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973Y1 - 상태변화 감지회로 - Google Patents

상태변화 감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973Y1
KR890004973Y1 KR2019860007847U KR860007847U KR890004973Y1 KR 890004973 Y1 KR890004973 Y1 KR 890004973Y1 KR 2019860007847 U KR2019860007847 U KR 2019860007847U KR 860007847 U KR860007847 U KR 860007847U KR 890004973 Y1 KR890004973 Y1 KR 890004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inverter
gate
terminal
fl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8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9298U (ko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078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973Y1/ko
Publication of KR870019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92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태변화 감지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11-II4, In1-In4,I5-I9: 인버터 FFO-FFn: 플립플롭
R1-R5: 저항 C1: 콘덴서
TR1-TR14: 트랜지스터 AND1-AND4: 앤드게이트
1 : 전류미러회로부
본 고안은 디지탈 신호로 표시된 상태를 기억하고 그 기억상태가 다른 상태로 변화되는 순간을 감지해내며, 특히 음성다중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방송사태 변화를 감지하는데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탈 신호로 표시하는 상태변화를 감지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상태변화 감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상태변화 감지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입력신호단자(S1-Sn)는 인버터(I11-In4)을 통해 앤드게이트(AND11-ANDn1)의 일측 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인버터(I12-In2)를 통해 플립플롭(FF1-FFn)의 입력단자 및 앤드게이트(AND12-ANDn2)의 일측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플립플롭(FF1-FFn)의 출력단자(Q)는 상기 앤드게이트(AND11-ANDn1) (AND12-ANDn2)의 타측 입력단자에 각기 접속하여 앤드게이트(AND11-ANDn1)의 출력측은 인버터(I13-In3)를 통한 후, 인버터(I4-In4)를 통한 상기 앤드게이트(AND12-ANDn2)의 출력측과 함께 앤드게이트(AND3)에 입격되며, 그 앤드게이트(AND3)의 출력측은 인버터(I5)를 통해 앤드게이트(AND4) 의 일측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측은 플립플롭(FF0)의 리세트단자(R)에 접속하며, 플립플롭(FF0)의 출력단자(Q)는 트랜지스터(TR1-TR14) 및 저항(R1-R4)으로 구성된 전류미러 회로부(1)의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그 트랜지스터(TR6)의 콜렉터는 저항(R1) 및 콘덴서(C1)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상기 전류미러회로부(1)의 트랜지스터(TR8)의 콜렉터는 인버터(I6)를 통해 상기 플립플롭(FF0)의 세트단자(S)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TR10)의 콜렉터는 인버터(I7)를 통해 상기 앤드게이트(AND4)의 타측 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인버터(I8)를 통해, 상기 플립플롭(FF0)의 출력단자가 일측 입력단자에 접속된 앤드게이트(AND5)의 타측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측은 인버터(I9)를 통해 상기 플립플롭(FF1-FFn)의 클럭단자에 접속한 것으로 상기에서 미설명부호 Vcc는 전원단자이고, V1-V3는 기준단자로서 Vcc > V1> V2의 관계를 갖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디지탈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가령 4개의 상태는 2개의 디지탈 신호를 이용하면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런 디지탈 신호가 입력단자(S1-Sn)를 통해 입력되면 이 신호는 바로전의 상태를 기억하고 있는 플립플롭(FF1-FFn)의 출력들과 앤딩되어 신호의 상태가 바로전의 상태와 다를때에는 인버터(I5)에 저전위 신호(이하, L로 표기)가 입력되어 플립플롭(FF0)의 리세트단자(R)에 고전위 신호(이하, H로 표기)가 인가되어 [제2도 (바)] 그가 리세트된다.
따라서 그의 출력단자(Q)로부터 L신호가 출력되어 전류미러회로부(1)의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그가 오프되고, 이에 따라 콘덴서(C1)에는 전원이 충전되기 시작한다(제2도 (자)) 바로 이플립플롭(FF0)이 리세트되어 있는 순간이 입력 디지탈 상태가 변화하는 순간이다. 이와 같이 하여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이 기준전압(V2)가 되면 트랜지스(TR10)가 오프되어 다시 안정된 로직상태의 L신호를 인버터(I7)를 통해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플립플롭(FF0)의 리세트단자(R)에 L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그러나 아직 그 플립플롭(FF0)의 세트단자(S) 입력은 L상태이므로 그의 리세트 상태는 계속 유지되게 된다.
또한 인버터(I8) (I9)를 통해 상태 기억회로인 플립플롭(FF1-FFn)에 클럭펄스를 인가하여 플립플롭(FF1-FFn)은 새로운 신호상태를 입력받아 그것을 기억하고 있게 된다.
이때 클럭펄스가 인가되는 기간은 상기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이 기준전압(V2)에서 기준전압(V1)이 되는 때까지이다(제2도 (자)).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데서(C1)의 충전전압이 기준전압(V1)과 같아진 순간에 인버터(I6)을 통해 H신호를 상기 플립플롭(FF0)의 세트단자(S)에 인가하여 그의 리세트상태가 풀리게 되고, 이에 따라 플립플롭(FF1-FFn)에 인가되는 클럭펄스는 끝나게 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에 H신호가 인가되어 다시 안정된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와 같은 상태 변화 감지동작을 계속해서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전자적인 상태표시를 위해 디지탈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와 이 신호상태를 기억하고 있어야할 필요성이 있을때, 또 이상태를 기억하고 있다가 상태가 변화하는 순간을 포착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있는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음성다중 방송 수신회로에서 방송국의 방송상태를 디지탈로 표시한 경우에, 이 방송상태를 기억하고 알려주고, 이 방송상태가 변화된 순간을 알려주며 다시 새로운 방송상태를 기억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어 방송상태의 변화를 감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입력신호단자(S1-Sn)에 접속된 인버터(I11-In1)의 출력팀은 인버터(I12-In2), 플립플롭(FF1-FFn), 앤드게이트(AND11-ANDn1), 인버터(I12-In2), (I13-In3)를 통해 앤드게이트(AND3)의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그 앤드게이트(AND3)의 출력단자는 (I5)를 통해 플립플롭(FF2)의 리세트단자(R)에 접속하며 그 플립플롭(FF3)의 출력단자(Q)는 트랜지스터(TR1-TR14) 및 저항(R1-R4)로 구성된 전류미러회로부(1)의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그의 접속점에는 저항(R1) 및 접지 콘덴서(C1)를 접속하며 트랜지스(TR3)의 에미터는 인버터(I6)를 통해 상기 플립플롭(FF0)의 세트단자(S)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TR10)의 에미터는 인버터(I7)를 통해 상기 앤드게이트(AND4)의 타측 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인버터(I8)를 통해, 일측 입력 단자에 플립플롭(FF0)의 출력단자가 접속된 앤드게이트(AND5)의 타측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측은 인버터(I9)를 통해 상기 플립플롭(FF1-FFn1)의 클럭단자에 공통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변화 감지회로.
KR2019860007847U 1986-05-31 1986-05-31 상태변화 감지회로 KR890004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847U KR890004973Y1 (ko) 1986-05-31 1986-05-31 상태변화 감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847U KR890004973Y1 (ko) 1986-05-31 1986-05-31 상태변화 감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9298U KR870019298U (ko) 1987-12-28
KR890004973Y1 true KR890004973Y1 (ko) 1989-07-28

Family

ID=1925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847U KR890004973Y1 (ko) 1986-05-31 1986-05-31 상태변화 감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9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9298U (ko) 198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3604A (en) Buffer circuit for outputting signals of different polarities
US4546272A (en) ECL Circuit for forcibly setting a high level output
US4115748A (en) MOS IC Oscillation circuit
JPS5648715A (en) Delay signal generating circuit
US5146116A (en) Ecl circuit with a reduced power active pulldown
EP0092145B1 (en) Transistor circuit
KR890004973Y1 (ko) 상태변화 감지회로
KR920019076A (ko) 지연-펄스 발생기
JPH09238054A (ja) タイマー回路
US4491745A (en) TTL flip-flop with clamping diode for eliminating race conditions
US4578599A (en) Flip-flop having improved synchronous reset
EP0342735B1 (en) Circuit for generating a pulse-shaped signal
US5086237A (en) Re-trigger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capable of generating a predetermined width of pulse with additional logic gate and D flip-flop with reset
US5045943A (en) Synchronous signal separation circuit
US4600897A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of emitter-coupled astable multivibrator type
KR910008243Y1 (ko) 리세트 회로
KR890007401Y1 (ko) 수직동기신호 스위칭 회로
SU1691931A1 (ru) Триггер
US3982139A (en) Exponential sweep multivibrator
SU1667225A1 (ru) Триггер Шмитта
KR930006692Y1 (ko) 쇼트키 다이오드를 이용한 스위칭 시간 단축회로
JPS645384Y2 (ko)
KR860001361Y1 (ko)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
KR890005518Y1 (ko) 수직동기신호 스위칭회로
KR910021027A (ko) 차동 ecl 삼-상태 검출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