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847Y1 - 유모차의 좌석 연장부재 - Google Patents

유모차의 좌석 연장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847Y1
KR890003847Y1 KR2019850008236U KR850008236U KR890003847Y1 KR 890003847 Y1 KR890003847 Y1 KR 890003847Y1 KR 2019850008236 U KR2019850008236 U KR 2019850008236U KR 850008236 U KR850008236 U KR 850008236U KR 890003847 Y1 KR890003847 Y1 KR 890003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extension member
baby carriage
seat extens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8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562U (ko
Inventor
겐조우 갓사이
Original Assignee
아프리까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까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filed Critical 아프리까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15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5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8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62B7/12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from seat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8Auxiliary dismountable seats ; Additional platforms for children in standing-up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모차의 좌석 연장부재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의한 좌석 연장 부재를 유모차의 좌석 일부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좌석 연장 부재가 부착된 유모차의 측면도.
제3도는 좌석 연장 부재의 하부벽에 삽입되는 코어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해도.
제4도는 좌석 연장 부재의 프레임의 후방 단부가 어떻게 핸드레일에 부착되는가를 도시한 일부 단면 평면도.
제5도는 동일한 핸드레일을 사용하여 어떻게 몸통 보호대를 부착하는가를 도시한 일부 단면 평면도.
제6도는 제2도에 도시된 유모차로부터 좌석 연장부재를 제거하므로써 유모차의 좌석이 의자 형태로 변화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7도는 제2도 및 제6도에 도시된 유모차에 사용되는 인출 링크와 그 관련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석 연장 부재 2 : 좌석
3 : 핸드 레일 5 : 프레임
6a, 6b, 6c : 절첩식 연결부 8 : 전방벽
9, 10 : 좌, 우측 측벽 11 : 좌석면
12 : 하부벽 13a, 13b : 코어
14 : 개구부 16 : 몸통 보호대
18 : 맨드릴 20 : 부착 블럭
22 : 인출링크 27 : 폭넓은 벨트
29 : 주 레버 32 : 등받이
33 : 푸쉬로드
본 고안은 유모차의 좌석 연장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석의 전방에 연결되어 그 좌석을 침대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는 좌석 연장 부재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의 좌석을 전방으로 연장시키는 구성은 일본국 특허공고 소 58-32067호 (대응 미합중국 특허 제4, 411, 42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는 좌석 연장 부재를 구비하며,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인출하므로써 좌석 연장 어 있다. 상기 좌석 연장부는 좌석을 침대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매우 효과적이다. 즉, 좌석 연장부는 침대의 수평 부분의 한 단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좌석연장부를 갖는 좌석은 시트 표면을 손쉬운 작업에 의해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비록 상기 형태의 좌석을 필요에 따라 간단한 형태의 침대로 변호아시킬 수도 있지만, 이는 소위 "상자형"좌석의 경우보다 유아에 대한 거주성 및 안전성 면에서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상자형 좌석은 완전한 상자형이고, 그안에 눕혀진 유아는 상방의 벽으로 완전히 둘러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좌석안에서 어린이가 심하게 움직일지라도 대부분의 경우에 침대밖으로 떨어질 위험성이 없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형태의 좌석에서는 유모차를 침대형태로 변화시키면, 침대의 표면을 넓고 수평으로 형성 할 수는 있지만 어린이의 발둘레의 침대 영역이 개방된 채로 이루어지므로, 안전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확실하다.
또한, 상기에 언급한 형태의 시트를 침대 형태로 변화시킬때, 시트 연장부의 상부면과 본래 시트의 시트면 사이의 높이가 높거나 낮아지는 차이가 발생된다. 이러한 높이의 차는 어린이에게 가해지는 촉감을 나쁘게 하고, 이는 가능한한 적도록 하여야만 한다.
본 고안은 상기에 언급한 간단한 형태부 침채형태로 변화될 수 있는 좌석 고유의 문제점, 즉 소위 상자형 좌석보다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유모차 본래의 좌석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좌석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마련된 좌석 연장 부재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좌석 연장 부재는 제거 가능한 동시에 필요에 따라 유모차의 시트에 부착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U자형 형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며, 그 후방단부는 유모창의 좌석 양측면상에 설치된 한쌍의 핸드레일의 전방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방벽과 좌측 및 우측 측벽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각 벽의 상부면은 상기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며, 바닥벽은 전방벽과 두 측벽의 하부면에 연결된 동시에 좌석의 시트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연장된다.
본 고안의 좌석 연장 부재를 한쌍의 핸드레일을 사용하여 부착시킬때, 전방벽과 좌측 및 우측 측벽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를 본래의 좌석 부분과 결합시켰을때 그외주변이 밀폐되는 소위 "상자형"형태의 좌석으로 할 수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유모차의 좌석으로부터 분리 하여 취급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좌석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좌석 연장 부재를 마련하고 있다. 이 좌석연장부재에는 전방벽과 좌측 및 우측 측벽 그리고 하부벽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를 눕혀진 상태로 좌석과 결합시켰을때 좌석을 거의 완전한 상자형 침대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좌석 연장 부재의 하부벽이 좌석의 좌석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연장되기 때문에 좌석 연장 부재와 본래의 좌석 사이의 높이의 차 또는 간격의 형성을 방지하여 어린이에게 안락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좌석 연장부재는 유모차 몸체와는 별도로 유모차의 한 부품으로써 팔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좌석 연장 부재 자체에 대한 유모차 소비자의 요구를 부가시키므로써, 긍극적으로는 유모차에 본래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는 구성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즉, 유모차의 좌석의 좌석 표면에 적지 않은 쿠션력을 갖기를 원하는 소비자를 위해서는 이러한 좌석 연장 부재를 준비하는 경우에 그 하부벽이 쿠션력을 갖는 좌석 연장 부재를 사용하므로써 이러한 요구를 완전히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좌석 연장 부재를 유모차의 몸체로 부터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이 더럽혀졌을 경우에 쉽게 세척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형상, 특징 및 장점등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가 유모차 본래의 시트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완성된 유모차의 측면도로써, 제1도에 도시된 좌석 연장부재(1)가 이에 부착되어 있으며 유모차의 좌석(2)이 침대 형태로 변화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좌석 연장 부재(1)는 프레임(5)으로 구성되고, 프레임의 후방단부(4)는 유모차의 좌석(2)의 양측면상에 설치된 한쌍의 핸드레일의 전방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부착상태에서, 프레임(5)은 U자형으로 거의 수평으로 연장 된다. 프레임(5)은 절첩식 연결부(6a, 6b, 6c)를 포함한다. 이러한 절첩식 연결부가 (6a, 6b, 6c)에 의해 좌측 및 우측 측면(7a, 7b)이 서로에 대하여 가까이 이동되어지는 방법에 의해 U혀 프레임을 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절첩식인 제2도의 유모차의 절첩 운동이 유모차의 절첩 운동이 유모차의 폭방향의 수축 운동을 포함하므로 한쌍의 핸드레일(3)이 둘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전방벽(8)과 좌측 및 우측 측벽(9, 10)은 프레임(5)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그 상변은 프레임(5)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벽(12)은 전방벽(8)과 좌측 및 우측 측벽(9, 10)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좌석(2)의 좌석면(11)의 적어도 전방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연장된다.
전방벽(8)과 좌측 및 우측 측벽 (9, 10) 그리고 하부벽(12)은 적절한 천으로 뀀매진다. 제2도에 의하면, 좌석 연장 부재(1)와 좌석(2)의 보이는 쪽 면의 벽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전방벽(8)과 하부벽(12)안에 적절한 "강성"을 마련하기 위하여 적절한 코어를삽입할 수 있다. 제3도에 의하면, 하부벽(12)안에 코어를 삽입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종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코어(13a, 13b)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두 코어(13a, 13b)사이에 절첩 영역이 형성된다. 이는 유모차를 접는 동안에 발생되는 횡방향의 수축을 수용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유아의 몸무게를 지지하는 표면으로써 작용하는 하부벽(12)은 필요에 따라 그안에 쿠션 재료를 삽입할 수도 있다.
제2도에 의하면, 하부벽(12)은 침대 형태로 눕혀진 좌석(2)의 좌석면(11)의 후방단부에 닿을만큼 길지않다. 이는 그 크기가 너무 증가되지 않도록 좌석 연장 부재의 취급을 손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하부벽(12)은 좌석(2)의 좌석면(11)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후방 으로 보다 연장시킬 수도 있다.
프레임(5)의 후방단부(4)는 핸드 레일(3)안에 형성된 전방 개구부(14)안에 삽입되고 이에 고정된다.
제4도에는 후방 단부(4)와 핸드 레일(3)간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으며 핸드 레일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도 및 제4도에 의하면, 프레임(5)의 후방단부(4)는 핸드 레일(3)의 개구부(14)에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부착편(15)이 끼워져서 프레임(5)이 핸드레일(3)에 고정된다. 부착편(15)은 필요에 따라 빼낼 수 있어서 프레임(5)을 손으로 핸드 레일(3)로부터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핸드 레일(3)의 개구부(14)는 제5도의 몸통 보호대(16)를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몸통 보호대(16)는 유모차의 좌석(2)을 의자 형태로 변화시킬때 좌석 연장부를 제거하는 경우에 좌석 연장 부재(1) 대신에 핸드레일(3)사이에 부착된다. 몸통 보호대(16)는 맨드릴(18)로 구성되고, 이 맨드릴은 유모차를 접음에 따라 접혀질 수 있도록 절첩부(17a, 17b)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맨드릴은 탄성커버(19)로 덮혀진다. 맨드릴(18)의 각 단부는 피버트핀(21)에 의하여 부착블럭(2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부착블럭(20)은 프레임(5)의 후방단부(4)와 같은 외부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프레임(5)을 핸드레일(3)로 부터 끄집어낸 연후에 부착블럭(20)을 개구부(14)내에 대신 삽입할 수 있으며 부착핀(15)에 의해 그안에 고정된다.
또한, 개구부(14)는 핸드레일(3)의 전방 표면으로부터 내부측면까지 연장된 상태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몸통 보호대(16)의 맨드릴(18)은 핸드레일(3)의 내부 측면으로 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핸드레일(3)에 몸통 보호대(16)를 부착시키는 다른 방법으로는 부착 블럭(20)을 사용하지 않고 맨드릴(18)의 단부를 통해 직접 부착핀(15)을 통과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석 연장 부재(1)가 부착될때, 밑으로부터 하부벽(12)을 지지하는데 보조할 수 있도록 제2도에 도시된 인출 링크(22)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인출 링크(22)와 관련된 구조는 제7도에서 사시도써 도시되어 있다.
인출 링크(22)는 한쌍으로 마련되고, 유모차의 몸체안에 마련된 한쌍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부재(23)안에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다. 파이프 부재(23) 사이에는 절첩식 폭방향 연결 로드(24)와 제 1폭방향 연결 벨트(25)가 연결된다. 또한 제2폭방향 연결벨트(26)는 인출 링크(22)의 전방 단부 사이에 연결된다. 파이프 부재(23) 사이에 평행하게 폭넓은 벨트(27)가 설치되고, 이는 폭방향 연결 로드(24)와 제1 및 제2 폭방향 연결벨트(25, 26)를 상호 연결한다.
폭방향 연결로드(24)와 제1 및 제2폭방향 연결벨트(25, 26) 그리고 폭넓은 벨트(27)는 좌석면(11)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좌석면(11)의 하부 표면과 접촉한다. 제7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인출 링크(22)가 최후방에 위치하고 폭넓은 벨트(27)안에 처짐(28)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인출 링크(22)를 제7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앞으로 인출시킨 경우에는, 처짐(28)이 없어져서 인출 링크(22)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최종단부를 형성한다.
제2도 및 제6도에 의하여 유모차의 좌석(2)을 좌석 연장부재(1)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하기에서 설명된다. 제2도에 의하면 좌석(2)은 좌석 연장부재(1)와 결합되어 침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좌석(2)의 후방부는 핸드레일(3)의 후방 단부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주 및 보조 레버(29, 30)에 의해 고정된 좌석 후방부 지지 부재(31)에 의해 고정되고, 등받이(32)는 수평으로 눕혀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 레버(29)는 각 푸쉬로드(33)에 연결된 경사도 조정 링크(34)에 의해 고정된다. 경사도 조정 링크(34)는 그 굴곡 상태를 변경시킨다. 등받이(32)로부터 연장되고 이에 연결된 헤드 가드(35)는 좌석 후방부 지지부재(31)에 의해 고정되고 상승벽면을 형성한다. 또한, 조석 후방부 지지부재(31)를 사용하여 후드(36)를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좌석 연장부재(1)는 좌석(2)의 전방부를 보조하여 베드 형태로 변화시키도록 위치한다. 최전방 위치로 인출되었을때, 인출링크(22)는 아래로 부터 좌석 연장 부재(1)를 지지한다.
제6도에는 유모차의 좌석(2)이 의자 형태로 변화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태에서 좌석(2)의 등받이(32)는 들어 올려진다. 즉, 경사도 조정 링크(34)가 구부러져서 주 레버(29)가 올라가 있다. 이에따라, 좌석 후방부 지지부재(31)가 상방으로 변위되고 등받이(32)가 들어올려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6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헤드 가드(35)는 등받이(32)와 일렬로 정렬되고 등받이(32)의 일부를 형성한다.
한편, 좌석(2)의 전방부에는 좌석 연장 부재를 제거하고 그대신에 몸통 보호대(16)가 부착된다. 인출링크(22)는 파이프부재(23)안으로 유입되어 있다. 이실예에서, 좌석면(11)의 연장부로써 형성된 현수 부분(37)은 인출링크(22)의 수축에 따라 아래로 매달리게 된다.
상기의 설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되었지만 인출링크(22)와 그 관련 구성은 보조적으로 마련된 것이고 좌석 연장 부재(1)를 지지하는데 필수적이 요소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좌석연장부재(1)를 사용하는 유모차는 도시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은 핸드레일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한쌍의 핸드레일이나 부재가 형성된 다면 어떠한 형태의 유모차에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유모차는 꼭 절첩식 유모차일 필요는 없다.
상기에서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이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정신 및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많은 수정 및 변경등이 가능함을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조석면(11)를 갖는 좌석(2)의 양측에 한쌍의 핸드레일(3)이 배치된 유모차에 대하여 좌석(2)을 전방 으로 연장하는데 사용되는 좌석 연장 부재(1)에 있어서, 한쌍의 핸드레일(3)의 각 전방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후방단부(4)를 가지며 거의 U자형 형상으롱 수평 연장되는 프레임(5)과, 프레임(5)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전방벽(8) 및 좌, 우측 측벽(9, 10)과, 상기 전방벽(8) 및 좌, 우측 측벽(9, 10)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좌석면(11)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연장되는 하부벽(1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모차의 좌석 연장 부재 형성되어 전방으로 개방된 개구부(14)안에 삽입된 상태에서 착탈가능한 부착핀(15)을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핸드레일(3)에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5)의 홍방 단부(4)가, 핸드레일(3)에 형성되어 전방으로 개방된 개구부(14)안에 삽입된 상태에서 착탈가능한 부착핀(15)을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핸드레일(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연장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핸드레일(3)안의 개구부(14)가, 한쌍의 핸드레일(3)사이에 걸쳐서부착되는 몸통 보호대(16)의 양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로써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연장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하부벽(12)에는 코어(13a, 13b)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좌석 연장 부재.
KR2019850008236U 1984-07-16 1985-07-03 유모차의 좌석 연장부재 KR89000384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056 1984-07-16
JP1984108056U JPS6124267U (ja) 1984-07-16 1984-07-16 乳母車の座席延長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562U KR860001562U (ko) 1986-03-05
KR890003847Y1 true KR890003847Y1 (ko) 1989-06-08

Family

ID=1447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8236U KR890003847Y1 (ko) 1984-07-16 1985-07-03 유모차의 좌석 연장부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41056A (ko)
JP (1) JPS6124267U (ko)
KR (1) KR890003847Y1 (ko)
AU (1) AU579795B2 (ko)
DE (1) DE3522718A1 (ko)
FR (1) FR2567473A1 (ko)
GB (1) GB2161703B (ko)
IT (1) IT12152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93762B1 (fr) * 1986-01-31 1990-04-20 Ampafrance Poussette pour enfant a nacelle basculante
JPH042134Y2 (ko) * 1987-10-09 1992-01-24
JPH04154478A (ja) * 1990-10-16 1992-05-27 Konbi Kk ベビーカー等の座席構造
DE9310512U1 (de) * 1993-07-14 1993-09-23 Hsiao Patty Kinderwagen
US5772235A (en) * 1995-11-09 1998-06-3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onvertible stroller
US5882022A (en) * 1997-03-28 1999-03-16 Convertini; John A. Stroller standing platform
US6370715B1 (en) * 1999-09-28 2002-04-16 Farah Delight Morton Portable infant bed
US7044497B2 (en) 2000-05-08 2006-05-1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stroller
US6666473B2 (en) 2000-05-08 2003-12-2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stroller with passenger support base
EP1153817B1 (en) * 2000-05-08 2006-09-1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and method of folding a stroller
US6478327B1 (en) * 2000-05-08 2002-11-12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stroller
KR20040111339A (ko) * 2002-06-05 2004-12-31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유모차
ITMI20030393U1 (it) * 2003-09-01 2005-03-02 Peg Perego Spa Passeggino convertibile in carrozzina
US7686322B2 (en) 2004-04-30 2010-03-30 Chicco Usa, Inc. Foldable stroller with memory recline
AU2008218786B2 (en) * 2007-02-19 2013-01-10 Thorley Industries Stroller
CA2704419C (en) * 2007-11-01 2013-07-02 Chicco Usa, Inc. Folding stroller actuating system
US8100429B2 (en) 2008-03-31 2012-01-24 Artsana Usa, Inc. Three dimensional folding stroller with infant carrier attachment and one hand actuated seat recline
US8240700B2 (en) * 2008-08-15 2012-08-14 Artsana Usa, Inc. Stroller with travel seat attachment
CN102317138B (zh) * 2008-08-15 2013-11-20 雅沙娜美国股份有限公司 婴儿车
BRPI0913501A2 (pt) 2008-09-05 2016-09-20 Thorley Ind Llc carrinho de bebê
US20100102534A1 (en) * 2008-10-23 2010-04-29 Hunnicutt Jr Benjamin Kline FOOT/LEG CAST SUPPORT for STROLLER
USD636300S1 (en) 2009-08-14 2011-04-19 Artsana Usa, Inc. Stroller
US8113523B2 (en) * 2009-10-14 2012-02-14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Backrest reclining mechanism and related stroller
US20110175309A1 (en) * 2010-01-15 2011-07-21 Chicco Usa, Inc. Stroller basket
US20110175306A1 (en) * 2010-01-19 2011-07-21 Chicco Usa, Inc. Reclinable stroller seat
US20110232000A1 (en) * 2010-03-27 2011-09-29 Vitmary Rodriguez Loo loo bee system
USD651140S1 (en) 2010-12-20 2011-12-27 Artsana Usa, Inc. Stroller frame tubing
US9399477B2 (en) 2012-12-27 2016-07-26 Kolcraft Enterprises, Inc. Strollers with removable child supports and related methods
US9629476B1 (en) * 2014-06-10 2017-04-25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onvertible child seat
US10543865B1 (en) * 2017-10-04 2020-01-28 Megan Elizabeth Ballard Stroller changing table
CN112057276B (zh) * 2020-08-20 2022-07-12 潘建亮 一种医疗用重症患者排便辅助装置
JP6987422B1 (ja) * 2020-12-24 2022-01-05 コンビ株式会社 シート支持ユニット及び乳母車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760A (en) * 1897-07-20 Jesse a
US367935A (en) * 1887-08-09 John william savene
US647165A (en) * 1899-02-03 1900-04-10 George E Stead Convertible baby-carriage.
US676741A (en) * 1901-04-04 1901-06-18 John J Flannery Go-cart.
US745619A (en) * 1902-06-06 1903-12-01 Frank Huber Baby-carriage.
US1576075A (en) * 1925-01-24 1926-03-09 Tracey A Tisdell Combined gocart, high chair, and baby carriage
US1658208A (en) * 1927-04-06 1928-02-07 Rakofsky Michael Convertible carriage stroller
GB472841A (en) * 1936-04-01 1937-10-01 John Wilfred Ellison Improvements in infants' cots
US2781225A (en) * 1953-11-30 1957-02-12 American Carry Products Compan Combination stroller and baby carriage
US2805076A (en) * 1954-06-21 1957-09-03 Garrett J Thomas Child's combination stroller, car seat, bed and highchair
US2872203A (en) * 1958-02-24 1959-02-03 Hedstrom Union Company Convertible and foldable baby vehicles
US3115364A (en) * 1960-04-06 1963-12-24 Berlin Daniel Convertible hammock and seat
US3309101A (en) * 1965-02-08 1967-03-14 Welsh Co Tandem two-seat stroller
JPS4418342Y1 (ko) * 1965-02-17 1969-08-07
MX145943A (es) * 1976-05-26 1982-04-23 Ramon Jane Cabagnero Carriola plegable mejorada
US4181356A (en) * 1977-01-13 1980-01-01 Henry Fleischer Folding baby carriers
GB1574883A (en) * 1978-02-03 1980-09-10 Telisport Ltd Perambulators and push chairs for infants
DE2940302A1 (de) * 1979-10-04 1981-04-23 PEG-Perego-Pines Deutschland GmbH, 8000 München Kindersportwagen
JPS5832067B2 (ja) * 1980-04-11 1983-07-11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ハンモツク
JPS59149868A (ja) * 1983-02-14 1984-08-27 葛西株式会社 乳母車用ベツド
JPS59160662A (ja) * 1983-03-02 1984-09-11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用ベツド
US4602395A (en) * 1983-05-16 1986-07-29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79795B2 (en) 1988-12-08
FR2567473A1 (fr) 1986-01-17
AU4373585A (en) 1986-01-23
GB8517680D0 (en) 1985-08-21
IT1215288B (it) 1990-01-31
JPS6124267U (ja) 1986-02-13
GB2161703B (en) 1987-12-16
US4741056A (en) 1988-05-03
IT8521497A0 (it) 1985-07-10
DE3522718A1 (de) 1986-01-23
GB2161703A (en) 1986-01-22
KR860001562U (ko) 1986-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847Y1 (ko) 유모차의 좌석 연장부재
JP3766821B2 (ja) 育児器具
EP1475293B1 (en) Baby carriage
EP0258194A1 (en) Vehicle seat with a folding arm-rest serving as a child's seat
EP0117101B1 (en) Bed for baby carriages
US4602395A (en) Baby carriage bed
KR100535136B1 (ko) 유모차
EP0519857B1 (en) Seat for children's pushchair
US4616371A (en) Bed for baby carriages
US2770488A (en) Protective structures for strollers
US6315359B1 (en) Child safety seat
US2798733A (en) Collapsible walker-stroller for children
TWI752337B (zh) 嬰兒車
JP5098110B2 (ja) ヘッドサポートの取付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ショッピングカート
US4866795A (en) Piece of seating furniture convertible to bed
JPS6316582Y2 (ko)
US1978915A (en) Folding gocart
CN106741086B (zh) 一种高空间利用率的婴幼儿双人座手推车
KR102312059B1 (ko) 유모차
CN209972543U (zh) 一种靠背可调节的儿童推车
CN214803734U (zh) 婴儿床
JPS59997Y2 (ja) 乳母車の座席
CN104163192B (zh) 婴儿车
KR0143637B1 (ko) 차량용 리어시이트에 일체로 형성된 어린이용 시이트
KR19980031531U (ko) 차량용 시트의 보조쿠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