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595Y1 - 다단 전선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전선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595Y1
KR890004595Y1 KR2019860018515U KR860018515U KR890004595Y1 KR 890004595 Y1 KR890004595 Y1 KR 890004595Y1 KR 2019860018515 U KR2019860018515 U KR 2019860018515U KR 860018515 U KR860018515 U KR 860018515U KR 890004595 Y1 KR890004595 Y1 KR 890004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main body
plate
hole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8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723U (ko
Inventor
임남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18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595Y1/ko
Publication of KR880010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7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5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단 전선 접속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 전선 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 전선 접속장치의 동작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 전선 접속장치의 설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속본체 2 : 플레이트
3 : 스프링 괘지홈 4 : 스프링 고정홈
5 : 본체홀 6 : 플레이트홀
7 : 스프링 8 : 지지대
9 : 기판 10 : 와이어
11 : 절곡부
본 고안은 전선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와이어를 동시에 연결하는데 적합한 다단 전선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회로 기판상이나 연결장치에 있어서, 전선의 접속장치는 콘넥터 어셈브리를 사용하거나 첵커, 포인터등을 기판에 부착하여 사용해왔었으나 이러한 것들은 원가가 비싸거나 접촉이 불량한 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특히 콘넥터 어셈브리를 사용하면 기관상에 웨이퍼를 장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제조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원가가 상승했으며, 첵커 포인터를 사용할 경우는 주위의 냅땜 불량으로 인한 접촉이 불량한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그 구성을 보면 바깥쪽에 절곡부(11)를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본체홀(5)을 갖고 있으며, 절곡부(11)의 일측벽에 스프링 고정홈(4)을 형성하고, 밑부분에 지지대(8)를 형성시킨 전등의 도체로된 접속본체(1)와 본체와 삽입되는 것으로 가운데에 플레이트홀(6)을 스프링 괘지홈(3)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플레이트(2)를 본체에 끼우고 스프링(7)을 플레이트 스프링괘지홈(3)과 본체의 스프링 고정홈(4) 사이에 끼우므로서 다단 전선을 접속시키는 장치인 것이다.
종래의 장치에 대해서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어 별도의 도면으로 설명할 필요가 없는바, 그에 대한 앞에서의 설명만으로 충분하다고 본다.
종래의 장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코자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다단 전선접속장치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 전선 접속장치의 분해사시도로서 바깥쪽의에 양쪽으로 절곡부(11)를 형성하고, 내부 중앙에 다수개의 본체홀(5)을 갖고 있으며 절곡부(11)의 일측벽에 스프링 고정홈(4)을 형성하고, 밑 부분에 지지대(8)를 형성한 본체(1)를 지지대(8)로서 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본체(1)에 삽입되는 것으로 가운데에 플레이트홀(6)을 형성하고 스프링괘지홈(3)을 형성한 플레이트(3)를 상기 본체(1)의 절곡부(11)안에 끼우고, 스프링(7)을 상기 본체(1)의 절곡부(11)하부에 있는 스프리 고정홈(4)과 플레이트(2)의 스프링 괘지홈(3)에 끼워 고저시키므로서 피복이 벗겨진 전선이 본체(1)의 본체홀(5)과 플레이트(2)의 플레이트홀(6)을 통과하도록한 다음, 플레이트(2)를 놓으면 플레이트(2)의 스프링 괘지홈(3)에 걸린 스프링력에 의해 플레이트(2)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이트홀(6)과 본체홀(5)의 어긋남으로 인해 다단전선 접속장치는 다단전선을 본체(1)와 플레이트(2)사이에서 협지하게 되며 이를 분리해탈시킬 경우에도 제2도의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상하로 유동시키므로서, 그협지를 착탈할 수가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전선 접속장치를 기판에 고정시킨 것이며, 지지대(8)는 기핀(9)의 위에서 납땜이 되거나 하부를 구부려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그 접속상태가 확실하며 다단의 전선을 그 조립공정이 간단하고 제거 공정이 단순한 등 여러가지 장점이 있는 것이며, 특히 전자 계산기의 배선과 같이 복잡한 형태의 다단 전선접속에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바깥쪽에 절곡부(11)를 형성하고 내부에 본체홀(5)을 갖고 있으며, 절곡부(11)의 일측벽하단에 스프링고정홈(4)을 형성하고, 밑부분에 기판(9)과 접착되는 지지대(8)를 형성한 본체(1)와 가운데에 본체홀(5)에 대응하는플레이트홀(6)을 갖고 있으며, 스프링 괘지홈(3)이 형성된 플레이트(3)를 스프링(7)로서 상기 스프링 고정홈(4)과 스프링 괘지홈(3)에 각각 괘지고정하여 플레이트홀(6)과 본체(5)홀의 어긋나는 힘으로 다단전선을 접속괘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전선 접속장치.
KR2019860018515U 1986-11-26 1986-11-26 다단 전선 접속장치 KR890004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515U KR890004595Y1 (ko) 1986-11-26 1986-11-26 다단 전선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515U KR890004595Y1 (ko) 1986-11-26 1986-11-26 다단 전선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23U KR880010723U (ko) 1988-07-28
KR890004595Y1 true KR890004595Y1 (ko) 1989-07-08

Family

ID=1925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8515U KR890004595Y1 (ko) 1986-11-26 1986-11-26 다단 전선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5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23U (ko) 198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8113A (en) Connector for flexible flat cable
US7070424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printed boards
KR970000291Y1 (ko) 표면 장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950007430B1 (ko)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US4487464A (en) Electrical socket connector construction
JPH08124637A (ja) 表面実装型電気コネクタ
JP2000223191A (ja) 小型コネクタ
KR0138885B1 (ko) 전기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열프린트 헤드(electrical connector and thermal printhead using the same)
US3838203A (en) Insertable electrical termination mounting
KR19980064760A (ko) 플랙시블 기판용 콘넥터
KR890004595Y1 (ko) 다단 전선 접속장치
KR850003995A (ko) 전기 접속자 조립체
JP2003045525A (ja) コネクタ
KR100332036B1 (ko) 전기핀필드
US5938464A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JP2560143Y2 (ja) Fpc接続用コネクタ
JPH0770343B2 (ja) コネクタ
JPH06275346A (ja) 電気的接続装置とそれに使用される電気的接続用基板及び電気コネクタ
JP3268253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S6010285Y2 (ja) コネクタ装置
JPS5828371Y2 (ja) 回路接続素子
KR200263988Y1 (ko) Pcb기판의 콘넥터 고정구조
JPS5818224Y2 (ja) 端子機構
JPH0620754A (ja) 変圧器のプリント基板実装用電気的接続ソケット
JPH1126049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