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794B1 - 전망 엘리베이터용 자동 조광 장치 - Google Patents

전망 엘리베이터용 자동 조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794B1
KR890002794B1 KR1019860008544A KR860008544A KR890002794B1 KR 890002794 B1 KR890002794 B1 KR 890002794B1 KR 1019860008544 A KR1019860008544 A KR 1019860008544A KR 860008544 A KR860008544 A KR 860008544A KR 890002794 B1 KR890002794 B1 KR 890002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comparator
elevator
speed command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023A (ko
Inventor
김정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6000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794B1/ko
Publication of KR880005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망 엘리베이터용 자동 조광 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제어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의 동작 특성도.
제4도는 제1도중 비교기(1)의 출력전압 특성도.
제5(a)도-제5(e)도는 엘리베이터 가속시 내장 램프에 공급되는 전류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교기 2 : SCR
Rm: 접지저항 R1-R4: 분할저항
S1-S3: 출력 계전기 접점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케이지(Cage) 내부 조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망용으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에서 케이지 구동 속도에 따라 케이지 내부의 광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전망 엘리베이터용 자동 조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내부 조명은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운행중인 경우에는 항상 점등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전원 회로에 수동조작 스위치를 설치하여 이 수동 조작 스위치의 온, 오프에 따라 케이지 내부 조명은 점등 또는 소등되는 두가지 경우만 있게되고 탑승객의 편리를 위해 케이지의 운행중에는 항상 케이지 실내등을 점등하여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도 역시 마찬가지로 케이지 내부 조명을 점등한 상태로 운행하고 있다.
즉, 전망용 엘리베이터가 운행중인 경우에는 케이지 외부의 전시효과를 높히기 위해 케이지 외부등고 케이지 외부등과 마찬가지로 역시 점등된 상태로 운행하고 있으나, 케이지 내부등이 점등된 상태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면 케이지 내부에서의 전망효과가 저하됨과 동시에 전력 소모도 크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시에 케이지내의 탑승자들이 케이지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케이지에 타고 내리는데에 밝은 조명이 필요하게 되고, 가속시나 감속시에는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조명이 필요하나 주행시에는 안전된 상태로 되므로 불안감을 느끼는 요소가 적게되는 점을 감안하여 케이지 내부 조명등을 소등시키므로서 즉,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에 따라서 케이지 내부의 조명 상태를 변화시켜 탑승자의 전망효과를 높힘과 동시에 전력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조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 장치는 분할저항(R1-R4)사이에 속도 지령회로의 출력 계전기 접점(S1-S3)을 각각 연결하고, 비교기(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저항 (R1)과 접지저항(Rs)를 통하여 분할저항(R4)을 연결하며, 비교기(1)의 반전입력단자(-)는 접지하되, 출력단자와 비반전 입력단자(+)사이에는 콘덴서(Cf)와 저항(Rf)을 병렬로 연결하며, 비교기(1)의 출력단자는 다이오드(D2)와 속도지령 회로의 출력계전기 접점(S4)을 통해 접지함과 동시에 저항(R0)을 통하여 SCR(2)에 게이트에 연결하고, 직류전원(+B)을 다이오드(D1)와 속도 지령회로의 출력 계전기 접점(S0)을 통하여 비교기(1)의 출력 단자에 연결함과 동시에 전원 변환소자(Ps)를 통하여 분할저항(R1)과 콘텍터(DF)의 접점(DF-6)사이에 연결하며, SCR(2)의 캐소우드와 애노드 사이에는 콘텍터(DF)의 접점(SD-M)을 병렬로 연결하되, 케이지 내부등(L1-Ln)과 전원(E)의 직렬결합을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제3도 내지 제5(a)도-제5(e)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3도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운행상태별 조도의 변화곡선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실선은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운행속도 곡선을 나타내고, 점선을 케이지 내부의 조도 곡선이고, 1점 쇄선은 속도지령 변화곡선이며, 구간(Z1)은 가속 기간 구간이고, 구간(Z2)은 주행기간 구간이며, 구간(Z3)은 감속구간을 각각 나타낸다.
즉, 엘리베이터 케이지 운행 개시점(t1)에서는 케이지 내부에는 최대 밝기의 조도가 유지되며, 케이지 가속 중간시점(t2)에서부터 케이지 내부의 조도가 점차로 감소하기 시작하여 케이지가 완전히 가속된 시점(t3)에서는 케이지 내부의 조도가'0'이 되고(내부등이 전부 소등상태임), 케이지가 감속되기 시작하는 시점(t4)에서 케니지 내부조도가 점차 밝아지기 시작하여 케이지가 정지된 시점(t5)에서 케이지의 내부는 최대 밝기의 조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부호 S0-S4는 이미 일반화된 속도지령 회로의 출력 계전기 점점이고, 43FZ는 공지된 관제운전 지령 계전기의 접점이다.
즉, 제2도에서의 스위치(SW)를 온하거나 또는 관제운전으로 접점(43FZ)이 접속되면 콘텍터(DF)가 여자되어 콘텍터(DF)의 b점점(DF-6)이 개방되고, a점점(DF-M)이 폐쇄되므로 비교기(1)의 출력상태에 상관없이 케이지의 내부등(L1-Ln)이 모두 점등되어 케이지 내부등(L1-Ln)은 케이지 운행속도에 무관하게 최대 조도로 점등되어 유지된다.
이러한 기능은 비상상태나 또는 수리시에 케이지 내부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 운행 상태에서 비교기(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콘텍터(DF)의 b접점(DF-6)에 인가되는 직류전압(Vcc)×
Figure kpo00001
(여기서 RT는 R1-R4의 합성 저항값임)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고 속도 상승에 따라 속도 지령회로의 출력 계전기 접점(S1-S3)이 S1→S2→S3의 순으로 개방되므로서 지연 분할저항(S1-S4)의 합성 저항 값(RT)이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비교기(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점차로 감소된다.
즉, 상기식 Vcc×
Figure kpo00002
에서 분할저항(S1-S4)의 합성 저항값(RT)이 점차증가되므로 비교기(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가해지는 전압은 점차 감소되는 것이다.
이때 케이지 운행속도가 빠르게 되면 점점 비교기(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낮아져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교기(1)의 출력전압이 점점 낮아지게되어 제5(b)도-제5(e)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SCR(2)의 애노드-캐소우드 사이 도통 전압이 변화된다.
반대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감속되는 경우에는 접점(S1-S3)이 S3→S2→S1의 순으로 폐쇄되므로 분할저항(S1-S4)의 합성 저항값(RT)이 감소되어 비교기(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되므로 제4도에서 구간(Z3)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교기(1)의 출력전압이 증가되어 이에따라 SCR(2)의 애노스-캐소우드 사이의 전압특성이 제5(e)도→제5(d)도→제5(c)도→제5(b)도의 순으로 변화되므로 케이지 내부등(L1-Ln)이 점차적으로 밝아지는 것이다.
그런데 비교기(1)의 출력전압은 콘덴서(Cf)에 의한 시정수만큼 지연된 출력이 나타나게 되므로 가속중인 구간(제4도에서 구간(Z1)임)에서는 비교기(1)의 출력전압이 감소되고 가속이 종료되어 접점(S4)이 폐쇄되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는 최대속도로 주행된다.
또한 접점(S4)이 폐쇄되면 비교기(1)의 출력전압은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접지로 흐르게되어 SCR(2)은 거의 부도통 상태로 되므로 케이지 내부등(L1-Ln)은 소등상태로 되는 것이다.
제4도는 주행구간(Z2)에는 이러한 상태가 유지되다가 구간(Z3)에서는 감속하기 시작하는데 이때에은 감속지령 계전기 접점이 S4→S3→S2→S1의 순으로 개방되므로 가속시와는 반대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교기(1)의 출력전압이 점차 상승하여 SCR(2)의 애노드-캐소우드 도통율이 증가되어 케이지 내부등(L1-Ln)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5(a)도-제5(e)도의 반대의 순으로 증가되므로 케이지 내부등(L1-Ln)이 점차 밝아지는 것이고,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목적층에 도달하여 완전히 정지되면 정지검출 계전기 접점(S0)이 폐쇄되어 전원이 전원 변환소자(PS)에 의해 최대 전압이 다이오드(D1)를 거쳐 SCR(2)의 게이트에 인가되므로 SCR(2)이 완전히 도통되어 케이지 내부등(L1-Ln)에 제5(a)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전압 파형이 인가되어 케이지 내부등(L1-Ln)이 완전히 점등된다.
여기서 다이오드(D1) 및 접점(S0)는 케이지 정지시에 케이지 내부등(L1-Ln)을 완전히 점등시키기 위한 강제 바이어스 회로로 작용하고 다이오드(D2) 및 점점(S4)은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최고 속도로 주행하는경우 케이지 내부등(L1-Ln)을 완전히 소등시키기 위한 강제 바이어스 회로로 작용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망용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내부조도를 케이지 운행속도에 따라서 변화시켜 전망효과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소비전력도 감소시킬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분할저항(R1-R4)사이에 속도 지령회로의 출겨 계전기 접점(S1-S3)을 각각 연결하고, 비교기(1)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저항(R1)과 접지저항(Rs)을 통하여 분할저항(R4)을 연결하며, 비교기(1)의 반전입력단(-)은 접지하되, 출력단과 비잔전 입력단(+)사이에는 콘덴서(Cf)와 저항(Rf)을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비교기(1)의 출력단은 다이오드(D2)와 속도지령 회로의 출력 계전기 접점(S4)을 통하여 접지함과 동시에 저항(R0)을 통하여 SCR(2)의 게이트에 연결하고, 직류전원(+B)을 다이오드(D1)와 속도지령 회로의 출력 계전기 접점(S0)을 통하여 비교기(1)의 출력단에 연결함과 동시에 전원 변환소자(PS)를 통하여 분할저항(R1)과 콘텍터(DF)의 점점(DF-6)사이에 연결하며, SCR(2)의 캐소우드와 애노드 사이에는 콘택터(DF)의 점점(DF-M)을 병렬로 연결하되, 케이지 내부등(L1-Ln)과 전원(E)의 직렬결합을 병렬로 연결하여 엘리베이터 운행 상태별로 조명을 연속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망 엘리베이터용 자동 조광 장치.
    제1항에 있어서, 비교기(1)의 출력단에 연결된 다이오드(D1)와 속도 지령회로의 출력 계전기 접점(S0)과 다이오드(D2) 및 속도 지령회로의 출력 계전기 접점(S4)은 SCR(2)의 강제 바이어스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망 엘리베이터용 자동 조광 장치.
KR1019860008544A 1986-10-11 1986-10-11 전망 엘리베이터용 자동 조광 장치 KR890002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8544A KR890002794B1 (ko) 1986-10-11 1986-10-11 전망 엘리베이터용 자동 조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8544A KR890002794B1 (ko) 1986-10-11 1986-10-11 전망 엘리베이터용 자동 조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023A KR880005023A (ko) 1988-06-27
KR890002794B1 true KR890002794B1 (ko) 1989-07-31

Family

ID=1925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544A KR890002794B1 (ko) 1986-10-11 1986-10-11 전망 엘리베이터용 자동 조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7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43255A4 (en) * 2010-11-22 2016-03-02 Kone Corp METHOD FOR PRESENTING INFORMATION DURING A CHAIR AND CHAI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43255A4 (en) * 2010-11-22 2016-03-02 Kone Corp METHOD FOR PRESENTING INFORMATION DURING A CHAIR AND CHAI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023A (ko) 198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9991A (en) Instrument panel illumination dimming control
US201302345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vehicle lighting
EP2096620B1 (en) Indicator drive system
CN211209981U (zh) 一种汽车信号灯用恒流驱动结构
KR890002794B1 (ko) 전망 엘리베이터용 자동 조광 장치
JP4279033B2 (ja) 車載ヘッドライト用の放電灯点灯装置
US10143055B2 (en) Illuminating device for vehicles
EP1781071A1 (en) Control of the luminous intensity of power LEDs by using the photoelectric effect characteristics of said power LEDs
US6781316B2 (en) Vehicle light apparatus
CN104869688A (zh) 一种带有工作指示灯亮度降级的背光调节开关
CN216017207U (zh) 一种调光低端加速启动电路
JP3344865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照明装置
JPH10189259A (ja) バックライト用調光装置
CN219761370U (zh) 一种适用于双级调光led驱动的光控电路
CN220965214U (zh) 一种由调光驱动供电的人体传感器的应急灯具
JP2005335485A (ja) 車輌用前照灯装置
CN215912263U (zh) 一种汽车尾灯控制电路及汽车
US20050104534A1 (en) Operating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for a gas discharge lamp
CN218907059U (zh) 一种带电压检测功能的多灯式汽车远近光灯控制电路
TWI474760B (zh) 發光二極體燈具
JP3323235B2 (ja) 調光用放電灯点灯装置
JPH03164340A (ja) 車両用ルームランプの制御装置
JPS6348438Y2 (ko)
JPS5825592Y2 (ja) 自動車室内の灯器用自動減光タイマ−
JPS613491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