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072Y1 - 디지탈식 전원 공급회로 - Google Patents

디지탈식 전원 공급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072Y1
KR890004072Y1 KR2019860010975U KR860010975U KR890004072Y1 KR 890004072 Y1 KR890004072 Y1 KR 890004072Y1 KR 2019860010975 U KR2019860010975 U KR 2019860010975U KR 860010975 U KR860010975 U KR 860010975U KR 890004072 Y1 KR890004072 Y1 KR 890004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oltage
counter
regula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0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509U (ko
Inventor
조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0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072Y1/ko
Publication of KR8800035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5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0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식 전원 공급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3 : 정류뷰 4 : 디멀티플렉서
5 : 카운터 A1: 앤드게이트
RE1-RE16: 레규레이터 S1: 절환스위치
Q1-Q16: 트랜지스터 R1R17: 저항
C : 콘덴서 T : 트랜스
본 고안은 각각의 레규레이터의 직류 전압을 스위치로 선택할 수 있게 한 디지탈식 전원 공급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파우어 서플라이(POWER-SUPPLY)는 슬라이드식 가변 저항으로 원하는 직류전압을 선택하기 때문에 필요한 직류 전압을 얻기 위하여는 일일이 출력전압을 확인하여 조정하여야만 되는 것으로 항상일정한 다수개의 전원전원만 사용하는 곳에서는 사용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다수개의 레규레이터에서 정확한 직류 전압이 출력되게 구성한후 절환스위치 및 카운터로써 원하는 직류 전압이 선택되어 출력되게 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 시킬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절환스위치 및 카운터의 출력으로 디멀티플렉서를 구동시켜 레규레이터와 연결된 트랜지스터가 선택되어 원하는 직류전압이 출력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교류전원(AC)이 인가되는 트랜스(T)에 2차측에 브릿지 다이오드로 구성된 정류부(2)(3)에서 각각 정류된 양(+) 및 음(-)의 직류전원이 출력되어 각각의 레규레이터(RE1-RE16)에 인가되게하고 레규레이터(RE1-RE16)에서는 원하는 다수개의 직류 전압이 공급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각각의 레규레이터(RE1-RE16)의 출력측에 트랜지스터(Q1-Q16)을 구성시키되 NPN트랜지스터(Q1)와 PNP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공접되게 구성시키고 동일하게 각각의 트랜지스터(Q3)(Q4), (Q5)(Q6)……(Q15)(Q16)의 베이스측도 공접시켜 디멀티플렉서(4)의 출력단자(T1-T8)와 연결되게 구성시킨후 카운터(5)의 출력과 절환스위치(S1)에 의하여 선택되는 디멀티 플렉서(4)의 출력단자(T1-T8)출력으로 트랜지스터(Q1-Q16)의 구동을 제어하여 레규레이터(RE1-RE16)의 전압이 평활용 콘덴서(C)를 통한후 단자(1)로 출력되게 구성시킨 것이다.
이때 카운터(5)의 입력단(IN)에는 DN전압선택 스위치가 연결되고 입력단(CK)에는 클럭신호가 인가되며 프리셋트단자(PR)에는 카운터(5)의 출력측에 연결된 앤드게이트(A1)의 출력이 인가되게 구성한다.
즉 카운터(5)는 입력단(IN)의 DC전압 선택스위치의 누름에 따라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출력단자(C,1C2, C3)로 출력시키며 이러한 카운터(5)의 출력은 디멀티 플렉서(4)에 인가되어 출력단자(T1-T8)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출력단자의 출력레벨은 절환스위치(S1)의 절환에 따라 선택되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교류전원(AC)이 트랜스(T)의 2차측에 유기되면 브릿지 다이오드로 구성된 정류부(2)에서는 양(+)의 전원이 출력되고 정류부(3)에서는 음(-)의 전원이 출력되어 각각의 레규레이터(RE1-RE16)에 인가되게 된다.
이때 레규레이터(RE1-RE16)에는 미리 설정된 전압이 한쌍씩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예를들어 +RE1에는 +2.5V의 정전압이 출력되고, -RE9에는 -2.5V의 정전압이 출력되는 것과 같음)레규레이터(+RE1, -RE9)에서는 전압은 같고 그 부호가 다른 전압이 출력되게 되며 레규레이터(+RE2, -RE10)도 전압은 같고 부호만 다르게 출력되며 그 이외의 레규레이터도 같다.
즉 레규레이터(+RE1, -RE8)는 8개의 서로 다른(+)정전압을 출력시키고 레규레이터(-RE9, -RE16)는 상기 레규레이터(+RE1, -RE8)와 전압은 같으나 부호가(-)인 정전압을 출력시키게 된다.
그리고 레규레이터(RE1-RE16)에서 출력되는 한쌍의 출력전압(+)(-)은 베이스가 공접된 각각의 트랜지스터(Q1)(Q2), (Q3)(Q4) ……(Q15)(Q16)의 콜렉터측으로 출력되도록 한 후 각각의 트랜지스터(Q1-Q16)의 베이스 측은 디멀트플렉서(4)의 출력단자(T1-T8)와 연결시켜 디멀티플렉서(4)의 출력단자(T1-T8)의 상태 신호에 따라 평활용 콘덴서(C) 및 저항(R17)을 통하여 단자(1)로 출력되는 출력전압이 선택되게 된다.
이때 디멀티플렉서(4)의 출력단자(T1-T8)선택은 카운터(5)의 카운터 출력에 의하여 선택되며 이때에 출력레벨은 절환스위치(S1)에 의하여 선택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선택과정을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디멀티 플렉서(4)는 카운터(5)의 출력단자(C1, C2, C3)로 출력되는 카운트값에 따라 출력단자(T1-T8)중 하나가 선택되게 되며 이때 선택된 출력단자(T1-T8)중 한곳에는 절환스위치(S1)가 전원(B+)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경우에는 H레벨이 출력되고 절환스위치(S1)가 접지 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경우에는 L레벨이 출력되게 된다.
즉 디멀티플렉서(4)는 카운터(5)의 출력에 의하여 출력단자(T1-T8)중 한곳을 선택한 후 선택된 출력단자로 절환스위치(S1)의 절환에 의한 전압 레벨을 출력시키게 된다.
그리고 디멀티플렉서(4)의 출력단자(T1-T8)를 선택하는 카운터(5)는 입력단(IN)에 연결된 DC전압 선택스위치를 누름에 따라 입력단(CK)으로 인가되는 클럭신호를 카운트하여 출력단자(C1, C2, C3)로 출력시키는 것으로 입력단(IN)에 연결된 DC전압 선택 스위치의 누른 횟수를 카운트 하는 것이다.
이때 카운터(5)의 출력단자(C1, C2, C3)가 모두 "1"로 출력될때 앤드게이트(A1)를 통하여 카운터(5)를 프리셋트시키게 된다.
따라서 카운터(5)의 카운트 출력에 따라 디멀티플렉서(4)의 출력단자(T1-T8)가 선택되고 선택된 출력단자로는 절환스위치(S1)로 선택된 전압레벨이 출력되게 되는 것이다.
즉, 절환스위치(S1)를 전압(B+)위치로 절환시킨 상태에서 카운터(5)의 출력단자(C1-C3)로 각각 C1=0, C2=0, C3=1의 카운트 출력 신호가 디멀티플렉서(4)에 인가되면 카운터(5)의 출력(C1=0, C2=0, C3=1)에 의해 출력단자(T2)가 선택되고 절환스위치(S1)를 전원(B+)으로 절환시킴에 의해 H레벨 신호(+5V)가 출력되며 출력단자(T2)의 H레벨신호는 트랜지스터(Q3)(Q4)의 베이스측에 인가되므로 PNP트랜지스터(Q4)는 차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NPN트랜지스터(Q3)는 도통되어 레규레이터(+RE2)의 전압이 단자(1)로 출력되게 된다.
그러나 카운터(5)의 출력이 C1=0, C2=0, C3=1인 상태가 인가되어도 절환스위치(S1)가 접지에 접속된 상태가 되면 출력단자(T2)로 L레벨신호(0V)가 출력되므로 NPN트랜지스터(Q3)는 차단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PNP트랜지스터(Q4)가 도통되어 레규레이터(-RE10)의 전압이 단자(1)로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절환스위치(S1)를 전원(B+)위치로 절환시킨후 카운터(5)의 입력단(IN)에 연결된 PC전압 선택스위치를 누름에 따라 카운터(5)의 출력이 변하여 디멀티 플렉서(4)의 출력단자(T1-T8)출력을 선택하므로 트랜지스터(Q1)(Q3)(Q5)(Q7)(Q9)(Q11)(Q13)(Q15)가 순차적으로 구동되어 레규레이터(+RE1-+RE8)의 양(+)정전압이 단자(1)로 출력되게 되며 절환스위치(S1)를접지 위치로 절환시킨후 카운터(5)의 입력단(IN)에 연결된 DC전압 선택스위치를 누름에 따라 카운터(5)의 출력이 변하여 디멀티플렉서(4)의 출력단자(T1-T8)출력을 선택하므로 트랜지스터(Q2)(Q4)(Q6)(Q8)(Q10)(Q12)(Q14)(Q16)가 순차적으로 구동되어 레규레이터(-RE9--RE16)의 음(-)정전압이 단자(1)로 출력되게 된다.
이때 카운터(5)의 출력단자(C1, C2, C3)에서 모두 "1"이 출력될때에는 앤드게이트(A1)의 출력이 1로 되어 카운터(5)의 프리셋트단자(PR)에 인가되므로 카운터(5)를 초기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각각의 직류 정전압이 설정된 레규레이터(RE1-RE16)의 직류전압을 카운터(5)의 카운트 값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레규레이터의 양(+)전원 및 음(-)전원은 절환스위치(S1)로 선택하여 출력시키도록 한 것으로써 종래에 슬라이드식 가변 저항으로 미세하게 조정하기 어려운 전압을 정확한 디지탈 방식으로 얻을수가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 시킬 수가 있는 동시에 간단하게 원하는 전압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정류부(2)(3)에서 (+)(-)전원이 공급되고 각기 다른 전압을 출력시키는 레규레이터(RE1-RE16)와, 상기 레규레이터(RE1-RE16)의 출력 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고 베이스가 공접된 트랜지스터(Q1-Q16)와, 상기 트랜지스터(Q1-Q16)의 구동을 제어하고 입력단(IN)의 DC전압 선택스위치의 누름을 카운트한 카운터(5)의 카운트 출력으로 출력단자(T1-T8)가 선택되며 절환스위치(S1)에 의해 상기 출력단자(T1-T8)의 전압레벨이 선택되는 디멀티플렉서(4)로 구성된 디지탈식 전원 공급회로.
KR2019860010975U 1986-07-24 1986-07-24 디지탈식 전원 공급회로 KR890004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0975U KR890004072Y1 (ko) 1986-07-24 1986-07-24 디지탈식 전원 공급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0975U KR890004072Y1 (ko) 1986-07-24 1986-07-24 디지탈식 전원 공급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509U KR880003509U (ko) 1988-04-13
KR890004072Y1 true KR890004072Y1 (ko) 1989-06-17

Family

ID=1925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0975U KR890004072Y1 (ko) 1986-07-24 1986-07-24 디지탈식 전원 공급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0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509U (ko) 198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2322A (en) Transistor rectifier
KR100289211B1 (ko) 전원 회로
US4220826A (en) Ringing generator
US4198629A (en) Numerical display using plural light sources and having a reduced and substantially constant current requirement
KR890004072Y1 (ko) 디지탈식 전원 공급회로
US4201039A (en) Numerical display using plural light sources and having a reduced and substantially constant current requirement
GB1476150A (en) Transistor bridge-rectifier circuit
JP2797461B2 (ja) 発光素子の駆動回路
JP2605397B2 (ja) 多出力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起動回路
JPS635436Y2 (ko)
KR890003163Y1 (ko) 출력전압 안정화회로
JPS5836234Y2 (ja) スイツチングレギユレ−タ
KR900010460Y1 (ko) 전력공급기의 제어회로전용 전원회로
KR960003739Y1 (ko)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SU138145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еобразован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в пульсирующий со стабилизацией средней составл ющей
KR960003441B1 (ko) 액정 디스플레이(lcd) 구동회로
KR930003739Y1 (ko) Ac/dc 전원 분리회로
KR900001911Y1 (ko)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레귤레이터 회로
KR870001201Y1 (ko) 전원전압 자동 절환회로
US3950692A (en) Method and device for d.c. voltage regulation across load
KR850002271Y1 (ko) 보조전원회로의 정류전압 자동절환스위치 회로
JP3029728B2 (ja) ランプ点灯回路
KR910005429Y1 (ko) 파우어 스위치의 자동 구동회로
KR850001670Y1 (ko) 전자동조튜너의 밴드절환 전압공급회로
KR900001902Y1 (ko)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전원 전환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