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211B1 - 도어정 조립체 - Google Patents

도어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211B1
KR890005211B1 KR1019850700067A KR850700067A KR890005211B1 KR 890005211 B1 KR890005211 B1 KR 890005211B1 KR 1019850700067 A KR1019850700067 A KR 1019850700067A KR 850700067 A KR850700067 A KR 850700067A KR 890005211 B1 KR890005211 B1 KR 890005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door
assembly
lever
clas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70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700148A (ko
Inventor
레로이 하트
Original Assignee
엠하트 인더스트리이즈, 인크
존 디. 델 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하트 인더스트리이즈, 인크, 존 디. 델 폰티 filed Critical 엠하트 인더스트리이즈, 인크
Publication of KR850700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700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05B55/12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the bolt being secured by the operation of a hidden parallel member ; Automatic latch bolt deadlocking mechanisms, e.g. using a trigger or a feele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도어정 조립체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도어정이 금속문 내에 장착되고 걸쇠 볼트가 그 고정 볼트 또는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어정의 수평축을 따른 수평 단면도.
제2도는 걸쇠 볼트가 고정 볼트 또는 완전히 연장된 위치일 때의 걸쇠 볼트 조립체의 측면도.
제3도는 걸쇠 볼트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
제4도는 걸쇠 볼트가 개방 또는 완전히 후퇴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
제5도는 문이 닫혀진 후에 볼트가 그 연장된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제2도와 유사한 도면.
제6도는 제2도의 선 6-6에 따른 걸쇠 조립체의 단면도.
제7도는 도어정의 내부 작동 부재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돌편 조립체의 사시도.
제8도는 회전 버튼의 체결 위치에 있을 때 피니온 연장부에 대한 회전 버튼 작동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도의 선8-8에 따른 단면도.
제9도는 회전 버튼이 해정 위치에 있을 때 피니온 연장부에 대한 회전 버튼 작동기의 비교 위치를 나타내는 제8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10도는 제1도의 선10-10에 따른 걸쇠 조립체의 단면도.
제11도는 다른 기능을 할 수 있는 변형된 형태의 걸쇠 조립체를 걸쇠 볼트가 연장된 고정 볼트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는 부분 절췌 측면도.
제12도는 걸쇠 볼트가 중립체결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는 제11도와 유사한 측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관련된 출원의 참조
본 출원은 1983.9.30. 자로 출원된 도어정 조립체라는 명칭의 본인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537,896호의 연속출원이다.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도어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걸쇠 볼트가 고정 볼트 기능대로 연장될수 있는 도어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어정 조립체라는 명칭으로 1983.9.30. 자 출원되어 현재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537,896호에는 걸쇠 볼트가 체결 위치로 부터 완전히 연장된 고정 볼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도어정이 기재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본 출원에서도 참조로 사용한다. 상기 출원에 기재된 기능에 따라, 걸쇠 볼트는 외부 작동 부재에 있는 열쇠로 작동되는 실린더 또는 내부 작동 부재에 있는 회전 버튼에 의해 그 고정 볼트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내부 작동 부재는 걸쇠 볼트가 체결 위치 또는 고정 볼트 위치에 있음을 불구하고 언제나 걸쇠 볼트를 후퇴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출원에 기재된 기본적인 장치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걸쇠 볼트 및 고정 볼트가 기능을 함께 할 수 있는 개선된 도어정 조립체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문을 닫을 때 걸쇠 볼트가 고정 볼트 위치로 자동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도어정 조립체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걸쇠 볼트가 문을 닫을 때는 고정 볼트 위치로 자동적으로 연장되고 문을 열때는 체결 위치에 유지되는 도어정 조립체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작동 부재가 "체결" 위치에 있을때, 걸쇠 볼트가 문을 닫을때 그 고정 볼트 위치로 자동적으로 연장되고, 작동 부재가 "해정"위치에 있을때, 문이 폐쇄된 후에 걸쇠 볼트가 체결위치에 유지되는 도어정 조립체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장된 고정 볼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걸쇠 볼트를 갖는 걸쇠 조립체를 사용하고, 상기 걸쇠 볼트를 그 중립체결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자물쇠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며의 상술한다.
본 발명의 도어정의 기본 구조는 전기한 미합중국 출원제537,896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세한 설명을 위해 상기 출원을 참조로 한다. 일반적으로 도면, 특히 제1도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도어정 장치(1)은 금속문(2)내에 장착되고 외부의 수동 작동 부재(4)와 내부의 수동 작동 부재(6)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외부레버(8) 및 내부레버(10)이 된다. 외부 및 내부레버(8) 및 (10)은 도어정 장치의 걸쇠 볼트 조립체(14)의 걸쇠 볼트(12)를, 통상적인 상태에서 문설주(20)에 장설되는 수납 홈(16) 및 수납판(18)로 부터 후퇴시키는데 사용된다. 도어정의 외부 작동 조립체(27)에는 외부레버(8) 내에 장착된 열쇠 작동식 자물쇠 실린더(22)를 마련하고, 도어정의 내부 작동 조립체(38)에는 내부레버(10)내에 장착된 회전 버튼(26)을 마련하다.
외부 작동 조립체(27)은 외부 로즈(rose)(28)에 회전자재 하게 장착되는 외부레버(8)을 포함하는데, 이는 외부 로즈(28)내로 연장되고 유지링(31)에 의해 로즈에 대한 회전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대체로 정사각형의 돌출부(30)을 포함한다. 외부 로즈(28)내에는 상부 및 하부 귀부형 돌출부(도시안됨)를 갖는 외부 작동 카세트(cassette)(32)가 위치하는데, 상기 귀부들은 그로부터 연장되어 둔(2) 내에 위치하는 걸쇠 볼트 조립체 고정기(34)의 외측면에 있는 적절한 홈(도시안됨)내에 삽입된다. 걸쇠 볼트 조립체 고정기(34)는 걸쇠 볼트(12)를 포함하는 걸쇠 볼트 조립체(4)를 장착 시키는 장치를 제공하고 걸쇠 볼트 조립체(14)가 삽입되는 적절한 슬로트(36)을 포함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내부 작동 조립체(38)은 내부로즈(40)내에 회동식으로 장착된 내부레버(10)을 포함하는데, 이 레버는 그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에 부착된 유지링(44)를 갖고 있어 내부레버(10)이 외부작동 조립체(27)에서와 마찬가지로 내부로즈(40)에 대해 회전 할 수 있도록 장착되게 하는 대체로 정사각형의 돌출부(42)를 포함한다. 내부작동 카세트(46)은 내부로즈(40)내에 장착되어 상부 및 하부의 귀부형 돌출부(도시안됨)를 포함하는데, 이 귀부들은 걸쇠 볼트 조립체 고정기(34)위의 홈(도시안됨)들 내로 연장된다. 스핀들(spindle)(48)은 걸쇠 볼트 조립체(14)를 통과하여 내부 및 외부 작동 카세트(27) 및 (28) 사이에서 걸쇠 볼트(12)의 이동축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어정은 전기한 미합중국 특허 제 537,896호에 기재된 바와같은 방법으로 문에 조립된다.
외부 작동 카세트(32)는 중심 개구부(52)를 갖는 하우징(50)을 포함하는데, 이 개구부를 통해 외부레버(8)의 돌출부(30)이 연장된다. 작동 부재(54)는 그 보스(boss)(56)이 하우징(50)내의 개구부(52)내에 장착되어 외부 작동 카세트(32)내에 장착 되며, 대체로 정사각형의 개구부(58)을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외부레버(8)의 대체로 정사각형인 돌출부(30)이 연장된다. 작동 부재(54)는 기부 부분(50) 및 기부부분(60)으로 부터 연장되는 감소된 연신 꼬리부(62)를 포함한다. 꼬리 부분(62)의 전방 단부에는 꼬리 부분(62)의 전방 단부에는 꼬리부분(62) 내부면을 지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승된 V-형 캠 면(64)를 마련한다.
스프링판(66)은 작동 부재(54)와 겹쳐지는 상태로 외부 작동 카세트(32)의 하우징(50)내에 장착된다. 그 전방 단부에서 스프링판(66)은 두 개의 격설된 돌출부(68)(그중 하나마나 도시되었음)을 포함하는데, 각각은 작동 부재(54)위의 V-형 캠면(64)에 계합되는 캠추종면을 갖는다. 스프링판(66)은 레버 스프링(도시안됨)에 의해 작동 부재(54)위의 캠면(64)에 계합되도록 검쇠 볼트(4)의 연장 방향으로 전방으로 압압된다.
대체로 평면인 랙판(rack plate)(70)은 스프링판(66)에 겹쳐지는 상태로 하우징(84)내에 장착된다. 랙판(70)위에 기어치(72)를 마련하여 걸쇠 볼트 조립체(14)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랙을 그 위에 형성 한다. 랙판(70)의 전방단부에는 노치(72)를 마련하는데, 랙판(70)이 그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노치를 통해 러그부분(74) 가 작동 부재(54)의 전방 단부로 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작동 부재(54)의 회전을 방지한다. 랙판(70)은 스프링 부재(76)에 의해 그 전방 위치로 압압된다. 랙판(70) 및 스프링판(66)은 하우징(50)내에 장착되어 걸쇠 볼트(12)의 이동방향으로 선형 이동을 하며, 스프링(66)의 후방 이동에 의해 랙판(70)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그 구조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전술하나 미합중국 특허 출원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피니온 부재(78)은 걸쇠 볼트 조립체(14)의 축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부 작동 카세트(32)내에 장착되어, 랙판(70)위의 기어치(72)와 맞물리는 1조의 기어치(80)을 포함한다. 피니온 부재(78)은 또한 스프링판(66), 작동 부재(54), 및 하우징(50)을 통과하여 외부레버(8)내의 개구부(84)내로 연장되는 관형 연장부(82)를 포함한다.
피니온 부재(78)의 헤드 부분(86)은 그를 통해 연장되는 스핀들(48)의 단면과 합치되는 장방형 슬로트(88)을 갖는다. 관형 연장부(82)는 그 내부에 대향된 내부 리브(90)(그중 하나만 도시됨)들을 갖는데, 이들은 외부레버(8) 내의 자물쇠 실린더(22)에 연결된 구동 부재(92)에 연결되어 열쇠를 회전 시키는 정도에 따라 피니온 부재(78)을 그 연장된 고정 볼트 위치에서 부터 후퇴된 위치 또는 걸쇠 볼트 위치로 회전시킨다.
전술한 구조 및 전기한 미합중국 특허 출원에 기재된 구조에 따라, 작동 부재(54)는 스핀들(48)의 축 주위로 회동 운동을 하고 외부레버(8)에 가동적으로 부착된다. 스프링판(66) 및 랙판(70)은 하우징(70)내에 장착되어 걸쇠 볼트 조립체(14)의 걸쇠 볼트(12)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형 이동한다.
카버 부재(94)는 외부 작동 카세트(32)에 마련되어 외부 카세트(32)에서 가동 부분들을 유니트로 수용한다.
내부 작동 조립체(38)은 내부 로즈(40) 및 외부 작동 조립체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유지링(96)에 의해 그에 부착된 내부레버(10)을 포함한다. 내부 작동 카세트(46)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부분을 포함하며, 전술한 외부 작동 카세트(32)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다.
내부 작동 카세트(46)은 내부 하우징(98)을 포함하는데, 그 내부에는 내부 작동 부재(100)이 회동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내부 작동 부재(100)은 대체로 정 사각형인 중심 개구부(102)를 포함하는데, 이 내부로 내부레버(10)의 정사각형 돌출부(42) 및 상승된V-형 캠 부분(104)가 돌출된다. 작동 부재(100) 위의 캠부분(104)와 계합되는 캠면(108)(그중 하나만 도시됨)을 갖는 스프링판(106)은 내부 하우징(98)내에 장착된다. 외부작동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프링판(106)은 적절한 스프링 부재(도시안됨)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 압압된다.
기어치(112)를 갖는 랙판(110)은 스프링판(106)과 겹쳐지는 상태로 내부 하우징(98)내에 장착된다. 랙판(110)은 스프링 부재(114)에 의해 전방으로 압압되나, 이스프링은 생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외부 작동 조립체(27)의 랙판(70)과는 달리, 내부 작동 조립체(38)의 랙판(110)의 전방단부는 원근식으로 되어 있어 노치를 포함하지 않아,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판이 전방 고정 볼트 위치에 있게 되면 그 전방 단부는 작동 부재(100)위의 러그 부분(116)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동 부재(100)은 랙판(110)이 그 전방 고정 볼트 위치에 있을 때 자유회전을 할 수 있게된다.
내부 피니온 부재(118)은 랙판(110)위의 치(12)의 맞물리는 기어치(120)을 포함한다. 피니온 부재(118)은 그 내부에 대향도니 리브(124),(126)을 갖는 관형 연장부(122)을 포함하는데, 리브들은 내부 작동 카세트(46)을 통해 내부레버(10)내의 개구부(128) 내로 연장된다. 피니온 부재(118)의 헤드 부분(130)은 또한 슬로트(132)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스핀들(48)의 한쪽 단부가 연장된다. 카버(133)은 하우징(98)에 부착되어 작동 장치를 수용한다.
제1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보면, 회전 버튼(26)은 그로 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로드(136)을 갖는 노브(knob)(134)를 포함한다. 로드(136)의 단부는 내부 피니온 부재(118)의 관형 연장부(122)내의 대향된 리브(124) 및 (126)과 연결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두개의 대향된 귀부(138) 및 (140)을 갖는다. 로드(136)은 그 내부에 캠 슬로트(144)를 갖는 켐 부재(142)를 통과하여 연장되며 그에 대해 비교회전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로울핀 형태의 캠 추종기(146)은 로드(136)으로 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캠 슬로트(144)내로 진입된다. 스프링(148)을 캠 부재(142) 및 노브(134) 사이에 마련하여 노브(134)를 외측으로 압압하도록 한다.
캠 부재(142)는 그 주연부에서 범프(bump)(150)을 포함하는데, 이는 내부레버(10) 개구부(128)내의 만입부(도시안됨)와 결합되어 캠부재(142)가 레버(10)에 대해 회전 되는 것을 방지한다. 캠부재(142)는 또한 그위에 견부(154)를 포함하여 캠 부재(142)를 내부레버(10)내에 유지하는 내측으로 돌출된 설부(152)도 포함한다. 로드(136)은 레버(10)내에 장착될때는 내부 작동 조립체의 피니온 부재(118)내로 연장된다.
캠 슬로트(144)는 캠 부재(142)는 본체주연부 주위로 약간 연장되며 대체로 직선인 부분(156)과 캠 추종기(146)용 정지견부를 형성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체결홈(158)을 포함한다. 켐 추종기(146)이 캠슬로트(144)내에 위치하는 체결 위치로 부터 노브(134)가 해정 위치로 회전 될때에, 캠 추종기(146)은 축 방향으로 연장된 홈(158)내에 도달되게 한다. 이때에, 노브(134) 및 로드(136)은 스프링(148)의 힘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되어, 노브(134)를 수동으로 압압하여 회전 시킬때까지 노브(134)를 고정하는 캠 부재(142) 및 로드(136)사이의 비교회전을 정지견부가 방지하게 된다.
제2도 내지 제5도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보면, 걸쇠 볼트 조립체(14)의 걸쇠 볼트(12)는 제2도에 도시한 연장된 고정 볼트 위치와, 제3도에 도시한 중립체결 위치 및 제4도에 도시한 완전히 후퇴된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걸쇠 볼트 조립체(14)는 그로부터 후방으로 두개의 격설된 걸쇠판(162) 및 (164)(제1도)를 갖는 걸쇠 케이스(160)을 포함한다. 걸쇠판(162) 및 (164)는 부싱(bushing)(166)에 의해 같이 장착 되도록 고정된다. 걸쇠 볼트 조립체(14)는 걸쇠 볼트 조립체 고정기(38)내의 슬로트(34)내에 장착되며, 걸쇠 볼트 조립체(14)를 걸쇠 볼트 조립체 고정기(38)에 부착시키는 나사는 부싱(166)의 후방 부싱을 통해 연장된다.
그 위에 두개의 레버판(170)이 정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허브 부재(168)은 두개의 걸쇠판(162) 및 (164) 사이에서 그 내부의 적절한 개구부내에 장착된다. 허브 부재(168)은 대체로 장방형인 구멍(172)를 갖는데, 그를 통해 스핀들(48)을 수용한다. 볼트(12)는 걸쇠 케이스(160)내에 장착되고 그로부터 레버판(170)을 향해 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174)(제10도)를 갖는다. 아암(174)는 그 전방단부에서 볼트(12)에 부착되고 그 후방단부에서 각 레버판(170)내의 연신된 슬로트(178)을 통해 연장되는 회동판(176)을 갖는다. 그 내부에 아암(174)가 위치하는 대향된 측벽을 갖는 안내부(180)은 또한 볼트(12)의 후방단에 부착된다.
전기한 미합중국 특허출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프링으로 압압되는 장부(dowel)(182)는 볼트(12) 내에 장착되고 아암(174)의 잔방 부분 위의 하나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단부면을 갖는다. 이는 아암(174)를 한쪽 방향으로 압압하여 회동핀(176)이 걸쇠판(162) 및 (164)의 상연부(184)에 결합되게 한다.
걸쇠판(162) 및 (164)의 상연부(184)는 후방으로 향한 정지견부(188)을 형성하는 후방 절췌부(186)을 포함하는데, 정지견부(188)은 핀 (176)과 결합되어 걸쇠 볼트(12)를 그 체결 위치에 정지시킨다. 절췌부(186)의 전방에서, 상연부는 볼트(12)를 연장된 고정 볼트 위치에 착탈자재하에 유지하는 노치(190)을 형성하는 다른 절췌부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다. 스프링(191)은 측면판(162) 및 (164)와 걸쇠 볼트(12)사이에서 연장되어 볼트(12)를 그 전방의 고정 볼트 위치로 압압시킨다.
걸쇠 볼트 플런저(plunger)(192)는 볼트의 슬로트 내에 장착되며, 걸쇠 케이스(160)으로 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납홈 접촉부(196)과 케이스(16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켐 부분(198)을 갖는다. 걸쇠 분리 플런저(192)는 베벨(bevel)(200)에 대향하게 볼트(12)의 측면 위에 위치한다. 캠부분(198)은 분기되어 있으며 후방으로 면한 상 하부의 캠면(202)를 포함한다. 걸쇠 분리 플런저(192)의 중간 부분(204)는 채널(channel)형태로써, 그 내부에는 견부(208)과 걸쇠 케이스(160)위의 내측으로 만곡된 돌출부(210)사이에 스프링(206)이 장착되어 걸쇠 분리 플런저(192)를 그 전방위치로 압압하도록 한다.
걸쇠 분리 플런저(192)가 그 전방 위치로 압압될때, 캠 부분(198)의 전면,(212)는 걸쇠 케이스(160)의 후방벽(214)(제10도)에 접하게 된다. 상기 위치에서, 수납홈 접촉부(196)은 볼트(122)의 단부에 인접되게 외측으로 연장된다.
볼트(12)위의 후방으로 향한 1조의 견부(216)은 걸쇠 분리 플런저위의 전방으로 향한 견부(218)과 결합되어 볼트(12)가 그 체결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후퇴될대 볼트(12)의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걸쇠 분리 플런저(192)를 제4도에 도시한 그 개방 위치로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걸쇠 분리 플런저(192)가 그 개방 위치에 있을대, 후방으로 향한 캠면(202)는 걸쇠판(162)위의 정지 견부(108)의 후방이 되게 된다.
내부 및 외부 카세트의 작동 부품들의 자공 상태는 상기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537,896호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부품들의 작동은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부분만은 설명한다. 문을 닫고 회전 버튼(26)을 체결 위치에 놓으면, 즉 캠종추기(146)이 캠슬로트(114)의 직선부(156)내에 위치하면, 걸쇠 볼트(1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된 고정 볼트 위치에 있게 되며 걸쇠 분리 플런저(192)는 수납판(18)에 의해 그 후방의 개방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이 위치에서, 외부레버(10)은 랙판(70)이 그 전방위치에 있어 작동 부재(54)이 러그 부분(74)가 그 노치 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 구조는 외부레버(8)이 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는 레버에 부착된 작동 부재(54)가 회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내부레버(10)의 회전에 따라, 작동 부재(100)은 스핀들(48)의 축 주위로 회전하게 되며, 캠 부분(104)는 스프링 판(106)의 단부위의 캠면(108)과 결합되어 스프링판(108)을 후방으로 선형 이동시킨다. 스프링 판(108)이 랙판(110)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랙판(110)도 또한 후방으로 선형 이동하여 피니온 부재(118)을 회전 시켜, 스핀들(48) 및 걸쇠 볼트 조립체(14)의 허브 부재(168)을 회전시켜 걸쇠 볼트(12)를 제4도에 도시한 위치로 완전히 후퇴시키게 된다. 문을 열고 사용자가 내부레버(10)을 놓게 되면, 걸쇠 볼트(12) 및 걸쇠 분리 플런저(192)는 그 각각의 스프링들의 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걸쇠 볼트(12)는 걸쇠판(162) 및 (164)의 상연부내의 정기견부(188)과 결합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하여 걸쇠 볼트(12)를 그 체결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문을 닫을때 수납판(18) 지나게 되면, 걸쇠 볼트(12) 및 걸쇠 분리 플런저(192)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판(18)에 의해 그 개방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위치에서, 회동판(176)은 걸쇠 분리 플런저(192)의 캠면(202)의 후방에 있게 된다. 문을 완전히 닫게되면, 걸쇠 볼트(12)는 걸쇠 스프링(191)의 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수납홈(16)내로 진입되는 한편, 걸쇠 분리 플런저(192)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판(18)에 의해 그 후퇴된 개방 위치에 고정된다. 볼트(12)가 그 고정 볼트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걸쇠 분리 플런저(192)위의 캠면(202)는 회동핀(174)를 걸쇠판(162) 및 (164)의 상연부(184)위의 정지견부(188) 위를 지나 상향 이동되게 하여, 회동판(176)이 전방핀 수용 노치(190)에 결합될때까지 회동핀(176)을 전방으로 계속 이동시키는데, 상기 위치에서 걸쇠 볼트(12)는 완전히 연장된 고정 볼트위치에 있게 된다. 회전 버튼(26)을 그 체결 위치로 이동 시키면, 즉 캠 추종기(146)이 캠 슬로트(144)내의 체결홈(156)내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버튼(26)의 로드(136)위의 귀부(138) 및 (140)과 피니온 부재(118)의 연장부내의 리브(124) 및 (126)이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피니온 부재(118)은 회전하게 되어, 스핀들(148)을 회전시켜 걸쇠 조립체(14)의 허브(168)을 체결 위치로 회전 시키게 되어, 걸쇠 볼트(12)를 그 체결 위치로 후퇴시키게 된다. 상기 위치에서, 피니온 부재(118)과 회전 버튼(26)의 로드(136)위의 귀부(138) 및 (140)은 제9도에 도시한 위치에 위치하여, 피니온 부재(118)이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회전 버튼이 로드(136)위의 귀부(138)과(140)에 결합된 리브(124) 및 (126)이 방지하게 된다. 캠 추종기(146)이 노브(134)를 누르고 회전 시킴에 따라 캠 솔로트(144)내의 체결홈(158)로 부터 수동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걸쇠 볼트(12)는 걸쇠 분리 플런저(192)가 문을 닫음으로 해서 후방으로 이동한다고 하여도 그 중립위치에 도정되게 된다. 따라서, 걸쇠 볼트(12)는 회전 버튼(26)이 그 해정 위치에 있을때만 그 개방 위치로 부터 그 체결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걸쇠 볼트(12)가 그 중립 또는 체결 위치에 있을때, 왜부랙판(70)은 그 중립 위치에 고정되는데, 여기에서 노치(72)는 작동 부재(54)위의 러그 부분(74)와의 결합으로 부터 해리된다. 따라서, 작동부재(54)는 자유회전하게 되어, 외부레버(10)을 회전되게하여 체결 볼트(12)를 그 체결위치에서 부터 문을 열 수 있는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자물쇠 실린더(22)는 외부 피니온 부재(92)의 리부(90)과 결합 되는 그 구동 부재(92)의 특성에 의해, 걸쇠 볼트(12)가 완전히 연장된 고정 볼트 위치에 있는 상태로 문이체결 되었을때 문을 여는데 사용 할 수 있다. 그러나, 실린더(22) 및 열쇠는 체결상태로 부터 해정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부터 체결 상태로 기능을 바꾸는 데는 사용할 수가 없게 된다.
제11도 및 12도에는 구동 부재가 실린더 부재로 부터 리브에 결합되는 각각의 내부 및 외부 피니온으로 연장되는 열쇠 작동식 실린더 부재를 양외부 및 내부 작동 부재(4) 및 (6)이 이용할 경우에 사용되는 다른 형태의 걸쇠 볼트 조립체(220)을 도시한 것이다. 이 걸쇠 볼트 조립체는 제2도 내지 5도 및 10도와 관련하여 기술한 걸쇠 볼트 조립체와 유사하며,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두개의 격설된 걸쇠판(162)를 갖는 걸쇠 케이스(160)을 포함한다(하나만 도시됨). 걸쇠판(162)는 부싱(166)에 의해 같이 장착되도록 고정된다. 그 위에 두개의 레버판(170)(그중 하나만 도시됨) 이 장착되어 그와 함께 회전되는 허브 부재(168)은 두개의 걸쇠판 사이에서 그 내부의 적절한 개구부 사이에 장착된다. 허브 부재(168)은 그를 통과하는 스핀들(48)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된 장방형 구명(172)를 갖는다. 볼트(12)는 걸쇠 케이스(160)내에 장착되며, 그로부터 레버판(170)을 향해 후방으로 연장된 아암(174)를 갖는다. 아암(174)는 그 전방 단부에서 회동식으로 부착되고 볼트(12)는 그 후방단부에서 각 레버판(170)의 연신된 슬로트(178)을 통해 연장되는 회동핀(176)을 갖는다. 전기한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같은 스프링 압압되는 장부는 볼트(12)내에 장착되고, 볼트 스프링(191)은 측면판들과 걸쇠 볼트(12)사이에서 연장되어 볼트(12)를 그 전방의 고정 볼트 위치로 압압한다. 이 경우에, 허브(168)은 대체로 V-형인 태브 부분(222)를 포함한다. 스프링 부재(224)는 단부 부분은 후방 부싱(166)을 부분적으로 감싸고 중간 부분은 나사(167)을 감싸는데, 상기 나사(167)은 걸쇠 볼트 조립체(14)를 걸쇠 볼트 조립체 고정기(38)에 부착시킨다. 스프링은 또한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된 중간 부분(226)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된 단부부분(228)을 포함한다.
걸쇠 볼트가 완전히 현장된 고정 볼트 위치에 있을때, 허브 위의 꼬리부는 스프링(224)의 중간 부분(226)에 연결되어 걸쇠 볼트를 그 전방 위치로 압압하는데, 여기에서 회동핀은 걸쇠판(162)의 상연부위의 절췌부(232)의 전방 단부에 있는 노치(230)내에 위치한다. 걸쇠 볼트(12)가 그 중간 체결 위치로 이동할때, 꼬리편은 허브(222)가 개방 위치내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허브를 압압하는 스프링의 수직 부분(226)과 연결되어, 걸쇠 볼트를 그 중립 체결 위치에 고정 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및 외부 부재 내의 열쇠 작동식 실린더는 고정 볼트를 그 연장된 위치에서 중간 위치로 후퇴시키는데 사용되고, 또한 허브 부재를 스프링의 압압력을 극복하고 이동시켜 고정 볼트를 그 중간 위치에서 부터 그 체결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이제까지 특정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였으나, 당해 기술에 숙달 된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야는 다음에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확인한다.

Claims (12)

  1. 도어정 있어서, 부분적으로 연장된 체결 위치와, 완전히 연장된 고정 볼트 위치 및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볼트를 포함하는 걸쇠 볼트 조립체와, 상기 볼트를 그 고정 볼트 위치로 압압하는 스프링 수단과, 상기 걸쇠 조립체를 통과하여 상기 볼트의 이동 방향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을 상기 볼트에 연결시켜 상기 볼트를 상기 스핀들의 회전에 따라 그 위치 사이에서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문이 열렸을때 상기 걸쇠 볼트를 그 체결 위치에 고정하는 수단과, 상기 문의 폐쇄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걸쇠 볼트를 그 고정 벌트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 볼트 조립체가 그로 부터 연장된 격설된 측면판을 갖는 케이싱에 부착되는 스핀들과, 상기 측면판 내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그를 통해 상기 스핀들이 연장되는 개구부를 갖는 허브와, 상기 허브로 부터 연장되는 레버 수단과, 그 한쪽 단부는 상기 볼트에 회동 자재하게 부착되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 레버 수단에 회동 자재하게 부착된 아암과, 문이 개방 되었을때 상기 볼트의 고정 볼트 위치내로 상기 허브가 회전 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과, 도어가 폐쇄되었을때 상기 체결 수단을 분리 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정.
  3. 제2항에 있어서, 해정 위치로 이동할 수있어 문이 폐쇄되었을때 상기 고정 볼트 위치로 상기 볼트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해정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 볼트 조립체가 상기 아암, 상기 레버 수단과 상기 회동핀과 결합되어 상기 볼트를 상기 체결 위치에 고정 시키는 견부를 그위에 갖는 상기 측면판들을 연결 시키는 회동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 볼트 조립체가 문의 폐쇄에 따라 상기 견부로 부터 상기 회동핀을 분리 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이 상기 케이스로 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 부분과 상기 측면판들을 따라 연장되는 후방 부분을 갖고, 상기 회동핀이 상기 견부와 결합될때 상기 회동핀과 결합되어 상기 회동핀을 상기 견부위로 들어 올려 상기 플런저가 후방으로 이동할때 상기 볼트를 그 고정 볼트 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면을 그 위에 갖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전면 방향으로 압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정.
  7. 제4항에 있어서, 해정 위치로 이동할 수있어 상기 문이 폐쇄 돼었을때 상기 볼트가 그 고정 볼트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해정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톡징으로 하는 도어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수단이 회전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정.
  9. 제4항에 있어서, 내부 및 레버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외부레버는 상기 스핀들에 가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볼트를 그 체결 위치에서 그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내부레버는 상기 시핀들에 가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볼트를 그 고정 볼트 위치에서 그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레버가 그 내부에 있는 열쇠 작동식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와 상기 스핀들을 상호 연결 시켜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볼트를 그 고정 볼트 위치에서 그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정.
  11. 도어정에 사용되는 자물쇠 조립체에 있어서,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격설괸 측면판들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측면판들 내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그로 부터 연장되는 레버를 갖는 허브와, 개방된 완전히 후퇴된 위치와, 부분적으로 연장된 체결 위치사이에서 이동 자재한 볼트와, 한쪽 단부는 상기 볼트에 회동자재하게 장착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레버 수단에 회동 자재하게 장착되는 아암과, 상기 측면판들 위에 장착되어 볼트가 상기 고정 볼트 위치에 있을때 상기 걸쇠 볼트를 전방으로 압압하고 볼트가 상기 체결 위치에 있을때 그 개방위치로의 이동에 대해 볼트를 압압하는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가 그 위에 꼬리편을 갖고 있고, 상기 볼트가 상기 고정 볼트 위치 및 체결 위치에 있을때 상기 스프링이 상기 꼬리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조립체.
KR1019850700067A 1984-01-05 1984-09-04 도어정 조립체 KR890005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6854284A 1984-01-05 1984-01-05
US568,542 1984-01-05
US568542 1984-01-05
PCT/US1984/001402 WO1985003101A1 (en) 1984-01-05 1984-09-04 Lockset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700148A KR850700148A (ko) 1985-10-25
KR890005211B1 true KR890005211B1 (ko) 1989-12-18

Family

ID=2427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700067A KR890005211B1 (ko) 1984-01-05 1984-09-04 도어정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JP (1) JPS61500450A (ko)
KR (1) KR890005211B1 (ko)
AU (1) AU567256B2 (ko)
BR (1) BR8407214A (ko)
CA (1) CA1254924A (ko)
ES (1) ES536354A0 (ko)
IL (1) IL72948A (ko)
PH (1) PH23967A (ko)
WO (1) WO19850031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04092C (en) * 1987-03-16 2004-08-19 Assa Abloy Australia Pty Limited A deadlocking lock
CA2026668C (en) * 1989-02-02 1994-03-08 Albert Jubb Recirculatory system
AU2015205976B2 (en) * 2014-09-23 2021-03-04 N2Lok Hardware Trading Pty Ltd Improved multiple function door lock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44A (en) * 1867-12-10 andrews
US1137800A (en) * 1913-01-29 1915-05-04 Sargent & Co Night-latch.
US2661972A (en) * 1947-03-21 1953-12-08 Schlage Lock Co Reversible dead latch
DE1814222U (de) * 1960-04-25 1960-06-30 Hesser Ag Maschf Klemmvorrichtung zum festhalten von thermoplastischen folien waehrend deren verformung.
DE1429041A1 (de) * 1960-10-21 1968-10-10 Dunlop Rubber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geformter Gegenstaende
US3317960A (en) * 1962-03-12 1967-05-09 American Thermoform Corp Thermoplastic forming machines
US3458898A (en) * 1965-01-28 1969-08-05 Hermann Casparis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orthopedic footrest or support
US3390558A (en) * 1965-08-09 1968-07-02 Schlage Lock Co High security lock
US3659991A (en) * 1970-04-03 1972-05-02 Plasti Vac Inc Clamping frame for plastic vacuum forming machine
US3744262A (en) * 1971-06-30 1973-07-10 R Bose Method for cooling thermoformed plastic parts
US3751085A (en) * 1972-02-07 1973-08-07 Norris Industries Incremental dead bolt latch
US3841819A (en) * 1972-10-03 1974-10-15 Plasti Vac Inc Vacuum forming machine modular clamping frames
US4031725A (en) * 1975-08-11 1977-06-28 Reid Floyd F Door lock
US4157884A (en) * 1977-08-01 1979-06-12 Andrae Ralph N Vacuum molder
US4248452A (en) * 1978-07-12 1981-02-03 M.A.G. Engineering Co. Lock with improved provisions for withstanding forces applied to bolt
DE7906115U1 (de) * 1979-03-06 1980-08-14 Adolf Illig Maschinenbau Gmbh & Co, 7100 Heilbronn Vakuumformmaschine
US4255953A (en) * 1979-05-02 1981-03-17 Norris Industries, Inc. Combination spring/dead bolt lock
US4333324A (en) * 1979-05-02 1982-06-08 Norris Industries, Inc. Spring/dead bolt lock assembly
US4422677A (en) * 1981-02-05 1983-12-27 Emhart Industries, Inc. Latch bolt having crank camming for positive bolt positioning
US4470782A (en) * 1983-04-28 1984-09-11 Zimmerman Jr Robert L Apparatus for producing ortho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8603012A1 (es) 1985-12-01
AU567256B2 (en) 1987-11-12
KR850700148A (ko) 1985-10-25
WO1985003101A1 (en) 1985-07-18
IL72948A (en) 1989-02-28
BR8407214A (pt) 1985-11-26
JPS61500450A (ja) 1986-03-13
ES536354A0 (es) 1985-12-01
IL72948A0 (en) 1984-12-31
AU3393884A (en) 1985-07-30
JPH048584B2 (ko) 1992-02-17
PH23967A (en) 1990-01-23
CA1254924A (en) 198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023B1 (ko) 도어정 조립체
US4218903A (en) Lock mechanism
US5784909A (en) Control mechanism for tubular locks
US4945737A (en) Lockset assembly
KR950010294B1 (ko) 조정가능한 래치 수축 기구를 구비한 손잡이 세트
US3159994A (en) Door latch and lock
GB2275500A (en) Lock assembly
KR910005293B1 (ko) 개량된 보울트 작동장치를 갖춘 래치보울트 작동 조립체
US3948066A (en) Door lock
US5020343A (en) Lockset having improved actuator
KR890005211B1 (ko) 도어정 조립체
GB2085957A (en) Latches for luggage
JP3063694U (ja) 防水用ハンドル装置
US4294089A (en) Latchbolt rim lock
CN115110840A (zh) 锁体结构及无钥匙门锁
WO2021003534A1 (en) Latch assembly
GB2063981A (en) A Double-lock Assembly for a Door
CN218061864U (zh) 一种便捷门锁的锁体
JPH0323497Y2 (ko)
JPH0515019Y2 (ko)
KR200223425Y1 (ko) 셔터 잠금장치
JP2598597Y2 (ja) 引違い戸の施錠装置
JPH05231059A (ja) ラッチ錠
JP2511218Y2 (ja) 錠装置
GB2611563A (en) Long throw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