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236Y1 - 압전소자를 이용한 무잡음 스킵서치장치 - Google Patents

압전소자를 이용한 무잡음 스킵서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236Y1
KR890004236Y1 KR2019850018422U KR850018422U KR890004236Y1 KR 890004236 Y1 KR890004236 Y1 KR 890004236Y1 KR 2019850018422 U KR2019850018422 U KR 2019850018422U KR 850018422 U KR850018422 U KR 850018422U KR 890004236 Y1 KR890004236 Y1 KR 890004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iezoelectric element
terminal
subtrac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8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162U (ko
Inventor
성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18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236Y1/ko
Priority to JP1987000045U priority patent/JPS62147974U/ja
Publication of KR8700111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1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전소자를 이용한 무잡음 스킵서치장치
제1도는 종래의 고속재생시 트랙에 대한 재생헤드의 궤적도 및 파형도.
제2도는 고주파 엔벨로프(RF envelope) 합성법에 의한 종래의 무잡음 서치궤적도 및 파형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무잡음 서치궤적도 및 파형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무잡음 스킵서치(skip search) 장치의 블록도.
제5도는 제3도의 배속에 따른 목표전압 파형도.
제6도는 제3도의 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1/N분주기 2 : 카운터
3 : 래치회로 4 : 프리세트 카운터
5 : 감산기 6, 8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7 : 선형직류증폭기 9 : 기준전압발생기
10 : 압전소자드라이버 11 : 압전소자
본 고안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드의 고속재생시에 스킵서치(skip search)를 행하여 화면에 노이즈가 나타나지 않게한 압전소자를 이용한 무잡음 스킵서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저속재생 및 고속 재생시에는 모니터상에 노이즈밴드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3개의 헤드를 사용하여 저속재생시에 노이즈밴드가 나타나지 않게하고 있으나, 고속재생시에는 노이즈밴드가 없는 깨끗한 화면재생이 현재로선 불가능 하였다. 즉, 고속재생시에는 제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스위칭 펄스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재생헤드(A, B)가 제1(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여러트랙을 가로지르게 되므로 헤드의 아지무스(azimuth) 각과 다른각도로 기록된 인접트랙의 재생시에 이것이 제1(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이브 밴드로서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이를 간이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아지 무스각이 서로다른 헤드를 수H(1H=63.5μsec) 차를 두고 동시에 주행시켜 각각의 헤드에서 읽혀지는 고주파 (RF)신호를 시간축에서 합성을 함으로써 잡음신호가 없는 화면을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스위칭 펄스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앞선헤드(A, B')와 뒤진헤드(B, A')에서 재생되는 고주파 파형은 제2(c)도, 제2(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고, 이 두 파형을 제2(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함으로써 화면상에 노이즈 밴드가 발생되지 않게되었다. 그러나 이 방식에 있어서도 고주파 파형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서 두 신호간의 간섭에 의한 칼러크로스토크(colorcross talk)현상이 제2(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생하게 되므로, 화면상에 색얼룩이 나타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각 배속에 따라 압전소자를 이동시켜 재생헤드의 각도를 조절하게 함으로써 고속재생시에 노이즈밴드가 발생되지 않고, 칼러크로스토크 현상도 발생되지 않는 스킵서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정상 주행시의 테이프에 대한 주행헤드의 각도는 전진 서치시의 각도보다 작다. 이러한 각도(θ)는 다음 수식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W=비디오 유효두께
D=드럼의 직경
θO=정지시의 테이프에 대한 주행헤드의 각(VHS의 경우 약 5°56'7" 임)
Vt=1초당 체이프의 주행거리
n=배속을 표시하는 정수
fv=수직동기 주파수이다.
또한, 상기 각도(θ)는 VHS 방식의 경우 다음표와 같이 된다.
상기의 식 및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배속이 빨라질수록 각도는 커지게 됨을 알 수 있고, 이는 각 배속에 따라 헤드의 각도가 고정됨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방향 9배속의 경우 헤드의 각도를 9배로 크게 한다면 헤드의 궤적은 제2도에서 제3도와 같이 변하게 되어 화면상에는 노이즈가 없는 스킵서치를 행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경우 헤드의 각도보정을 위해서는 헤드자체가 이동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종래에는 드럼에 헤드를 고정시켜 사용하므로 헤드의 이동이 불가 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압전고자에 헤드가 얹힌 형태를 채택함으로서 압전소자의 이동에 의한 헤드이동을 꾀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을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 스킵서치장치의 상세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럭펄스신호(fsc)(이는 3.58 또는 4.43MHZ임)를 분주하는분주기(1)의 출력측을 카운터(2)의 카운터 입력측에 접속함과 아울러 캡스턴 모우터가 회전됨에 따라 발생되는 캡스턴펄스 발생신호(CFG)가 그 카운터(2)의 리세트단자(RS)에 인가되게 접속하고, 이 카운터(2)의 카운트 출력측을 래치회로(3)를 통하여 감산기(5)의 비교입력단자(b)접속하며, 모우드선택 신호(MS)가 카운트 입력측에 인가되는 프리세트 카운터(4)의 카운트 축력단자를 상기 감산기(5)의 기군 입력단자(a)에 접속한다. 이 감산기(5)의 출력단자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6) 및 선형직류증폭기(7)를 통하여 압전소자드라이버(10)의 비교정압단자(CV)에 접속함과 아울러 사인비트 출력단자(SB)를 그 압전 소자드라이버(10)의 정/역선택단자(F/R)에 접속하고, 상기 프리세트가우터(4)의 출력측을 디지탈/ 아날로그변환기(8) 및 기준전압발생기(9)를 통하여 압전소자드라이버(10)의 기준 전압단자(RV)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압전소자드라이버(10)의 인에이블단(EN) 및 리세트단자(RS)에 재생버튼 신호(PB) 및 헤드스위칭 펄스신호(HS)가 각각 인가되게 접속하며, 이 압전소자드라이버(10)의 출력측을 헤드(12)가 부착되어 있는 압전소자(12)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서치를 행할시는 원하는 배속을 얻기위하여 캡스턴 모우터를 빠른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테이프의 이송속도를 빨리하게 된다. 그리고, 캡스턴 모우터가 회전될때 그에 연동하여 캡스턴펄스 발생신호(CFG)가 발생되어 출력되고, 이 캡스턴펄스 발생신호(CFG)는 카운터(2)의 리세트단자(RS)에 리세트신호로인가되고, 이 리세트신호는 캡스턴펄스 발생신호(CFG)가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변하는 시점이나 저전위에서 조전위로 변하는 시점중 어느것을 사용해도 관계는 없다. 또 상기 캡스턴펄스 발생신호(CFG)는 래치회로(3)에 래치펄스신호로 인가된다.
한편, 클럭펄스신호(fsc)는분주기(1)에서 분주된 후 카운터(2)의 카운트입력단자에 인가되어 업(UP)카운트된다.
이와같이 카운터(2)는분주기(1)의 분주신호를 업카운트하여 출력하고, 켐스턴펄스 발생신호(CFG)에 의하여 리세트 되며, 카운터(2)에서 출력되는 카운트신호는 캡스턴펄스 발생신호(CFG)에 의한 래치펄스신호에 의해 래치회로(3)에 래치된후 감사기(5)의 비교입력단자(b)에 비교데이타로 인가된다.
또한, 재생상태(SP, LP 또는 EP)에 따른 모우드 선택신호(MS)에 의하여 프리세트카운터(4)에서 일정카운트 값이 출력되고, 이 프리세트 카운트(4)의 카운트값은 감산기(5)의 기준입력단자(a)에 기준데이타로 인가된다.
이에따라, 감산기(5)에서 감산이 행해져 출력되는데 그의 사인비트 출력단자(SB)에는 고속재생시에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저속재생시에 저전위신호가 출력되며, 이 사인비트 출력단자(SB)에서 출력된 신호는 압전소자드라이버(10)의 정/역단자(F/R)에 인가되어 압전소자(11)의 변화방향을 X축에 대해서 플러스(+)방향과 마이너스(-)방향으로 움직여야할 기준이 된다.
한편, 감산기(5)에서 감산되어 출력된 디지탈 신호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6)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직류전압으로 출력되고, 이 직류전압은 선형직류증폭기(7)에서 증폭되어 압전소자드라이버(10)의 비교전압단자(CV)에 인가되고,이 비교전압단자(CV)에 인가되는 전압(목표전암 이라함) 특성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배속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변화한다.
한편, 상기 프리세트카운트(4)의 출력데이타 신호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8)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직류전압으로 출력되고, 이 직류전압은 기준전압 발생기(9)를 통하여 압전소자 드라이버(10)의 기준 전압단자(RV)에 기준전압으로 인가된다.
그리고, 압전소자 드라이버(10)는 재생모우드로 되어 재생버튼신호(PB)가 인가된 상태에서만 인에이블 상태로 되어 구동된다.
따라서, 정속재생시에 압전소자 드라이버(10)의 기준전압단자(RV)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이 비교전압단자(CV)에 인가되는 목표전압과 동일하게 설정시켜 놓음으로써 압전소자(11)는 이동되지 않게 되어 압전소자(11)를 중앙에 위치할 수 있게된다.
또한, 배속재생시에는 상기와 같이 압전소자 드라이버(10)의 비교전압단자(CV)에 각 배속에 따른 목표전압이 인가되어 기준전압과 비교되므로 그 압전소자 드라이버(10)에서 제6(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전압이 출력되어 압전소자(11)에 인가되고, 이에따라 압전소자(11)는 상기 드라이브전압에 비례하여 플러스측 또는 마이너스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압전소자(11)의 이동변경은 헤드의 변경(A 에서 B또는 B에서 A)시점에 의해 결정되며, 즉 변경점의 기준은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헤드스위칭 펄스신호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녹화시에는 재생버튼시호(PB)가 인가되지 않아 압전소자 드라이버(10)가 구동되지 않게 되므로 압전소자(11)는 중앙에 위치라게 되고, 이에따라 녹화시에 태이프간의 호환성을 맞출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각 배속재생시에 그 배속에 비례하게 압전소자를 이동시켜 재생헤드의 각도를 조절하므로 노이즈밴드나 칼라크로스토크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되고, 이에따라 서치에 해당되는 어떠한 배속에도 노이즈가 없는 깨끗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된다.

Claims (1)

  1. 캡스턴펄스 발생신호(CFG)에 의해 리세트되고분주기(1)의 분주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트(2)의 출력측을 래치회로(3)를 통하여 감산기(5)의 비교입력단자에 접속하고, 모우드선택 신호(MS)에 따라 일정데이타 신호를 출력하는 프리세트카운터(4)의 출력측을 상기 감산기(5)의 기준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8) 및 기준전압발생기(9)를 통하여 재생버튼신호(PB)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헤드스위칭 펼스신호(HS)에 의해 리세트되는 압전소자 드라이버(19)의 기준전압단자에 접속하며, 상기 감산기(5)의 출력측을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6) 및 선형직류증폭기(7)를 통하여 압전소자 드라이버(10)의 비교정압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감산기(5)의 사인비트 출력단자를 압전소자 드라이버(10)의 정/역선택단자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무잡은 스킵서치장치.
KR2019850018422U 1985-12-31 1985-12-31 압전소자를 이용한 무잡음 스킵서치장치 KR890004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8422U KR890004236Y1 (ko) 1985-12-31 1985-12-31 압전소자를 이용한 무잡음 스킵서치장치
JP1987000045U JPS62147974U (ko) 1985-12-31 1987-01-0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8422U KR890004236Y1 (ko) 1985-12-31 1985-12-31 압전소자를 이용한 무잡음 스킵서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162U KR870011162U (ko) 1987-07-15
KR890004236Y1 true KR890004236Y1 (ko) 1989-06-26

Family

ID=1924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8422U KR890004236Y1 (ko) 1985-12-31 1985-12-31 압전소자를 이용한 무잡음 스킵서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147974U (ko)
KR (1) KR890004236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3817A (en) * 1977-10-06 1979-04-27 Sony Corp Reproducing device of video signal
JPS54137222A (en) * 1978-04-18 1979-10-24 Sony Corp Displacement control system for magnetic converter head
JPS5539480A (en) * 1978-09-14 1980-03-19 Sony Corp Video signal regenerator
JPS5624887A (en) * 1979-08-08 1981-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deo tape recorder
JPS56127924A (en) * 1980-03-13 1981-10-07 Sony Corp Tape speed detecting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162U (ko) 1987-07-15
JPS62147974U (ko) 198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0146A (en) Rotary head type magnetic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4426666A (en) Video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2278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selecting edit paints in digital audio signals recorded on a record medium
EP0194445A2 (en) Auto tracking apparatus for video tape recorder
KR100333419B1 (ko) 회전헤드형기록/재생장치
KR890004236Y1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무잡음 스킵서치장치
JPS6359079A (ja) 回転ヘツド型再生装置
JPH07122944B2 (ja) トラツキング制御方式
JPS6217433B2 (ko)
US4941061A (en) Noise-free skip search apparatus utilizing a piezo-electric element
JP267830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トラッキング検出装置
KR900005287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JPS61144703A (ja) 回転ヘッド型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S6130338B2 (ko)
JP2524492B2 (ja) 記録装置
JPS6245305Y2 (ko)
KR900001148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피씨엠 음성신호 기록재생장치
KR0139156B1 (ko) 다이나믹트래킹을 이용한 고배속재생방법
JPH0552597B2 (ko)
KR860001842B1 (ko) 자성막을 부착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드럼 및 그 제어 장치
JPS58312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63266B2 (ko)
JPS61144702A (ja) 回転ヘツド型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S6248187A (ja) 磁気信号再生装置
JPS61144704A (ja) 回転ヘツド型記録また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