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116Y1 - 젓가락 모따기 장치가 형성된 조미료통 비치구 - Google Patents

젓가락 모따기 장치가 형성된 조미료통 비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116Y1
KR890004116Y1 KR2019860000441U KR860000441U KR890004116Y1 KR 890004116 Y1 KR890004116 Y1 KR 890004116Y1 KR 2019860000441 U KR2019860000441 U KR 2019860000441U KR 860000441 U KR860000441 U KR 860000441U KR 890004116 Y1 KR890004116 Y1 KR 890004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blade
seasoning container
open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0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973U (ko
Inventor
오치돈
Original Assignee
오치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치돈 filed Critical 오치돈
Priority to KR2019860000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116Y1/ko
Publication of KR8700119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9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1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젓가락 모따기 장치가 형성된 조미료통 비치구
제 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조미료통 비치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2도는 동종 단면도.
제3도는 다른 실시예를 타타낸 상태의 요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젓가락의 모따는 장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비치구 1 : 직립봉
2 : 개구부 3 : ""형 칼날
4 : 받이판
본 고안은 주로 일반 대중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조미료통 비치구에 젓가락 모따기 장치를 형성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 음식점등에서 식음자가 음식을 주문시켜 주문된 음식물이 요리되는 동안에 미리 비치하여둔 통상의 사각주형으로 된 한쌍의 목재 젓가락을 분리한 다음 취구 부위의 사각 모서리를 서로 마찰시켜 젓가락 취구부측의 예리한 모서리를 깍아내어 사용하거나 미리 배달된 엽차잔 속에 담그어 놓고 건조된 목재 젓가락을 대충 불려서 사용하였다.
이와같이 전술한 방법중 한가지 예로는 젓가락의 마찰시 건조된 목재 재질의 특유성에 의하여 젓가락 모서리의 표면이 긁히면서 벗겨기므로 제대로 모서리가 매끈하게 깍이지 못할 뿐 아니라 먼지가 일어나게 되므로 비 위생적이며 전술한 방법중 다른 한가지예로서 젓가락을 엽차물에 담그어 놓고 불려서 사용할 경우에는 엽차물이 더러워 지므로 다시 엽차를 주문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의 식탁위에 비치된 조미료통 비치구에 모따기용 칼날을 일체로 형성케 함으로서 주문된 음식물이 요리되는 동안에 식음자 누구나 조작으로 젓가락 취구부의 모를 비치구의 칼날을 이용하여 매끈하게 깍아내어 안전하고도 위생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이를 유첨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조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금속재로된 조미료통 비치구(A)의 직립봉(1) 상부에 개구부(2)를 형성시키고 개구부(2) 하부에는 "" 형 칼날(3)을 일체로 형성토록 하며 칼날(3)하부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받이판(4)을 삽설하여서 된 구조로서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5는 손잡이, 6은 조미료통, 7은 젓가락, 8은 젓가락 취구부, 9는 칼날홈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시에는 도면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대로 식음자가 젓가락(7) 취구부(8)측을 금속재로된 비치구(A)의 직립봉(1)상부에 형성된 개구부(2)속에 빗대어 넣은 다음 한쌍으로 된 젓가락(7)의 4각의 각 모서리를 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대로 "" 형 칼날(3)면을 이용하여 돌려가면서 모서리를 예취하면 손쉽게 모서리가 매끄럽게 예취된다.
한편, 미 설명 도면 제3도는 통상의 비치구(A)가 금속재로 되어 있지 않은 예컨데, 합성수지 및 목재로 형성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구부(2) 하부에 칼날홈(9)을 형성하고 "" 형 칼날(3)을 별도로 개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작용이므로 식음자가 주문된 음식을 기다리는 동안에 간단한 동작으로 목재 젓가락의 모서리를 손쉽게 깎아내어 상술한 불편한 점을 해결하였고, 일반 대중 음식점에서 보편화되어 있는 조미료통 비치구에 간단한 구조로 형성된 칼날을 일체로 성형 내지는 대치시킨 것으므로 누구나 안전하고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통산의 금속재로된 조미료통 비치구(A)의 직립봉(1) 상부에 개구부(2)를 형성하고 개구부(2) 하부에는 "" 형 칼날(3)을 일체로 형성하며 칼날 (3) 하부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받이판(4)을 삽설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젓가락 모따기 장치가 형성된 조미료통 비치구.
KR2019860000441U 1986-01-18 1986-01-18 젓가락 모따기 장치가 형성된 조미료통 비치구 KR890004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441U KR890004116Y1 (ko) 1986-01-18 1986-01-18 젓가락 모따기 장치가 형성된 조미료통 비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441U KR890004116Y1 (ko) 1986-01-18 1986-01-18 젓가락 모따기 장치가 형성된 조미료통 비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973U KR870011973U (ko) 1987-08-01
KR890004116Y1 true KR890004116Y1 (ko) 1989-06-20

Family

ID=1924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0441U KR890004116Y1 (ko) 1986-01-18 1986-01-18 젓가락 모따기 장치가 형성된 조미료통 비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1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973U (ko) 198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5937A (en) Sanitary chopping plate structure
KR890004116Y1 (ko) 젓가락 모따기 장치가 형성된 조미료통 비치구
US20050098933A1 (en) Chopping board
GB2154428A (en) Plate or tray
US2701593A (en) Orange juicer
KR200489773Y1 (ko) 양면형 도마
KR0123454Y1 (ko) 착탈식 저장부를 가진 도마
CN216454442U (zh) 一种防滑保温功能的不锈钢碗
KR870002594Y1 (ko) 석쇠
KR102261307B1 (ko) 재료 붙음 방지용 부엌칼
KR100647478B1 (ko) 음식물용 꼬치
KR200287246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940000268Y1 (ko) 개량 전자 조리기
KR870001824Y1 (ko) 조립식 일회용 수저
JP2567252Y2 (ja) 肉、野菜等の熱変化を防止した盛付け部を有する電磁加熱プレ−ト用鍋
JP2529136Y2 (ja) 包丁立て
KR20110005353U (ko) 주방용 도마
KR200168663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394596Y1 (ko) 위생 젓가락
KR900005612Y1 (ko) 주방용품 손잡이
JPH034755U (ko)
JP3038864U (ja) 箸置き付き割り箸
JP3089854U (ja) 保温弁当箱の飯容器
KR940000272Y1 (ko) 꼬치 구이 수납용기
JP3028484U (ja) フルーツつぶ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