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301B1 -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301B1
KR890005301B1 KR1019860009962A KR860009962A KR890005301B1 KR 890005301 B1 KR890005301 B1 KR 890005301B1 KR 1019860009962 A KR1019860009962 A KR 1019860009962A KR 860009962 A KR860009962 A KR 860009962A KR 890005301 B1 KR890005301 B1 KR 890005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solvent
dimethylformamide
solvent
dimethylacetamide
genera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226A (ko
Inventor
이화석
한호규
남기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이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이정오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19860009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301B1/ko
Publication of KR88000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3/00Sulfinic acids; Sulfe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Amides of sulfinic or sulfe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inic or sulfenic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3/02Sulfi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07C313/04Sulfinic acids; Ester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새로운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의 새롭고도 진보된 제조발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반응도식에 따라 일반식(Ⅱ)의 1,3-옥사티올란 유도체를 아릴셀레닌산 촉매 하에서 과산화수소와 반응하여 일반식(Ⅲ)의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로 전환하고,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를 비활성 유기용매내의 중성조건 하에서 또는 비활성 용기용매 내에서 약산 또는 약염기성 촉매 존재하에서 일반식(Ⅰ)의 티올술피네이트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공정(가)
Figure kpo00001
공정(나)
Figure kpo00002
여기에서 R은 아미노기 또는 알콕시기이다. 아미노기는
Figure kpo00003
로 표시되며 R1과 R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는데,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또는 헥실기 등으로 표시되는 탄소수 6이하의 알킬기, 페닐, 클로로페닐, 브로모페닐, 플루오르페닐, 메틸페닐, 에틸페닐, 프로필페닐, 디메틸페닐, 디에틸페닐, 메톡시페닐, 디메톡시페닐, 에톡시페닐, 디에톡시페닐, , 니트로페닐, 시아노페닐, 나프틸, 비페닐 등으로 표시되는 방향족기, 피리딜 모르포릴, 푸루푸릴 등의 6각 또는 5각 고리화합물을 말한다. 알콕시기는 -OR3로 표시되며 R3는 수소, 메틸, 에틸, 프로틸, 부틸, 펜틸 또는 헥실기 등으로 표시되는 탄소수 6이하의 지방쪽 알킬기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새로운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은 의약 또는 농약 기타용도에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유용한 화합물의 합성에 중간체가 될 수 있다.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은 항균제의 효력(J. Am. Chem. Soc., 66, 1950(1944), J. Bact., 55, 139(1984))이 있으며, 항비루스로서의 효력(Mikrobiol. Zh. (Kiev), 32, 628(1970), Chem. Abstr., 74, 74916 C(1971))도 있다. 더우기 최근에 관심이 많은 종양억제제(Japan J. Pharm. Chem., 31, 3, 60, 125, 132(1959), Chem, Abstr., 54, 11018g(1960), Dissertation Abstr., 26, 1360(1965), J. Med, Chem., 8, 10(1965))도 기록되어 있다. 그외에 폴리에틸렌과 윤활유의 산화방지제(J. Chem. Soc., 5339(1961))에 유용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공정(가)에서 제조되는 일반식(Ⅲ)의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는 공지의 화합물로 한국특허 공고번호 제78-235(1978.7.1) 및 한국특허 공고번호 제83-148(1983.2.15)에 기록되어 있다. 전자의 특허에 의하면,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는 술폭시드와 카르바모일메틸기가 옥사티올란 고리에 대해서 서로 시스인 시스이성체(Ⅲa 및 Ⅲb)와 이들 두 그룹이 서로 트렌스인 트렌스 이성체(Ⅲc 및 Ⅲd)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시스 및 트랜스이성체는 관 또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할 수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것을 상세히 도식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4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인 Ⅲa 와 Ⅲb는 서로 엔안티오머이며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트랜스 이성체 Ⅲc 및 Ⅲd는 서로 엔안티오머이다. 시스이성체(Ⅲa 및 Ⅲb)와 트랜스이성체(Ⅲc 및 Ⅲd)는 서로 디아스테레오머이다.
한국특허 공고번호 제78-235(1978.7.1)에 의하면 일반식(Ⅲ)의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는 일반식(Ⅱ)의 1,3-옥사티올란유도체를 빙초산에 녹이고 0-95℃의 온도에서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가하여 제조하거나 메타클로로퍼벤조산으로 산화하여 제조하였다. 전자의 방법에서 빙초산을 용매로 사용하는데 빙초산은 고가이며 회수가 불가능하여 비경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후자의 방법인 메타클로로벤조산으로 산화하는 경우 회수 가능한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으나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은 고가로 비경제적이며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과량의 용매를사용해야 하고 상온보다 낮은 0∼5℃에서 제조하여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5,6-디히드로-1,4-옥사티인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로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를 제조한 한국특허 공고번허 제83-146(1983.2.15)에 의하면 일반식(Ⅱ)의 1,3-옥사티올란 유도체를 유기용매에 녹이고 염기조건하에서 텅스텐나트륨 촉매 존재 하에서 과산화수소와 반응시켜 일반식(Ⅲ)의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를 얻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Ⅲa 및 Ⅲb)의 생성비율이 66%에 불과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방법과는 달리 새롭고도 진보된 방법으로 값싸며 회수가 쉬운 유기용매 중에서 촉매량의 아릴셀레닌산 또는 디아릴디셀레니드의 존재하에서 일반식(Ⅱ)의 1,3-옥사티올란 유도체를 과산화수소와 반응시켜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를 93%이상의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용매로는 에테르,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아세트산에틸, 사염화탄소,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비활성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용해도 및 독성 등의 관점에서 염화메틸렌, 1,2-디클로로에탄,아세트산 에틸, 톨루엔이 가장 바람직하다. 반온도는 0-100℃에서 행할 수 있으나 0-50℃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촉매인 아릴셀레닌산 또는 디아릴디셀레니드에 있어서 아릴기는 페닐, 톨릴, 할로페닐, 니트로페닐,나프틸, 비페닐 등이 모두 가능하나 바람직하기는 페닐, 2-니트로페닐이 가장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아릴셀레닌산은 페닐셀레닌산 메타브로모페닐 셀레닌산 등이며 디아릴디셀레니드는 디페닐디셀레니드, 디(파라-톨릴)디셀레니드, 디(2-니트로)디셀레니드, 디(2,4-디히드로페닐)디셀레니드가 이에 속한다. 공지의 자료(Synthesis, 299, (1978)와 J. Am. Chem. Soc., 71, 674(1949)에 의하면 디아릴디셀레니드는 과산화수소에 의해 아릴셀레닌산으로 산화되고 아릴셀레닌산은 과산화수소와 반응하여 퍼아릴셀레닌산으로 전환하여 실제로 산화반응에 참여한다. 이를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r2Se2+3H2O2→ 2ArSeO2H+2H2O
ArSeO2H+H2O2→ ArSeO3H+H2O
만약 촉매를 첨가하지 않으면 공정(가)에 나타낸 술폭시화 반응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거나 반응하지 않는다. 그러나 R이 히드록시인 경우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 유도체는 촉매없이도 상응하는 R이 히드록시인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가 좋은 수율로 생성된다. 이것은 R이 히드록시인 경우에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 유도체가 카르복실산 유도체이므로 자기촉매(self-catalyst) 역활을 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공정(나)는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정(나)에서 제조되는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은 다음의 세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첫째, 일반식 (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와 일반식(Ⅲc) 및 (Ⅲd)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트랜스이성체를 비활성 유기 용매내에서 산 촉매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촉매는 아세트산, 페놀, 파라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황산, 인산, 염산, 질산 등의 유기 및 무기산이며 또한 가수분해하여 산성을 나타내는 황산수소나트륨, 염화철, 염화암모늄, 황산수소칼륨등의 염이 촉매로서 가능하나 아세트산, 페놀, 파라톨루엔슬폰산, 황산수소나트륨, 황산수소칼륨이 가장 바람직하다. 용매로는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아세트산 에틸, 사염화탄소,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비활성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용해도와 독성을 참작하여 염화메틸렌, 아세트산 에틸, 톨루엔이 가장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20∼100℃에서 행할 수 있으나 -20∼50℃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산 촉매 존재하에서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은 비교적 쉽게 분해하기 때문에 분해하기 전에 산 촉매를 제거하여야 한다.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의 산 촉매하에서의 분해는 공지의 자료(J. Am. Chem. Soc., 95, 109(1973), J. Org. Chem., 33, 1940(1968))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둘째, 일반식 (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를 선택된 적당한 비활성유기 용매내에서 가열하여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미도 단독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단독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에틸에테르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에틸에테르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염화메틸렌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염화메틸렌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클로로포름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클로로포름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시클로헥산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시클로헥산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헥산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헥산의 혼합용매, 디메틸 포름아미드와 아세트산 에틸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1,2-디클로로에탄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1,2-디클로로에탄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벤젠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벤젠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톨루엔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톨루엔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크실렌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디메틸술폭시드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디메틸술폭시드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디메틸아세트아미드의 혼합용매 등이 가능하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벤젠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벤젠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톨루엔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톨루엔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시클로헥산이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시클로헥산의 혼합용매가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0∼100℃에서 행할 수 있으나 20∼80℃가 가장 바람직하다.
끝으로,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된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만을 비활성 유기용매와 약염기 촉매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촉매는 약염기성을 가진 무기 또는 유기약품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탄산칼륨, 중탄산칼륨 등의 무기염기와 테트라에틸암모늄 아세테이트 등의 가수분해로 인하여 염기성을 띄는 염, 피리딘, 트리에틸아민,아닐린, 암모니아 등의 약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반응용매는 에테르류, 염화메틸렌,클로로포름, 아세트산에틸,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벤젠, 톨루엔, 크실렌,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비활성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염화메틸렌, 1,2-디클로로에탄, 아세트산 에틸, 톨루엔이 가장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25∼100℃에서 행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는 0∼50℃이다.
공정(나)에 나타낸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는 상술한 세가지 방법을 다시 간단히 설명하면 첫째방법은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와 일반식(Ⅲc) 및 (Ⅲd)로 표시되는 트랜스이성체를 산촉매 존재하에서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생성된 각종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이 산촉매 존재하에서 비교적 불안정하여 일반식(Ⅰ)로 표시된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을 분리하여 얻기가 어렵다. 둘째방법은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를 무촉매 존재하에 선택된 비활성 유기용매 내에서 가열하는 것이다. 이때 생성되는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은 반응조건 하에서 안정하여 분리가 용이하지만 반응용매인 디메틸포름아미드가 물에 녹으며 비점이 높아(bp760 153℃)분리 회수가 어렵다. 셋째 방법은 공정(나)에 나타낸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가장 경제적이며 진보적인 방법으로서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를 약염기 촉매 존재하에서 비활성 유기용매 내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비점이 낮고 분리회수가 용이한 여러 비활성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며 약염기 촉매 존재하에서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은 안정하여 분리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산 촉매 존재하에서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 및 트랜스 이성체는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로 전환되지만, 보다 진보적인 방법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를 중성조건 하에서 선택된 비활성 유기용매 내에서 가열하거나, 또는 회수가 용이한 비활성 유기용매 내에서 약염기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 처럼 공정(가)에서 제조되는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는 1,3-옥사티올란 고리에 대해서 술폭시드기와 카르바모일메틸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한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시스이성체와 술폭시드기와 메틸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놓여 있는 일반식(Ⅲc) 및 (Ⅲd)로 표시되는 트랜스 이성체의 혼합물이다.
공정(나)에서와같이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공정(가)에서 제조한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와 일반식(Ⅲc) 및 (Ⅲd)로 표시되는 트랜스이성체를 분리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일반식(Ⅲc) 및 (Ⅲd)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트랜스이성체가 비활성 유기용매 내의 중성조건 하에서 가열하거나, 비활성 유기용매내의 약염기 촉매 존재하에서 안정하므로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로 전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다 진보적이며 경제적인 방법으로 공정(나)에 나타낸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을 높은 수율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공정(가)에서 제조되는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의 생성비율이 높아야 한다. 본 발명의 공정(가)에서 나타낸 바 처럼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 유도체를 아릴셀레닌산 또는 디아릴디셀레니드 촉매 존재 하에서 과산화수소와 반응시켜 생성된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된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와 일반식(Ⅲc) 및 (Ⅲd)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트랜스이성체의 구성비율은 93 : 7이다. 그러므로 공지의 방법인 한국특허 공고번호 제83-148(1983.2.15)에 나타낸 시스이성체(Ⅲa 및 Ⅲb)와 트랜스이성체(Ⅲc 및 Ⅲd)의 구성비율 2:1보다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의 구성비율이 훨씬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정(가)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일반식(Ⅲ)으로 표시된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디아스테레오머의 혼합물로 부터 공정(나)의 보다 진보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인 중성조건 또는 약염기 촉매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새로운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을 높은 수율로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공정(나)에 나타낸 일반식(Ⅲ)의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로 부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로 진행되는 전환 반응기전을 산 촉매 존재하에서, 중성 조건하에서, 약 염기 촉매 존재하에서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 촉매 존재하에서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유도체가 일반식(Ⅳ)의 중간체 술포니움이온 또는 일반식(Ⅴ)의 카르보니움이온을 통하여 일반식(Ⅵ)의 술페닌산으로 전환된 다음 두 분자의 일반식(Ⅵ)으로 표시되는 술페닌산이 한 분자의 물을 잃으면서 일반식(Ⅰ)의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로 전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 일반식(Ⅵ)의 중간체 술페닌산은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일반적으로 술페닌산 유도체는 불안정하여 어떤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로 자발적으로 전환한다고 공지의 자료(J. Am. Chem. Soc., 89, 718(1967), J. Org. Chem., 46, 3467(1981), J. Am. Chem. Soc. 103, 7016(1981))에 자세히 명시되어 있다. 상기 내용을 도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둘째, 중성건조하의 선택된 유기용매내에서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를 가열하면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이 생성된다. 이것은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2-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가 1,3-옥사티올란 고리에 대해서 술폭시드와 카르보닐기에 의해 활성화된 메틸렌기가 동일 평면에 놓여 있어서 술폭시드기와 메틸렌기의 수소가 관여된 가능한(2,3) 시그마트로픽전위(sigmatropic rearrangement)를 통하여 일반식(Ⅵ)로 표시되는 술페닌산으로 전환된다. 이 술페닌산 두 분자는 자발적으로 한 분자의 물을 잃고 일반식(Ⅰ)의 새로운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로 전환된다. 한편 1,3-옥사티올란 고리에 대해서 술폭시드기와 카르바모일메틸기가 서로 트랜스인 일반식(Ⅲ)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트랜스 이성체는 술폭시드기와 메틸렌기의 수소가 관여된(2,3) 시그마트로픽 전위가 불가능하고 중성조건하에서 비교적 안정하므로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로 전위되지 않는다. 상기 내용을 도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7
본 발명에서는 일반식(Ⅵ)로 표시되는 중간체 술페닌산을 분리할 필요가 없고, 공정(가)에서 제조되는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중에서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를 분리할 필요도 없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공정(가)에서 제조되는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의 생성비율이 93%이상이며, 일반식(Ⅲc) 및 (Ⅲd)로 표시되는 소량인 7% 미만의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트랜스 이성체는 중성조건하에서 안정하여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의 생성반응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끝으로, 약염기 촉매 존재하에서 일반식(Ⅲa) 및 (Ⅲb)로 표시되는 1,3-옥시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는 카르보닐기에 의해 활성화된 메틸렌기의 수소와 술폭시드가 관여된 가능한 (2,3) 시스마트로픽 전위를 통하여 일반식(Ⅵ)로 표시되는 술페닌산으로 전환된다. 이 술페닌산 두 분자는 자발적으로 한 분자의 물을 잃고 일반식(Ⅰ)의 새로운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로 전환한다. 한편 1,3-옥사티올란 고리에 대해서 술폭시드가 카르바모일메틸기가 서로 트렌스인 일반식(Ⅲc) 및 (Ⅲd)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시스이성체는 물론 일반식(Ⅲc) 및 (Ⅲd)로 표시되는 1,3-옥사티올란술폭시드 트랜스 이성체도 일반식(Ⅵ)로 표시되는 중간체인 술페닌산으로전환하여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이 생성되지만 이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이 강염기 촉매 존재하에서 불안정하므로 존재하지 못한다.
상기 내용을 도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행을 더 자세히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가한 특허청구 범위에서 이탈하지 않는 한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티올술피네이트(Ⅰ)(R=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N-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페닐아미노) 2.37g(10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30ml에 녹이고 디페닐디셀레니드 20mg과 35% 과산화수소 1.5ml(15밀리몰)을 가하여 상온(20∼23℃)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증발로 회수하여 백색 거품상의 고체 2.48g을 얻었다.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6D6)에 의하면 이것은 93:7의 2-메틸-
Figure kpo00010
-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3-옥시드 시스이성체(Ⅲa 및 Ⅲb)와 트랜스 이성체(Ⅲc 및 Ⅲd)의 혼합물이었다. 이 혼합물을 아세트산 에틸 300ml에 녹이고 아세트산 칼륨염 98mg을 가하여 상온 (20∼23℃)에서 4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여과하여 생성된 백색 고체를 찬물로 씻고 공기중에서 건조하여 티올술피네이트(I)(R=페닐아미노) 1.86g(수율 76%)을 얻었다.
녹는점 : 137-8℃(분해)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DCl3)δ : 2.28(s,6H), 3.47(t,2H), 3.52(t,2H), 4.07(t,2H), 4.25(t,2H), 5.12(s,1H), 5.17(s,1H), 7.00-7.80(m,12H)
적외선흡수스펙트럼(KBr) 3350, 1670, 1620, 1600, 1550, 1450, 1160, 1080, 750cm-1
원소분석 C24H28N2O5S2에 대한 이론치 : C, 59.01, H, 5.77, N, 5.65, S, 13.00.
[실시예 2]
티올술피네이트(Ⅰ)(R=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11
-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Ⅰ)(R=페닐아미노) 11.87g(0.05몰)을 아세트산에틸 150ml에 녹이고 벤젠셀레닌산 95mg과 30% 과산화수소 8.5ml(0.075몰)을 가하여 상온(20∼23℃)에서 2시간 반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감압증발로 회수하여 백색거품상의 고체 12.04를 얻었다. 이것은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6D6)에 의하면 93:7의 2-메틸-
Figure kpo00012
-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3-옥시드 시스이성체(Ⅲa 및 Ⅲb)와 트랜스이성체(Ⅲc 및 Ⅲd)의 혼합물이었다. 이 혼합물을 아세트산 에틸 200ml에 녹이고 트리에틸아민 0.7ml을 가하여 상온 (20∼23℃)에서 4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여과하여 생성된 백색고체를 에틸에테르로 씻어 티올술피네이트(I)(R=페닐아미노) 9.42g(수율 77%)을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것과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적외선흡수스펙트럼 및 녹는점이 동일하였다.
[실시예 3]
티올술피네이트(Ⅰ)(R=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13
-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페닐아미노) 2.37g(10밀리몰)을 염화메틸렌 30ml에 녹이고 벤젠셀레닌산 19mg과 30% 과산화수소 1.7ml(15밀리몰)을 가하여 15-20℃에서 3시간 반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증발로 회수하여 백색 거품상의 고체 2.50g을 얻었다. 이것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5ml와 벤젠 35ml의 혼합용액에 녹이고 50℃ 물중탕에서 2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같은 온도에서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기름상의 액체를 얻었다. 이것을 염화메틸렌에 녹이고 찬물로 6회 씻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증발로 회수하여 백색 거품상의 고체 2.12g을 얻었다. 이것을 아세톤과 시클로헥산에서 결정화하여 백색의 무정형고체인 1.63g(수율 67%)의 티올술피네이트(I)(R=페닐아미노)을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것과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적외선흡수스펙트럼 및 녹는점이 동일하였다.
[실시예 4]
티올술피네이트(Ⅰ)(R=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14
-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2.37g(10밀리몰)을 클로로포름 30ml에 녹이고 벤젠셀테닌산 19mg과 30% 과산화수소 1.7ml(15밀리몰)을 가하여 상온(20∼23℃)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증발로 회수하여 백색 거품상의 고체 2.46g을 얻었다. 이것을 벤젠 50ml에 녹이고 파라톨루엔 술폰산,일수화물 20mg을 가한 다음 50℃물 중탕에서 두 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식히고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었다. 반응혼합액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증발로 회수하여 무색의 기름상의 액체 2.42g을 얻었다. 이것을 실리카겔(GF 254)과 벤젠-아세트산 에틸을 사용하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티올술피네이트(I)(R=페닐아미노) 0.39g(수율 16%)을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것과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적외선흡수스펙트럼 및 녹는점이 동일하였다.
[실시예 5]
티올술피네이트(Ⅰ)(R=2-메틸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15
-(2-메틸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2-메틸페닐아미노) 1.26g(5밀리몰)을 클로로포름 20ml에 녹이고 30% 과산화수소 0.9ml(7.5밀리몰)과 벤젠셀레닌산 10mg을 가하고 상온(20-23℃)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용매를 감압증발로 회수하여 백색 거품상의 고체 1.31g을 얻었다.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6D6)에 의하면 이것은 94: 6의 시스 이성체와 트랜스 이성체의 혼합물이었다. 이 백색의 거품상의 클로로포름 20ml에 녹이고 피리딘 0.04ml를 가하여 상온 (20-25℃)에서 42시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백색고체를 여과한 다음 에틸 에테르로 씻어 티올술피네이트(Ⅰ)(R=2-메틸페닐아미노) 0.95g(수율 74%)을 얻었다.
녹는점 : 129-131℃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DCl3)δ : 2.30(s,6H), 2.42(s,6H), 3.53(t,4H), 4.00-4.50(m,4H), 5.20(s,2H), 6.90-8.00(m,10H).
[실시예 6]
티올술피네이트(Ⅰ)(R=2-메틸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16
-(2-메틸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2-메틸페닐아미노) 1.76g(7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30ml에 녹이고 30% 과산화수소 1.25ml(11밀리몰)과 2-니트로페닐셀레닌산 16mg을 가한 다음 상온(20∼23℃)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용매를 감압증발로 회수하여 백색 거품상의 고체 1.82g을 얻었다.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6D6)에 의하면 이것은 95:5의 시스 술폭시드와 트랜스술폭시드의 혼합물이었다.이 혼합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 30ml에 녹이고 트리에틸아민 0.1ml를 가하여 상온(20-25℃)에서 46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백색고체를 여과하고 에틸에테르로 씻어 티올술피네이트(I) (R=2-메틸페닐아미노) 1.28g(수율 71%)을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5에서 제조한 것과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적외선흡수스펙트럼 및 녹는점이 동일하였다.
[실시예 7]
티올술피네이트(Ⅰ)(R=2-메틸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17
-(2-메틸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2-메틸페닐아미노) 2.50g(10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30ml에 녹이고 30% 과산화수소 1.7ml(15밀리몰)과 디페닐디셀레니드 16mg을 가하고 10-1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용매를 감압증발로 회수하여 미황색 기름상의 액체를 얻었다. 이를 디메틸포름아미드 25ml와 벤젠 25ml의 혼합용액에 녹이고 50℃물 중탕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0℃에서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한 다음 잔여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이고 찬물로 6회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갈색의 거품상의 고체2.21g을 얻었다. 이것을 아세톤과 석유에테르에서 결정화하여 백색 무정형의 고체인 1.75g(수율 68%)의 티올술피네이트(Ⅰ)(R=2-메틸페닐아미노)을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5에서 제조한 것과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적외선흡수스펙트럼 및 녹는점이 동일하였다.
[실시예 8]
티올술피네이트(Ⅰ)(R=4-메톡시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18
-(4-메톡시페닐아미노)-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4-메톡시페닐아미노) 1.60g(6밀리몰)을 벤젠 30ml에 녹이고 디페닐디셀레니드9mg과 30% 과산화수소 1.1ml(10밀리몰)을 가한 다음 30℃물중탕에서 3시간 반 동안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용매를 감압증발로 회수하여 미황색 거품상의 고체 1.66g을 얻었다.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6D6)에 의하면 이것은 93: 7의 시스술폭시드와 트랜스술폭시드의 혼합물이었다. 이 혼합물을 아세트산 에텔30ml에 녹이고 아세트산 칼륨 6mg을 가하고 50℃물 중탕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액을 실온으로 식히고 찬물로 두번 씻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황색의 거품상의 고체를 얻었다. 이것을 아세트산 에틸과 석유에테르에서 결정화하여 백색의 무결정형 고체인 티올술피네이트(I)(R=4-메톡시페닐아미노) 1.23g(수율 75%)을 얻었다.
녹는점 : 127-8℃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DCl3)δ : 2.38(s,6H), 3.30-3.60(m,4H), 3.65 (s,6H), 3.60-4.30(m,4H), 5.12(s,1H), 5.17(s,1H), 6.80 : 7.70(m,8H), 7.92(s,2H).
[실시예 9]
티올술피네이트(Ⅰ)(R=4-메톡시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19
-(4-메톡시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4-메톡시페닐아미노) 1.34g(5밀리몰)을 클로로포름 20ml에 녹이고 디(2-니트로페닐)디셀레니드 10mg과 30% 과산화수소 0.9ml(9밀리몰)을 가하고 상온(22-25℃)에서 3시간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하여 미황색의 거품상의 고체를 얻었다.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6D6)에 의하면 이것은 93: 7의 시스 술폭시스드 트랜스 술폭시드의 혼합물이었다. 이 혼합물을 아세트산 에틸 30ml에 녹이고 중탄산소다 72mg을 가하고 상온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찬물로 한번 씻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하여 미황색의 거품상의 고체를 얻었다. 이것을 아세트산 에틸과 석유에테르에서 결정하여 백색 무정형의 고체인 티올술피네이트(Ⅰ)(R=4-메톡시페닐아미노) 1.07g(수율 78%)을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8에서 제조한 것과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적외선흡수스펙트럼 및 녹는점이 동일하였다.
[실시예 10]
티올술피네이트(Ⅰ)(R=4-메톡시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20
-(4-메톡시페닐아미노)-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4-메톡시페닐아미노)2.14g(8밀리몰)을 염화메틸렌 40ml에 녹이고 30% 과산화수소수 1.4ml(12밀리몰)과 벤젠셀레닌산 15mg을 가하고 15-20℃에서 3시간 반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하였다. 생성된 백색 거품상의 고체를 디메틸포름아미드 20ml와 톨루엔 20ml의 혼합용액에 녹이고 30℃ 물 중탕에서 4일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한 다음 생성된 기름상의 액체를 염화메틸렌에 녹이고 찬물로 6회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하여 미황색의 고체 2.02g을 얻었다. 이를 아세트산에틸과 석유에테르에서 결정화하여 백색의 무정형 고체인 티올술피네이트(I)(R=4-메톡시페닐아미노) 1.29g(수율 59%)을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8에서 제조한 것과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적외선흡수스펙트럼 및 녹는점이 동일하였다.
[실시예 11]
티올술피네이트(Ⅰ)(R=4-클로로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21
-(4-클로로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4-클로로페닐아미노) 1.36g(5 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30ml에 녹이고 30% 과산화수소수 0.8ml(7 밀리몰)과 벤젠셀레닌산 9mg을 가하여 상온(20-25℃)에서 3시간 반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 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하여 백색 거품상의 고체 1.40g을 얻었다.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6D6)에 의하면 이것은 94: 6의 시스 술폭시드와 트렌스 술폭시드의 혼합물이었다. 이 혼합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 30ml에 녹이고 아세트산나트륨 41mg을 가하여 상온에서 39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찬물로 두번 씻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하여 미갈색 거품상의 고체를 얻었다. 이를 아세트산 에틸과 석유에테르에서 결정화하여 미색의 무정형 고체인 티올술피네이트(Ⅰ)(R=4-클로로페닐아미노) 0.96g(수율 69%)을 얻었다.
녹는점 : 138-140℃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Acetone-d6)δ : 2.38(s,6H), 3.40-3.75(m,4H), 4.07-4.40(m,4H), 5.43(s,1H), 5.52(s,1H), 7.30-7.90(m,8H), 9.28(sm,2H).
[실시예 12]
티올술피네이트(Ⅰ)(R=4-클로로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22
-(4-클로로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4-클로로페닐아미노) 2.72g(10밀리몰)을 톨루엔 70ml에 가열하여 녹인 다음 실온으로식히고 30% 과산화수소 1.6ml(14밀리몰)과 디페닐디셀레니드 16mg을 가하고 30℃ 물 중탕에서 2시간 반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트리에틸아민 0.4ml를 가하고 30℃물 중탕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묽은 염산과 찬물로 씻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하여 갈색의 기름상의 액체를 얻었다. 이것을 아세트산 에틸과 석유에테르에서 결정화하여 미색의 무정형의 고체인 티올술피네이트(I)(R=4-클로로페닐아미노) 1.84g(수율 66%)을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것과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적회선흡수스펙트럼 및 녹는점이 동일하였다.
[실시예 13]
티올술피네이트(Ⅰ)(R=4-클로로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23
-(4-클로로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4-클로로페닐아미노) 2.00g(7.4 밀리몰)을 클로로포름 20ml에 녹이고 벤젠셀레닌산 14mg과 30% 과산화수소 1.3ml(11밀리몰)을 가하고 상온(18-2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하여 백색 거품상의 고체 2.05g을 얻었다.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6D6)에 의하면 이것은 95:5의 시스 술폭시드와 트렌스 술폭시드의 혼합물이었다.
이 혼합물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20ml와 벤젠 20ml의 혼합용액에 녹이고 50℃물 중탕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같은 온도에서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한 다음 생성된 기름상의 액체를 염화메틸렌에 녹이고 찬물로 6회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감압증발로 회수하였다. 생성된1.64g의 미황색의 거품상의 고체를 아세트산 에틸과 석유에테르에서 결정화하여 백색의 무정형 고체인 티올술피네이트(I)(R=4-클로로페닐아미노) 1.27g(수율 62%)을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것과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적외선흡수스펙트럼 및 녹는점이 동일하였다.
[실시예 14]
티올술피네이트(Ⅰ)(R=4-클로로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24
-(4-클로로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4-클로로페닐아미노) 2.17g(8밀리몰)을 클로로포름 20ml에 녹이고 2-니트로페닐셀레닌산 19mg과 30% 과산화수소 1.1ml(10밀리몰)을 가하여 상온(20-23℃)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백색 거품상의 고체 2.23g을 얻었다. 이것을 아세트산 에틸 30ml에 녹이고 암모늄클로라이드 21mg을 가하여 상온(20-25℃)에서 4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액을 찬물로 씻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하여 무색 기름상의 액체 2.19g을 얻었다. 이것을 실리카겔(GF 254)과 벤젠-아세트산 에틸을 사용하는 박층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티올술피네이트(I)(R=4-클로로페닐아미노) 0.42g(수율 19%)을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것과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적외선흡수스펙트럼 및 녹는점이 동일하였다.
[실시예 15]
티올술피네이트(Ⅰ)(R=3-니트로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25
-(3-니트로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3-니트로페닐아미노) 2.26g(8 밀리몰)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80ml에 녹이고 30% 과산화수소 수1.4ml(12밀리몰)과 벤젠셀레닌산 15mg을 가하고 상온(18-20℃)에서 3시간 반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하여 황색의 거품상의 고체를 얻었다.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6D6)에 의하면 이것은 95:5의 시스 술폭시드와 트랜스 술폭시드의 혼합물이었다. 이 혼합물을 아세트산 60ml에 녹이고 아세트산 칼륨 78mg을 가하고 6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생성된 황색의 고체를 여과하여 찬물로 씻고 공기중에서 건조하여 황색의 티올술피네이트(I)(R=3-니트로페닐아미노) 1.94g(수율 84%)을 얻었다.
녹는점 : 153-155℃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DMSO-d6)δ : 2.33(s,6H), 3.50-3.85(m,4H), 3.90-4.40(m,4H), 5.38(s,1H), 5.45(s,1H), 7.40-8.85(m,8H), 10.40(s,2H).
[실시예 16]
티올술피네이트(Ⅰ)(R=3-니트로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26
-(3-니트로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3-니트로페닐아미노) 1.41g(5 밀리몰)을 클로로포름 40ml에 녹이고 30% 과산화수소 0.9ml(7.5 밀리몰)과 디(2-니트로페닐)디셀레니드 10mg을 가하고 35℃ 물 중탕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은 다음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테트라에틸암모늄 아세테이트 사수화물 130mg을 가하여 50℃ 물 중탕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황색고체를 여과하고 찬물로 씻어 공기중에서 건조하여 황색의 티올술피네이트(I)(R=3-니트로페닐아미노) 1.14g(수율 79%)을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것과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적외선흡수스펙트럼 및 녹는점이 동일하였다.
[실시예 17]
티올술피네이트(Ⅰ)(R=4-시아노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N-(4-시아노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4-시아노페닐아미노) 1.0g(3.8 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50ml에 녹이고 30% 과산화수소수 0.7ml(6 밀리몰)과 벤젠셀레닌산 7mg을 가하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서 회수하여 백색 거품상의 고체를 얻었다.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6D6)에 의하면 이것은 93:7의 시스 이성체와 트랜스 이성체의 혼합물이었다. 이 혼합물을 아세트산 에틸 120ml에 녹이고 탄산칼륨 53mg을 가하고 50℃물 중탕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찬물로 두번 씻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미황색의 기름상의 액체를 얻었다. 이것을 아세트산 에틸과 석유에테르에서 결정화하여 백색의 티올술피네이트(I)(R=4-시아노페닐아미노) 0.72g(수율 70%)을 얻었다. 녹는점 : 102-9℃(분해)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Acetone-d6)0 : 2.03(s,6H), 3.40-3.80(m,4H), 3.80-4.40(m,4H), 5.50 (s,1H), 5.58(s,1H), 7.67-8.10(m,8H), 9.92(s,1H).
[실시예 18]
티올술피네이트(Ⅰ)(R=4-시아노페닐아미노)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27
-(4-시아노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 1.90g(7.24 밀리몰)을 클로로포름 30ml에 녹이고 디페닐디셀레니드 11mg과 30% 과산화수소 1.2ml(10 밀리몰)을 가하고 상온(20-23℃)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하여 백색 거품상의 고체 2.01g을 얻었다. 이것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0ml와 시클로헥산 30ml의 혼합용액에 가한 다음 50℃물 중탕에서 2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같은 온도에서 감압증발하여 용매를 제거한 다음 아세트산 에틸에서 결정화하여 생성된 백색 고체를 에탄올과 석유에테르에서 재결정하여 백색 무정형 고체인 티올술피네이트(I)(R=4-시아노페닐아미노) 1.70g)(수율 87%)을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17에서 제조한 것과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적외선흡수스펙트럼 및 녹는점이 동일하였다.
[실시예 19]
티올술피네이트(Ⅰ)(R1=메틸, R2페닐)의 제조 2-메틸-
Figure kpo00028
-메틸-
Figure kpo00029
-페닐-1,3-옥사티올란-2-아세트아미드(Ⅱ)(R1=메틸, R2페닐) 2.51g(10 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30ml에 녹이고 30% 과산화수소수 1.7ml(15밀리몰)와 벤젠셀레닌산 19mg을 가하고 상온(18-20℃)에서 3시간 반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미황색의 거품상의 액체를 얻었다.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DCl3)에 의하여 이것은 93:7의 시스 이성체와 트랜스 이성체의 혼합물이었다. 이 혼합물을 아세트산 에틸 50ml에 녹이고 아세트산칼륨 0.33g을 가하고 상온(19±1℃)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찬물로 한번 씻고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한 다음 실리카겔(GF 254)과 벤젠-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박층크로마토그래피로 무색 기름상의 액체인 티올술피네이트(I)(R1=메틸, R2페닐) 1.60g(수율 62%)을 얻었다.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DCl3) 0 : 2.17(s,6H), 2.97-3.18(m,4H), 3.18(s,6H), 3.42-3.73(m,4H), 4.72(s,1H), 4.75(s,1H), 7.00-7.50(m,10H).
[실시예 20]
티올술피네이트(Ⅰ)(R=메톡시)의 제조 메틸 2-메틸-1,3-옥사티올란-2-아세테이트(Ⅱ)(R=메톡시) 3.52g(20 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30ml에 녹이고 30% 과산화수소수 3.4ml(30 밀리몰)과 벤젠 셀레닌산 38mg을 가하고 얼음 중탕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하였다. 생성된 무색 기름상의 액체를 아세트산 에틸 30ml에 녹이고 아세트산 나트륨 165mg을 가하고 19±1℃에서 4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찬물로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하여 무색 기름상의 액체를 얻었다. 이것을 실리카겔(GF 254)과 벤젠-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무색 기름상의 액체인 티올술피네이트(I)(R=메톡시)1.94g(수율 53%)을 얻었다.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DCl3) 0 : 2.32(s,6H), 3.50(2t, 4H, J=6Hz), 3.70(s,H6), 4.11(t,2H, J=6Hz), 4.28(t,2H, J=6Hz), 5.07(s,1H), 5.12(s,1H) : 적외선흡수스펙트럼(NaCl) 1710, 1630, 1440, 1150, 1050, 820cm-1; 원소분석 C14H22O7S2에 대한이론치 : C, 45.39, H, 6.05, S, 17.50, 실험치 :C, 45.55, H, 6.00, S, 17.50.
[실시예 21]
티올술피네이트(Ⅰ)(R=메톡시)의 제조 메틸 2-메틸-1,3-옥사티올란-2-아세테이트(Ⅱ)(R=메톡시) 1.76g(10 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20ml에 녹이고 30% 과산화수소 1.7ml(15밀리몰)와 디페닐디셀레니드 16mg을 가하고 얼음중탕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트리에틸아민 0.14ml를 가하고 30℃물 중탕에서 40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묽은 염산과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회수하여 무색의 기름상의 액체를 얻었다. 이것을 실리카겔(GF 254)과 벤젠-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무색 기름상의 액체인 티올술피네이트(I)(R=메톡시) 0.88g(수율 48%)을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20에서 제조한 것과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적외선흡수스펙트럼이 동일하였다.
[실시예 22]
티올술피네이트(Ⅰ)(R=에톡시)의 제조 에틸 2-메틸-1,3-옥사티올란-2-아세테이트 2.58g(15 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30ml에 녹이고 30% 과산화수소 2.6ml(23 밀리몰)과 벤젠셀레닌산 28mg을 가하여 얼음중탕에서 4시간 반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중탄산소다수와 찬물로 각각 한번씩 씻은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회수하여 무색 기름상의 액체를 얻었다. 이것을 아세트산 에틸 30ml에 녹이고 아세트산칼륨 150mg을 가하고 상온에서 5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찬물로 씻은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증발로 제거하여 무색의 기름상의 액체를 얻었다. 이것을 실리카겔(GF 254)과 벤젠-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티올술피네이트(I)(R=에톡시) 1.51g(수율 51%)을 얻었다.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CDCl3)δ : 1.28(t,3H), 2.31(s,6H), 2.80-3.30(m,4H), 4.15(g,2H), 4.05-4.35(m,4H), 5.04(s,1H), 5.09(s,1H).
[실시예 23]
티올술피네이트(Ⅰ)(R=히드록시)의 제조 2-메틸-1,3-옥사티올란-2-아세트산(Ⅱ)(R=히드록시) 4.05g(25 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 40ml에 녹이고 얼음중탕에서 냉각한 다음 30% 과산화수소 4.31ml(38 밀리몰)을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백색 고체를 여과하여 에틸에테르로 씻었다. 이 백색 고체를 벤젠 20ml와 디메틸포름아미드 20ml 혼합용액에 가하고 50℃물 중탕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 남은 기름상의 액체에 클로로포름 30ml를 가하고 실온(20-23℃)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백색고체를 여과하여 에틸에테르로 씻어 백색의 고체인 티올술피네이트(I)(R=히드록시) 2.62g(수율 62%)을 얻었다. 녹는점 : 132-4℃(분해)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DMSO-d6) 2.22(s,6H), 3.33-3.67(m,4H), 4.00-4.32(m,4H), 5.03(s,1H), 5.08(s,1H), 적외선흡수스펙트럼(KBr) 2950, 1700, 1600, 1200, 1080, 830cm-1; 원소분석 C12H18O7S2에 대한 이론치 C, 42.59, H, 5.36 실험치 C, 42.22, H, 5.38.

Claims (4)

  1. 일반식(Ⅲ)의 옥사티올란술폭시드 유기체를 유기 용매 존재하에 약산촉매, 얌염기 촉매 또는 무촉매에서 -25℃ 내지 100℃의 온도로 반응시켜 일반식(Ⅰ)의 티올술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30
    일반식(Ⅰ)와 일반식(Ⅲ)에서의 R은 아미노기 또는 알콕시기이다. 아미노기는
    Figure kpo00031
    로 표시되며 R1과 R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는데,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또는 헥실기 등으로 표시되는 탄소수 6이하의 알킬기, 페닐, 클로로페닐, 브로모페닐, 플루오르페닐, 메틸페닐, 에틸페닐, 프로필페닐, 디메틸페닐, 디에틸페닐, 메톡시페닐, 디메톡시페닐, 에톡시페닐, 디에톡시페닐, , 니트로페닐, 시아노페닐, 톨린, 나프틸, 비페닐 등으로 표시되는 방향족기, 피란딘 프로포릴, 푸루푸릴 등의 6각 또는 5각 고리화합물을 말한다. 알콕시기는 -OR3로 표시되며 R3는 수소, 메틸, 에틸, 프로틸, 부틸, 펜틸 또는 헥실기로 표시되는 탄소수 6이하의 지방쪽 알킬기를 말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약산촉매 존재하에서 반응할 경우, 약산으로 아세트산, 페놀, 파라-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염화철, 염화암모늄, 황산수소나트륨 또는황산수소칼륨 중의 산과 유기용매로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아세트산에틸, 사염화탄소, 벤젠, 톨루렌 또는 크실렌중의 우기용매를 각각 선택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Ⅰ)의 티울술피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약염기 존재하에 반응할 경우, 약염기로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탄산칼륨, 중탄산칼륨, 데트라에틸암모늄아세테이트,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아닐린 또는 암모니아 중의 염기와 유기용매로 에테르,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아세트산에틸, 1,2-디클로로에탄, 벤젠, 톨루엔, 크실렌,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술폭시드 중의 용매를 각각 선택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Ⅰ)의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무촉매하에 반응할 경우 유기 용매를 디메틸포름아미드 단독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단독용매, 디메틸 포름아미드와 에틸에테르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에틸에테르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염화메틸렌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염화메틸렌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클로로포름의 혼합용매,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클로로포름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시클로헥산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시클로헥산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아세트산 에틸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아세트산 에틸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헥산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헥산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1,2-디클로로에탄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1,2-디클로로에틸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벤젠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벤젠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톨루엔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톨루엔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크실렌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크실렌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디메틸술폭시드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디메틸술폭시드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의 혼합용매 등이 가능하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벤젠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벤젠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톨루엔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톨루엔의 혼합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와 시클로헥산의 혼합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시클로헥산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Ⅰ)의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19860009962A 1986-11-25 1986-11-25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KR890005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9962A KR890005301B1 (ko) 1986-11-25 1986-11-25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9962A KR890005301B1 (ko) 1986-11-25 1986-11-25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226A KR880006226A (ko) 1988-07-22
KR890005301B1 true KR890005301B1 (ko) 1989-12-20

Family

ID=1925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962A KR890005301B1 (ko) 1986-11-25 1986-11-25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3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226A (ko) 1988-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39868A (ja) ジ低級アルキルフエノ−ル誘導体
JPH0149271B2 (ko)
JPH0285276A (ja) 環式硫酸塩類の製造方法
HU198465B (en) Process for producing 3-/benzyloxymethyl/-aryl-tetralone derivatives
HU208524B (en) Process for producing halogeno-alkyl-phenyl derivatives as intermediates
KR960010630A (ko) 1-치환된-2-시아노이미다졸 화합물의 제조방법
CN110372660B (zh) 异香豆素类衍生物的合成方法
KR890005301B1 (ko) 티올술피네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FR2504927A1 (fr) Derives de la thiazolinoazetidinone, procedes pour leurs preparations et leur utilisation dans la preparation de cephalosporines
JP2003513983A (ja) 高純度セフポドキシムプロキセチルの製造方法
JPH04297461A (ja) 2−チオヒダントイン誘導体
HU199113B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new derivatives of 2,3-diamin-acryl-acid-nitril
JPS6135194B2 (ko)
JPS6028822B2 (ja) 4−メチルイミダゾ−ル−5−カルボン酸イソプロピルエステルの製法
US5206440A (en) Oxidation of fluorine containing sulfides to sulfones
AU652757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7alpha-alkoxycephem derivatives
EP1678129B1 (en) Improved process for preparing benzhydrylthioacetamide
JP3259206B2 (ja) 2−置換ベンゾ[b]チオフェンの製造法
KR910003630B1 (ko) 벤조일 아세틱 에스테르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HU186944B (en) Process for producing 2-oxo-5,6,7,7a-tetrahydro-4h-thieno-bracket-3,2-c-bracket closed-pyridine derivatives
Jonas Configuration of sodium salt and preparation of sulphonates and carboxylates of (E)-and (Z)-3-(hydroxymethylene) dihydro-2 (3H)-furanone
JPS585199B2 (ja) 置換ペニシリン類の製造方法
CN113666945B (zh) 2β-叠氮甲基青霉烷酸二苯甲酯、他唑巴坦中间体及他唑巴坦三者的制备方法
KR100477763B1 (ko) 세파트리진 프로필렌글리콜 중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IE59893B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n-(sulfonylmethyl) formam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