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582Y1 - 돌출창에서 새시를 개방 위치에 보유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돌출창에서 새시를 개방 위치에 보유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582Y1
KR890004582Y1 KR2019850003382U KR850003382U KR890004582Y1 KR 890004582 Y1 KR890004582 Y1 KR 890004582Y1 KR 2019850003382 U KR2019850003382 U KR 2019850003382U KR 850003382 U KR850003382 U KR 850003382U KR 890004582 Y1 KR890004582 Y1 KR 890004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rack
rod
holding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3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984U (ko
Inventor
유키오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50003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582Y1/ko
Publication of KR860011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5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of extensible, e.g. telescopic,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돌출창에서 새시를 개방 위치에 보유시키는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보유 장치에 의해 새시가 개방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 있는 돌출창을 나타내는 부분 절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변환 기구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새시를 닫았을 때의 그 새시의 밑틀 부재와 외측 창틀의 밑틀을 나타내는 종 단면도.
제6도는 변환 기구의 부착 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7도는 개조된 예의 보유 장치가 이용되는 창의 정면도.
제8도는 제7도 창의 종 단면도.
제9도는 손잡이와 변환 기구와의 연결 부분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10도는 제7도의 창을 개방시킨 상태의 정면도.
제11(a)도 및 제11(b)도는 보유 기구의 통체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제12도는 통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창틀 B : 새시
C : 보유기구 D : 변환기구
E : 손잡이
본 고안은 새시(sash)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외측 프레임에 설치된 돌출창(projected window)에서 그 새시를 개방 위치에 보유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새시의 밑특 부재에 아암을 회동 가능하게 피봇 연결하고, 이 아암의 다른쪽 단부에 기다란 홈을 형성시키고, 외측 프레임. 즉 창특의 밑특에는 상기 기다란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슬라이더를 부착함과 동시에, 이 슬라이더를 상기 기다란 홈에 고정시키는 볼트 등의 고정 부재를 설치하고, 새시를 개방할때에는 이 고정 부재를 조작하여 슬라이더가 기다란 홈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새시를 개방시키고 나서 고정부재를 조작하여 슬라이더를 기다란 홈에 고정시킴으로써 새시를 임의의 개방 위치에 유지하여서,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새시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 보유 장치의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의 보유장치에서는 새시를 개폐 조작하는 손잡이와는 별도로 고정 부재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며, 따라서 새시의 개폐 조작이 복잡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부재를 직접 손으로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아암은 손이 닿는 범위, 다시 말하면 외측 프레임의 밑특과 새시의 밑특 부재 사이에만 부착될수가 있고, 따라서 새시의 개방 위치에서의 보유력이 약하고 불안종하게 되어서, 강한 바람이 불면 쉽게 움직이고 말았었다.
즉 보유력을 강하게 하기 위하여 외측 프레임의 윗틀과 새시의 윗틀 부재에 걸쳐서도 아암을 부착하면, 고정부재의 위치가 높게 되어서 고정 부재를 조작할 수가 없게 되므로, 아암이 상기 밑틀과 밀틀부재 사이에만 부착되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새시에 부착된 새시 개폐용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보유 기구를 보유 상태와 보유해제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킬 수 있게된 보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새시 보유 장치는 외측 프레임(즉,창틀)에 설치되는 보유 기구와 내측 프레임(즉,새시)내에 설치되는 변환 기구로 이루어지고, 그 보유 기구는 외측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형 부재(즉, 통체)와 그 관형 부재 내에 회전 가능하고 신축 가능하게 수용된 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환기구는 내측 프레임상의 손잡이와 상기 봉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그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봉이 관형 부재에 대해 길이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제1위치와 움직일 수 있게 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그 봉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본 고안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보유 장치에 의해 새시가 개방 위치에 유지된 상태의 돌출창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외측프레임. 즉, 창틀(A)은 윗특(1)과 밑특(2)과 한쌍의 수직특(3) (3')에 의해 직사각형 틀로 되어 있으며, 내측 프레임. 즉 새시(B)는 윗틀 부재(4)와 밑틀 부재(5)와 한쌍의 수직틀 부재(6) (6')에 의해 직사각형 틀로 되고 그 틀의 내부에 유리 (7)를 부착시킨 것임과 동시에, 상기 한쪽의 수직틀 부재(6)는 한쪽의 수직틀(3)에 경첩(8)에 의해 실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창틀(A)의 윗특(1)과 밑틀(2)의 내측벽(1a) (2a)에는 1쌍의 상하 보유기구(C)의 한쪽 단부측이 브라켓트(9)에 의해 실내와 실외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새시(B)의 윗특 부재(4)와 밑틀 부재(5)에는 왕복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1쌍의 상하부 변환 기구(D)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변환기구(D)의 회전부는 유니버설 조인트(10)를 거쳐서 상기 각각의 보유 기구(C)의 다른쪽 단부에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쪽의 수직틀 부재(6')에는 새시(B)를 개폐시키기 위한 손잡이(E)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Ⅱ-Ⅱ선 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로서, 상기 보유기구(C)에는 단면이 원형인 관형 부재. 즉, 통체(筒體)(11)내에 단면이 원형인 봉(12)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이 통체(11)의 양단부에는 1쌍의 덮개(13) (14)가 끼워져서 부착되어 있으며, 한쪽의 덮개(13)는 종방향 뒤(15)에 의해 실내측과 실외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브라켓트(9)에 여녈되어 있고, 통체(11)의 주벽(周壁)에는 길이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기다란 홈(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기다란 홈(16)의 한쪽 가장 자리면(16a)에는 결홈홈(17)이 길이 방향에 걸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기다란 홈의 다른쪽 가장 자리면은 직선으로 되어 있다. 상기 봉(12)에는 그의 일단부에 인접하여 결합핀(18)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고착되어 있고, 이 결합핀(18)은 상기봉(12)이 통체(11)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기다란 홈(16)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또한, 봉(12)의 회전시 상기 결함홈(17)들중 선택된 하나의 결합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양끝의 덮개(13) (14)의 사이에 걸쳐서 통 형태의 커버(19)가 끼워져 부착되어서, 기다란 홈(16)과 결합핀(18)을 덮음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키고 먼지나 빗물이 통체(11)내로 침입하지 못하게 한다.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10)는 한쌍의 이음쇠(10a) (10b)를 핀(10c)으로 절곡(折曲)가능하게 연결한 것으로서, 한쪽의 이음쇠(10a)는 상기 봉(12)에 끼워져서 연결된다. 상기 변환 기구(D)는, 사각형 케이싱(20)을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그 케이싱에 랙(rack) (21)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이 랙(21)에 맞물리는 피니언(22)을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구조로 된 것이며, 상기 케이싱(20)은 밑틀 부재(5)내에 부착되어 있고, 피니언(22)은 유니버설 조인트(10)의 다른쪽 이음쇠(10b)에 끼워져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랙(21)의 양쪽 단부에는 슬라이드(23) (23)가 핀(24)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변환기구(D)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 절반부(201)와 상부 케이싱 절반부(202)를 다수의 나사(25)로 연결하여 케이싱(20)으로 하며, 하부 케이싱 절반부(201)는 공간부(26)를 가지도록 바닥(26a)과 좌우측 짧은 측벽(26b) (26c)과, 내외측의 긴 측벽(26d) (26e)으로 이루어져 있고, 내측 측벽(26d)은 좌우 측벽(26b) (26c)을 지나 돌출하여 1쌍의 플랜지(27)를 제공한다. 그 바닥(26a)과 좌우측벽(26b) (26c)에 걸쳐서 랙(21)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의 안내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홈(28)에는 랙(21)이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전후벽(26d) (26e)의 상단면에는 반원형의 홈(29) (30)이 형성되어 있고, 이홈(29) (30)에는 피니언(22)의 소직경 축부분(22a) (22b)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피니언(22)을 랙(21)에 맞물려 주고 있다. 또한, 랙(21)의 톱니(21a)는 약45°각도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으며, 피니언(22)은 랙의 톱니(21a)와 동일한 각도로 비스듬히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 케이싱 절반부(202)는 하부 케이싱 절반부의 플랜지(27)와 유사한 플랜지(31)를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피니언(22)의 소직경 축부분(22a) (22b)이 수용되는 반원형의 홈(32) (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32) (32)과 그 홈에 대응하는 상기 홈(29, 30)애 파나온(22)의 소직경 축부분(22a) (22b)이 랙(21)의 직선 이동에 응하여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채 상부 케이싱 절반부를 하부 케이싱 절반부에 나사(25)로 고정시킴으로써 변환 기구가 조립된다.
제5도는 새시(B)를 닫은 상태에서의 밑틀(2)과 밑틀 부재(5)의 종단면도이며, 제6도는 밑특 부재(5)와 변환기구(D)의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밑틀 부재(5)는 실내외측벽(5a) (5b)과 내외 연결벽(5c) (5d)에 의하여 직사각형 단면의 중공 내부(5')를 가지는 긴 부재로 되어 있으며, 실내측 벽(5a)에는 케이싱(20)이 기워질 절결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 연결벽(5d)의 중앙부에는 대체로 C자형 단면의 안내 채널(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채널(41)에는 슬라이드(23)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절결부(40)로 부터 케이싱(20)이 끼워져서 플랜지(27) (31)가 실내측 벽(5a)에 맞닿으며, 이 플랜지(27) (31)나사(42)로 실내측 벽(5a)에 고착하여 변환기구(D)를 새시(B)의 밑틀 부재(5)의 중공 내부(5')내에 부착한다.
채널(41)의 저부(41a)에는 길어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1쌍의 슬로트(43) (제6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슬로트(43)를 통해 나사(24)로 랙(21)의 양단 각각에 슬라이드(23)를 연결시킨다. 따라서, 슬라이드(23)가 안내 채널(41)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랙(21)이 하부 케이싱 절반부의 바닥(26a)의 안내홈(28)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각 슬로트(43)와 나사(24)가 협동하여 랙(21)및 슬라이드(23)의 이동 범위를 제한 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의 변환 기구(D) (D)의 한쪽의 슬라이드 (23) (23)는 체인등의 연결구(44)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슬라이드(23) (23)는 체인등의 연결구(45) (46)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구(45) (46)는 상기 손잡이(E)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손잡이(E)를 회전 조작하면 상기 연결구(45) (46)가 좌 또는 우로 이동되어 상하의 변환 기구(D) (D)의 랙(21)이 좌 또는 우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하부의 변환 기구에 대해서만 설명 되었으나, 하부 변환 기구의 랙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부 변환 기구는 랙이 윗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 외에는 그러한 설명이 상부의 변환 기구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1도에 있어서, 참조 부호(47)은 연결구(44) (45) (46)를 안내하는 스프로켓등의 안내구이다.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손잡이(E)는 새시 "보유"위치(제1도에 도시된 수직 하방을 향하는 위치)와 "해제"위치(제1도에서 횡 방향으로 되는 위치)사이에서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다. 손잡이(E)가 "보유"위치에 있을때 봉(12)의 결합핀(18)이 통체(11)의 가장자리면(16a)에 있는 선택된 하나의 결합홈(17)에 결합하여 봉(12)이 통체(11)에 대해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그리하여, 새시가 개방 위치에 보유된다.
손잡이(E)가 "보유"위치로 부터 "해제"위치로 반시게 방향(제1도에서)으로 회전되면, 하부 변환기구(D)의 랙(21)이 케이싱(20)내에서 우측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어서 피니언(22)이 반시계 방향(실내측에서 볼때)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하여, 유니버설 조인트(10)를 거쳐서 보유 기구(C)의 봉(1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서 결합핀(18)이 결합홈(17)으로 부터 빠져나와 통체(11)에 대해 축방향으로 기다란 홈(16)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변환 기구(D)의 랙(21)은 케이싱(20)내에서 좌측(실내측에서 볼대)으로 직선 이동되며, 이러한 랙(21)의 운동에 따라, 그 케이싱내의 피니언(2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따라서, 봉(12)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결합핀(18)이 결합홈(17)으로부터 빠져 봉(12)이 통체(11)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각 보유 기구(C)의 봉(12)은 새(B)의 개방 정도를 변경시키기 위해 새시를 외측으로 밀거나 내측으로 당김으로써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역으로, 손잡이(E)를 "해제"위치로부터 "보유"위치로 회전시키면, 하부 변환 기구(D)의 랙(21)이 케이싱(20)내에서 좌측(제2도에서)으로 이동되고, 그러한 랙의 이동에 따라 그 케이싱내의 피니언(22)이 시게방향(실내측에서 볼때)으로 회전되며, 그러한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하부 보유 기구의 봉(12)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결과, 결합핀(18)이 통체(11)의 선택된 결합홈(17)에 결합하여 봉(12)이 통체(11)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부 변환 기구의 랙(21)은 우측(실내에서 볼때)으로 이동되고 피니언(2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에 따라 상부 보유기구의 봉(1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결합핀(18)이 결합홈(17)에 결합하여 봉(12)이 통체(1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새시는 선택된 개방 위치에 보유된다.
상기한 바와 같아, 상하부의 보유기구에 의해 새시(B)를 개방 위치에 확고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어, 강풍이 불어도 새시(B)가 움직이는 일이 거의 없다.
또한, 손잡이(E)를 조작함으로써 보유 기구를 보유 상태로 하거나 해제 상태로 할 수가 없고, 손잡이(E)를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새시를 개폐하거나 혹은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거나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조작이 간단하게됨과 동시에, 보유기구(C)를 창틀(A)의 윗틀(1)과 새시(B)의 윗틀 부재(4)사이등과 같이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도 부착할 수가 있고, 새시(B)의 보유력이 강하게 되어, 강풍이 불더라도 새시(B)가 움직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보유기구(C)를 손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측 프레임의 틀이나 새시의 틀 부재내에 내장시켜 설치할 수가 있어서,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도, 제8도, 제9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창틀(A)의 윗틀(1)에 새시(B)의 윗틀 부재(4)를 경첩(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창틀의 밑틀(2)과 새시의 밑틀 부재(5)에 걸쳐서 한쌍의 보유기구(C) (C)를 연결함과 동시에, 새시(B)의 밑틀부재(5)에 설치된 손잡이(E)의 지지축(50)에 피니언(51)을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이 피니언(51)에 맞물린 부가적인 랙(52)을 1쌍의 슬라이드(53) (53)를 거쳐서 한쌍의 변환 기구(D) (D)의 랙(21) (21)에 연결시킨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보유기구(C)의 통체(11)가 상하 방향 및 실내외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창틀의 밑틀(2)에 부착되어 있다.
작동에 있어서는, 손잡이(E)가 그의 지지축(5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제9도에서)으로 회전되면, 피니언(5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랙(52)을 우측(제9도에서)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그러한 랙(52)의 이동에 따라, 각 변환 기구(D)의 랙(21)이 우측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피니언(2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각 피니언(21)의 그러한 반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봉(12)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결과, 각 보유 기구의 봉(12)이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통체(11)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상태에서 봉(12)은 새시의 개방 정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신장또는 수축될 수 있다.
역으로, 손잡이(E)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니언(5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랙(5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각 변환기구의 랙(21)이 좌측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피니언(2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봉(12)이 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핀과 결합홈에 의해 그 봉이 통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되어 새시가 보유되게 된다.
또한, 각 보유기구(C)의 통체(11)는 제11(a)도와 제1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평판(11a)의 한쪽 가장 자리면(11b)에 결합홉(17)으로될 절결부(11C)를 형성하고 상기 평판(11a)을 원형으로 구부려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7)을 양가장자리 면에 형성시켜도 좋다.

Claims (1)

  1. 창틀(A)내에 새시(B)를 개폐 가능하게 부착시킨 돌충창에서 상기 새시를 조정 가능하게 개방 위치에 보유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창틀(A)과 새시(B)에 걸쳐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유 기구(C)와, 새시(B)에 설치되어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기구(D)와, 보유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소정각도 만큼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상기 새시(B)에 설치된 손잡이(E)로 구성되고, 상기 보유 기구(C)는 상기 창틀에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체와, 그 통체내에 신축 및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신축 가능한 해제 상태로 되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신축이 불가능한 보유 상태로 되도록 변환기구에 연결시킨 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환 기구(D)는 상기 보유기구의 봉에 연결된 피니언과 그 피니언에 맞물린 랙으로 이루어지고, 그 랙의 한끝을 상기 손잡이(E)에 연결구를 통해 연결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창에서 새시를 개방 위치에 보유시키는 장치.
KR2019850003382U 1985-03-29 1985-03-29 돌출창에서 새시를 개방 위치에 보유시키는 장치 KR890004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382U KR890004582Y1 (ko) 1985-03-29 1985-03-29 돌출창에서 새시를 개방 위치에 보유시키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382U KR890004582Y1 (ko) 1985-03-29 1985-03-29 돌출창에서 새시를 개방 위치에 보유시키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984U KR860011984U (ko) 1986-10-06
KR890004582Y1 true KR890004582Y1 (ko) 1989-07-08

Family

ID=1924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3382U KR890004582Y1 (ko) 1985-03-29 1985-03-29 돌출창에서 새시를 개방 위치에 보유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5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984U (ko) 198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41000A2 (en) Reversible window structure
JP3927938B2 (ja) 開放補助機構付き引手、およびサッシ窓
US50926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tching sliding closures
MXPA01001951A (es) Montaje guia para ventana de guillotina con inclinacion hacia fuera.
KR890004582Y1 (ko) 돌출창에서 새시를 개방 위치에 보유시키는 장치
EP0110998A1 (en) Rotary shaft operated framework-inverting window
KR950010990B1 (ko) 창 자물쇠
US3114542A (en) Operator for swinging window sashes
KR100535279B1 (ko) 도어 래치
JP6251140B2 (ja) 施錠装置
JP2843246B2 (ja) 開き窓における障子の支持構造
JP4871743B2 (ja) 窓構造
KR200399410Y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JPH0235974Y2 (ko)
US4182079A (en) Closure operator
JPH10102851A (ja) 窓のグレモン錠取付構造
US20200300007A1 (en) Metal Ware for a Window
KR101500469B1 (ko) 회전 이동식 창문
JP3683520B2 (ja) スラットの揺動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雨戸
JP4686325B2 (ja) 開口部装置
KR200245947Y1 (ko)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창문
KR900011180Y1 (ko) 문짝의 개폐기구
JP4088580B2 (ja) 施錠機構付き引手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サッシ窓
JP4248526B2 (ja) 建具
JP4317159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