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842B1 - 지하메설용 내압합성수지파이프 - Google Patents

지하메설용 내압합성수지파이프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842B1
KR890001842B1 KR1019860001278A KR860001278A KR890001842B1 KR 890001842 B1 KR890001842 B1 KR 890001842B1 KR 1019860001278 A KR1019860001278 A KR 1019860001278A KR 860001278 A KR860001278 A KR 860001278A KR 890001842 B1 KR890001842 B1 KR 890001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ressure
resin pipe
resistant synthetic
underground 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659A (ko
Inventor
시로오 가나오
Original Assignee
시로오 가나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17385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41889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2319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4935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2319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927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2319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151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9158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7117Y2/ja
Application filed by 시로오 가나오 filed Critical 시로오 가나오
Publication of KR860006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16L1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having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하메설용 내압합성수지파이프
제 1 도는 본 발명과 같은 종래의 합성수지관벽 일부종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합성수지관 일부절단측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관벽의 일부분에 대한 종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도시한 관부위의 분해설명도.
제 5 도는 제 2 도 실시예의 관에 사용한 부강대판의 사시도.
제 6 도, 제 8 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관벽 일부의 종단면도.
제 7 도 및 제 9 도는 제 6 도 및 제 3 도에 각각 도시한 것에 대한 분해설명도.
제11도, 제14도, 제16도, 제19도 내지 제21도, 제26도, 제26도 및 제31도는 본 발명의 도다른 실시예들의 관벽일부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2도, 제15도, 제17도, 제22도, 제25도, 제27도, 제29도 및 제32도는 제11도, 제14도, 제16도, 제21도, 제24도, 제26도, 제28도 및 제31도에 도시한 것의 분해 설명도.
제13도, 제18도, 제23도 및 제30도는 본 발명에 사용할수 있는 다른 형태의 보강대판의 사시도.
제33도는 본 발명에 사용할수 있는 보강대소재의 사시도.
제34도는 본 발명에 사용할수 있는 다른 종류의 보강대소재의 사시도.
제35도는 본 발명의 관일부를 도시한 외관정면도.
본 발명의 지중매설용 내압함성수지관은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하기 위한 매설관으로서 상수관, 하수(배수관)관, 전선·전화선용 보호관등에 주로 사용되는 관이다.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되는 관은 주위의 강력한 토압에 대하여 장기간에 걸쳐 견딜수 있는 큰 내압성을 가질 필요가 있을 뿐만아니라. 지중의 부설작업에 있어서 그 취급이 용이하게 경량일 것이 요구된다.
이와같이 상반되는 요구를 함께 충족시키는 수단으로써 합성수지재관의 코러게이트벽부, 즉, 나선형으로 돌출된 철부(凸部)의 정상부와 정상부에 연결된 측벽부분에 걸쳐서 일체적으로 연결되게 비교적 폭넓은 금속박판재의 대판상보강체를 내장상태로 배설한 구조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료만으로 관벽을 형성한다는 종래의 기술적 사상으로 부터 벗어나서 합성수지재료에 비하여 몇배나 영율(E)이 높은 금속의 박판제로 되는 대판재를 관벽의 내압변형강도의 부재로서 이용하도록 한 것으로, 예를들면 경질폴리에치렌의 영율(E)이 80-100㎏/㎟, 경질 폴리염화 비닐의 영율(E)이 200-250㎏/㎟, 폴리프로프렌의 영율(E)이 320-500㎏/㎟ 인데 비하여 예를들어 철은 20×103㎏/㎜1608, 강(鋼) 및 스텐레스강은 21×103㎟와 같이 영율(E)이 높은 금속재를 효율적으로 관의 내압변형강도부재로 이용하게한 것이다.
종래의 지중매설용관은 콘크리트제의 소위 흄관이나 주철관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그 중량이 크며 또한 길이를 길게하기 곤란하여 작업성이 매우 나쁘고 지중에 부설하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올 하였다. 이들의 결점을 해결할수 있는 새로운 관으로서 제 1 도에서와 같은 구조를 합성수지재료를 사용한 나선관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류의 합성수지관은 길이를 길게할수 있기 때문에 관연결 접속부의 수가 적게되며 비교적 가요성이 있어 곡선상배관이 가능한 등의 이유로 지중매설작업을 비약적으로 단축할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근자에 많이 이용하게 되었다. 그렇다하더라도 지중매설관은 더 강력한 토압에 견딜수 있는 내압성을 가지게할 필요에 대응하기 위하여서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관벽(01)을 더 두껍게 하여야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관벽을 두껍게 하면 성형재인 합성수지재료가 대량으로 필요하게 되며 운반이나 부설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종류의 합성수지관의 생명인 가요성이 부족하게 될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합성수지만으로되는 관이면서 종래의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이 가지고 있는 이들의 모든 결점을 해소하고 합성수지재의 사용량을 적게하여 전체적 중량을 가볍게 할뿐만아니라 내압성이 우수한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을 얻으려하는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 목적을 달성할수 있는 합성수지관으로서 여러가지 구조의 관을 연구하여 시작품을 제작시험하였다. 즉, 나선판형의 철부의 정상면(이하 정상부라함)에 금속성 와이어들의 경심재를 매설하거나 요입부에 매설한것 또는 정상부에 여러줄을 병설상태로 매설한 것들은 어느것이나 결과적으로 소정의 내압성을 가진 구조로 하였을때 관전체의 중량이 기대하는 정도로 감소괴지 못하고 합성수지재료 사량의 감소도 크게 기대할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그 결과 개발한 것이 본 발명이다. 그 기술적 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 즉, 관벽을 나선파형상을 형성한 합성수지관으로 관벽을 형성하는 나선파형중 정상부와 이 정상부에 연결된 양측벽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일체적으로 연결되게 비교적 폭넓은 금속박판으로 되는 보강대판을 관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재에 둘러싸여 내장되게 배설시킨 구조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관은 지중에 매설하는데는 배관예정지를 소요되는 깊이로 굴착한 구덩이의 길이에 따라 배관하고 굴착토를 그 위에 덮어 매설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의 나선관에 있어서 보강재로서 종래에 사용하여온 관보강구조로 선재(線材)등의 경심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비교적 폭넓은 금속박판을 사용하며 또한 관벽의 일부분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나선파형의 정상부전역과 이 정상부에 연결된 양측벽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져서 일련적으로 연속된 구조로 하고 합성수지재로되는 관벽부의 수지재에 둘러싸여 내장된 상태로 배설시킨 구조로 하였으므로 이 보강부재가 상당히 엷은 재질의 것이라 할지라도 충분한 보강효과를 발휘시킬수 있어 합성수지재벽을 상당히 엷은 것으로 할수 있어 관전체의 중량을 경감시켜 윤반 및 취금등을 편리하게 하며 합성수지재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염가로 관을 제공할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금속박판의 발청열화(
Figure kpo00001
)가 적은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장기간에 걸쳐 내압성이 우수한 관으로 사용할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실시예]
본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보강대판 6은 설명되는 순서대로 A, B, C…를 붙이기로 한다.
재 2 도 내지 제 4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하 제 1 실시예라함)로서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나선파형관은 통형관벽(1)의 내벽(8)을 형성하는 평대상(平臺狀)의 합성수지대(9)를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인 그 양측연부분을 겹쳐지게 순차적으로 나선상으로 권회하고 그 외주면위에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면형성을 햐향개방된 "
Figure kpo00002
"형으로한 스텐레스강판제의 펜칭메탈로되는 보강대판(補强帶板)(6A)을 정상부(2)와 이정상부(2)의 좌우양측에 연결된 양측벽(3), (4)에 걸쳐서 합성수지층의 내면에 융착일체화시킨 파형대체(波形帶板)(A)를 제 4 도에서와 같이 순차 나선상으로 권회하고 좌우양측벽(3), (4)의 개방단측에서 각각 횡외방으로 향하여 돌출시킨 합성수지층만으로 되는 돌출연(5a), (5b)의 일부분을 겹쳐서 상기 통형내벽(8)위에 일체적으로 융착시킨 구조로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보강대판(6A)는 그 외주면위에 융착일체화되어 있는 합성수지층과 통형내벽(8)과의 합성수지벽사이에 내장상태로 배설시킨 구조로한 것이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 도시한 실시예(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의 평대상 합성수지대(9)의 형상을 그 외주면위에 권회일체화하는 파형대체(B)의 "
Figure kpo00003
"형 개방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약간 관의 외주방향으로 돌출시켜 두게(9a)를 가지게 형성하여 제 1 실시예에서의 파형대체(A)에 상당하는 파형대체(B)를 보강대판(6A)의 전내주면에도 합성수지층을 일체적으로 융착시킨 구조, 즉 보강대판(6A)을 내외의 합성수지층 사이에 샌드위치상으로 매설시킨 구조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통형내벽(8)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대(9)를 외주방향으로 돌출시킨 두께(9a)를 가진 구조로하여 도시하였으나 이 두께(9a)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평대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실시예에서 도시한 나선파형관은 관내벽이 직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 내벽은 반드시 직원통상의 것이 아니고 다소의 요철파형을 가지는 것도 좋다. 또 이들의 실시예의 것과 같이 내벽을 형성한 것은 유체의 저항이 적으므로 주로 상수도, 하수(배수)도용으로 사용된다, 또 나선파형은 단면형상을 4각형의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와같은 형상의 것에 한정할 의도는 아니고 다음 제 3 실시예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돔형 도는 호형 나선파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에 주로 전선·전화선등의 보호관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에 대한 실시에를 설명한다.
제 8 도 및 제 9 도에 도시한 실시예(제 3 실시예)는 제 9 도에서와 같이 단면현상을 반원호상의 돔형파형으로한 보강대판(6B)을 제 6 도 및 제 7 도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그 내외전주면을 샌드위치상으로 합성수지층을 피복시킨 파형대체(C)로 하여 이 파형대체(C)를 나선상으로 권회하고 이 합성수지층의 횡외방돌출연(5a), (5b)부분을 겹쳐서 융착시킨 구조로한 것이다. 따라서 이 제 3 실시예의 관은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관과 같이 관내면에 통형내벽(8)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서로 인접하는 요입부(5), (5)사이는 파형공동(波形空洞)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한 관에 전선등을 집어넣을 때이는 요입부(5)의 내주면만으로 전선등이 받쳐주게 되므로 관내면과 전선등과의 마찰면적이 적어 전선등을 집어넣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수있는 이점뿐만아니라 관내에 결로(結露)가 생겨도 물방울은 관의 아래쪽 정상부의 깊은 곳에 고이게 되어 점선등(전선피복등)이 직접 물에 잠기는 일이없어 장기간 전선등을 양호하게 보호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0도에 도시한 실시예(제 4 실시예)는 상기 제 8 도에 도시한 제 3 실시예에서의 관의 요입부(5)의 내주벽면에 있어서 경사벽(3), (4)이 연장되여 관내주평면벽과 연결된 위치에 제10도에서와 같이 돌조부(10a), (10b)를 형성한 구조로 한 것이다.
이 돌조부(10a). (10b)의 형성위치는 요입부(5)의 중앙부분(51)의 내주면 부분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같은 돌조부(10)를 관내주면내에 돌출형성하게 되면 전성등을 관내부에 집언허는 작업이 더욱 용이한관을 얻을수 있다.
다음 보강대판(6)을 각종으로 변형시킨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실시예(제 5 실시예)는 상기 제 7 도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와 합성수지대(9)의 형상과 같이 그 외주면위에 권회하여 일체화시킨 파형대체(D)의 "
Figure kpo00004
"형의 개방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약간 관외주방향으로 돌출시킨 두께(9a)를 가진 평대체(9)로 하고 파형대체(D)의 구조를 제13도에서와 같이 단면형상을 하향개방된 "
Figure kpo00005
"형으로 그 양단개방부를 각각 횡외방으로 향하여 돌출시킨 돌출연(6a), (6b)을 가진 형상으로한 펀칭메탈로 되는 보강대판(6C)의 내외전주면위에 합성수지층을 융착일체화시키고 있다. 즉, 제13도에 도시한 구조의 보강대판(6C)을 내외의 합성수지층사이에 샌드위치상으로 매설시킨 구조로한 것이다. 그리고 보강대판(6C)의 측방돌출연(6a), (6b)부분을 더 횡외방으로 돌출시킨 합성수지만으로 되는 돌출연 (5a), (5b)부분을 겹쳐서 통형내벽(8)과 일체적으로 융착시킨 구조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평대체(9)의 중앙위쪽에 돌출되게 형성한 두께(9a)는 반드시 형설한 필요가 없는 부분임은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다.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실시예(제 6 실시예)는 제 15도에서와 같이 단면형상을 돔형의 파형으로 한 보강대판(6D)을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양측벽(3), (4)의 하향개방단 부위를 서로 외향되게 횡외방으로 돌출시킨 내외전주면을 샌드위치상으로 합성수지층을 피복시킨 파형대체(E)로하여 이 대체(E)를 나선상으로 권회하고 이 합성수지층의 횡외방돌출연(5a), (5b)부분을 겹쳐서 융착시킨 구조로한 것이다.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실시예(제 7 실시예)는 상기 제 1, 제 2 실시예등의 평대상의 합성수지대(9)를 형성하지 않고 파형대체(F)를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4각형통형으로 형성한 보강대판(6E)의 저부(61)를 포함한 전내주면과 전외주면에 합성수지층을 일체적으로 융착시킨 구조, 즉 4각형 보강대판(6E)의 전제를 내외의 합성수지층 사이에 샌드위치상으로 매설시킨 구조의 파형대체(F)로한 것이다. 그리고 횡외방으로 돌출시킨 합성수지층의 돌출연(5a), (5b)부분을 겹쳐서 보강대판(6)이 존재하지 않는 나선파형의 요입부(5)를 구성하도록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대판(6)의 내외 양면의 합성수지층은 보강대판(6E)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작은 구멍(7)…에 의하여 내외일체적으로 연통연결된다는 것을 이미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제19도에 도시한 실시예(제 8 실시예)는 단면형상을 저부(61)의 중앙부분에 간격을 가진 돔형의 파형으로한 보강대판(6F)을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그 내외전주면을 샌드위치상으로 합성수지층을 피복시킨 대체를 나선상으로 권회하여 관을 형성한 것이며 상기 제10도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관내 주벽면에 있어서 경사벽(3), (4)이 연장된 위치부분에 돌조부(10)…를 형성한 구조로한 것이다.
이 돌조부(10)…의 형성위치는 관요입부(5)의 내주면부(51)중앙부분에 하여도 좋고 또 정상부(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내주면부분(52)에 하여도 좋다.
제20도에 도시한 실시예(제 9 실시예)는 보강대판(6)이 실질적으로 원통형(6G)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파형대체(G)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이 보강대판(6G)내외양면에 합성수지층이 융착되어 보강대판(6G)이 존재하지 않는 합성수지만으로 되는 돌출연(5a), (5b)에 의하여 관읜 요입구(5)가 형성되는 점은 상기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제 7 실시예의 경유와 같다.
또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보강대판(6)의 내주면부분이 돌출연(5a), (5b)에 의하여 형성되는 관의 요입부의 내주면 보다도 관의 내주면측에 부분적으로 융기(隆起)(52)된 구조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이 융기부(52)의 내주면과 돌출연(5a), (5b)에 의하여 형성되는 요입부의 내주면은 대략 동일경이 되도록 형성하여도 좋은 것이다.
제21도 및 제22도에 도시한 실시예(제10실시예)는 관의 통형내벽(8)을 형성하는 평대상의 합성수지대체(9)를 제2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평대상의 펀칭 메탈로 되는 보강대판(6H)의 전내외주면위에 샌드위치상으로 합성수지층을 융착일체화시킨 평대체(9)로 하여 이 평대체(9)를 제22도에서와 같이 그 양측연부분을 소정간격을 둔 상태를 유지하면서 순차 나선상으로 권회하고 그 외주면위에 상기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면형상을 하향개반된 "
Figure kpo00006
"형으로 그 양개방단부가 서로 외향되게 횡방향으로 돌출시킨 돌출연(6a), (6b)을 가진 형상으로한 보강대판(6C)의 내외전외주면위에 샌드위치상으로 합성수지층을 융착일체화시킨 구조로한 파형대체(D)를 순차나선상으로 권회하고 돌출연(5a), (5b)부분을 제21도에시 보는 바와같이 요입부(5)의 중앙부분(51)에서 겹쳐서 상기 평대체(9)가 존재하지 않는 통형내벽(8)부분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평대체(9)와 일체적으로 융착연결시킨 구조로한 것이다.
제24도 및 제25도에 도시한 실시예(제11실시예)는 상기 제 7 도에 도시한 파형대체(B)와 같이 단면형상을 하향개방된 "
Figure kpo00007
"형으로 하여 구멍이 없는 강판제 보강대판(6A)을 정상부(2)와 이 정상부(2)에 연결된 양측벽(3), (4)일부의 합성수지재내부에 샌드위치상으로 내장시킨 파형대체(B)와 그리고 구멍이 없는 편평보강대 (6H)의 전면 및 상면중간부분에 합성수지층을 일체적으로 융착시킨 대체(9)에 의하여 형성된 통형내벽(8)의 상면에 융착일체회시킨 구조로하고 합성수지재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파형대체(B)의 좌우돌출연(5a), (5b)으로 사어기 편평보강대판(6H)의 좌우노출부분의 상면이 덮어 씌워지도록하여 일체화시킨 것이다.
제26도 및 제27도에 도시한 실시예(제12실시예)는 상기 제10도 도시한 파형대체(C)와 같이 당면형상을 돔형의 파형으로한 보강대판(6B)의 내외전주면을 샌드위치상ㄹ으로 합성수지층을 피복시킨 파형대체(C)와 편평보강대판(6H)의 내외양면을 샌드위치상으로 합성수지재를 피복시키는 동시에 내면측의 일단부에 두껍게 융기된 돌조(10)를 형성한 대체(9)에 의하여 형성된 통형내벽(8)위에 나선상으로 권회하고 이 파형대체(C)좌우의 횡외방돌출연(5a), (5b)을 겹쳐서 융착시킨 구조로한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관은 관내면에 돌조(10)…가 형성되어 있는 관이 얻어진다.
제28도 및 제29도에 도시한 실시예(제13실시예)는 관의 통형내벽(8)을 형성하는 평대상의 합성수지대(9)를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측연부분을 겹쳐면서 순차 나선상으로 권회하고 그 외주면위에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을 하향개반된 "
Figure kpo00008
"형으로양 개방단부를 각각 횡외방으로 향하여 돌출시킨 돌출연(6a), (6b)을 가진 형상으로 된 펀칭 메탈의 보강대판(6I) 외측면위에 합성수지층을 융착일체화시킨 파형대체(H)를 제29도와 같이 순차 나선상으로 권회하여 상기 통형내벽(8)과 융착일체화시킨 관의 구조이다.
여기서는 상기 보강대판(6I)의 돌출연(6a), (6b)을 더 외방으로 돌출시키고 다수의 작은 구멍(7a), (7b)을 형성한 것에 합성수지층을 형성한 파형대체(H)의 돌출연(5a), (5b)부분, 즉 상기 돌출연(6a), (6b)이 요입부(5)의 중앙부분에서 중첩되도록 하여 상기 파형대체(H)가 통형내벽(8)의 표면위에 일체적으로 융착시킨 구조로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경유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의 보강대판(6A)의 경우와 같이 이 실시에에서도 보강대판(6I)은 그 외주면위에 융착 일체화시키고 있는 상기 합성수지층과 통형내벽(8)의 합성수지벽에 둘러싸여 내자오딘 상태로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 파형대체(H)를 보강대판(6I)의 내외전주면위에 샌드위치상으로 합성수지층을 융착 일체화시킨 것으로 하여도 좋은 것이다.
제31도 및 제32도에 도시한 실시예(제14실시예)는 상기 제13실시예의 평대상의 합성수지대(9)를 미리 권회하는 구성을 취하지 않고 파형대체(H)에 해당하는 파형대체(I)를 보강대판(6J)도 포함시켜 도면에서 좌측의 횡외방 돌출연부(5C)를 길게 연장시킨 구조로 하고 보강대판(6J)의 내주면측에도 합성수지층을 일체적으로 융착시킨 구조, 즉 보강대판(6J)을 내외의 합성수지층사이에 샌드위치상으로 매설한 구조로한 것이다. 그리고 좌측횡외방으로 연장된 돌출연부(5C)가 정상부(2)의 관내면측 개방부를 폐쇄하여 상기 제 1 실시예의 통형내벽(8)에 상당하는 연속된 통형내벽(8)을 구성하는 구조로 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대판(6J)의 내외양면의 합성수지층은 보강대판(6J)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작은 구멍(7)…에 의하여 내외일체적으로 연통연결되어 있다.
제33도는 보강대판(6)을 형성하는 판소재(6P)를 도시한 것으로 이판소재(6P)를 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파형을 가지게 하여 이 소재를 사용 제 5 도, 제13도 및 제30도등에 도시한 형상 혹은 기타 소요의 형상으로 절곡가공하여 본 발명의 보강대판(6)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평판대상소재의 경우보다도 더 한층 내압변형강도가 우수한 관을 얻을수가 있다.
또 제3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판소재(6g)의 파형방향을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파형에 아니고 소정각도 만큼 경사시킨 파형으로 하면 나선산으로 권회하였을때 제35도에 대략 도시한 바와같이 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파형(6r)을 가진 보강대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설명으로서 보강대판(6)의 재료를 스텐레스박판으로 기재하였으나 이 보강대판은 스틸강판도 좋고 기타의 강도재도 좋다. 판소재는 펀칭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평판으로 하여도 좋은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같다. 펀칭구멍의 형상, 크기, 조밀상태에 대해서는 임의로 설정할 사항이므로 특정하지 아니한다. 관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재료로서 폴리에치렌, 폴리프로피렌등의 오레핀계 합성수지나 염화비닐계의 합성수지가 주로 사용되지만 기타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입증하기 위하여 편의상 제21도 및 제22도에 도시한 제10실시예의 관에 대하여 역학계산을 하면 다음과 같다.
즉, 관벽의 전역에 0.5㎜ 두께의 철제대판(6C), (6H)을 매설하고, 그 앞뒤에 영율(E) 250㎏/㎟의 경질 폴리염화비닐재를 각각 0.25㎜ 두께로 피복하여 두께 1㎜로한 관(관 A라함)과 관전체를 영율(E) 250㎏/㎟의 경질 폴리염화비닐재 두께 4㎜로 형성한 관(관 B라함)에 대하여 편평하중과 편평량에 대해 계산하면,
Figure kpo00009
단, W=편평하중
E=영율(종탄성계수)
I=단면 2차모멘트(두께, 형상등에 의하여 변화한다)
R=중립축의 반경
편평하중과 편평량은 위 계산식에 의해서 산출할수가 있으므로 상기 단면 2차모멘트(I)로부터 두께의 요소를 제거한 나머지 요소를 I'로하여 상기 양관(A)(B)의 수치를 상기식에서 대입하면, 편평하중 W는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10125 : 1000 : 10.125 : 1인 것이어서 관 A는 관B에 비하여 두께가 1/4에 해당하기 때문에 약 10배이상의 내압편평강도를 가지며 같은 편평하중에 대하여서는 약 1/10밖에 변형하지 않는 강도를 가지는 관을 얻는 것이다.
그리고 철의 비중은 7.86이며 폴리염화비닐수지의 비중은 1.406이므로 관의 중량비를 계산하면 관 A는 철두께 0.5㎜. 수지두께 0.5㎜이며 관 B는 수지두께 4.0㎜이므로,
관 A 7.86×0.5+10406×0.5=4.633
관 B 1.406×4.05.624
4.633 : 5.624≒1 : 1.214가 되므로 관 A는 관 B에 비하여 약 20%중량을 가볍게 할수가 있는 것이다. 또 합성수지재료의 사용량은 관 A가 0.5㎜두께인데 비해 관 B는 4.0㎜두께이므로 관 A는 관 B에 비하여 1/8로서 충분하게 된다. 또한 이미 설명한 각 실시예중 제1 내지 제 4 실시예 및 제7 내지 제 9 실시예에 나타낸 각관은 관요입부(5)를 합성수지재료만으로 형성된 구조이므로 이 요입부(5)의 존재에 의하여 가요성을 기대할 수 있는 관을 얻는다. 또 이들의 각관에 비교하여 그 가요성이 적으나 제5 내지 제 6 실시예 및 제10실시예에 나타난 각관은 요입부(5)의 중간부분(51)에 합성수지재료만으로 되는 관벽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이 합성수지재료만으로 되는 요입부(5)의 중앙부분의 존재에 의하여 가용성을 기대할 수 있는 관을 얻을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각관은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할때 지중에 형성한 굴착배관로에 따라서 배관하기 쉬운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 제11 내지 제14실시예로 나타낸 각관은 요입부(5)에도 보강대판(6)이 존재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경직성이 우수하여 지중매설관로가 직선상인 경우, 또 직선상의 자세를 유지시키고저 할 경우등의 매설관으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각관을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의 실시예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구성 요건을 구비하고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변경실시할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13)

  1. 관벽을 나선파형상으로 형성한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으로서, 나선파형중 정상부(2)와 이 정상부(2)에 연결된 양측벽부(3), (4)의 일부에 걸쳐서 일체적으로 연결되게 금속박판제의 보강대판(6)을 형성하는 관벽(1)의 합성수지재에 감싸져서 내장된 상태로 배설시켜서 되는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
  2. 보강대판(6)이 하향개반된 "
    Figure kpo00012
    "형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의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
  3. 보강대판(6)이 반원통형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
  4. 보강대판(6)이 하향개반된 "
    Figure kpo00013
    "형의 양 개방단부가 서로 외향하여 횡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
  5. 보강대판(6)이 반원통형인 양 개방단부가 서로 외향하여 횡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인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
  6. 보강대판(6)이 4각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
  7. 보강대판(6)이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
  8. 보강대판(6)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
  9. 보강대판(6)이 구멍없는 금속박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
  10. 보강대판(6)이 다수의 작은 구멍(7)…을 뚫어놓은 펀칭 메탈로 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
  11. 보강대판(6)의 내외양면의 합성수지가 보강대판(6)에 형성된 다수의 작은 구멍(7)…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
  12. 보강대판(6)이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주름을 형성하고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
  13. 보강대판(6)이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주름을 형성하고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지중매설용 내압합성수지관.
KR1019860001278A 1985-02-25 1986-02-24 지하메설용 내압합성수지파이프 KR890001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173??4? 1985-02-25
JP26173 1985-02-25
JP2617385U JPS61141889U (ko) 1985-02-25 1985-02-25
JP123193 1985-08-09
JP1985123192U JPH0349350Y2 (ko) 1985-08-09 1985-08-09
JP1985123193U JPH0419275Y2 (ko) 1985-08-09 1985-08-09
JP123191 1985-08-09
JP123192 1985-08-09
JP1985123191U JPH0311510Y2 (ko) 1985-08-09 1985-08-09
JP1985191581U JPH0537117Y2 (ko) 1985-12-12 1985-12-12
JP191581 1985-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659A KR860006659A (ko) 1986-09-13
KR890001842B1 true KR890001842B1 (ko) 1989-05-25

Family

ID=27520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278A KR890001842B1 (ko) 1985-02-25 1986-02-24 지하메설용 내압합성수지파이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07462A (ko)
KR (1) KR890001842B1 (ko)
BR (1) BR86007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2133C (sv) * 1988-08-17 1991-01-10 Kwh Pipe Ab Oy Spirallindat rör
US5184649A (en) * 1988-11-26 1993-02-09 Shiro Kanao Pressure-resistant helical corrugated pipe
JPH02179213A (ja) * 1988-12-27 1990-07-12 Shiro Kanao 耐圧螺旋波形管
US5284185A (en) * 1988-12-27 1994-02-08 Shiro Kanao Pressure-resistant helical corrugated pip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5193588A (en) * 1988-12-27 1993-03-16 Shiro Kanao Pressure-resistant helical corrugated pipe
JP3118579B2 (ja) * 1992-12-09 2000-12-18 金尾 茂樹 耐圧合成樹脂管
US5524708A (en) * 1994-02-28 1996-06-11 Isaacs; Jonathan W. Non-metallic oil well tubing system
JP3118582B2 (ja) * 1994-07-25 2000-12-18 金尾 茂樹 樹脂管
WO1996009486A2 (en) * 1994-09-13 1996-03-28 Lothar Dee Corp. Composite conduit for carrying fuel oil
JP4660804B2 (ja) * 2001-03-12 2011-03-30 東拓工業株式会社 有孔管及びその製造方法
US7004202B2 (en) * 2002-04-22 2006-02-28 Rib Loc Australia Pty Ltd. Composite strip windable to form a helical pipe and method therefor
EP1407707A3 (de) * 2002-10-11 2005-03-23 Dr. Kern GmbH Saugschlauch
CN1296194C (zh) * 2003-11-13 2007-01-24 刘德政 塑料复合管顶管的制造方法
JP2005180609A (ja) * 2003-12-19 2005-07-07 Totaku Industries Inc 耐圧複合管
US7156128B1 (en) * 2005-06-21 2007-01-02 Kanaflex Corporation Synthetic resin pipe
DE102006018374A1 (de) * 2006-04-20 2007-10-25 Drossbach Gmbh & Co Kg Wellrohr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KR20090045034A (ko) * 2007-11-01 2009-05-07 가나플렉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수지 복합관
DE202010018415U1 (de) * 2009-01-28 2016-06-03 Plastiflex Group Flexibler Schlauch mit glatter Innen- und/oder Aussenwand
US9255394B2 (en) 2009-06-05 2016-02-09 Stormtech Llc Corrugated stormwater chamber having sub-corrugations
US8672583B1 (en) 2009-06-05 2014-03-18 Stormtech Llc Corrugated stormwater chamber having sub-corrugations
CN101943297B (zh) * 2009-07-10 2014-05-07 上海金纬管道设备制造有限公司 金属加筋结构壁塑料管及制造方法
CN101718375B (zh) * 2009-11-17 2021-03-19 华瀚科技有限公司 用于螺旋波纹形塑钢缠绕管的钢带增强复合带材
CN101876384A (zh) * 2010-03-05 2010-11-03 沙洲职业工学院 钢带加强型钢塑复合缠绕管
JP5953013B2 (ja) * 2011-07-01 2016-07-13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リング装着軟質樹脂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235529A (zh) * 2014-08-26 2014-12-24 东莞市圆玄建材贸易有限公司 内肋增强外波纹型塑料缠绕结构壁管材及其制造方法
CN104329515A (zh) * 2014-09-24 2015-02-04 四川省川杭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钢带增强梯形螺旋波纹管
CN104329514A (zh) * 2014-09-24 2015-02-04 四川省川杭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钢带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
LT3988153T (lt) 2015-03-31 2024-08-26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Vartotojo sąsaja dujų tiekimui į kvėpavimo takus
CN105402510B (zh) * 2015-12-08 2019-03-15 东营市天诚建材有限公司 Hdpe平封口全钢带波纹排放管的生产工艺
CN105402511A (zh) * 2015-12-31 2016-03-16 广西钦州国通管业有限公司 钢塑复合克拉管
EP3995168A1 (en) 2016-08-11 2022-05-11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A collapsible conduit, patient interface and headgear connector
CN108253199A (zh) * 2018-03-05 2018-07-06 江苏桓通环境科技有限公司 内肋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及其接头连接方法
CN109307112A (zh) * 2018-10-30 2019-02-05 湖北兴欣科技股份有限公司 钢带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
CN109140063A (zh) * 2018-10-30 2019-01-04 湖北兴欣科技股份有限公司 带保温功能的钢带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89402730A (en) * 1894-02-08 1895-02-02 Thomas Barnet Grant A New and Improved Protector for Electric Cables Laid Underground.
US1797193A (en) * 1926-08-03 1931-03-17 Goodyear Tire & Rubber Method of making flexible conduits
GB473535A (en) * 1937-06-02 1937-10-14 Pforzheim Metallschlauch Improvements in flexible metal tubes
US2448485A (en) * 1943-12-11 1948-08-31 Chernack Mary Hose
US2688343A (en) * 1948-04-03 1954-09-07 Hoover Co Flexible hose
GB736059A (en) * 1953-08-21 1955-08-31 William Warne And Company Ltd Reinforced flexible hose
GB991542A (en) * 1960-10-29 1965-05-12 David Moseley & Son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flexible suction and discharge hose
US3198873A (en) * 1963-05-20 1965-08-03 Atlas Copco Ab Flexible conduits having electrical conductors therein
IL31940A (en) * 1968-04-05 1971-08-25 Dynamit Nobel Ag Sections from thermoplastic resins
GB1268567A (en) * 1969-03-29 1972-03-29 English Calico Improvements i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FR2138544A2 (en) * 1971-05-27 1973-01-05 Kleber Colombes Armoured hose - with helical metallic tape hoops to confer crush resistance without longitudinal stiffening
DE2141281A1 (de) * 1971-08-18 1973-03-01 Kessler & Co Tech Chem Gmbh Innen glatter und aussen schraubengangfoermiger, mit einer stuetzwendel versehener kunststoffschlauch
US3890181A (en) * 1972-11-27 1975-06-17 Creators Ltd Flexible plastics hoses
DE2722928C2 (de) * 1977-05-20 1983-01-05 Hans Grohe Gmbh & Co Kg, 7622 Schiltach Flexibler Kunststoffschlauch
US4172473A (en) * 1978-02-21 1979-10-30 Aeroquip Corporation Molded hose insert
JPS5689531A (en) * 1979-12-20 1981-07-20 Toyo Chem Co Ltd Corrugated pipe
JPS5844583U (ja) * 1981-09-18 1983-03-25 金尾 史朗 合成樹脂製コルゲ−ト二重管
DE3213551C1 (de) * 1982-04-10 1983-10-06 Manfred Hawerkamp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Rohren,Behaeltern oder dergleichen zylindrischen Koerpern
JPS6136785U (ja) * 1984-08-09 1986-03-07 史朗 金尾 合成樹脂製地中埋設管
JPS6193528U (ko) * 1984-11-19 1986-06-17
US4759389A (en) * 1986-12-04 1988-07-26 Kim Woo Suck Synthetic resin pipe for underground insta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600761A (pt) 1986-11-04
US5007462A (en) 1991-04-16
KR860006659A (ko) 198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842B1 (ko) 지하메설용 내압합성수지파이프
KR890007176Y1 (ko) 지하 매설용 내압 합성수지관
JPS645175Y2 (ko)
CA2402980C (en) Armoured, flexible pipe and use of same
US3625258A (en) Multipassage pipe
KR930001667B1 (ko) 내압 나선 파형관
KR930001666B1 (ko) 내압 나선 파형관
KR100486948B1 (ko) 암거관
KR880002488B1 (ko) 지중매설용 내압나선관
KR930005470B1 (ko) 내압나선파형관
US3855799A (en) Rigid corrugated tubing
CA2055314A1 (en) Bellows pip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284185A (en) Pressure-resistant helical corrugated pip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930018188A (ko) 내압나선파형관
DE3410838C2 (ko)
JPH0250351B2 (ko)
JPH0537117Y2 (ko)
JPH0311510Y2 (ko)
US1960139A (en) Flexible conduit
JPH0349350Y2 (ko)
JPH0419275Y2 (ko)
KR960000662B1 (ko) 경량금속관
JPH0511427Y2 (ko)
JPH05118478A (ja) 可撓性複合樹脂管
KR0119868Y1 (ko) 내압 합성수지나선관용 보강철판 매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