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238Y1 - 뮤팅 신호 발생 회로 - Google Patents

뮤팅 신호 발생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238Y1
KR890006238Y1 KR2019860014683U KR860014683U KR890006238Y1 KR 890006238 Y1 KR890006238 Y1 KR 890006238Y1 KR 2019860014683 U KR2019860014683 U KR 2019860014683U KR 860014683 U KR860014683 U KR 860014683U KR 890006238 Y1 KR890006238 Y1 KR 890006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ransistor
capacitor
out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4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118U (ko
Inventor
한광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4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238Y1/ko
Publication of KR880007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1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4Muting amplifier when no signal is present or when only weak signals are present, or caused by the presence of noise signals, e.g. squelch systems
    • H03G3/348Muting in response to a mechanical action or to power supply variations, e.g. during tuning; Click removal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case of switching on or off of a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뮤팅 신호 발생 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류회로 2 : 정전압회로
3 : 배전압정류회로 4 : 출력단자
5 : 오디오 입력단자 Q1-Q3: 트랜지스터
C1-C5: 콘덴서 R1-R5: 저항
AMP : 앰프 T1: 트랜스
SW1: 스위치
본 고안은 교류 전압 강하용으로 트랜스를 사용하는 음향 기기에 있어서 전원의 "온" "오프"시에 발생하는 팝 노이즈를 제거해주도록한 뮤팅 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교류전압을 사용하는 음향기기에 있어서 전원을 "온" "오프"할 경우 회로의 각 부분별 시정수에 맞게 전압이 충전 또는 방전하게 되므로써 이때의 모든 회로는 불안정한 상태가되어 팝 노이즈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원의 "온" "오프"에 따르는 순간적인 뮤팅 회로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었다.
종래 이와 같은 노이즈 음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에서 고급 앰프의 경우 2전원 방식을 사용하여 이를 해결해 주고 있으나 이는 뮤팅을 시키기 위해서 뮤팅회로 전용의 교류전원이 필요한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즉 세트에 교류를 인가시키면 뮤팅회로에는 항상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뮤팅회로를 동작시키고 있다가 셋트의 전원 스위치를 "온" "오프"할 경우 스위치에 별로 뮤팅단자를 설치하여 여기에서 얻어지는 순간적인 전압이 뮤팅회로에 공급되면 뮤팅 회로에서는 출력신호를 제어해주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회로의 구성이 복잡하고 특수 전원 스위치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과 셋트에 항상 교류전원이 인가되어 있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특수 전원 스위치 등이 필요없는 간단한 회로를 트랜스를 사용하는 음향 기기에서 전원이 "온" "오프"시에 발생하는 팝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한 뮤팅 신호 발생회로로써 전원 "온"시에는 정전압 회로를 통하여 뮤팅 동작 트랜지스터를 제어해주도록하고 전원 "오프"시에는 콘덴서의 방전 전압을 이용하여 뮤팅 동작 트랜지스터를 제어해 주도록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 투입 스위치(SW1)가 연결된 교류 전압 강하용 트랜스(T1)에 다이오드와 콘덴서로 구성된 정류회로(1)를 연결하고 정류회로(1)의 출력이 콘덴서(C5)와 앰프(AMP) 및 정전압 회로(2)에 인가되고 구성하며 정전압 회로(2)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저항(R5)과 제너다이오드(ZD1)및 콘덴서(C6)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정전압 회로(2)의 출력은 B+출력단자(4)에 연결됨과 동시에 저항(R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인가되고 다이오드(D3)와 저항(R4)를 통하여는 에미터가 접지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구성한다.
또한 정류회로(1)의 출력이 커플링 콘덴서(C1)(C3)를 통하여 다이오드(D1)(D2)와 콘덴서(C3)로 구성된 배전압 정류회로(3)에 인가되게 구성한후 배전압 정류회로(3)의 출력은 저항(R1)(R2)을 통하여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오디오 입력단자(5)의 입력이 출력 조절용 가변저항(VR1)을 통하여 앰프(AMP)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앰프(AMP)에는 스피커(SP)를 연결하되 스피커(SP)에 는 콘덴서(C4)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가 연결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교류(AC)전원이 인가되는 스위치(SW1)를 "온"시키면 전압 강하용 트랜스(T1)에 전원이 인가되어 트랜스(T1)의 2차측 출력은 다이도드와 콘덴서로 구성된 정류회로(1)에 인가되어 정류되어 진후와 콘덴서(C5)에 충전됨과 동시에 정전압 회로(2)에 인가되므로써 콘덴서(C6)에서는 충전이 됨과 동시에 정전압 회로(2)의 출력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정전 회로(2)의 출력은 B+출력단자(4)에 인가됨과 동시에 저항(R3)과 다이오드(D3)를 통하여 저항(R4)으로 바이어스 되는 트랜지스터(Q2)를 "온"시켜 주므로써 오디오 입력단자(5)의 출력신호가 가변저항(VR1)과 앰프(AMP)를 통하여 스피커(SP)에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여 주게 된다.
그러므로 전원 투입시 발생하는 팝 노이즈가 스피커(SP)에서 노이지음으로 출력되지 안게된다.
그리고 정류회로(1)의 출력이 직류성분은 차단하고 교류성분만 출력시키는 커플링 콘덴서(C1)(C2)를 통하여 다이오드(D1)(D2)와 콘덴서(C3)로 구성된 배전압 정류회로(3)에 인가되어 배전압 정류된 후 저항(R1)(R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를 도통시켜 주므로써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전위가 낮아져 트랜지스터(Q2)를 차단시키게 되어 스피커(SP)로는 정상적인 출력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전원 투입 스위치(SW1)를 "오프"시키게 되면 정류회로(1)에는 리플성분의 교류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커플링 콘덴서(C1)(C2)와 배전압 정류회로(3)로써 정류되는 전압이 로우 레벨로 떨어지게 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위를 인가시켜 주지 못하게 되므로써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된다.
이때 콘덴서(C5)와 정전압 회로(2)의 콘덴서(C6)는 충전되었던 전하를 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하이 레벨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를 도통시킴으로써 콘덴서(C5)에 충전되었던 전하가 저항(R3)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저항(R3)에 연결된 다이오드(D3)와 저항(R4)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위를 인가시켜 주므로서 트랜지스터(Q2)는 도통하게 된다.
그리므로 오디오 입력단자(5)의 입력이 인가되는 앰프(AMP)의 출력이 스피커(SP)로 출력되지 않아 전원 "오프"시 발생하는 팝노이즈가 출력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원투입시에는 정전압 회로(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를 배전압 정류회로(3)에 의해 구동하는 트랜지스터(Q)가 도통하기 전까지지 도통시켜 팝 노이즈를 제거해주고 전원 "오프"시에는 콘덴서(C5)(C6)에 충전된 전하의 방전으로 트랜지스터(Q2)를 도통시켜 "오프"시의 팝노이즈음이 스피커(SP)로 출력되지 않게 한것로써 간단한 회로로 안정성 높은 뮤팅 회로를 제공할 수가 있어 제조 원가의 하락과 제품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정류회로(1)에 콘덴서(C6)와 제너다이오드(ZD1) 및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 정전압 회로(2)와 콘덴서(C5)를 연결함과 동시에 콘덴서(C1)(C2)를 통하여 다오드(D1)(D2)와 콘덴서(C3)로 구성된 배전압 정류회로(3)을 연결구성하고 배전압 정류회로(3)에 저항(R1)(R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잇에 연결 구성하며 정전압회로(2)에 저항(R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를 연결구성한 후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는 다이오드(D3)를 통하여 콘덴서(C4)에 의해 스피커(SP)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를 연결하여 구성한 뮤팅 신호 발생회로.
KR2019860014683U 1986-09-24 1986-09-24 뮤팅 신호 발생 회로 KR890006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4683U KR890006238Y1 (ko) 1986-09-24 1986-09-24 뮤팅 신호 발생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4683U KR890006238Y1 (ko) 1986-09-24 1986-09-24 뮤팅 신호 발생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118U KR880007118U (ko) 1988-05-31
KR890006238Y1 true KR890006238Y1 (ko) 1989-09-18

Family

ID=1925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4683U KR890006238Y1 (ko) 1986-09-24 1986-09-24 뮤팅 신호 발생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2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118U (ko) 198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2585A (en) Self-energizing electrostatic loudspeaker system
JPH08322247A (ja) スタンバイ動作するスイッチング電源
JPH0793820B2 (ja) 直流電圧発生回路
US4636709A (en) Regulated DC power supply
JP2783286B2 (ja) スイツチング電源回路装置
KR890006238Y1 (ko) 뮤팅 신호 발생 회로
JPH04222457A (ja) スイッチングコンバータ
US6212082B1 (en) Device of adjustment of the charge current of a storage capacitor
US4356432A (en) Solid state power switch for gas discharge lamps
KR100596654B1 (ko) 과도 회복 보조 장치를 갖는 증폭기 장치
KR940006927Y1 (ko) 오디오에서의 뮤팅회로
JP2001251848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KR910006310Y1 (ko) 리세트회로를 이용한 팝노이즈 제거회로
JPH10155271A (ja) 昇圧回路
US3262063A (en) Line voltage energized transistor signal amplifier including a high voltage stage and a low voltage stage
KR910001584Y1 (ko) 텔레비젼 출력 앰프의 뮤팅 회로
KR830000926Y1 (ko) 텔레비죤 표시장치용의 스위칭 조정기
KR900009751Y1 (ko) 음향 기기의 충격 잡음 제거 회로
JPS602691Y2 (ja) 電子機器の電源回路
KR860001059Y1 (ko) 음향기기의 전원 온/오프시 잡음 제거회로
US3181066A (en) Transistor superheterodyne receiver
JP3357783B2 (ja) 垂直偏向回路並びに該回路に用いるチャージポンプ回路
KR920005041Y1 (ko) 클리핑 보호회로를 포함한 오디오 뮤팅 회로
KR850003311Y1 (ko) 100볼트 및 220볼트 겸용 전원공급회로
JPH01927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