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902Y1 -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전원 전환회로 - Google Patents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전원 전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902Y1
KR900001902Y1 KR2019870013541U KR870013541U KR900001902Y1 KR 900001902 Y1 KR900001902 Y1 KR 900001902Y1 KR 2019870013541 U KR2019870013541 U KR 2019870013541U KR 870013541 U KR870013541 U KR 870013541U KR 900001902 Y1 KR900001902 Y1 KR 900001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iode
power
transisto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751U (ko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3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902Y1/ko
Publication of KR8900057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7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902Y1/ko

Links

Landscapes

  • Rect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전원 전환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공급부 20 : 입력 전압 자동전환회로
30 : 스위칭 콘트롤회로 TC : 트라이악
BD : 브릿지 다이오드 OP : 비교기
ZD1-ZD4: 제너다이오드 Q1-Q3: 트랜지스터
D1-D13: 다이오드 R1-R21: 저항
C1-C17: 콘덴서 3 : 주파수 제어부
본 고안은 스위칭 파워서플라이에 공급되는 115V 및 230V의 전원을 자동으로 절환시키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 사용되고 있는 전원전환 회로는 셀렉터 스위치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절환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위에 의하여 입력 전원을 잘못 선택시키는 경우에는 사용 전원이 상이하여 기기에 손상을 주게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서로 상용 전원이 상이한 지역에서도 셀렉터 스위치의 전환없이 상용 입력전원이 따라 자동으로 절환시킬 수 있게 하여 부주위에 의한 사고를 방지시킬 수 있는 전원전환 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전원 공급구에 인가되는 전원을 분배시켜 비교기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트라이악과 연결된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회로가 전환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전원공급부(10)는 트랜스(T)에 저항(R1-R5), 다이오드(D5), 콘덴서(C3-C4)가 연결되어 브릿지 다이오드(BD) 및 평활용 콘덴서(C2)를 통하여 필터용 코일(L1)과 연결되게 구성하여 전원 입력단자(ㄱ-ㄷ)에 접속되게 구성시킨다.
그리고 전원공급부(10)에서 다이오드(D6)(D7) 및 콘덴서(C8)를 통하여 연결된 노우드점(A)에는 저항(R4)(R5)(R6)(R7)을 통하여 제너다이오드(ZD1)(ZD2)가 접속되게 구성시킨 후 저항(R8)을 통하여 궤환저항(R12)과 연결된 비교기(OP)의 비반전단자(+)에 접속되게 하여 기준 전압이 인가되게 구성시키고 노우드점(D)에 저항(R9-R11)을 통하여 비교기(OP)의 반전단자(-)에 비교 전압이 인가되게 구성시키어 후단에 제너다이오드(ZD3)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측이 연결되게 구성시킨다.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측은 트랜스(T1)에 연결된 다이오드(D12)가 저항(R14-R16)을 통하여 연결되게 구성시킨후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측이 콘덴서(C7) 및 저항(R3)을 통하여 트라이악(TC)과 병렬로 연결되게 구성시켜 입력전압 자동전환회로(20)가 구성되게 한다.
또한 스위칭 콘트를 회로(30)는 트랜스(T1)에 다이오드(D13), 제너다이오드(ZD4), 콘덴서(C13-C17)를 통하여 상호 역구동하는 트랜지스터(Q1)(Q2)가 연결되게 구성시킨 후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측에 주파수 제어부(3)를 구성시켜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입력전압 자동전환회로(20)의 트라이악(TC)이 턴온 상태에서는 115V 의 교류 입력전압을 사용하고 트라이악(TC)의 턴오프 상태에서는 230V의 교류입력전압을 사용하게 된다.
즉, 트랜스(T1)에 유기된 115V의 교류전압이 공급되면 저항(R1-R4), 콘덴서(C1-C5), 브릿지다이오드를 통하여 공급된 입력 전압은 콘덴서(C1) 및 코일(L1)로 구성된 필터를 다이오드(D6) 및 콘덴서(C8)를 통하여 정류된 직류전압이 노우스점(A)에 나타난다.
이 전압은 저항(R4)(R5) 및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하여 제너다이오드(ZD1)의 일정한 설정 전압을 노우드점(B)으로 출력 비교기(OP)의 공급전원(Vcc)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저항(R6)(R7)으로 분배된 후 제너다이오드(ZD2)를 통하여 제너다이오드(ZD2)의 설정전압(노우드점 C)은 비교기(OP)의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으로 공급된다.
콘덴서(C8)는 리플제거용이고 노우드점의 전위는 A>B>C이다.
또한 전원공급부(10)의 필터코일(L1)을 통한 교류전원은 다이오드(D7) 및 콘덴서(C10)에 의하여 정류된 직류 전압이 노우드점(C)에 나타나고 이 전압이 저항(R9)(R10)(R11)에 의하여 분배되어 비교기(OP)의 반전단자(-)에 비교전압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교류입력 전압이 115V인 경우는 비교기(OP)의 비반전 입력이 반전 입력보다 「H레벨」이 되도록 저항(R9-R11) 및 제너다이오드(ZD2)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비교기(OP)의 「H레벨」신호가 발생된다.
여기서 저항(R12)은 궤환용이다.
이 「H레벨」 신호가 저항(R13) 및 제너다이오드(ZD3)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측에 인가되고, 트랜스(T1)에 나타낸 노우드점(E)의 교류전압은 다이오드(D12) 및 평활용 콘덴서(C12)를 통하여 음의 직류전원으로 노우드점(F)에 나타나며 이 음의 전원이 저항(R15)(R16)으로 분배되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측에 가해지므로 트랜지스터(Q3)는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어 턴온하게 된다.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면 콜렉터측에 연결된 저항(R3)에 전압 강하가 발생되어 트라아악(TC)의 게이트측에 양의 직류 전압이 가해져 트라이악(TC)이 턴온되어 노우드점(G)(H)에 연결된 회로를 구성하게 되어 115V용 교류전원은 트랜스(T1)에서 입력단자(ㄱ)(ㄴ)로 공급하게된다.
또한 230V의 교류입력 전원이 트랜스(T1)에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되나 비교기(OP)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비교 전압이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보다 높게 되므로 비교기(OP)의 출력은 「L레벨」 상태가 되어 제너다이오드(ZD3)가 차단상태를 유지하므로 트랜지스터(Q3)는 오프된 상태가 된다.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트라이악(TC)이 턴오프됨으로 노우드점(G)(H)이 서로 분리되어 이때에는 교류전원 230V의 전용회로로 자동 전환된다.
여기서 스위칭 콘트롤 회로(30)는 트랜스(T1)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스위칭시켜 교류입력단자(ㄱ-ㄷ)로 전원을 공급시키는 것으로 저항(R17-R21)으로 분배된 전압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1)(Q2)로써 스위칭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원공급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분배시켜 비교기에 공급되게 함으로써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트라이악을 제어하여 인가되는 상용 전원에 따라 회로가 전환되게한 것으로 115V 및 230V로 상용전원이 서로 상이한 지역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트랜스(T1)를 통하여 연결된 전원공급부(10)와 스위칭 콘트롤 회로(30) 사이에 입력전압 자동전환회로(20)를 구성시키되 다이오드(D6)(D7)를 통하여 연결된 노우드점(A)에 저항(R4-R8) 및 제너다이오드(ZD1)(ZD2)를 통하여 비교기(OP)의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이 인가되게 구성시키고 노우드점(D)에 저항(R9-R12)으로 분배되는 비교전압이 반전단자(-)에 인가되게 구성시킨후 제너다이오드(ZD3)를 통하여 에미터측이 저항(R14-R16) 및 다이오드(D12)와 연결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측이 연결되게 구성시키며 콜렉터 측에 콘덴서(C7) 및 저항(R3)을 통하여 트라이악(TC)의 게이트에 연결되게 구성시킨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전원전환회로.
KR2019870013541U 1987-08-12 1987-08-12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전원 전환회로 KR900001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541U KR900001902Y1 (ko) 1987-08-12 1987-08-12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전원 전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541U KR900001902Y1 (ko) 1987-08-12 1987-08-12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전원 전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751U KR890005751U (ko) 1989-04-21
KR900001902Y1 true KR900001902Y1 (ko) 1990-03-10

Family

ID=1926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541U KR900001902Y1 (ko) 1987-08-12 1987-08-12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전원 전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9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751U (ko) 198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6634A (en) Start-up circuit for switch mode power supply
EP0556116A2 (en) Circuit for compensating for output of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cooker
KR900001902Y1 (ko)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 전원 전환회로
JP2797461B2 (ja) 発光素子の駆動回路
US4672367A (en) Optical indicator device
JP2763125B2 (ja) 交流電圧から直流電圧を得る回路配置
KR840001051Y1 (ko) 전압 자동 조절회로
KR930007550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JP2533115Y2 (ja) 電源装置
KR870001301Y1 (ko) 전원전압절환회로
KR850000211Y1 (ko) 원격 제어 기기의 단일 전원스위치 회로
KR880000771Y1 (ko) 자동 전압 전환회로(自動電壓轉換回路)
KR880000822Y1 (ko) 칼라 브라운관 소자회로
JP2978071B2 (ja) 電気掃除機の制御回路装置
KR0127531Y1 (ko) Ac 110v/220v 자동변환회로
KR900010460Y1 (ko) 전력공급기의 제어회로전용 전원회로
KR900009237Y1 (ko) Smps회로의 상용입력 자동선택회로
KR900000231B1 (ko) 장시간 타이머회로
KR900002169Y1 (ko) 조광 제어회로
KR960003739Y1 (ko)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KR880000772Y1 (ko) 발열체의 전력 제어회로(發熱體의 電力制御回路)
CA1081322A (en) Emitter follower voltage controlled power supply
KR900002818Y1 (ko) 전자조리기의 전원 안정화 회로
KR840000992Y1 (ko) 전원전압 자동 절환회로
KR970001897Y1 (ko) 220v 전원 공급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