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361Y1 -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 - Google Patents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361Y1
KR860001361Y1 KR2019840005132U KR840005132U KR860001361Y1 KR 860001361 Y1 KR860001361 Y1 KR 860001361Y1 KR 2019840005132 U KR2019840005132 U KR 2019840005132U KR 840005132 U KR840005132 U KR 840005132U KR 860001361 Y1 KR860001361 Y1 KR 860001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flop
circuit
terminal
mo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5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10519U (ko
Inventor
황인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5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361Y1/ko
Publication of KR850010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105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3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26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bipolar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28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bipolar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using means other than a transformer for feedback
    • H03K3/281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bipolar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using means other than a transformer for feedback using at least two transistors so coupled that the input of one is derived from the output of another, e.g. multivibrator
    • H03K3/284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bipolar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using means other than a transformer for feedback using at least two transistors so coupled that the input of one is derived from the output of another, e.g. multivibrator mono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
제1도는 본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고안에 따른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R S플립플롭 2 : 시정수회로,
3 : 리셋트회로 Z D : 제너다이오드
INt: 트리거펄스단자 OUT :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단자.
본고안은 하나의 패키지내에 여러개의 R S플립플롭으로 구성된 집적회로를 시스템구성에 사용하여 R S플립플롭을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트리거펄스를 받으면 하나의 방형파를 만들고 다시 본래의 안정상태로 되기위해 입력펄스에 의해 희망하는 출력방형파가 만들어지는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고자 할때는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 전용으로 집적된 I C를 사용하개나 기타의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사용하였다. 그런데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회로는 RS플립플롭, 모노 멀티바이브 레이터 및 그밖의 여러 소자들로 구성하게되는 데 보통 하나의 패키지로 된 집적회로 내에 다수 개의 RS플립플롭이 집적되어 있는 것을 사용한다. 이중 다수 개의 RS플립플롭이 하나의 패키지내에 집적되어있는 IC가 스템을 구성하는데 사용될때 하나의 IC 내에 포함되어있는 다수 개의 RS플립플롭 가운데 실제로 사용되는 것이 있지만 사용되지 않는 것도 있는 데도 모노 멀티바이브 레이터나 그밖의 소자들은 각각 그들의 전용소자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회로의 구성이 복잡하고 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상기한 제반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하나의 패키지내에 다수 개의 RS플립플롭을 포함하는 RS플립플롭용 집적회로와 모노 멀티바이브 레이터등의 소자들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사용하지 않는 부분의 RS플립플롭을 이용하여 모노 멀티바이브 레이터를 구성한 모노 멀티바이브 레이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하 본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은 트리거펄스단자(INt)가 셋트단자(S)에 연결된 R S플립플롭(1)의 출력단자(Q)에 저항(R1)과 콘덴서(C1)로 구성된 시정수회로(2)를 연결하고, 시정수회로 (2)에 제너다이오드(Z D)를 매개하여 트랜지스터(TR1)(TR2)와 저항(R2)(R3)으로 구성된 리셋트회로(3)를 연결하며, 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에 RS플립플롭(1)의 리셋트단자(R)를 연결한 구조로 되어있다.
미설명 부호 OUT는 본 고안에 따라 구성된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단자이다.
제1도는 본고안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셋트단자(S)와 리셋트단자(R)에 신호가 없는 초기상태에서는 R S플립플롭(1)의 출력단자(Q)에서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나 제2도의 (2-1)에 도시한 첫번째트리거펄스가 RS플립플롭(1)의 셋트단자 (S)로 입력되면 셋트단자(S)가 하이상태가 되고 리셋트단자(R)가로 우상태이므로 R S플립플롭(1)의 출력단자(Q)에서는 (2-2)와 같이 하이레벨이 출력된다. 따라서 출력단자 (OUT)로도 (2-2)와 같은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한편 저항(R1)과 콘덴서(C1)로 구성된 시정수회로(2)에도 하이레벨의 전압이 인가되어 (2-3)과 같은 충전곡선에 따라 콘덴서(C1)에 충전된다. 이때 콘덴서(C1)에 충전되는 전압이 제너전압(VZD)과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미터 전압(VBE1)의 합보다 높아질때 (2-4)와 (2-5)와 같이 트랜지스터(T1R)가 턴-은 되고 트랜지스터(TR2)가 턴-오프되므로 동작전압(B+)이 저항(R3)을 통해 R S플립플롭(1)의 리셋트단자(R)에 인가되어서 RS플립플롭(1)의 리셋트단자(R)가 하이상태가 되고 셋트단자(S)는 로우상태이므로 RS플립플롭(1)의 출력단자(Q)에서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하여 첫번째 트리거펄스에 의해서 하이레벨이 되었던 출력단자(OUT)는 다시 로우 레벨로 떨어지는 데 두번째 트리거펄스가 RS플립플롭(1)의 셋트단자(S)로 입력되면 RS플립플롭(1)과 시정수회로(2) 및 리셋트회로(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출력단자(OUT)는 다시 하이레벨로 되었다가 세번째 트리거펄스가 입력될때까지 로우레벨상태로 있게 되며, 그 다음 차기트리거펄스가 입력될때도 계속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서 본고안의 회로는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패키지내에 다수 개의 플립플롭이 집적된 RS플립플롭집적회로와 그밖의 소자들로 어떤 시스템을 구성할때 그 시스템에서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를 필요로 하고 회로구성상 다수개의 RS플립플롭이 있는 경우에 사용하지 않던 RS플립플롭을 이용하여 모노 멀티바이브 레이터를 구성하므로써 별도의 소자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른 부품수의 절감으로 원가가 감소되고 회로구성이 간결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트리거펄스단자(INt)가 셋트단자(S)에 연결된 RS플립플롭(1)의 출력단자(Q)에 저항(R1)과 콘덴서(C1)로 구성된 시정수회로(2)를 연결하고, 시정수회로(2)에 제너다이오드(Z D)를 매개하여 트랜지스터(TR1)(TR2)와 저항(R2)(R3)으로 구성된 리셋트회로(3)를 연결하며, 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에 RS플립플롭(1)의 리셋트단자 (R)를 연결하여서 된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
KR2019840005132U 1984-05-31 1984-05-31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 KR860001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132U KR860001361Y1 (ko) 1984-05-31 1984-05-31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132U KR860001361Y1 (ko) 1984-05-31 1984-05-31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519U KR850010519U (ko) 1985-12-30
KR860001361Y1 true KR860001361Y1 (ko) 1986-07-02

Family

ID=1923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5132U KR860001361Y1 (ko) 1984-05-31 1984-05-31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3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519U (ko) 198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2623A (en) Isolated semiconductor gate control circuit
GB1063003A (en) Improvements in bistable device
KR860001361Y1 (ko)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
KR880000837A (ko) 분주 검사 기능을 갖춘 집적 회로
KR880002864Y1 (ko) 시간 지연회로
SU1651321A1 (ru) Аналоговое запомин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3452219A (en) Voltage controlled digital circuits
SU476631A1 (ru) Транзисторный усилитель
SU845285A1 (ru) Транзисторный ключ
KR910014785A (ko) 집적회로장치(integrated circuit device)
JPH057778Y2 (ko)
KR910008243Y1 (ko) 리세트 회로
SU1175027A1 (ru) Транзисторный ключ
SU591956A1 (ru) Элемент пам ти
SU923008A1 (ru) Генератор пр моугольных импульсов
SU832710A1 (ru) Одновибратор
JPS5921718U (ja) パルス数監視回路
SU1676068A1 (ru) Универсальна двоична чейка
SU1018208A1 (ru) Генератор пилообразного напр жени
SU681542A1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SU155236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еобразовани импульсного сигнала по длительности
SU974581A1 (ru) Таймер
SU714291A1 (ru) Устройство сравнени
JPS5821235Y2 (ja) タンアンテイマルチバイブレ−タ
SU585558A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держ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5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