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831B1 - 디램(dram)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램(dram)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831B1
KR890003831B1 KR1019870010956A KR870010956A KR890003831B1 KR 890003831 B1 KR890003831 B1 KR 890003831B1 KR 1019870010956 A KR1019870010956 A KR 1019870010956A KR 870010956 A KR870010956 A KR 870010956A KR 890003831 B1 KR890003831 B1 KR 890003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film
polysilicon
type
dram cel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871A (ko
Inventor
강면구
김태성
양광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1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831B1/ko
Publication of KR89000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2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055Deposition of semiconductive layers, e.g. poly - or amorphous silic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5Making the 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램(DRAM)셀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1트랜지스터 메모리셀 어레이의 등가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1 트랜지스터 메모리셀 어레이에 대한 레이아웃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1트랜지스터 메모리 셀의 제조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리콘기판 2 : 제1산화막
3 : 질화막 4, 7 : 포토레지스트
5, 8 : p+층 6 : 필드산화막
9 : n+층 10 : 제2산화막
11 : 제1폴리실리콘 12 : 제1폴리산화막
13 : 제3산화막 14 : 제2폴리실리콘
15 : 산화막 16 : 소오스 영역
17 : 드레인영역 18 : PSG층
19 : 알루미늄 비트라인
본 발명은 캐패시터에 축적된 전하량에 의해 동작하는 디램(Dymanic Random Access Memory)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캐패시터 및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희생산화(Sacrifical oxidation)를 실시하였다.
즉, 셀의 캐패시터 및 트랜지스터의 주변부(Perimeter)에 생성된 화이트 리본(White ribborn)을 제거하기 위해 습식상태에서 300-1000Å 두께의 산화막을 형성한 후 희생산화(Sacrifical oxidation)를 2번 실시하였다.
또한, 게이트가 될 영역이 질화막으로 덮여있고 제1폴리실리콘 전극의 표면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제1폴리실리콘과 제2폴리실리콘의 절연용으로 형성된 산화막에 의해 트랜지스터와 캐패시터 영역사이에 원치 않는 두꺼운 미니필드(Minifield)산화막층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셀 공급전압이 마아진(Margain) 및 리푸레쉬 라임(Reflesh time)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디램셀의 제조방법으로서, 캐패시터 및 트랜지스터의 산화막 형성전 인산처리를 하여 화이트 리본을 제거하고, 제1폴리실리콘 전극의 표면 불순물 농도를 높여 제1폴리실리콘 전극과 제2폴리실리콘 전극의 절연을 위한 산화막 생성시 제1폴리실리콘 전극위에는 두꺼운 산화막을 얻고 게이트 부위의 실리콘 표면에는 낮은 두께의 산화막을 얻어 트랜지스터와 캐패시터 사이에 미니필드 산화막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트랜지스터 메모리셀 어레이의 등가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MOS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워드 라인 (Word line)에 연결하고, 드레인을 비트 라인(Bit line)에 연결하고, 소오스를 캐패시터에 연결하였다.
제2도는 본 발명의 1트랜지스터 메모리 셀 어레이에 대한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다.
제3도는 제2도의 a-a'선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제3(a)도-제3(i)도는 1트랜지스터 메모리셀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3(a)도의 공정에서는, p형 기판(1)상에 스트레스 릴리프(Stress relief)계 제1산화막(2)을 900℃ 이상에서 드라이 분위기로 250-350Å의 두께로 성장시킨다.
제1산화막(2)위에 질화막(Si3N4)층(3)을 1000-1500Å의 두께로 증착시킨 후 활성(Active)영역과 필드(Field)영역을 분리하기 위해 포토레지스트(4)를 도포한다. 필드 영역을 개구한 후 질화학(3)을 애칭하고, 셀간(Cell-to-Cell)의 분리를 위해 p형 기판(2)과 도전형 불순물인 7×1012-1×1013/㎠양의 보론을 50keV로 이온 주입시키면 p+영역(5)이 형성된다.
제3(b)도의 공정에서는 황산(H2SO4)으로 포토레지스트(4)를 제거하고, 셀간의 분리를 위한 필드산화막(6)을 900℃습식 분위기에서 6000-6500Å의 두께로 성장시킨다.
제3(c)도는 캐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로, 질화막(3)을 제거한 후 포토레지스트(7)를 도포한다. 캐패시터부 위의 포토레지스트(7)를 개구한 후 제품 특성중 α-입자면역성을 주기 위해 기판(1)과 동일 도전형의 불순물인 2×1012-1×1013/㎠의 보론을 이온 주입시키면 전자에 대한 전위장벽이 형성되어 소프트 에러(Soft error)를 줄일 수 있다.
이어서, 캐패시터의 접합 용량(Junction capacitance) 및 캐패시터의 표면 용량(Surface capacitance)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콘 기판(1)과 반대 도전형이고 원자핵이 큰 비소(As)를 70-100KeV로 1×1013-2×1014/㎠양을 이온 주입시켜 n+형층(9)을 형성한 후 포토레지스트(7)를 제거한다.
제3(d)도의 공정에서는, 제1산화막(2)을 불산용액으로 20-30초 동안 실시하여 완전히 제거한다. 이때, 활성영역은 산화물이 없는 곳이 된다. 제1산화막(2)을 제거한 후 인산(H3PO4)용액으로 150-180℃에서 10-50분간 식각한다. 상기 인산용액으로 제3(b)도에서 필드산화막(6)성장시 질화막 패턴의 가장자리(Edge)부위에 생성된 질화막(SixNy)성분의 화이트 리본 결함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인산처리 후 염산(HCl)과 부산화수소수(H2O2)의 혼합용액으로 실리콘기판(1)표면의 중금속이온을 게터링(Gettering)한다. 그 다음, 드라이 산소분위기에서 150-200Å 정도의 제2캐패시터 산화막(10)을 성장시킨다.
제3(e)도의 공정에서는, 축 적(Storage)캐패시터의 전극을 통상의 화학적증착법(CVD)법을 사용하여 2500-40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제1폴리실리콘 전극을 30-45°의 경사로 식각하기 위해 제1폴리 실리콘(11)을 증착한 후 칩전면에 인(p) 또는 비소(As)를 40KeV로 2×1014-1×1015/㎠양을 주입한다.
제1폴리실리콘 전극(11)상에 제2폴리실리콘과의 절연을 위해 산화막(제1폴리산화막, 12)을 성장시킨다. 이때 제1폴리실리콘(11)위에는 1500-2500Å 정도 성장되고 실리콘기판(1)위에는 400-600Å 정도 성장되는데, 이는 각 막질의 표면 농도와 온도 함수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제1폴리실리콘전극(11)상에는 막질의 저항값을 낮추기 위해 POCl3를 첨가하고 경사에칭을 위해 비소 또는 인을 이온 주입하여, 제1폴리실리콘 전극(11)의 표면은 높은 농도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게이트가 될 부위의 농도가 낮은데, 이는 초기 웨이퍼 상태의 비저항(Resistivity)에 따른 농도이기 때문이다. 제1폴리실리콘 전극(11)의 표면과 게이트가 될 부위의 농도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1폴리 산화막(12)을 성장시킨다.
제3(f)도의 공정에서는, 불산용액을 이용하여 게이트 부위의 산화막(12)을 에칭한 후, 드라이 산소 분위기에서 300-350Å 정도의 제3산화막인 게이트 산화막(13)을 형성한다.
제3(g)도의 공정에서는 워드라인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되는 제2폴리실리콘(14)을 형성한다.
제3(h)도의 공정에서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소오스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으로 인과 비소를 각각 이온 주입한다. 인을 이온 주입하는 것은 드레인쪽의 전압강하를 유발시켜 강한 전계가 드레인 쪽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제2폴리실리콘(14)상에 약 1000-2500Å의 산화막(15)을 형성시킨다. 산화막(15)성장시 상기 이온 주입된 인과 비소 이온이 기판(1)으로 확산되어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영역(16)과 드레인영역(17)이 형성된다.
제3(i)공정에서는 산화막(15)위에 보호막인 PSG층(18)을 형성한 후 알루미늄 비트라인과 드레인의 창인 n+영역을 접속할 수 있도록 사진식각하여 개구를 형성한다.
개구형성후 에칭을 실시하고, 상기 보호막층(18)상부에 알루미늄 비트라인(19)을 형성한다. 이어서 알루미늄 비트라인(19)과 드레인창의 n+의 저 저항성 접촉(Ohmic contact)을 위해 어닐링을 400℃ 질소 분위기에서 30-40분 실시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셀의 캐패시터 및 트랜지스터의 주변부에 생성된 화이트 리본 결함을 산화막 형성전에 실리콘 표면을 인산처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인산처리후 HCl ; H2O2혼합용액으로 클리어시켜 실리콘 표면의 중금속 이온을 게터링하므로써 디램을 이용한 제품의 리프레쉬 타임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제1폴리실리콘 전극을 30-45°경사로 에칭한 후 제1폴리실리콘 전극과 제2폴리실리콘 전극의 절연을 위한 산화막 형성시, 제1폴리실리콘전극과 게이트 부위의 실리콘 표면 농도차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두께의 산화막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캐패시터 영역과 트랜지스터 영역 사이의 원하지 않는 두꺼운 미니필드 산화막층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캐패시터에 축적된 전하량에 의해 구동되는 디램셀 메모리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a) p형 실리콘 기판(1)상에 제1산화막(2)과 질화막(3)을 형성하고, (b) 셀간의 분리를 위해 p형 기판(1)과 동일도전형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시켜 p+층(5)을 형성한 후 필드산화막(6)을 성장시키며, (c)캐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해 p형 기판(1)과 동일 도전형의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p+층(8)을 형성한후 기판(1)과 반대도전형인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n+층(9)을 형성하고, (d) 제1산화막(2)을 불산용액으로 제거한 후 인산용액으로 에칭하며, (e) 혼합용액으로 표면처리하여 실리콘 표면의 중금속을 게터링한 후 제2산화막(10)을 성장시키고, (f) 제1폴리실리콘(11)을 증착하여 n형 불순물을 이온 주입한 후 제1폴리실리콘과 제2폴리실리콘과의 절연용 산화막(12)을 성장시키며, (g) 불산용액을 이용하여 게이트 부위의 산화막(12)을 에칭한 후 게이트산화막(13)을 형성시키며, (h) 워드라인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용 제2폴리실리콘(14)을 형성하고, (i) n형 불순물을 이온 주입 후 산화막(15)을 형성하고, 산화막 형성시 상기 n형 불순물을 확산시켜 소오스영역(16) 및 드레인 영역(17)을 형성하며, (j) 보호막(18)을 형성한 후 알루미늄 비트라인(1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램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산화막(2)을 인산처리한 후 상기 제1폴리실리콘(11)과 게이트 영역의 실리콘표면 사이에 농도차를 이용하여 제1폴리산화막인 상기 산화막(12)을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램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산화막(2)을 인산처리한 후 H2O2와 HCl의 혼합용액으로 표면처리를 하여 실리콘 표면의 중금속을 게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램셀의 제조방법.
KR1019870010956A 1987-09-30 1987-09-30 디램(dram)셀의 제조방법 KR890003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0956A KR890003831B1 (ko) 1987-09-30 1987-09-30 디램(dram)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0956A KR890003831B1 (ko) 1987-09-30 1987-09-30 디램(dram)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871A KR890005871A (ko) 1989-05-17
KR890003831B1 true KR890003831B1 (ko) 1989-10-05

Family

ID=19264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956A KR890003831B1 (ko) 1987-09-30 1987-09-30 디램(dram)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8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871A (ko) 198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7729A (en) Method for fabricating MOS device with self-aligned contacts
US5326722A (en) Polysilicon contact
US4422885A (en) Polysilicon-doped-first CMOS process
KR900008207B1 (ko) 반도체기억장치
EP0066081B1 (en) Dense vertical fet and method of making
KR100289474B1 (ko) Dmos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465942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ed by means of the method
JPH0528899B2 (ko)
KR20000006446A (ko) 저누설및저캐패시턴스절연물질
JPH06310680A (ja) Dram−mosfet集積回路及びその製造方法
US5554554A (en) Process for fabricating two loads having different resistance levels in a common layer of polysilicon
EP0032030A2 (en)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0191685B1 (ko) 축적 전극의 파형의 거친면을 가진 캐패시터 제조 방법
JPH0586863B2 (ko)
US4462151A (en) Method of making high density complementary transistors
KR0171072B1 (ko) 반도체 메모리 셀 제조방법 및 구조
KR900000819B1 (ko)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US5144393A (en) Structure for a PSD type field effect transistor
KR890003831B1 (ko) 디램(dram)셀의 제조방법
KR920001032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JP2917894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3234051A (ja) 容量素子の製造方法
KR900005871B1 (ko)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KR910007781B1 (ko) 반도체 메모리 제조방법
KR012464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