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134B1 - 다색 복합형 광원용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다색 복합형 광원용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134B1
KR890002134B1 KR1019840006645A KR840006645A KR890002134B1 KR 890002134 B1 KR890002134 B1 KR 890002134B1 KR 1019840006645 A KR1019840006645 A KR 1019840006645A KR 840006645 A KR840006645 A KR 840006645A KR 890002134 B1 KR890002134 B1 KR 890002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ray
ray tube
light
cathode
fluor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626A (ko
Inventor
히로우 고하야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지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지로우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3/00Cathode-ray or electron-stream lamps
    • H01J63/06Lamps with luminescent screen excited by the ray or stream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색 복합형 광원용 음극선관
제 1 도는 종래의 단관 단샛형 광원용 음극선관의 일부 절결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음극선관의 배치도.
제 3 도는 단관 3색의 광원용 음극선관을 늘어놓은 배치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음극선관의 일부 절결 측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다색 복합형 광원용 음극 선관의 1부 절결 측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다색 복합형 광원용 음극선관의 1부 절결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공 외주기 4 : 비접속 전자비임
5 : 전자총(12a),다켓트 13 : 관축
도면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그와 상당한 부분을 표시한다.
본 발명은 거대한 칼라 디스프레이(display)장치의 화소(畵素)을 구성하는 다색 복합형 광원용 음극 선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야구장의 전광 표시판이나 건물 옥상 혹은 벽면용에 광고용 화상(畵像)이나 메세지 혹은 고속도로등의 인포메이숀(information)디스프레이 등에 사용되는 거대한 디스프레이 장치는 다수의 전구를 늘어놓고 이것을 선택적으로 점멸하는 것에 의하여 화상을 만들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그중, 몇가지 예를들면, 예로서 전구일때는 피라멘트(filament)의 가열으로 광을 얻고 있기 때문에 주로 그 발광은 주광색 또는 백주광색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이들의 전구에서 예를 들면, 청색이나 녹색의 색광을 대량 발생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다. 또 이와같은 전구 방식일때는 각 화소의 휘도(輝度)를 변조할려면 피라멘트의 인가 전류는 ON-OFF 하든가, 인가 전류를 가변하던가의 수단에 의하지 않으면 아니되지만, 이들의 전구는 주파수 레스폰스(response)가 10Hz 이하일때에 대단히 낮고, 인가 전류에 의하여 발광색 자체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고, 중간조(中間調)의 표시나 임의의 색광을 합성하는 칼라 표시등에 제공하기는 곤란할때가 있었다. 더욱이 이와같은 거대한 디스프레이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20~40w 정도의 전구를 수천개에서 수만개 이상 늘어 놓을때가 많았으며, 그 소비전력이나 발열등의 많은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상술한 디스프레이 장치의 광원으로서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즉, 예를 들면 적, 녹, 청등의 단색 형광면(螢光面)을 가진 소형의 음극선관을 많이 늘어 놓고, 바라는 화상을 표시한 것으로, 이것에 의하면, 전기 에너지를 광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변환 효율이 전구에 비하여 대폭으로 개선될 뿐 아니라, 사용 형광체의 선택에 의하여 임의의 발광색의 광원이 얻어지는 등 많은 잇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거대한 디스프레이 장치의 광원으로써 음극선관(吟極線管)을 사용하였을 때, 종래의 전구식에 바하여 성능, 신뢰성, 유지비, 소비전력등 어느 것을 비교하여도 유리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한 것이다.
제 1 도는, 지금까지 발명자가 선행 발명으로써 실시하여온 거대한 디스프레이용 광원으로서의 광원용 음극선관의 1예를 표시한 도면이며, (1)은 관내를 진공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통상의 진공 외주기이다. 이 진공 외주기(1)은 일단의 내면에 형광면(2)가 피착된 페이스그라스(face glass)(3)을 가지며, 다른 일단에 형광면(2)전면을 비접속 전자비임(4)을 조사하기 위한 전자총(5) 및 전자총(5)의 각부에 소요의 전압을 인가하는 단자(6)을 가지며 동시에, 진공 외주기(1)을 폐쇄하는 스템부(7)을 갖는다. (8),(9) 및 (10)은 각각 상기 전자총(5)을 구성하는 히이터,음극 및 콘크리트이다.
이 음극선관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크리드(10)의 전압을 음극(9)에 대하여 부의 전압을 부여함과 동시에, 히이타(8)에 소정의 전류를 주어, 음극(9)을 가열하여 크리드(10)의 전압을 음극(9)의 전위에 가깝게 하면, 음극(9)에서 전자 비임(4)가 형광면(2)에 향하여 발사된다. 이 전자 비임(4)는 크리드(10)의 중앙에 마련된 구멍(11)의 지름, 크리드(10), 음극(9)와의 간격 및 양극 전압등의 제 조건에 의하여 소정의 확대
Figure kpo00001
을 갖는 비접속 비임으로 되어 형광면(2) 전면에 조사되어, 형광면(2)를 그 형광체에 따른 발광색에 발광시킨다.
이들의 음극 선관은 예를 들면, 제2도와같이, 형광면(2)을 가진 측을 앞으로 하여 규칙적으로 늘어 놓는다. 이 음극 선관의 배열은 예를 들면, 제 2 도와 같이 일반적으로 녹색에 발광하는 음극 선관(21)2본(本)에 대해, 적색에 발광하는 음극선관(22) 및 청색에 발광하는 음극 선관(23)에 각1본의 비율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음극선관의 배열은, 예를 들면 제 2 도로 설명하면, 지름이 약 29mm의 음극 선관을 다수 늘어 놓을 때에, 옥외에서 사용을 고려하여 방수 구조의 문제나, 음극선관에 제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소켓트 부분의 구성이나 배선의 경우도 있고, 40~45mm 정도의 간격으로 늘어 놓는다. 그러나, 이때의 화상의 보기 좋은 정도, 혼색의 정도등에서 본 최적 시임(視恁)거리는 약 70m 이상이며, 야구장 등에서의 펜 서비스(fan service)용의 디스프레이으로서는 특히 문제는 없지만. 예를 들면 옥내에 설치하는 디스프레이, 옥외 광고등의 용도를 생각할때에는 이 시임 거리를 반 이하로 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이 시임거리를 대폭적으로 감소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써, 각 화소으로 되는 광원용 음극 선관의 형광면을 다수개로 분할하여, 각 발광색의 다른 형광면을 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1본의 음극 선관으로 다수의 원색광을 얻는 시도를 하게 되었다.
제 3 도는 이와 같은 음극 선관(31)의 1예를 표시한 것이며, 이 예에서는 형광면(2)는 중앙을 기점으로 하여 3분할하여, 거의 부체 모양의 적(R) 녹(G) 청(B) 원색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음극 선관(31)에는 예를 들면, 제 4도와 같이 발광색의 다른 각 분할 형광면(2a)에 대응하여, 이들을 소정의 색으로 발광시키는 비접속 전자 비임(4a)을 발생하는 전자총(5a)가 배치되어, 또 이때의 각 형광면(2a)는 각 형광면 다켓트(12a)에 유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복합 형광면을 가진 광원용 음극 선관에 있어서, 각 전자총에서 오는 전자 비임에 의하여 위치에 배치된 각 형광면 다켓트를 편평 또는 곡면으로 서로 관축 방향에 향하여 경사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효 형광면 면적을 증대하여 즉 광출력을 중해하여 밝고 보기쉬운 화상을 연출하는 다색 복합형 광원용 음극 선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다색 복합형 광원용 음극 선관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발광색의 다른 각 형광면(2a)을 형성한 각자의 형광면 다켓트(12a)는 편평하며, 서로 관축(13)방향에 향하여 경사하고 있다. 또 제 6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형광면 다켓트(12a)를 곡면(구면도 포함)으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서로 관축(13)방향에 경사하고 있다. 기타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종래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제 5 도 또는 제 6 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각 형광면 다켓트(12a)를 편평하게 또는 곡면으로써 축관(13) 방향에 경사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효 형광면 면적을 증대시켜 광출력의 증대를 도모하고 있다. 즉, 이 종류의 음극 선관의 광출력은 그 형광면 부하의 제한에서 형광면의 유효면적의 대소가 거의 지배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 면적의 증대는 광출력의 증대에 큰 효과가 있다. 또 이 형광면 다켓드(12a)의 경사는 관축(13)의 중심에 향하여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발광 광속이 서로 내측에 향하기 때문에, 출사광이 혼합이 용이하게 된다는 부차적 효과도 기대할수 있다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형광면 타켓트를 편평 또는 곡면으로 서로 관측 방향에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 실효 형광면 면적을 증대하여 광출력을 증대시킴으로, 밝고 보기쉬운 화상을 현출하는 다색 복합형 광원용 음극 선관이 이어진다.

Claims (1)

  1. 진공 외주기의 내부에 각각 독립하여 전자 비임을 발생 하는 다수의 전자총과, 이 각 전자총에서 오는 각 전자비임에 대응한 위치에 형광면을 형성한 다켓트를 각각 배치한 다색 복합형 광원용 음극 선관에 있어서 각 다켓트를 관측 방향에 향하여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복합형 광원용 음극 선관.
KR1019840006645A 1983-11-10 1984-10-25 다색 복합형 광원용 음극선관 KR890002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212682 1983-11-10
JP58212682A JPS60105162A (ja) 1983-11-10 1983-11-10 多色複合形光源用陰極線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626A KR850003626A (ko) 1985-06-20
KR890002134B1 true KR890002134B1 (ko) 1989-06-20

Family

ID=1662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645A KR890002134B1 (ko) 1983-11-10 1984-10-25 다색 복합형 광원용 음극선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25143A (ko)
JP (1) JPS60105162A (ko)
KR (1) KR890002134B1 (ko)
DE (1) DE3435793A1 (ko)
GB (1) GB21513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7614C2 (de) * 1993-03-08 1999-10-14 Bernhard Gerth Farb-Informationsdisplaysystem mit Elektronenstrahlanzeigeröhre
JP3131339B2 (ja) * 1993-12-22 2001-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陰極、陰極線管および陰極線管の作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88560A (en) * 1931-02-11 1933-03-02 Ulrich Wolfgang Doer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ght generating vacuum tubes
GB543499A (en) * 1939-09-09 1942-02-27 British Thomson Houston Co Ltd Improvements in electron discharge tubes
GB562168A (en) * 1942-07-25 1944-06-21 John Logie Baird Improvements in colour television
NL164414B (nl) * 1950-10-05 Sperry Corp Progammeerbaar halfgeleidergeheugenelement voorzien van een uit dielektrische lagen samengestelde laag, waarin een met een informatiesignaal overeenkomende hoeveelheid ladingsdragers wordt opgeslagen.
BE559755A (ko) * 1956-08-01
NL268552A (ko) * 1960-06-07
GB1354683A (en) * 1970-04-02 1974-06-05 Sanders Associates Inc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4336480A (en) * 1979-03-24 1982-06-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athode ray tube
US4326150A (en) * 1979-03-24 1982-04-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athode ray tube device for display system
JPS572080A (en) * 1980-06-04 1982-01-07 Alps Electric Co Ltd Sheet driving mechanism for information display unit
JPS57208057A (en) * 1981-06-18 1982-12-21 Mitsubishi Electric Corp Cathode-ray tube for polychromatic display type light source
JPS57208056A (en) * 1981-06-18 1982-12-21 Mitsubishi Electric Corp Cathode-ray tube for polychromatic display type light source
JPS57208058A (en) * 1981-06-18 1982-12-21 Mitsubishi Electric Corp Cathode-ray tube device for polychromatic display type light source
JPS57212763A (en) * 1981-06-22 1982-12-27 Mitsubishi Electric Corp Cathode-ray tube for light source
JPS5816457A (ja) * 1981-07-22 1983-01-31 Fujitsu Ltd カラ−光源管
JPS58133752A (ja) * 1982-02-02 1983-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イスプレイ光源用陰極線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423119D0 (en) 1984-10-17
GB2151395B (en) 1987-06-24
US4625143A (en) 1986-11-25
KR850003626A (ko) 1985-06-20
DE3435793A1 (de) 1985-05-30
JPS60105162A (ja) 1985-06-10
GB2151395A (en) 1985-07-17
DE3435793C2 (ko) 198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8914A (en) High efficiency lamp
US8035293B2 (en) Cold-cathode light-emitting device with defocusing grid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US4387322A (en) Display arrangements
KR890002134B1 (ko) 다색 복합형 광원용 음극선관
US4737683A (en) High luminance color picture element tubes
US4336480A (en) Cathode ray tube
JPS6313186B2 (ko)
JPS6313185B2 (ko)
JPS6311675B2 (ko)
JPS6357910B2 (ko)
KR100255457B1 (ko) 방전소자와 이를 이용한 대면적 표시장치
US4623821A (en) Color image display device
US20110266941A1 (en) Cold Cathode Electron Tube, Its Manufacturing Process and Use Thereof for a Display Screen
JPS6353667B2 (ko)
JPS6329946B2 (ko)
US2714175A (en) Color television system and display therefor
JPS58212048A (ja) 多色表示形光源用陰極線管
RU2216123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про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S6028138A (ja) 多色表示形光源用陰極線管
KR100255456B1 (ko) 방전소자와 이를 이용한 대면적 표시장치
US4810928A (en) Cathode-ray tube for constituting large picture display apparatus
JPS60143561A (ja) 光源用陰極線管
JPS598258A (ja) 光源用陰極線管
JPS60143562A (ja) 光源用陰極線管
JPH013963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6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