동인가필름(9b)에 의하여 브래키트(6)에 미세진동을 부여함과 아울러 토너안내판(4)에 퇴적되는 잔류토너를 하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사작업을 개시하여 복사용지에 소정의 화상의 전사된 후 드럼(1)의 표면에 강한 부착력으로 붙어있는 잔류토너를 청소하는 경우에 회전축(8)을 회전시키면 여기에 설치되 운송날개(9)의 진동인가필름(9b)이 회전하면서 지축(5)에 진동을 가하게되고 그 진동은 지축(5)에 헐거운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브래키트(6)에 전달되며, 브래키트(6)의 수평부(6c)에 고정되어 드럼(1)의 표면에 일정압력으로 접해있는 토너유도판(4)에는 변위가 수반되지 않는 미세한 진동이 전달된다.
따라서, 드럼(1)의 표면에 부착된 잔류터너(T)는 1차적으로 블레이드(2)에 의하여 이탈되고, 토너유도판(4)에 안내되어 토너회수통(3)으로 낙하되는 경로를 갖는데 토너유도판(4)을 거쳐야 하는 잔류토너(T)는 운송날개(9)로 부터 전달되는 미세진동으로 토너유도판(4)에 부착 체류됨이 없이 곧바로 회수통(3)으로 낙하되고, 또 2차적으로 운송날개(9)가 회전하면서 그 탄성부재, 즉 진동인가필름(9b)이 토너유도판(4)을 쓸어주게 되어 완벽한 토너회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하여 두께 100μ의 폴리에스테르판으로 토너유도판을 제작 전자사진 복사기에 설치하여 실험을 행하였는바, 회전축(8)에 회전수를 약 15rpm 으로 하여 연속구동시키고 복사작업을 하는 경우 복사회수가 5, 000회를 넘을때에도 토너유도판(4)에 토너가 체류되지 않고 토너회수통(3)에 확실하게 회수되었으며, 또한 회전축(8)을 회전시키지 않고 복사작업을 행한 경우에 복사매수가 약 2, 000매에 도달하자 토너유도판(4)에 상당량의 토너가 부착되어 누적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그 주변에도 토너가 누되어 오임상태가 심각해짐을 볼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 청소장치는 토너 유도판에 미세한 진동을 가해주는 동시에 토너유도판에 퇴적되는 잔류토너를 진동인가필름에 의하여 쓸어냄으로써 토너의 부착, 체류, 누적의 우려가 없어 잔류토너를 보다 확실하게 회수하게 하여 복사기의 성능을 향상시켜주고 그 수명연장은 물론 양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등 여러가지 장점을 제공해 준다.

Claims (1)

  1. 드럼(1)의 일측에 그의 표면에 접하는 블레이드(2)를 감싸도록 토너회수통(3)이 설치되고, 상기 토너회수통(3)의 내부에 드럼(1)의 축심과 평행하게 지축(5)이 설치되어 브래키트(6)의 양측 벤딩부(6a)(6b)에 지축(5)의 직경보다 다수 크게 천공된(6a')(6b')이 삽입되며, 상기 브래키트(6)에 형성된 고정부(6c)에 토너유도판(4)이 부착되고, 그의 일측면에 중추(7)가 고정되는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축(5)의 상측에 구동모우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8)을 지축(5)와 평행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8)에는하측연부에 탄성을 갖는 진동인가필름(9b)을 부착시킨 운송날개(9)를 축심방향으로 고정하여, 회전축(8)으로 회전되는 진동인가필름(9b)에 의하여 브래키트(6)에 미세진동을 부여함과 아울러 토너안내판(4)에 퇴적되는 잔류토너를 하측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수장치.
KR2019860004781U 1986-04-11 1986-04-11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소장치 KR890006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781U KR890006866Y1 (ko) 1986-04-11 1986-04-11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781U KR890006866Y1 (ko) 1986-04-11 1986-04-11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055U KR870017055U (ko) 1987-11-30
KR890006866Y1 true KR890006866Y1 (ko) 1989-10-12

Family

ID=1925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4781U KR890006866Y1 (ko) 1986-04-11 1986-04-11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8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055U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31629B2 (ko)
KR890006866Y1 (ko) 전자사진 복사기의 청소장치
JPS59133566A (ja) 紙粉除去装置
JP3199614B2 (ja) 残留トナー回収装置
JP2529832B2 (ja) クリ−ニング装置
JPH07121003A (ja) 画像形成装置
JPH07261519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60455A (ja) 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1097139A (ja) 電子写真プロセッサの現像装置
JPH05127577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3147995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H0131627B2 (ko)
JPH05297770A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546055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3205159B2 (ja) 電子写真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S61204670A (ja) クリ−ニング装置
JP3889600B2 (ja) 画像形成装置
JPS622611Y2 (ko)
JP2004198562A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720692A (ja) 画像形成装置
JPH0792874A (ja) 画像形成装置
JP2524637Y2 (ja) 電子写真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3001250B2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装置
JPH0580682A (ja) 電子写真装置のクリーニングブラシロール
JP2585445Y2 (ja) 残留トナー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