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289Y1 - 전원 절환시의 볼륨 리세트 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절환시의 볼륨 리세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289Y1
KR890007289Y1 KR2019860016088U KR860016088U KR890007289Y1 KR 890007289 Y1 KR890007289 Y1 KR 890007289Y1 KR 2019860016088 U KR2019860016088 U KR 2019860016088U KR 860016088 U KR860016088 U KR 860016088U KR 890007289 Y1 KR890007289 Y1 KR 890007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apacitor
resistor
power
grou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837U (ko
Inventor
조재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6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289Y1/ko
Publication of KR880008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8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2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4Muting amplifier when no signal is present or when only weak signals are present, or caused by the presence of noise signals, e.g. squelch systems
    • H03G3/348Muting in response to a mechanical action or to power supply variations, e.g. during tuning; Click removal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7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of digital or coded signa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 절환시의 볼륨 리세트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전원 절환시 제1도의 모타 구동에 대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 R14: 저항 Q1 -Q6: 트랜지스터
D1- D : 다이오드 C1- C4: 콘덴서
M : 모타 TA, MA : 엠프
PT : 트랜스 SP : 스피커
본 고안은 전원의 "온", "오프"시에 오디오 시스템의 볼륨(Volume)을 최소 상태로 리세트(Reset)시키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콤포넌트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시스템의 안전을 위한 보호회로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같이 종래에는 콤보넌트 오디오 시스템에서 릴레이(Relay)를 이용한 폽 노이브(Pop Noise)의 방지 또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뮤팅(Muting)회로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시스템의 사용 상태에서 전원을 "오프" 하거나 또는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의 부주의로 볼륨의 위치가 최대상태일때 전원을 "온"시키면 스피커의 파손등 회로부품의 보호 대책이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시스템 전원의 "온", "오프"시에 시스템의 볼륨을 최소 상태로 리세트 시키는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외부 교류전원(AC)의 트랜스(PT)와 정류기(RF)를 거쳐서 정류된 전원은 대용량의 콘덴서(C1, C2)에 충전되고, 이 콘덴서(C1)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은 저항(R10)을 거쳐서 볼륨 제어용 모타(M)에 인가됨과 동시에 저항(R5)과 병렬 연결된 저항(R8,R9)을 거쳐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며, 이 트랜지스터(Q3)와 연속 도통되는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모타(M)에 연결된다.
그리고, 콘덴서(C1)를 거쳐 평활된 전원은 저항(R2)을 거쳐서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됨과 동시에 저항(R1)과 접지된 콘덴서(C3)및 다이오드(D2)를 통해 트랜지스터(PT)에 인가되고, 또한 저항(R4)을 통한 평활된 전원이 저항(R3)을 거쳐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인가됨과 동시에 저항(R6)과 제너다이오드(D3)및 접지된 저항(R7)을 거쳐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며, 저항(R5)을 통한 평활된 전원은 다이오드(D4)와 저항(R11)을 거쳐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인가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인가된다.
상기산 다이오드(D4)를 거친 신호는 저항(R12)을 거쳐서 에미터에 좌채널 앰프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신호는 우채널 메인 엠프(MA)을 거쳐서 스피커(SP)에 인가되며, 이 좌채널 메인 엠프(MA)와 연결된 볼륨조절을 위한 가변저항(VR1)을 튜너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가(Tone)증폭하는 톤 앰프(TA)의 출력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한 트랜지스터(Q5,Q5)의 각 콜렉터는 접지된다.
먼저, 오디오 시스템 사용중에 전원스위치를 "오프"했을때의 동작 설명을 한다.
시스템 전원을 "오프"하면 다이오드(D2)가 트랜스(PT)의 코일을 통해 접지되므로 트랜지스터(Q1)의 메이스에 음전위가 인가되다가 저항(R1)과 다이오드(D2) 및 콘덴서(C3)에 의해 방전되면서 대용량의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저항(R2)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위는 전원스위치의 "오프"되는 순간에 "논리""1"(하이레벨)신호로 변하여 트랜지스터(Q2)를 도통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텅에 연결된 저 저항치를 닺는 저항(R3)의 일단 (A점)에는 저전위가 안가되어서 트랜지스터(Q2)를 도통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저항(R5)과 다이오드(D4) 및 저항(R11)을 통해 트랜지스터(Q5,Q6)를 모두 도통시켜서 좌, 우 채널의 메인앰프에 신호가 인가되지 못하도록 입력신호를 접지시킨다.
이와같이 뮤팅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저항(R5)을 통한 평활된 전압은 저항(R8,R9)을 거쳐 트랜지스터(Q3,Q4)를 연속 도통시켜서 모타(M)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모타(M)가 동작됨에 따라 볼륨조정용 가변저항(VR1)에 제어되어서 최소상태의 볼륨으로 리세트된다.
다음은 볼륨위치가 최대상태일때 시스템 전원을 "온"시켰을 때의 동작 설명을 한다.
전원 스위치가 "온"하는 순간 콘덴서(C1)용량이 크므로 완전 충전되는 시간보다 다이오드(D2)를 통한 음전원이 소용량의 콘덴서(C3)에 충전된다.
이때 콘덴서(C3)에 충전된 음전압은 저항(R1)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도통되지 않는다.
그리고,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이 저항(R4)과 콘덴서(C4)에 충전되는 시간동안 즉, "A"점의 전위가 제너다이오드(D3)의 정격전압이 되기까지 제너동작이 되지 않으므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논리 "0"신호가 인가되어 도통되지 않는다.
상기한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지 않는 시간만큼 트랜지스터(Q5,Q6)가 도통되어서 메인엠프(MA)에 입력되는 신호는 접지되어 동작되지 않는다.
그리고, 메인엠프(MA)가 동작하지 않을때에 콘덴서(C1)의 충전 전압이 저항(R5)을 통해서 저항(R8, R9)에 의해 분배되므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논리 "1"신호로 인가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3)는 도통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4)도 연속 도통되어서 모타(M)가 구동되므로 볼륨조정용 가변저항(VR1)이 볼륨의 최소상태로 리세트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원스위치 절환시에 발생되는 폽 노이즈를 제거하면서 볼륨의 위치가 자동으로 최소상태로 리세트되어 순간 과출력 신호에 의한 스피커 파손 및 기기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정류된 전원이 용량이 큰 콘덴서(C1)를 거쳐서 볼륨 조절을 모타(M)에 인가됨과 동시에 저항(R1, R2)과 접지된 콘덴서(C3) 및 다이오드(D2)를 거쳐 트랜스(PT)에 인가되고, 콘덴서(C3)의 방전 전압에 따라 제어되는 트랜지스터(Q1)는 트랜지스터(C1)를 거친 전원이 인가되는 저항(R4)과 접지된 콘덴서(C4)및 제너다이오드(D3)에 의해 시정수가 결정되어서 트랜지스터(Q2)에 인가되며, 이 트랜지스터(Q2)의 도통 여부에 따라 콘덴서(C1)를 거친 전원은 메인 앰프에 인가되는 입력신호를 접지시키도록 연결된 트랜지스터(Q5, Q6)의 베이스에 인가되고,상기한 트랜지스터(Q2)의 도통여부에 따라 콘덴서(C1)를 거친 전원은 저항(R8, R9)에 의해 분압되어서 볼륨 조절용 모터(M)를 구동시키는 트랜지스터(Q3,Q4)에 인가되어 연속 도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절환시의 볼륨 리세트 회로.
KR2019860016088U 1986-10-22 1986-10-22 전원 절환시의 볼륨 리세트 회로 KR890007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088U KR890007289Y1 (ko) 1986-10-22 1986-10-22 전원 절환시의 볼륨 리세트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088U KR890007289Y1 (ko) 1986-10-22 1986-10-22 전원 절환시의 볼륨 리세트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837U KR880008837U (ko) 1988-06-30
KR890007289Y1 true KR890007289Y1 (ko) 1989-10-25

Family

ID=1925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088U KR890007289Y1 (ko) 1986-10-22 1986-10-22 전원 절환시의 볼륨 리세트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2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837U (ko) 198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65736B2 (ja) 電力切換増幅器
KR100196258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무팅 회로
EP0570655A1 (en) Audio amplifier on-off control circuit
US3848194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KR890007289Y1 (ko) 전원 절환시의 볼륨 리세트 회로
US5081426A (en) Power amplifier having a standby circuit
US5424666A (en) Control circuit for slowly turning off a power transistor
US3177377A (en) Automatic signal level discriminator
JPS6339162B2 (ko)
KR930006289Y1 (ko) 파우어 온/오프시 노이즈 방지회로
JPS6122345Y2 (ko)
KR0119447Y1 (ko) 서지전압검출시 전원공급차단회로
JPH10327021A (ja) 増幅器用電圧供給回路
JPS6010117Y2 (ja) Aft制御回路
KR890006238Y1 (ko) 뮤팅 신호 발생 회로
KR860001059Y1 (ko) 음향기기의 전원 온/오프시 잡음 제거회로
KR910001300Y1 (ko) 전원 온-오프 시 팝 노이즈 제거회로
KR920004062Y1 (ko) 뮤트회로
KR940006927Y1 (ko) 오디오에서의 뮤팅회로
KR900010614Y1 (ko) 오디오 파워 앰프의 과 입력보호 회로
JP2849885B2 (ja) パルス電源装置
KR940002970B1 (ko) 쇼크음 방지회로
KR970001590Y1 (ko) 리모콘 파우더 온시 팝 노이즈(pop noise) 제거회로
KR880001477Y1 (ko) 오디오 뮤팅회로
KR920005100Y1 (ko) 음향 기기의 뮤팅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