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285Y1 - 양식굴 인양용 콘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양식굴 인양용 콘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285Y1
KR890005285Y1 KR2019870002067U KR870002067U KR890005285Y1 KR 890005285 Y1 KR890005285 Y1 KR 890005285Y1 KR 2019870002067 U KR2019870002067 U KR 2019870002067U KR 870002067 U KR870002067 U KR 870002067U KR 890005285 Y1 KR890005285 Y1 KR 890005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hain gear
conveyor body
drive chain
oy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2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6268U (ko
Inventor
정지석
Original Assignee
정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석 filed Critical 정지석
Priority to KR2019870002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285Y1/ko
Publication of KR8800162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62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2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8Conveyors with a load-conveying surface formed by a single flat bel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식굴 인양용 콘베이어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콘베이어 동체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종 단면도.
제4도는 제3도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지지대 2, 2' : 중간 받침간
3, 3' : 베어링 하우징 4 : 콘베이어 동체
5 : 지지관체 6, 6' : 베어링
7 : 구동축 8, 8' : 구동 체인기어
9, 9' : 감속기와 출력체인기 10 : 체인
11 : 벨트 구동 체인기어 14, 14' : "V"보울트
15 : 콘베이어 벨트 16 : 망상인양편
17 : 지지편 18 : 핀
19, 19' : 각도조절간과 조절공 20 : 고정핀
23 : 클러치장치 24 : 캠면
25 : 클러치 레바
본 고안은 소형 선박의 갑판상에 설치하여 수하식 양식굴을 체취할때 수하줄에 붙어있는 양식굴을 탈락시키는 사례없이 간편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한 양식굴 인양용 콘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콘베이어 동체의 지지관체를 지지대에 부착된 베어링 하우징으로 지지시키고, 콘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축은 베어링을 이용하여 지지관체 내에 회동 자재하게 삽설하여 콘베이어 동체를 중심부에서 지지시킴과 동시 콘베이어 벨트의 구동력 중심부에서 전달받을 수 있도록하여 콘베이어동체의 설치 각도가 변하더라도 콘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벨트구동 체인기어와 구동측에 축착된 구동 체인기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벨트 구동 체인기어와 구동 체인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의 연결설치 상태가 변함이 없어 콘베이어 벨트의 확실한 구동상태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관체로부터 편심된 위치 즉, 지지대의 하측 끝단에 유착시킨 각도 조절간에 각도 조절공을 다수 천공하고, 콘베이어 동체의 일측에 부착된 고정편의 삽치공에 선택한 각도 조절공을 통해 삽치되는 고정핀을 삽착시키는 구성으로 콘베이어 동체의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아니라 콘베이어 벨트상에 수하줄을 보다 확실하게 잡아채어 인양할 수 있는 망상인양편을 부착하여 양식굴 인양 작업시 양식굴을 탈락시킴없이 체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양식굴 인양 장치에 있어서는 실용신안 공보 제710호(공번 85-798호)에 실린 "양식굴 인양용 수동 콘베이어"장치가 소개된 바 있었으나, 이는 장치 자체가 수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소형 선박이나 뗏목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은 있다하겠으나, 콘베이어 동체의 후측벽에 설치된 콘베이어 벨트이 구동 체인 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부가 콘베이어 동체의 후측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양되는 양식굴이 구동 장치부측으로 인양되는 관계상, 콘베이어 동체 후방에서 콘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면서 구동장치부측으로 인양되는 양식굴이 구동 장치부에 접촉되는 사례를 방지하면서 인양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종래 고안은 콘베이어 벨트에 양식굴으리 인양을 용이하게 하는 미끄럼 방지돌기를 형성하였으나, 미끄럼 방지돌기는 콘베이어 벨트의 외면에 일체로 돌설되어 있되, 그 높이가 낮고 매끄러운 상태로 돌출되어 있기때문에 수중에 늘어져 있는 양식굴을 잡아 체어 끌어들일 수 없어 콘베이어 벨트가 수하줄을 어느정도 밀고 들어가 수하줄에 달려있는 양식굴이 콘베이어벨트 선당상에 올려진 상태가 되어야만 양식굴을 인양할 수 있으므로, 이와같이 콘베이어 동체 선단을 수중에 침투시켜 수하줄에 붙어있는 양식굴이 구동하는 콘베이어벨트에 밀릴때 그 충격에 의하여 탈락되는 현상을 배제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같은 결점 사항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콘베이어 벨트의 구동장치인 감속기를 콘베이어 동체 지지대 일측에 설치하여 인양 작업에 불편이 없도록 하였으며 지지대 하측 끝단에 유착한 각도 조절간으로 콘베이어 동체를 용이하게 각도 조절하도록하고 특히 콘베이어 벨트상에 높이가 높고 상단부가 요철상으로 형성된 망상인양편을 콘베이어 벨트의 회동 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부착하였으므로 콘베이어 벨트를 수하줄에 붙어있는 양식굴을 탈락시킴없이 용이하게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한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 지지대(1)(1')의 중간 받침간(2)(2')에 콘베이어 동체(4)를 각도조절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것에 있어서, 베어링 하우징(3)(3')에 유착된 지지관체(5)내에 베어링(6)(6')이 축착된 구동축(7)을 장착하고, 구동축(7)일단의 연출단에 두개의 구동 체인기어(8)(8')을 축착하되 구동 체인기어(8)은 감속기(9)의 출력 체인기어(9')와 체인(10)으로 연결하여 감속된 출력을 전달받아 구동축(7)이 구동케하고, 다른 구동 체인기어(8')는 콘베이어 동체(4) 후방측에 벨트 구동체인기어(11)와 벨트 구동체인(12)으로 연결시킨다.
콘베이어 동체(4)는 그 양측 후레임(4')(4'')의 중간부에 횡착된 횡간(13)(13')을 지지관체(5) 상부에 당접시킨 상태에서"U"보울트(14)(14')로서 체결하는 구성으로 콘베이어 동체(4)를 지지관체(5)상에 지지시켰으며, 콘베이어 벨트(15)상에 일정 간격으로 망상인 양편(16)을 부착하되, 망상인 양편(16)의 상단에 요철부(16')가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콘베이어벨트(15)의 구동 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부착하였다.
그리고, 지지대(1')하측의 지지편(17)에 핀(18)으로 유착시킨 각도 조절간(19)에 다수 천공한 각도 조절공(19')을 통하여 콘베이어 동체(4)의 측벽에 부착된 고정편(20)에 핀 또는 보울트와 같은 고정봉(21)을 끼워주는 구성으로 콘베이어동체(4)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감속기(9)에는 동력을 전달받는 폴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폴리(22)와 동축상에 설치된 클러치장치(23)는 캠면(24)을 활주하는 클러치레바(25)의 작동으로 출력체인기어(9')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으로 양식굴을 채취 인양하는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감속기(9)의폴리(22)에 동력장치(도시없음)의 구동폴리에 궤설된 벨트를 연설하여 감속기(9)를 구동시키고 캠면(24)에 다 당접되어 있는 클러치레바(25)를 조작하여 클러치창치(23)를 작동시키면 출력 체인기어(9')는 구동 체인기어(8)를 구동시키게 되므로서 콘베이어벨트(15)가 구동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콘베이어동체(4)의 선단부가 수중에 어느정도 침수된 상태가 되어야만 양식굴을 인양할 수 있게되므로, 콘베이어 동체(4)를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설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도 조절간(19)의 각도 조절공(19')을 통해 고정편(20)에 삽치되어 있는 고정봉(21)을 탈리한 다음, 콘베이어동체(4)의 선단부가 수면에 알맞게 침수된 상태가 되게 설치 각도를 조절한 다음, 위치가 변한 고정편(20)측으로 각도 조절간(19)을 이동시켜 공정핀(20)의 삽치공 위치와 일치하는 각도 조절공(19')을 선택하여 고정봉(21)을 끼워주면 콘베이어동체(4)자체는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설치되어 지는데, 콘베이어동체(4)는 지지관체(5)를 회동 기점으로 하여 각도가 조절될때, 지지관체(5)내에 장착되는 베어링(6)(6')으로 축착된 구동체(7)의 연출단에 축설한 구동체인기어(8')와 벨트 구동체인기어(11)의 거리는 변하지 않게 되므로서 콘베이어동체(4)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더라도 벨트 구동체인(12)의 연설상태는 변함이 없고, 또한 구동축(7)의 구동 체인기어(8)과 출력 체인기어(9')에 연설된 체인(10)역시 거리 변함이 없어 감속기(9)의 출력을 콘베이어 벨트(15)에 전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 각도가 조절된 콘베이어동체(4)에서 구동하고 있는 콘베이어벨트(15)상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는 망상인양편(16)은 그 높이가 종래것 보다 높고, 또한 물의 저항을 받지 않는 망상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 그 상단부가 수하줄에 붙어있는 양식굴을 잡아채기에 용이하도록 요철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망상인양편(16)의 설치 각도가 콘베이어벨트(15)의 구동 방향측으로 경사지도록 부착하였으므로 양식굴을 콘베이어벨트(15) 상면측을 보다 확실하게 끌어들일 수 있어 종래의 것보다 양식굴의 채취인양 작업이 확실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양 지지대에 콘베이어 동체를 지지관체에 지지시킴에 있어 그 지지관체 양단을 베어링 하우징으로 지지하고 이의 상부에 콘베이어 동체를 지탱시키되, "U"보울트를 이용하여 콘베이어 동체를 지지관체에 체착시켜 콘베이어 동체가 지지관체를 기정으로 하여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그 설치각도의 고정은 일측 지지대의 하측에 형성된 지지편에 지지관체와 편심상태로 유착된 각도 조절간에 천공된 다수의 각도 조절공 중에 설치 각도가 설정된 콘베이어 동체의 측벽에 부착된 고정편과 일치하는 각도 조절공을 선택하여 고정봉으로 삽치 고정시키므로서 콘베이어 동체의 설치 각도 조절이 간편함은 물론 그 설치 각도의 유지 상태가 견고하며, 콘베이어 동체의 회동 기정이 되는 지지 관체내에 구동축을 삽설하였으므로 콘베이어 동체의 설치각도를 필요에 따라 수시로 변경시키더라도 구동축에 축착된 두개의 구동 체인기어와 벨트 구동 체인기어 및 출력체인기어와의 거리가 변함이 없어 콘베이어 벨트는 확실한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되며, 특히 본 고안은 콘베이어 벨트상에 부착되는 인양편을 망상으로 구성하여 인양편이 수중에 침투하여 회동할때 물의 저항력을 받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어 회동하는 인양편 전방에 위치한 양식굴을 밀어내지 않으며, 또한 망상인 양편의 상단부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양식굴에 접촉하였을때 확실하게 잡아챌 수 있게되어 양식굴의 채취인양 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양지지대(1)(1')의 중간 받침대(2)(2')에 콘베이어 동체(4)를 지지시키는 것에 있어서, 베어링 하우징(3)(3')에 지지된 지지관체(5)에 체착시키는 "U"보울트(14)(14')로 콘베이어 동체(4)를 지지시키며, 지지관체(5)내에 베어링(6)(6')이 축착된 구동측(7)을 삽설하고, 구동측(7)의 일단에 두개의 구동 체인기어(8)(8')를 축착하되, 구동 체인기어(8)는 캠면(24)에 당접하여 클러치장치(23)를 작동시키는 클러치레바(25)가 설치된 감속기(9)의 출력 체인기어(9')에 체인으로 연결하고 또 하나의 구동 체인기어(8')는 공지의 벨트 구동 체인기어(11)에 체인으로 연결하여, 일측 지지대(1') 하측의 지지편(17)에 핀(18)으로 유착시킨 각도 조절간(19)에 다수 천공된 각도 조절공(19')을 선택하여 고정편(20)에 고정봉(21)을 삽치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콘베이어 동체(4)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여서된 양식굴 인양용 콘베이어 장치.
  2. 제1항 기재에 있어서, 콘베이어 동체(4)의 콘베이어 벨트(15)상에 회동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단에 요철부(16')가 형성된 망상인양편(16)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여서된 양식굴 인양용 콘베이어장치.
KR2019870002067U 1987-02-23 1987-02-23 양식굴 인양용 콘베이어 장치 KR890005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2067U KR890005285Y1 (ko) 1987-02-23 1987-02-23 양식굴 인양용 콘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2067U KR890005285Y1 (ko) 1987-02-23 1987-02-23 양식굴 인양용 콘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268U KR880016268U (ko) 1988-10-07
KR890005285Y1 true KR890005285Y1 (ko) 1989-08-12

Family

ID=1925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2067U KR890005285Y1 (ko) 1987-02-23 1987-02-23 양식굴 인양용 콘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2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847A (ko) * 2016-11-09 2018-05-17 조경희 개체굴 서실 마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847A (ko) * 2016-11-09 2018-05-17 조경희 개체굴 서실 마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268U (ko) 198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60600B2 (ja) 土塊収集装置
CN111919705B (zh) 一种树桩去除装置
JPS59166024A (ja) 枝打機
KR890005285Y1 (ko) 양식굴 인양용 콘베이어 장치
US4191263A (en) Peat sampling probe
CN210735993U (zh) 一种管桩投放用起吊装置
JPH0646743A (ja) フィレのピンボーン除去装置
CN110528483A (zh) 一种斜面式漂浮垃圾分离装置
CN212150918U (zh) 一种海苔抖动传输装置
CN220018974U (zh) 一种土质采样装置
KR900004806B1 (ko) 패류 채취기
CN108222829B (zh) 一种单人操作移动式挖坑机
CN111067114A (zh) 一种自动苹果去核装置
US4865158A (en) Vertical bale elevator
CN116750625B (zh) 一种机电一体化吊装设备
CN107173344B (zh) 一种弹射式撒网捕鱼装置
CN115500301B (zh) 养殖筏架用绳扣、养殖筏架用绳扣的快速脱扣装置与方法
KR100379178B1 (ko) 우렁쉥이 자동분리기
US7044233B2 (en) Combined digger and mushroom compost compacting assembly
CN110578323A (zh) 一种拦污栅智能清污机及使用方法及操作方法
CN220905286U (zh) 一种树枝打捞设备
CN213523027U (zh) 林业造林打孔装置
JP3412781B2 (ja) 自走式根菜収穫機
CN213127928U (zh) 一种可摆动板栗开口装置
KR970004009Y1 (ko) 로우프 인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