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454Y1 - 착탈식 저장부를 가진 도마 - Google Patents

착탈식 저장부를 가진 도마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454Y1
KR0123454Y1 KR2019960000391U KR19960000391U KR0123454Y1 KR 0123454 Y1 KR0123454 Y1 KR 0123454Y1 KR 2019960000391 U KR2019960000391 U KR 2019960000391U KR 19960000391 U KR19960000391 U KR 19960000391U KR 0123454 Y1 KR0123454 Y1 KR 0123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oard
food ingredients
removable storage
storage unit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0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8986U (ko
Inventor
박문수
Original Assignee
박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수 filed Critical 박문수
Priority to KR2019960000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454Y1/ko
Publication of KR9700489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89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4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음식재료를 다듬거나 절단하는데 사용하는 도마에 관한 것으로 다듬거나 절단할 음식재료와 다듬어지거나 절단된 음식재료를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담을 수 있도록 하고 조리할 음식재료를 취사용기에 넣는 것과 버려야할 음식재료를 버리는 것을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마 전체를 방진캡(16)이 고정된 다리(14)를 가진 도마본체(10)와, 도마본체(10)와, 도마본체(10)와 같은 높이를 가진체 깊게 파여진 요입부(22)를 가진 착탈식저장부(12)로 분리되게 형성하고, 도마본체(10)와 착탈식저장부(12)를 결합, 분리시켜줄 수 있도록 도마본체(10)와 착탈식 저장부(12)양쪽에 분해, 결합수단을 형성한 도마임.
본 고안에 의한 도마를 조리할 음식재료와 버려야할 음식재료를 분리하는 것과 취사용기에 조리한 음식 재료를 넣거나 버려야 할 음식재료를 쓰레기 봉지에 담는 것을 수월하게 하는데 적용된다.

Description

착탈식 저장부를 가진 도마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마의 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 2 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마의 착탈식 저장부가 도마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마본체 12 : 착탈식 저장부
14 : 다리 16 : 방진캡
18 : 공간부 20 : 슬로트
24 : 착탈부재 28 : 쐐기형 걸림돌기
본 고안은 채소, 양념 및 어류와 육류등의 각종 음식재료를 조리하기 위해서 다듬거나 절단하는데 사용하는 도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듬거나 절단한 각종 음식재료를 한곳에 모아둘 수 있음은 물론 다른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모아진 음식재료를 조리기구나 용기쪽으로 편리하게 옮길 수 있는 착탈식 저장부를 가진 도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마는 각종 음식재료를 칼로 다듬거나 절단하는 관계로 나무 또는 ABS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바, 종래의 도마는 단순히 편평한 장방형으로 만들어진 까닭에 다듬거나 절단한 음식재료와 다듬어지거나 절단된 음식재료를 섞이지 않도록 해주기 위해서는 도마옆에 별도로 용기를 갖다 놓고, 이 용기에 다듬어지거나 절단된 음식재료를 담았었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매우 번거로웠었다.
특히 물기가 많거나, 흐트러지기 쉽거나, 또는 취급에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 음식재료의 경우 용기에 옮겨담는 것이 쉽지 않았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인바, 본 고안의 목적은 다듬거나 절단할 음식재료와 다듬어지거나 절단된 음식재료를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담을 수 있는 저장부를 도마 본체의 일측에 착탈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저장부를 가진 도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2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마본체(10)와, 이 도마본체(10)의 일측에 결합, 분리되는 착탈식저장부(12)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마본체(10)의 저면 모서리쪽에는 다리(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다리(14)의 단부에는 방진캡(16)이 고정되어 있다.
도마본체(10)의 일측에는 나중에 설명되는 착탈식 저장부(12)가 인터록킹(inter locking)되는 공간부(18)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18)에는 도마본체(10)의 바닥쪽으로 개방된 슬로트(20)가 형성되어 있다.
착탈식 저장부(12)는 제2도에 잘 표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마본체(10)와 결합시켜 주었을 때 도마본체(10)와 같은 높이를 갖는 일종의 용기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착탈식 저장부(12)는 다듬거나 절단할 음식재료 또는 다듬어지거나 절단된 음식재료가 담겨질 수 있도록 깊게 파여진 요입부(22)를 가진 것으로서, 상기 도마본체(10)의 공간부(18)와 마주보는 쪽에는 착탈부재(24)가 돌출되어 있다.
착탈부재(24)는 착탈식저장부(12)의 일측으로 부터 길게 연장된체 굽혀진 자유단부(26)를 갖는 일종의 탄지편으로서 자유단부(26)쪽에는 상기 도마본체(10)쪽 공간부(18)의 슬로트(20)와 끼워맞춤되는 쐐기형 걸림돌기(28)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도마본체(10)와 착탈식 저장부(12)는 합성수지 성형물이고, 방진캡(16)은 도마를 사용할 때 원하지 않게 임의로 움직이는 것과 소음발생을 최소화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마찰력과 탄성을 함께 가진 고무로 만들어진 것이며, 도마본체(10)와 착탈식 저장부(12)를 결합, 분리 시켜주는 공간부(18)와 착탈부재(24)의 크기와 갯수는 도마전체의 크기를 고려하여서 설계될 수 있다.
제4도에는 본 고안에 의한 도마의 다른 실시예가 표현되어 있는데, 도마본체(10)의 한변에는 사다리꼴홈(30)을 형성하고, 착탈식저장부(12)의 한변에는 상기 사다리꼴홈(30)속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맞춤하거나 빼낼 수 있는 사다리꼴레일(32)을 형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4는 주방기구, 36은 레인지, 38은 취사용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와 제2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마본체(10)의 일측에 도마본체(10)의 윗면보다 깊게 파여진 요입부(22)를 가진 착탈식저장부(12)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마본체(10)위에서 다듬어지거나 절단 각종 음식재료를 다듬거나 절단할 음식재료와 분리되게 담기가 수월할 뿐아니라 제3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착탈식저장부(12)를 도마본체(10)로부터 분리시켜 볼 수도 있기 때문에 착탈식 저장부(12)의 요입부(22)에 담겨진 다듬어지거나 절단된 각종 음식재료를 취사용기(38)에 바로 넣을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도마는 다듬어지거나 절단된 음식재료를 다른 용기에 옮겨 담지 않고서도 또 도마본체를 취사용기(38)쪽으로 힘겹게 옮기지 않고서도 취사용기(38)속으로 바로 넣을 수 있다.
또 마늘, 양파와 같이 편평한 도마위에서 이탈될 우려가 많은 음식재료를 착탈식 저장부(12)의 요입부(22)쪽에 담은후 요입부(22)에 담겨진 음식재료를 도마본체(10) 위에서 다지거나 자를수도 있고, 음식으로 만들기 위해서 자르거나 손질할 때 물기가 많이 나오고 버릴 부위가 비교적 많이 나오는 어류와 같은 음식재료의 경우는 버릴 부위를 착탈식 저장부(12)의 요입부(22)쪽으로 모은 다음 착탈식 저장부(12)를 도마본체(10)를 분리시켜서 쓰레기 봉지에 쉽게 담을 수도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방진캡(16)이 고정된 다리(14)를 가진 도마본체(10)의 일측에는 도마본체(10)의 바닥쪽으로 개방된 슬로트(20)를 포함하는 공간부(18)를 형성하고, 도마본체(10)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있으며 도마본체(10)의 윗면보다 깊게 파여진 요입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자유단부(26)쪽에 쐐기형 걸림돌기(28)를 가진 착탈부재(24)가 일측에 연장된 착탈식저장부(12)를 상기 도마본체(10)와 결합,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저장부를 가진 도마.
  2. 제1항에 있어서, 도마본체(10)의 한변에는 사다리꼴홈(30)을 형성하고, 착탈식저장부(12)의 한변에는 사다리꼴레일(32)을 형성시켜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저장부를 가진 도마.
KR2019960000391U 1996-01-13 1996-01-13 착탈식 저장부를 가진 도마 KR0123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391U KR0123454Y1 (ko) 1996-01-13 1996-01-13 착탈식 저장부를 가진 도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391U KR0123454Y1 (ko) 1996-01-13 1996-01-13 착탈식 저장부를 가진 도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986U KR970048986U (ko) 1997-08-12
KR0123454Y1 true KR0123454Y1 (ko) 1998-09-15

Family

ID=1944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0391U KR0123454Y1 (ko) 1996-01-13 1996-01-13 착탈식 저장부를 가진 도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4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762B1 (ko) * 2010-11-25 2013-04-05 박귀자 도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941B1 (ko) * 2011-09-08 2012-01-25 장종원 다목적 위생 도마 받침대
KR101875690B1 (ko) * 2016-05-18 2018-07-06 이정미 다기능 도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762B1 (ko) * 2010-11-25 2013-04-05 박귀자 도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986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6675B1 (en) Cuttingboard
US4041964A (en) Kitchen cuttingboard
US5485937A (en) Sanitary chopping plate structure
US7322573B1 (en) Apparatus designed for fileting of fish
USD255974S (en) Detachable finger guard for a knife blade
US6142332A (en) Container lid and cutting board apparatus
CA2035835A1 (en) Holder for a grater or the like
KR0123454Y1 (ko) 착탈식 저장부를 가진 도마
CA1164776A (en) Kitchen implement
US20050098933A1 (en) Chopping board
USD384249S (en) Combination knife and chopstick eating utensil
EP0335657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hopping boards
KR960004076Y1 (ko) 주방용 서랍식 칼 도마
KR100594488B1 (ko) 주방용 도마
KR200489773Y1 (ko) 양면형 도마
KR200300214Y1 (ko) 주방용 도마
US3964602A (en) Multi-purpose receptacle
JP3041253U (ja) ホルダー付きまな板およびまな板ホルダー
KR200166057Y1 (ko) 보조도마가 구비된 도마
JPS5913947Y2 (ja) 野菜調理器
GB2447010A (en) Chopping board assembly
KR200189246Y1 (ko) 포기김치용 컷팅장치
KR920001518Y1 (ko) 야외용 도마
JP3070910U (ja) 俎 板
KR200227093Y1 (ko) 마늘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