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729Y1 - 자동차용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729Y1
KR890006729Y1 KR2019840003237U KR840003237U KR890006729Y1 KR 890006729 Y1 KR890006729 Y1 KR 890006729Y1 KR 2019840003237 U KR2019840003237 U KR 2019840003237U KR 840003237 U KR840003237 U KR 840003237U KR 890006729 Y1 KR890006729 Y1 KR 890006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circuit
output
switch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3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365U (ko
Inventor
다까아끼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50000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3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7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경보장치
제1도는 종래의 도난경보기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경보기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센서 2 : 증폭기회로
3 : 대기시한회로(待期時限回路) 4 : 경보시한회로
5 : 경보출력회로 6 : 경음기
7 : 도난경보 세트스위치 21 : 키스위치
22 : 수면경보 스위치 23 : 입력선택스위치
24 : 출력절환스위치 26 : 실내경보기
27 : 제어회로
본 고안은 도난경보기와 수면경보기를 겸용한 자동차용 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차용 도난경보기를 일부 개량하여 수면경보기로 사용할수 있게 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자동차용 도난경보기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음,진동,충격등에 의하여 전압을 발생시키는 여러개의 센서, (2)는 센서(1)의 출력을 증폭시키는 증폭회로, (3)은 증폭회로(2)의 출력에 의하여 일정한 대기시간을 작성하는 대기시한회로, (4)는 대기시한회로(3)의 출력에 의해 일정한 경보시간을 작성하는 경보시한 회로, (5)는 경보시한회로 (4)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경보출력회로, (6)은 자동차의 경음기, (7)은 본장치 도난경보 세트스위치이다.
또 센서(1)은 도난사태가 발생하였을때 진동, 충격을 받기쉬운 장소, 예컨데 도어, 트렁크, 보네트(Bonnet) 등의 가깝고 차체내면에 설치한다.
또 본장치 및 도난경보 세트 스위치(7)은 다같이 차실내에 다른 사람이 잘알수 없는곳에 설치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차시키고 자동차에서 떨어져 나올때 세트스위치 (7)을 온시키면, 회로에 전원전압(+V)가 인가된다.
이때 대기시한회로(3)의 작용에 의해 대기시간 (예컨데 약 10초)의 사이에는 증폭회로(2)의 출력은 대기시한회로(3)을 통과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시간내에 센서(1)에서 출력이 나와도 경보작용은 하지 않는다.
이 대기시간내에 운전자가 자동차에서 떨어지게 된다.
그후, 도둑이 도어를 무리하게 열려고 한다든지, 유리를 파손하고 침입하려고 하면, 이때의 소리, 진동, 충격등을 센서(1)이 검출하고, 센서(1)의 출력은 증폭회로(2)에서 증폭되며 이 출력은 대기시간후 대기시한회로(3)을 통과하여 경보시한회로(4)에 입력된다.
이로인하여 경보음(6)을 울리고, 주위에 비상사태를 알림과 동시에 도둑을 놀라게하여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경보시한회로(4)가 신호를 입력한후 예컨데 10초후에 경보출력회로(5)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은 운전자가 자동차에 돌아와서 도어를 열었을때에 경보를 발하지 않도록 하기위한것으로서, 도어를 열고 10초이후에 세트스위치(7)을 오프함으로써 경보작용이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장치는 주차시의 도난예방에만 사용하는 것이며 주행중에는 불필요하고 그만큼 차내 스페이스를 필요하게 된다.
또 별도로 수면경보기를 설치하려고 할 경우, 또 다시 스페이스를 요하게 되고 배선이 복잡하여 고가격이 되는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위해 안출한것으로써, 새로운 스페이스를 요하지 않고 간단한 배선이며 더구나 염가로 도난경보기능과 수면경보기능을 얻기위해 도난경보기에 몇개의 부품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수면경보기로서 사용할수 있게 한 것이다.
다음에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제2도에 표시한 구성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a)는 운전석부근에 설치된 소리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수면경보용 센서, (21)은 엔진을 시동시키는 키스위치, (22)는 수면 경보작요을 시키기위한 수면경보세트 스위치, (23)은 수면경보 작동시 센서(1)만의 출력을 증폭회로(2)에 입력시키기위한 입력선택 스위치, (24)는 수면경보작용시에 대기시한회로(3)의 출력을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스위치, (25)는 출력절환스위치(26)는 실내경보기, (27)는 경보시한회로(4)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이다.
또 제1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부분을 표시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위치(7)(21)(22)(23)(24)에 있어 실선의 접속은 도난경보작용을 하고있을때의 상태를 표시하고, 점선은 수면경보장치로서 작용할때의 상태를 표시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주차시에 도난경보기로서 작용할때는 키스위치(21), 수면경보 세트스위치(22)는 오프, 도난경보세트스위치(7)은 온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전압(+V)는 입력선택스위치(23), 바이패스스위치(24), 출력절환스위치(25), 실내경보기(26), 제어회로(27)에는 급전되지 않는다.
이로인하여 제1도에 표시한 종래예와 동일한 동작을 할수 있다.
여기에서 시간적동작을 설명한다.
운전자가 도난경보스위치(7)를 온시켜 약 10초후에 대기사간이 경과하고 그 이후 센서(1)가 진동을 감지하면, 증폭회로(2)에 의해 증폭된 출력이 대기 시한회로(3)를 통과하여 경보시한회로(4)에 입력되고, 그 직후로부터 약 10초후 30-6-초간 경보출력회로(5)를 구동시킨다.
여기에서 출력절환스위치(25)는 실선으로 표시란측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경보기(6)는 출력절환스위치(25), 경보출력회로(5)를 통하여 통전되어 경보음을 발성하게 된다.
다음에, 수면경보작용을 할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수면경보작용이라는 것은 주행중 운전자가 발성 또는 가벼운 접촉에 의해 운전석 부근의 센서에 입력을 주지않는한, 10초 경보후에 경보음을 발성하여 잠을 깨우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운전자가 이 경보음에 정신을 기울여 발성 또는 가벼운 접촉을 센서에 주면 경보음이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단속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잠을 깨운 상태를 계속하여 사고를 방지할수 있다.
주행중, 도난경보 세트스위치(7)이 오프되고, 키스위치(21)는 온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운전자가 수면경보작용을 필요로느껴 수면경보 세트 스위치(22)를 온시키면 도시한 각스위치는 점선으로 표시한것과 같은 접속이 되어 수면경보작용을 한다.
이때 입력선택 스위치(23)는 오프되어 있으므로 운전석 부근의 센서(1a)의 출력만이 증폭회로(2)에 입력된다.
여기에서 바이패스 스위치(24)는 온으로 되므로 증폭회로(2)의 출력은 직접 제어회로(27)에 입력되고 바이패스 스위치(24)이 온 일때의 매우 작은 전기쇼크에 의해 제어회로(27)이 동작하여 경보시한 회로(5)를 동작시킨다.
이후 약10초간 다음의 입력, 즉 센서(1a)가 소리또는 진동을 받지 않았을 경우 출력절환스위치(25)를 경과해서 회로가 형성되어 실내 경보기(26)가 30-60초간 경보하게 된다.
경보시한회로(4)가 작동을 시작해서 최초의 10초 이내에 센서(1a)가 다음의 소리또는 진동을 감지하면, 제어부(27)가 있기 때문에 경보시한회로(4)는 최초의 상태로되고, 이 시점에서 다시 약 10초후가 되지 않으면 경보출력을 내지 않는다.
즉 운전자가 센서(1a)에 대하여 소리또는 가벼운 접촉을 반복하면 실내 경보기(26)이 발성하지 않는상태가 계속된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한바와 같이 도난경보기의 구성부분을 그대로 수면 경보기와 겸용스위치에 의해 절환함으로써 수면경보기로써의 겸용효과를 실현시킬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각 시한회로의 동작시간을 일예로 하였으나 이 시간은 조정 가능하게하여도 되며 그리고 증폭회로(2)의 증폭률을 조정 가능하게하고 각 설치위치의 센서의 출력에 합쳐서 증폭률을 조정하여도 된다.
또 스위치(23)(24)(25)는 트랜지스터등의 반도체를 사용한 정지형 스위치로 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도난경보기의 수면경보기의 공통회로를 스위치회로로 절환하도록 하였으므로 단일장치로 양기능을 겸용할수 있어 새로운 스페이스를 요하지 않고 간단한 배선으로 염가로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여러개 설치되어 그중 적어도 하나는 운전석 부근에 설치된 소리, 진동, 충격등을 검출하는 센서(1)(1a)와, 이들의 센서(1)(1a)은 출력을 증폭시키는 증폭회로(2)와, 이 증폭회로(2)의 출력에 의하여 일정한 대기시간을 작성하는 대기시한회로(3)와, 이 대기시한회로(3)의 출력에 의해 일정시간 경보출력을 내는 경보시한회로(4)와, 경보출력에 의하여 차밖으로 경보음을 발하는 경음기(6)와, 자동차의 도난경보작용을 시킬때 상기 증폭회로(2), 대기시한회로(3), 경보시한회로(4), 경음기(6)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도난경보 스위치(7)와, 경보출력에 의해 차내에 경보를 발하는 경보기(26)와, 수면경보작용을 시킬때 상기 운전석 부근의 센서만을 선택하여 증폭시킴과 동시에 경보기(26)를 동작시키기위한 수면경보스위치(22)에 의하여 구성되고 자동차의 도난경보작용 및 수면작용을 겸용시키도록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경보장치.
KR2019840003237U 1983-06-27 1984-04-10 자동차용 경보장치 KR89000672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17529A JPS607596A (ja) 1983-06-27 1983-06-27 自動車用警報装置
JP117529 1983-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365U KR850000365U (ko) 1985-02-28
KR890006729Y1 true KR890006729Y1 (ko) 1989-09-30

Family

ID=1471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3237U KR890006729Y1 (ko) 1983-06-27 1984-04-10 자동차용 경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7596A (ko)
KR (1) KR8900067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158U (ko) * 1988-07-29 1990-02-13
JPH0241856U (ko) * 1988-09-16 1990-03-22
JP2684009B2 (ja) * 1994-02-07 1997-12-03 修 金城 草刈機の回転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365U (ko) 1985-02-28
JPS607596A (ja) 198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6729Y1 (ko) 자동차용 경보장치
JP2000344054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3847459B2 (ja) 車載用盗難防止装置
KR100190403B1 (ko) 산소센서 및 진동센서의 원리를 응용한 도난경보 시스템
JP2918484B2 (ja) 盗難防止装置
JPS62295751A (ja) 自動車用盗難警報制御装置
KR0126075Y1 (ko)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가속페달 고정장치
KR100186645B1 (ko) 카 오디오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JPH08108826A (ja) 車両の盗難警報装置
GB2387622A (en) Anti-theft control device
JPS6320250A (ja) 自動車用盗難警報制御装置
JP2001315619A (ja) 車両盗難警報システム
JPH0219334Y2 (ko)
KR0118432Y1 (ko) 자동차용 도난 경보장치의 경보신호 발생장치
JPS62295752A (ja) 自動車用盗難警報制御装置
JPH0739028Y2 (ja) 自動車セキュリティ装置
KR200280045Y1 (ko) 휴대폰에 의한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19980048738A (ko) 도난차량의 운전제어방법
KR100435326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100186646B1 (ko) 카 오디오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방지 방법
KR19980015914A (ko) 차량 도난시 자동호출시스템
JPS62295754A (ja) 自動車用盗難警報制御装置
JPS63145750U (ko)
KR19980012520U (ko) 주차시 윈도우 개방 경고 장치
KR19990020950U (ko) 자동차의 트렁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26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