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533Y1 - 복사기 정착기의 분리부재 압접,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 정착기의 분리부재 압접,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533Y1
KR890004533Y1 KR2019860004684U KR860004684U KR890004533Y1 KR 890004533 Y1 KR890004533 Y1 KR 890004533Y1 KR 2019860004684 U KR2019860004684 U KR 2019860004684U KR 860004684 U KR860004684 U KR 860004684U KR 890004533 Y1 KR890004533 Y1 KR 890004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eparating member
pressing
cam
upp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4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7050U (ko
Inventor
장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04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533Y1/ko
Publication of KR8700170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70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5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사기 정착기의 분리부재 압접, 해제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가 상드럼으로부터 해제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가 상드럼에 압접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롤러 2 : 축
2a : 피니언 2b : 캠
3 : 토션스프링 4 : 안내면
5 : 랙 6 : 솔레노이드
7 : 축핀 8 : 분리부재
8a : 선단부 9 : 스프링
본고안은 복사기에 적용되는 분리부재의 압접 및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온(160℃-180℃)이 유지되는 상부롤러의 표면에 접해 있는 분리부재의 오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사중에만 상부롤로 표면에 압접되게 하고, 그 외의 작동 즉, 대기중이나 예열중에는 표면으로부터 해제되도록 한 복사기 정착기의 분리부재 압접, 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정착기의 분리부재는 상부롤로의 표면에 항시 압접하여 있도록 되어 있거나 또는 압접 및 해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가 있기는 하지만, 전자의 경우에는 고온의 상부롤러 표면에 항시 접하게 되므로 분리부재의 끝부분이 녹아서 그 본래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가 곤란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그 압접, 해제작용의 구동을 용수철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행하고 있으므로 상부롤러의 표면에 분리부재가 일정한 위치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압접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그 작동 또한 원활치 못한 결점 및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구조의 결함을 해소하여 정착기의 분리부재가 복사중일때 이외에는 고온의 상부롤러 표면에서 항상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여 분리부재의 수명연장은 물론 상부롤러의 표면에 분리부재의 압착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그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이를 첨부된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지 정착기의 상부롤러(1)일측에 이와 평행하게 축(2)을 설치하고, 축(2)의 일측 외주면에는 차차를 형성하여 피니언(2a)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측 외주면에는 캠(2b)을 형성하여 그 축(2)의 양단부에 토션스프링(3)을 탄설하고, 상기 피니언(2a)의 상측에 이와 맞물려서 안내면(4)에 안내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랙(5)을 설치하여 솔레노이드(6)에 연결시키는 한편, 선단부(8a)의 일측이 축핀(7)으로 축착되고 타측단부가 스프링(9)으로 탄지되어 캠(2b)에 압착되는 분리부재(8)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c는 토션스프링(3)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돌기를 보인 것이고, 10은 하부롤러를 보인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사를 하지 않을때에는 제1도에서와 같이 상부롤러(1)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부재(8)가 해제된 상태로부터 복사를 시작하게 되면 솔레노이드(6)에 전원이 인가되어 이에 연결되어 있는 랙(5)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2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피니언 (2a)의 회전에 따라 이와 일체로 형성된 캠(2b)이 연동하게 되고 캠(2b)에 접촉되어 선단부가 축핀(7)에 축설되어 있는 분리부재(8)는 타측단부에 탄지되어 있는 스프링(9)이 늘어나면서 축핀(7)을 회전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부롤러(1)의 표면에 압접하게 된다.
이때 상부롤러(1)의 표면에 분리부재(8)를 압접시키는 압착력은 캠(2b)의 높이와 분리부재(8)의 선단부(8a)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적합한 힘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복사가 완료되면 솔레노이드(6)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되어 그 구속력을 잃게되고 축(2)의 양단에 탄설되어 있는 토션스프링(9)의 탄성으로 단부가 상향 이동하여 그 선단부(8a)가 상부롤러(1)의 표면으로부터 해제되어 제1도의 상태와 같이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 장치는 복사를 수행할때에만 상부롤러에 분리부재가 압접하게 하고 대기중이나 예열시간동안에는 해제된 상태를 유지해주기 때문에 분리부재의 수명연장은 물론 이와 압접되는 상불롤러의 표면 손상을 극히 적게 할 수 있어 양호한 복사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해 준다.

Claims (1)

  1. 공기정착기의 상부롤러(1)의 일측에 이와 평행하게 축(2)을 설치하고, 축(2)의 일측 외주면에는 차차를 형성하여 피니언(2a)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측 외주면에는 캠(2b)을 형성하여 그 축(2)의 상단부에 토션스프링(3)을 탄설하고, 상기 피니언(2a)의 상측에 이와 맞물려서 안내면(4)에 안내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랙(5)을 설치하여 솔레노이드(6)에 연결시키는 한편, 선단부(8a)의 일측이 축핀(7)으로 축착되고 타측단부가 스프링(9)으로 탄지되어 캠(2b)에 압착되는 분리 부재(8)를 설치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정착기의 분리부재 압접, 해제장치.
KR2019860004684U 1986-04-10 1986-04-10 복사기 정착기의 분리부재 압접, 해제장치 KR890004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684U KR890004533Y1 (ko) 1986-04-10 1986-04-10 복사기 정착기의 분리부재 압접,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684U KR890004533Y1 (ko) 1986-04-10 1986-04-10 복사기 정착기의 분리부재 압접, 해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050U KR870017050U (ko) 1987-11-30
KR890004533Y1 true KR890004533Y1 (ko) 1989-07-08

Family

ID=1925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4684U KR890004533Y1 (ko) 1986-04-10 1986-04-10 복사기 정착기의 분리부재 압접,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5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050U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5120A (en) Copy paper stripping means
KR890004533Y1 (ko) 복사기 정착기의 분리부재 압접, 해제장치
JPS5588087A (en) Cleaning device of copying machine or the like
EP0186207A1 (en) Thermal transfer recording apparatus
DE2963953D1 (en) Device for dispensing paper sheets of a predetermined length
JPH0136200Y2 (ko)
KR900007959Y1 (ko) 복사기의 종이 분리장치
KR930003001Y1 (ko) 복사기의 잼 용지 제거장치
JPH0529492Y2 (ko)
JPS574787A (en) Printer
JPS60244985A (ja) シ−ト材巻付防止装置
JPS64701B2 (ko)
KR890004693Y1 (ko) 브이티알의 테이프 카세트 압착장치
JP3251088B2 (ja) 分離爪解除機構
JPH0518773Y2 (ko)
JPH08146850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KR910004652Y1 (ko) 복사기의 클리닝 블레이드 가압장치
JPS6025633Y2 (ja) 券発行機のカッタ−装置
GB2118899A (en) Cleaning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device
KR960008970Y1 (ko) 레이저 프린터의 정착기 롤러 압력 해제장치
JPS5917636Y2 (ja) 印字用紙可動ガイド機構
KR890006499Y1 (ko) 복사기 또는 레이저프린터의 정착기 압력 해제장치
KR900007361Y1 (ko) 레이저 프린터의 청소장치
JPH05333613A (ja) 圧力解除機構
JPS57163589A (en) Paper feeder for thermal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