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733Y1 - 자동차 헤드 라이트의 전구 고정구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 라이트의 전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733Y1
KR890002733Y1 KR2019860011172U KR860011172U KR890002733Y1 KR 890002733 Y1 KR890002733 Y1 KR 890002733Y1 KR 2019860011172 U KR2019860011172 U KR 2019860011172U KR 860011172 U KR860011172 U KR 860011172U KR 890002733 Y1 KR890002733 Y1 KR 890002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fixed device
vehicle headlight
bent
lamp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1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722U (ko
Inventor
이충곤
Original Assignee
삼립산업 주식회사
이충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립산업 주식회사, 이충곤 filed Critical 삼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1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733Y1/ko
Publication of KR880002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6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maintenance, e.g. changing the light bulb
    • B60Q1/0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maintenance, e.g. changing the light bulb via a removable c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헤드 라이트의 전구 고정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사용상태의 일부 절개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사용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사용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구 2 : 돌기
3 : 단턱 4, 4' : 연결부
5 : 절곡부 6 : 삽입공
7, 7' : 탄지부 8, 8' : 압지부
9, 9' : 제지부 10 : 절곡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면 양쪽에 설치하여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 전방의 시계가 불량하면 사용되는 헤드라이트의 전구를 보다 간편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고 분해 조립이 간편 신속하여 단위 시간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운행중 크숀 작용이 원활하여 전구의 수명이 연장되고, 전구가 견고히 고정 탄지되어 항상 정확한 촛점을 이룰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어 온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의 전구탄지장치는 양쪽에 괘지턱이 형성된 일측으로 안내구를 형성시킨 중앙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소켓과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양쪽에 탄지부가 형성된 양단부에 괘지부를 형성시킨 고정스프링으로 전구를 탄지토록 하였으므로, 분해 조립이 번거롭고 이로 인하여 단위 시간의 작업 능률이 저하되었고, 구조적 견고성이 없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조를 상세히 설면하면 다음과 같다.
외주벽에 길이 방향로 돌기(2)를 다수 형성한 관상의 고정구(1)의 선단 내측에 단턱(3)을 형성하고 그 후측에 일측 양연을 절곡하여 절곡부(5)를 형성한 연결부(4 )( 4')의 외단부를 일체로 몰딩하고 내단부에는 삽입공(6)이 형성되게 탄지부(7)(7')를 형성하여 양쪽 중앙부에 압지부(8)(8')를 형성하며 연결부(4)(4')과 직각으로 상단양연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절곡부(10)를 형성한 제지부(9)를 형성한 것으로 공지의 전구를 고정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소켓, 12, 12'는 안내구, 13, 13'는 괘지턱, 14는 전구, 15는 전구의 플랜지, 16은 반사경, 17은 렌즈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상의 헤드라이트의 전구를 고정하는 고정구로 사용케되는 것으로서 이하 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전구(14)를 고정하고저 할 때에는 반사경(1)의 후단부 외측으로 고정되어 있는 소켓(11)의 삽입공으로 전구(14)를 끼워 넣으면 플랜지(15)가 소켓(11)의 턱에 걸리므로 고정구(1)를 한손으로 잡고 연결부(4)(4')를 소켓(11)의 양쪽에 형성된 안내구(12)(12')로 밀어 넣어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부(4)(4')는 괘지턱(13)(13')에 걸리게 되고, 탄지부(7)(7')의 양쪽 압지부(8)(8')는 전구 플랜지(5)의 상면을 눌리게 되므로 전구(14)가 고정된다.
전구(14)를 해탈하고저 할 때에는 고정구(1)를 한손으로 잡고 좌측 방향을 회전시키면 연결부(4)(4')가 괘지턱(13)(13')에서 안내구(12)(12')로 이동하므로 고정구(1)를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고정구(1)가 해탈되므로 전구 플랜지(5)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전구(14)가 해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분해 조립이 간편 신속하여 단위 시간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운행중 크숀 작용이 원활하여 전구의 수명이 연장되며, 전구가 견고히 탄지 고정되어 항상 정확한 촛점을 이룰 수 있고 전구의 교체 수리가 극히 용이한 등의 이점을 구비한 매우 실용적인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외주벽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2)를 다수 형성한 관상의 고정구(1)의 선단 내측으로 단턱(3)을 형성하고 그 후측에 일측 양연을 절곡하여 절곡부(5)를 형성한 연결부(4)(4')의 외단부를 일체로 몰딩하고 내단부에는 삽입공(6)이 형성되게 탄지부(7)(7')를 형성하여 양쪽 중앙부에 압지부(8)(8')를 형성하며 연결부(4)(4')와 직각으로 상단 양연으로 절곡부(10)를 형성한 제지부(9)를 형성하여 전구를 고정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전구 고정구.
KR2019860011172U 1986-07-29 1986-07-29 자동차 헤드 라이트의 전구 고정구 KR890002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1172U KR890002733Y1 (ko) 1986-07-29 1986-07-29 자동차 헤드 라이트의 전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1172U KR890002733Y1 (ko) 1986-07-29 1986-07-29 자동차 헤드 라이트의 전구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722U KR880002722U (ko) 1988-04-09
KR890002733Y1 true KR890002733Y1 (ko) 1989-04-29

Family

ID=1925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1172U KR890002733Y1 (ko) 1986-07-29 1986-07-29 자동차 헤드 라이트의 전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7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722U (ko) 198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0740T1 (de) Fassungstraeger mit einer schwenkbaren fassung fuer einseitig gesockelte leuchtstofflampen.
KR890002733Y1 (ko) 자동차 헤드 라이트의 전구 고정구
DE59407048D1 (de) Fassungsträger für eine Deckeneinbauleuchte
KR900003094Y1 (ko)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전구 고정구
KR200143728Y1 (ko) 조명기구 설치용 고정금속구
JP4222145B2 (ja) 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用灯具の製造方法
JPH0438419Y2 (ko)
JPS5929294Y2 (ja) 集光型スポットライト
JPH0249608Y2 (ko)
KR830001760Y1 (ko) 자동차 해드라이트의 전구 탄지장치
KR860003366Y1 (ko) 교통 신호등의 소켓트
ATE330172T1 (de) Innenraumleuchte mit einer flügelstruktur
JPS6022495Y2 (ja) 照明器具
KR0134238B1 (ko) 반사경의 결합이 용이한 보조정지등
JPS5922602Y2 (ja) 光学的文字読取装置
KR840002877Y1 (ko) 방전관용 소켓 지지판
JP4061973B2 (ja) 蛍光灯器具
KR0113984Y1 (ko) 차광판이 장착된 자동차 전조등용 전구홀더(holder)
KR850000837B1 (ko) 형광램프 장치
JPH0330961Y2 (ko)
JPH0421012U (ko)
JPH067528Y2 (ja) 照明器具
JPH0421213Y2 (ko)
KR800000731Y1 (ko) 형광등 등갓의 고정장치
JPH10223015A (ja) 照明器具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