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477B1 - 무선 제어 단자 - Google Patents

무선 제어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477B1
KR890001477B1 KR1019830005711A KR830005711A KR890001477B1 KR 890001477 B1 KR890001477 B1 KR 890001477B1 KR 1019830005711 A KR1019830005711 A KR 1019830005711A KR 830005711 A KR830005711 A KR 830005711A KR 890001477 B1 KR890001477 B1 KR 890001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essage
program
control terminal
program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333A (ko
Inventor
마크 버크 티모시
필딩 스미스 폴
윌리암 노블 스코트
리드 스코먼 에릭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빈센트 조셉로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빈센트 조셉로너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40007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 제어 단자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음성 저장 이동 제어 단자를 합동시키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블럭선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디지탈 음성 저장 제어 회로에 관한 블럭선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BEGIN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SWITCH CK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SEND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EMRG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PARSE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ACKD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BASE RCD/STORE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SAMP 1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ASYNC/SYNC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ENDRCD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FORWARD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PLAY/REPLAY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PLBACK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PLBK ABORT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PACKET PARSING 루틴에 관한 변경 흐름선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TRANSMIT HANDLER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
* 도면의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 베이스 데이타 유니트 26 : 키패드와 표시기
30 : 베이스 송수신기 34 : 안테나
36 : 이동 유니트 38 : 디지탈 음성 저장 제어 회로
42 : 제어 버튼 54 : 오디오 대역 통과 필터
56 : PSK 필터 62 : CVSD 회로
74 : 코드 플러그 76 : RAM
80 : 오디오 필터 92 : 스위치
94 : 5.0V 전원 96 : 9.6V 전원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음성/데이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중 유니트 랜드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해 적용된 디지탈 음성 저장 이동 무선 제어 단자용 장치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비상 전달 수단을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경고 전송을 수행하는 일반 방식인 무선 주파수 전송 시스템중 여러가지 방식을 포함하고 있었다.
종래의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원하는 메시지를 저장시키기 위해 자기테이프 또는 도선을 이용했으며, 종래의 재생 장치를 이용했다. 그러나, 그러한 시스템은 주변환경, 중량과 크기 제한으로 인하여 실제적으로 응용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부연하여, 자동 기록 및 재쟁 장치는 전화 응답 시스템과 같은 종래의 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며, 전화 응답 시스템은 제 1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된 명령으로 응답한 다음에, 제 2 자기테이프상에 전화 메시지를 기록한다. 수신된 메시지를 기록하고, 원격 활성화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메시지를 먼저 기록하기 위한 다소 유사한 시스템이 다중 유니트 랜드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기계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부피가 크고, 신뢰도가 없으며, 융통성이 없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고정된 메시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연속적인 액세스를 제공만 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스템 한계로 인하여 종래의 기술에는 잠재적인 많은 응용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디지탈 음성 저장을 이용하고, 다중 유니트 랜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상의 음성 저장 이동 무선 제어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고, 다중 메시지 저장과 비순차 액세스를 할 수 있는 음성 저장 이동 무선 제어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며, 비상 상태가 원격 트리거되고 기록되는 메시지 전송 능력을 갖춘 다중 유니트 랜드 이동 통신 시스템용 음성 저장 이동 무선 제어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본 발명에 따라, 음성과 데이타 통신을 위한 다중 유니트 통신 시스템에 이차 스테이션용 무선 제어 단자가 제공된다. 상기의 통신 시스템은 일차 스테이션과 다수의 이차 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각의 이차 스테이션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음성 메시지를 입력 시키도록 해주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제어 단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된 음성 메시지를 숫자화하기 위한 숫자화 회로망과, 숫자화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부연하여 상기의 제어 단자는 숫자화 되어 저장된 메시지를 아날로그 형태로 접속시키시 위한 변환회로망과, 변환되어 저장된 메시지를 일차 스테이션으로 전송시키기 위한 전송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특징은 특히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으며, 다른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본 발명은 동봉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다음의 설명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제 1 도에는, 일차(베이스) 스테이션(20)과 한개의 이차(이동) 스테이션(22) 사이의 데이타 신호와 음성신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블럭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무선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디지탈 음성 저장 이동 제어 단자를 합동시킨다. 상기의 시스템은 전체 제어 동작과 신호 표시가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데 기초를 두어 가동 시스템을 소형으로 하는 처리기이다. 그러한 음성/데이타 통신 시스템은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1982년 7월 28일에 출원되어 출원번호 제 402,687호로 계류중인 명세서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실시된 시스템은 상기 계류중인 출원서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소프트웨어로 수정된 베이스 데이타 제어 유니트(24)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데이타 제어 유니트(24)는 오퍼레이터 제어 및 기능을 모니터하는 키패드 및 표시기(26)와, 마이크로폰(28) 또는 음성입력을 보유하고 있다. 베이스 데이타 제어 유니트(24)는 안테나(32)를 내장하고 있는 베이스 송수신기(30)에 결합된다. 음성 통신 또는 데이타 통신은 RF 송신을 경유하여 이동 스테이션과 함께 설정된다. 실시된 이동 스테이션은 이동 송수신기(36)에 결합된 안테나(34)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동 송수신기(36)는 이동 유니트 디지탈 음성 저장 제어 회로(38)에 결합된다. 상기의 이동 디지탈 음성 저장 제어 단자(38)는 마이크로폰(40)과 한 세트의 제어 버튼(42)을 보유하고 있으며, 오퍼레이터가 디지탈 음성 저장 기능을 제어하도록 해준다.
사용된 신호 표시는 1500Hz 캐리어를 갖는 초당 600비트 PSK 변조 신호이다. 데이타 전송은 32비트 패킷으로 이루어지며 32비트 패킷은 40비트 이중 위상 최적 코드 워드를 통해 동기화된다. 1/2 콘벌류션(convolution) 임계 디코더 비율은 에러 수정에 사용되고, 16비트 반전 CCITT 순환 여유 코드는 메시지에러 검출용으로 사용된다. 명령 데이타 패킷은 상태 정보, 명령과 특수 이동 유니트와 대응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도에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 송수신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디지탈 음성 저장 제어 단자에 관한 블럭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의 이동 유니트(50)는 8개의 64K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예로, 모토로라 MCM 6664)와 디지탈 및 아날로그 회로망으로 구성된 MPU(60)(예로, 모토로라 MC 3870)를 일차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유니트는 42초간의 음성을 저장할 수 있고, 8개의 균일 메시지를 구비할 수 있다. MPU(60)는 전체 PSK 변조, 복조, 신호 표시와 인코드와 디코드 및 이동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와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 데이타는 아날로그 형태로 수신기 검출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판별기 입력(52)으로 인가된 다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대역 통과 필터(54)와 PSK 대역 통과 필터(56)에 결합된다. 상기의 PSK 필터(50)는 원하지 않는 신호와 수신기 잡음을 제거하고, 여파된 신호를 제한기(58)로 결합시키고, 제한기(58)에서는 상기의 신호가 제한된 뒤에 처리 및 디코드 하기 위한 MPU(60)에 결합된다. MPU(60)는 이동 유니트(50)에 대해 명령과 제어정보를 공급하는 명령 데이타 패킷을 복구하는 PSK 신호를 검출한다. 오디오 대역 통과 필터(54)는 오디오 음성 신호를 여파하고, 여파된 음성 신호를 연속적으로 가변할 수 있는 경사 델타 변조(CVSD) 인코더/디코더 회로에 결합시키며 이 회로는 MPU(60)와 함께 입력 음성 신호를 숫자화 한다. 상기 회로(62)는 또한 음성을 재생하여 재구성 시키는데 사용된다(상기한 실시예에서는 12, 346KHz의 샘플 비율).
전송될 데이타는 명령 데이타 패킷내의 MPU(60)에 준비되고, PSK 변조 패킷으로서 출력(64)으로부터 마이크로폰 출력(66)과 무선 전송기로 결합된다. 마이크로폰(도시되지 않음)은 임의의 음성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타 전송동안 묵음된다. 무선 묵음은 출력(68)을 거쳐 MPU(60)에 의해 제어되고, 음성 발생은 CVSD 회로(62) 및 필터(80)와 함께 MPU(60)에 의해 수행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82)과 마이크로폰 출력(66)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의 MPU(60)는 도선(72)을 경유하여 채널 감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코드 플러그(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MPU(60)에 결합되고, 디지탈 음성 저장 유니트(50)의 선택된 옵션에 관한 전체 시스템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코드 플러그(74)내의 데이타는 MPU(60)에 의해서 판독되며, 이동 디지탈 음성 저장 유니트(5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76)는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42초동안 디지탈 음성을 저장하도록 제공하는 8개의 다이내믹 64K RMS로 구성된 MPU(60)에 결합된다.
오디오 필터(80)는 CVSD 회로(62)에 결합되어 CVSD 회로(62)로부터 재구성된 음성을 평활하게 하고, 합성 평활 음성 신호는 도시된 바와 같은 출력부(82)에 결합된다. 마이크로폰 스위치(83)는 STORE 기능 스위치의 일부이며, 음성을 저장하는 동안에 마이크로폰 입력(88)으로부터 오디오 대역 통과 필터(54)로 음성을 결합시키고, 전송 동안에 전송기(도시되지 않음)로 음성을 결합시키도록 제공된다. 부연하여, 스위치(84)는 음성은 저장하는 동안에 PTT 신호를 입력(86)으로부터 MPU(60)로 결합시키는 반면 전송동안에 PTT 신호를 송수신기/제어 헤드 버스(제 1 도 참고)로 결합시킨다. 메시지 지시기 램프(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MPU(60)에 결합되어 오퍼레이터에게 저장된 메시지에 대한 표시를 한다. 3개의 스위치로 구성된 세트(92)는 또한 MPU(60)에 결합되어 오퍼레이터가 디지탈 음성 동작에 대한 PLAY, REPLAY와 SEND모드를 선택하도록 해준다. 이동 디지탈 음성 저장 유니트(50)는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된 5V 전원 장치(94)와 조절된 9.6V 전원 장치(96)를 필요로 한다.
이동 디지탈 음성 저장 메모리를 어드레스 하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실시예에서 기록된 음성의 약 166m sec의 블럭에서 구성된다. 또한 메시지는 선입선출법(FIFO) 대기 행렬에 저장된다. MPU(60)내에 있는 많은 양의 데이타를 이동시키지 않고 저장하기 위해, 환상 메시지 테이블이 지침(pointer)과 지연(lag)을 이용하고, 8개의 어드레스를 8개의 분리 메시지로 허용하는데 이용된다. 한개의 지침은 가장 최근의 메시지의 메시지 테이블에 위치를 항상 지시한다. 부가적으로, 3개의 플래그는 각 메시지 상태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플래그는 현재, 활성, 저정과 전진의 메시지를 의미하는 PRESNT, ACRIVE와 STFWD로 표시된다. 메시지는 음성 메모리내에 홈이 없는 경우에 존재하게 된다. 베이스로부터 정상적으로 기록된 메시지는 메시지가 존재하는 시간에서 재조사 될때까지 활성화(존재)된다. 메시지가 이동 오퍼레이터에 의해 기록되어 베이스 쪽으로 진행하는 경우에 존재하고 저장 및 전진(STFWD)하게 된다.
기록 명령이 수신될때, PRENSNT 플래그는 조사된다. 어떠한 메시지도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록용 시작 어드레스는 RAM의 개시점으로 세트되지만, 다른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새로운 메시지는 가장 최근의 메시지의 단부에서 시작하여 기록된다. 일단 기록이 정지하면, 시작과 정지 어드레스는 메시지 테이블에 위치되고, 플래그는 과도하게 기록된 메시지 테이블에 위치되고, 플래그는 과도하게 기록된 메시지를 위해 리세트시킨다. 메시지가 부분적으로 과도하게 기록된 경우, 메시지에 대한 시작 어드레스는 새로운 메시지 정지 어드레스로 조정된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메시지는 이전의 모든 메시지를 과도하게 기록하도록 허용된다. 이동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된 저장 및 전진 메시지의 경우에는 예외가 있다. 이동 오퍼레이터는 아직 재조사 되지 않은 베이스 조작 메시지를 파괴시키지 못하도록 막을 필요가 있다. 이동 메시지 램프(90)가 온 상태로서, 한개 이상의 메시지가 재조사 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오퍼레이터는 저장 및 전진 메시지를 발생시킬 수 없게 된다. 오퍼레이터가 저장 모드를 활성화시킬 경우, 저장 버튼을 복구할때까지 신호음이 울리게 된다. 오퍼레이터가 저장 버튼을 복구하지 않을 경우, 15초후에 신호음이 정지하게 될 것이나, PTT를 누를 경우에는 신호음이 다시 울리기 시작할 것이며, 베이스 메시지가 재조사될때까지 어떠한 판독도 허용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의 저장 모드는 오퍼레이터가 PTT를 사용함으로써 음성 조각을 더 긴 메시지에 부착할 수 있게 하며 기록을 시작 또는 정지시킨다. PTT가 복구된 후 상기의 메시지는 자동적으로 재생된다. 이동 오퍼레이터가 음성 메모리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경우, 전체 메시지가 재생되는 시간에 PTT가 복구될때까지 신호음이 울릴 것이다. 오퍼레이터가 저장 버튼을 누른채로 PTT를 다시 압착하는 경우, 전체 저장 및 전진 메시지가 삭제된다. 이에따라 저장 및 전진 메시지를 삭제하기 위한 편리한 방법이 제공된다.
동작에 있어서, 베이스 개시 음성 저장 순차는 어드레스가 유니트, 그룹 또는 선단을 표시함에 따라 이동 유니트를 나타내는 명령과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 패킷의 베이스 전송을 시작한다. 임의로 상기의 베이스는 적당한 명령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전체 저장 시간과 나머지 저장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기록기로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해, 오퍼레이터는 상기의 전송을 기록하는 이동 유니트를 명령하는 명령 데이타 패킷을 보낸 뒤에 정상적으로 통화를 계속한다. 기록 명령을 수신하자마자 이동 유니트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탈로의 변환을 시작하고 변환된 데이타를 RAM에 저장한다. 기록하는 동안에, 이동 디지탈 음성 저장 유니트는 정지 명령 패킷을 디코드 할 시간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턴 오프 코드(선행의 실시예에서 1543Hz)는 오퍼레이터가 PTT를 복구할때 베이스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되며, 기록을 종료시키는 이동 디지탈 음성 저장 유니트에 의해 검출된다. 재조사될 메시지가 대기하고 있다는 것을 이동 오퍼레이터가 알도록 하기 위해, 메시지 빛(90)이 이동 유니트상에서 턴 온 된다. 최종 베이스 메시지가 이동 오퍼레이터에 의해 재조사될때 상기의 빛은 꺼진다.
이동 오퍼레이터는 기록된 메시지는 물론, 기록전후의 모든 메시지를 재조사 할 수 있다. PLAY 스위치는 순시 스위치이며, 시용자가 저장된 메시지를 통해 배열하도록 하고 정규 수신 오디오를 통하여 메시지를 재생하도록 해준다. 여러가지의 메시지가 기록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의 제 1 누름단추는 가장 오래된 메시지를 먼저 재생시킬 것이다. 스위치를 누름에 따라 모든 메시지가 재조사될때까지 그 다음 메시지를 재생시키고, 최종 메시지가 재생될때, 짧은 신호음이 발생된다. 오퍼레이터가 스위치를 다시 누르는 경우, 순차가 시작된다. 재생 스위치, 또한 순시 스위치는 오퍼레이터가 재생된 최종 메시지를 다시 재생시키도록 해준다. 최종 기록 이후에, 어떠한 메시지도 재생되지 않는다면, 가장 오래된 현재의 메시지가 다시 재생된다.
이동 오퍼레이터는 저장-전진 모드에 유니트를 넣는 제도 STORE 스위치를 우름으로써 메시지를 국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베이스 스테이션에 의해 임의로 후에 검색되는 메시지를 작성하도록 해준다. 스위치가 정규 위치에 있을때, 마이크로폰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송신기를 작동시킨다. STORE 위치에 있어서, 오퍼레이터는 마이크로폰에 있는 PTT를 누름으로써 메시지를 기록하기 시작한다. 오퍼레이터가 PTT를 복구할때, 오퍼레이터의 메시지는 무선 오디오를 통해 재생된다. PTT가 압착될때마다, 오퍼레이터는 메시지를 현존 메시지에 첨부할 수 있으며, PTT가 복구될때마다 기록기는 전체 메시지를 재생시킨다.
SEND 스위치, 또한 순시 스위치는 베이스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검색될 수 있고, 저장 진행 메시지가 기록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베이스로 오퍼레이터가 명령 데이타 패킷을 보내주기 위해 제공된다. 저장 전진 메시지가 이동 메모리내에 존재하면, 명령 데이나 패킷이 전송된다.
베이스 오퍼레이터는 메시지가 대기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기록상에 남아있는 시간을 얻는 이동 DVS유니트의 상태를 요구하는 명령 데이타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대기가 존재하는 경우, 명령 데이타 패킷은 그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이동 유니트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이동 오퍼레이터가 전달 수단을 떠날지라도, 베이스 오퍼레이터는 이동 오퍼레이터가 떠나기 전에 무엇을 기록했는지를 들을수 있다. 부가적인 특징은 이동 오퍼레이터가 소형 라디오를 사용하는 그 이동 오퍼레이터에 대해 특수한 비상 상태를 원격으로 트리거 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이다. 소형 라디오는 명령 데이타 패킷을 이동 오퍼레이터에게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 오퍼레이터는 우선 순위 상태 명령 데이타 패킷을 베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베이스는 이동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구하는 명령 데이타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제 3 도에는 본 발명을 개선하기 위해 제 2도의 MPU(60)용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BEGIN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프로그램은 파워가 온일때 블럭(100)에 입력되며, 블럭(102)에서 초기치가 설정되어 테이블을 클리어시키고, 코드 플러그로부터 시스템 데이타를 판독한다. 그 다음 프로그램 흐름은 PSK 디코드가 토기화되는 블럭(104)으로 진행한다. PSK 초기화 블럭(104)은 또한 106에 도시된 기입 항목 포인트 START로부터 기입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 흐름은 PSK 디코드 루틴을 통하여 블럭(108)으로 진행한다. 이러한 루틴은 1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입 항목 포인트 MAIN으로부터 압력될 수 있다. PSK 디코드 프로그램은 상기 참고한 게류중인 특허출원서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PSK 디코드 루틴에서, 데이타 패킷에 대하 디코드가 발생하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적당한 ID 정합을 테스트하기 위해 블럭(112)으로 진행하게 된다. 적당한 ID 정합이 발생하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PARSE 루틴(114)으로 진행하고, 어떠한 정합도 일어나지 않을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114에서 PSK 초기화로 되돌아간다. 적당한 명령 데이타 패킷의 디코드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비상 상태의 재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블럭(116)으로 진행한다. 재전송할 필요가 있다면, 프로그램 흐름은 120으로 표기된 REEMERG 루틴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 흐름은 118으로 표기된 SWITCH CK 루틴으로 진행하게 된다.
SWITCH CK 루팅 관한 흐름선도가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블럭(130)에 루틴에 대한 기입 항목을 도시하고 있다. 블럭(132)에서, 시스템이 비상 모드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비상 모드에 있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134로 표기된 제 3 도의 MAIN 기입항목 포인트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블럭(136)에서 다른 테스트가 수행된다. 블럭(136)에 표기된 바와 같이 비상 스위치는 새로운 비상 모드가 초기화 되었는지의 여부와 비상 모드 옴션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 결과가 사실일 경우, 프로그램제어는 138로 표기된 EMRG 루틴으로 전송되고, 사실이 아닌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140)으로 진행한다. 블럭(140)에서, 재생 스위치는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었는지를 체크하고, 만약 활성화 되면 프로그램제어는 142로 표기된 REPLAY 루틴으로 전송된다. 활성화 되지 않을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144)으로 진행하며 플레이 스위치는 활성화 되었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한다. 플레이 스위치가 활성화된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146으로 표기된 PLAY 루틴으로 전송되고, 활성화 되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148)으로 진행한다. 블럭(148)에서, 전송 스위치는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었는지의 여부와 전송 옴션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결과가 정(positive)인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150으로 표기된 SEND 루틴으로 전송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152)으로 진행하고, STORE 스위치는 스위치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코드 플러그는 저장 옵션이 가능한지 체크한다. 결과가 부(negative)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154)으로 진행하고, 부적당한 동작이 시도된 경우에 신호음이 울리게 되며, 프로그램 제어는 블럭(156)으로 표기된 바와 같은 제 3 도의 MAIN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전송된다. 그러나, 블럭(152)에서의 결과가 정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158)으로 진행하며, 통화 스위치를 눌러 스위치가 활성화되었는지 체크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156으로 표기된 제 3 도 MAIN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전송된다. PTT 스위치가, 활성화된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블럭(160)으로 표기된 바와 같이 STORE 루틴으로 전송된다.
블럭(170)에 입력된 SEND 루틴이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다.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172)으로 즉각 진행하게 되어 임의의 저장 및 전진 메시지가 있는지를 테스트한다. 결과가 아니오(no)인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제 3 도에 도시된 START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전송되고, 결과가 예(yes)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176)으로 진행하게 된다. 블럭(176)에서 채널이 통화중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채널이 통화중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182)으로 진행하게 되며, 랜덤 지연이 삽입된 뒤에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176)으로 다시 진행하게 되어 채널이 계속해서 통화중인지의 여부를 다시 테스트 한다. 블럭(172)에서 채널이 통화중이 아닌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178)으로 진행하게 되며, "서비스 요구" 데이타 명령 패킷이 전송되어 베이스 검색에 사용가능한 메시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한다. 프로그램 제어는 블럭(180)으로 표기한 바와 같은 제 3 도의 START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전송된다.
제 6 도에 도시된 EMRC 루틴은 블럭(190)에 입력되고, 프로그램 흐름은 EMERG 카운트가 세트되는 블럭(192)으로 즉시 진행한다. 프로그램 흐름은 그 다음에 EMERG 카운트가 감소되는 블럭(196)으로 진행하게 된다. 블럭(194)으로 표기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내의 이러한 위치는 REEMRG 기입 항목 포인트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198)으로 진행하게 되며, EMERG 카운트는 0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고, 0과 동일한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블럭(200)에 도시한 바와 같이 START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전송된다. 카운트가 0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02)으로 진행하게 된고, 램덤 패킷지연은 연속적인 데이타 패킷의 재전송 시간을 맞추도록 설정된다.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04)으로 진행하게 되며, 비상 명령 데이타 패킷은 206으로 표기된 바와 같은 제 3 도의 START 기입 항목 포인트로 프로그램 제어의 전송에 뒤이어 전송된다.
PARSE 루틴의 흐름선도가 제 7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 7 도에는 블럭(212)으로 즉시 진행하는 프로그램 흐름에 따라 블럭(210)에 입력된 루틴이 도시되어 있다. 블럭(212)에서, 유효한 데이타 명령 패킷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고, 결과가 부인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214로 표기된 제 3 도의 START 기입항목 포인트로 전송된다. 패킷이 유효 패킷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16)으로 진행하고 전송 기록기 상태 명령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패킷을 체크하며, 수신되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18)으로 진행하게 된다. 블럭(218)에서, 응답 지연이 부가되고, 이동 상태는 프로그램 제어의 전송에 따른 블럭(220)에서 222로 표기된 START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전송된다. 216에서 그 결과가 부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24)으로 진행하게 되고, 데이타 명령 패킷은 베이스 기록 명령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고, 존재할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226으로 표기된 BASE RCD 루틴으로 전송된다. 어떠한 베이스 기록 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28)으로 진행하게 되며 응답 지연이 삽입되어 재전송 되기 전에 시스템을 고정시킨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30)으로 진행하게 되고, 패킷이 승인되었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고, 승인될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232로 표기된 바와 같은 ACKD 루틴으로 전송되고, 승인되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34)으로 진행하게 된다. 블럭(234)에서, 데이타 명령 패킷은 전진 명령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 하고, 존재하는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블럭(23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FORWARD 루틴으로 전송된다. 블럭(234)에서 경과가 부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38)으로 진행하게 된고, 명령 데이타 패킷은 삭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테스트되고, 삭제 명령이 없는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240으로 표기된 START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전송된다. 삭제 명령이 있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전체 메시지가 삭제되는 블럭(242)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 제어는 244로 표기된 제 3 도의 START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전송된다.
ACKD 루틴은 제 8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즉시 진행하는 프로그램 흐름에 따라 블럭(250)에서 블럭(252)으로 입력된다. 블럭(252)에서, 비상 모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비상 모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54)으로 진행되고 오퍼레이터에게 알리는 신호음이 울리며, 승인 패킷은 도시된 바와 같은 블럭(256)으로 진행한 다음에 수신된다. 비상 상태가 진행되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비상계수기가 클리어 되는 블럭(256)으로 직접 진행하게 된다. 프로그램 제어는 블럭(260)으로 표기된 제 3 도의 START 기입 항목 포인트로 다시 전송된다.
BASE RCD/STORE 루틴의 흐름선도는 제 9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BASE RCD 기입 항목 포인트에 대한 입력을 270에 나타낸다.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70)으로부터 272로 진행하며, 베이스 기록 옵션이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274로 표기된 START 기입 항목포인트로 다시 전송딘다. 옵션이 존재하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76)으로 진행하고, 신호음 플래그는 재조사 되지 않은 메시지에 대해 신호음이 울리지 못하도록 프리세트 된다.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78)으로 진행하며, 플래그는 베이스 기록 모드로 세트된 다음에,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80)으로 진행하게 된다. 280에서, 임의의 메시지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고, 존재하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82)으로 진행하게 되며, 메시지 테이블 포인터는 그 다음 위치로 전진하여 블럭(284)에서 시작과 정지 어드레스를 세트시킨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98)으로 진행하게 되며, RAM, 어드레스, 테이블, 포트와 상수는 기록을 설정하도록 초기화 된다. 블럭(280)에서, 결과가 부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96)으로 진행하여 RAM의 맨 처음에서 메시지 테이블을 초기화시킨다. 블럭(286)에서, STORE 기입 항목 포인트는 블럭(288)으로 입력되어 오퍼레이터가 전송하지 않고 있음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리고, 모드 플래그를 STORE모드로 세트시키기 위한 신호음이 울리게 된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90)으로 진행하게 되어 이전의 저장 및 전진 메시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한다. 상기의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80)으로 진행하고, 결과가 정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력(292)으로 진행하게 된다. 블럭(292)에서, 이전의 메시지가 가장 최근의 것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예(yes)인 경우, 기록 제한이 블럭(293)에서, 세트되어, 새로운 시작 어드레스를 이전의 정지 어드레스에 세트시키고, 새로운 정지 어드레스를 이전의 시작 어드레스에 세트시킨다. 블럭에서 결과가 부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94)으로 진행하게 되고, 모든 메시지는 296으로 표기된 메시지 테이블을 초기화시킴에 따라 삭제된다. 블럭(293)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블럭(296)으로부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298)으로 진행하고, 298로부터 프로그램 제어는 299로 표기된 바와 같은 SAMPL 1 루틴으로 전송된다.
제10도는 SAMPL 1 루틴을 도시한 것이며, 블럭(300)에 입력되고, 프로그램 흐름은 "메시지 단부" 계수기를 갱신시키는 블럭(302)으로 즉시 진행된다. 블럭(302)으로부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04)으로 진행하여 샘플이 취해지고, CVSD가 인코드 되어 RAM(306)에 저장된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08)으로 진행하고, RAM 어드레스는 310에서 PTT를 테스트함으로써 갱신된다. 블럭(310)에서의 결과가 정인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312로 표기된 제11도의 ASYNC ABORT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전송된다. 310에서의 결과가 부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14)으로 진행하게 되고, 메시지 음(tone)의 단부에 대해 테스트가 수행된다. 음이 검출되면,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12)으로 진행하게 되고, 음이 검출되지 않으면, 316에서 단부 어드레스 테스트가 수행된다. 단부 어드레스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02)으로 다시 진행하게 되고, 316에서의 결과가 정인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블럭(318)으로 표기된 제11도의 SYNC ABORT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전송된다.
ASYNC/SYNC ABORT 루틴은 제11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블럭(320)인 ASYNC ABORT 기입 항목 포인트에서 입력을 도시한 것이다. 블럭(320)으로부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22)으로 진행하며, 현재 어드레스가 정지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결과가 부인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326으로 표기된 ENDRCD 루틴으로 즉시 전송된다. 322에서의 테스트 결과가 정인 경우, 현재 어드레스는 324로 표기된 다음의 블럭으로 진행하게된 뒤에, 프로그램 제어는 326으로 표기된 ENDRCD 루틴으로 전송된다. 프로그램은 또한 328로 표기된 SYNC ABORT 기입 항목 포인트에서 입력되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30)으로 즉시 진행하여 기록을 중단하도록 포트를 리세트시킨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32)으로 진행하여, 시스템이 저장 진행 모드에 있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고, 부인 경우에 프로그램 제어는 ENDRCD 루틴으로 전송하게 되고, 정인 경우에 프로그램 흐름DMS 블럭(334)으로 진행하게 된다. 블럭(334)에서, 신호음이 울려 블럭(336)으로 표기된 DTT 버튼이 복구될때까지 메모리가 가득채워진 것을 알리게 된다. PTT 버튼이 복구될때,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36)으로부터 블럭(326)으로 진행하게 되며, 프로그램 제어는 ENDRCD루틴으로 전송된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DRCD 루틴은 블럭(340)에 입력되고,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42)으로 진행하여, 포트는 기록을 중단시키도록 리세트되며, 정지 어드레스는 메시지 테이블에 저장되고, 메시지 플래그는 클리어 된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44)으로 진행하게 되어 시스템이 STORE 모드에 있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한다. STORE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 활성 메시지 비트는 블럭(346)에서 표기된 바와 같이 세트되고, STORE 모드에 있는 경우 저장 전진 메시지 비트는 블럭(348)에서 세트된다. 블럭(348)(346)으로부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50)으로 진행하게 되며 PRESNT 플래그가 세트된다. 프로그램은 블럭(352)으로 진행되어 메시지 테이블은 과도하게 기록된 메시지에 대해 갱신된 다음에, 블럭(356)으로 진행하여 메시지 테이블의 임의의 부분적으로 과도하게 기록된 메시지에 갱신된다. 프로그램 흐름이 블럭(358)으로 진행하여 임의의 활성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메시지 빛이 턴 온된 다음에, 블럭(360)으로 진행하여 시스템이 STORE 모드에 있는지의 여부를 다시 테스트한다. STORE 모드가 아닌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62)으로 진행하게 되어, 다시 재생시키는 것을 중단시킨 다음에 프로그램 제어는 364로 표기된 제 3 도의 START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전송된다. 시스템이 STORE 모드에 있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66)으로 진행하여, 재생용 포트가 세트된 다음에 프로그램 제어는 368로 표기된 PLAY MSG 루틴으로 전송된다.
FORWARD 루틴의 흐름선도에는 제13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13도는 블럭(370)에서 블럭(372)으로 바로 진행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블럭(372)에서는 저장 진행 메시지가 음성 메모리에 저장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고, 저장되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은 374로 표시된 제 3 도의 START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전송된다. 저장 전진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76)으로 진행하게 되어 저장 전진 메시지용 테이블 포인트를 얻은 다음에 380으로 표기된 테이블로부터 RAM 어드레스를 얻도록 진행한다. 또한, 378로 표기된 PLAY MSG 기입 항목 포인트는 블럭(380)으로 제공된다.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80)으로부터 382로 진행하며, CVSD 순람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제동된 다음에 RAM 어드레스가 발생되고 RAM이 어드레스되는 블럭(384)으로 진행하게 된다. 프로그램 제어는 386으로 표기된 PLBACK 루틴을 전송시킨다.
PLAY/REPLAY 루틴에 대한 흐름선도는 30으로 표기된 PLAY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390으로부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32)으로 진행하여 임의의 활성 메시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 한다. 결과가 정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400)으로 진행하게 되어 테이블 포인터는 가장 오래된 활성 메시지를 설정한 다음에 412로 표기된 재생용 출력 포트로 진행하게 된다. 392에서 결과가 부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록(344)으로 진행하여 메모리에 임의의 메시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고,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396으로 표기된 신호음이 울리고, 프로그램 제어는 398로 표기된 START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전송된다. 블럭(394)에서의 결과가 정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402)으로 진행하여 메시지가 포인터가 세트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세트되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은 블럭(404)으로 진행하여 메시지가 포인터는 가장 오래된 현재 메시지로 세트된 다음에, 412로 표기된 재생용 포트를 세트시킨다. 메시지 포인터가 세트되는 경우, 프로그램은 블럭(406)으로 진행하게 되어 포인터가 전진되고, 블럭(408)의 새로운 위치에 메시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한다.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408로 다시 진행하여 포인터를 다시 전진시키고, 408에서의 결과가 정(positive)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410으로 진행하여 포인터는 그 메시지로 세트된 다음에,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412)으로 진행하여 포트를 재생시키기 위해 세트된다. 프로그램이 REPLAY 기입 항목 포인트(414)에서 입력되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416)으로 진행하게 되어 포인터는 현재 메시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한다.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상기한 블럭(392)으로 진행하며, 존재하는 경우, 블럭(418)으로 진행하여 테이블 포인터는 가장 오랜 현재 메시지로 세트된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은 블럭(412)으로 진행하고, 블럭(412)으로부터 프로그램 제어는 제13도에 도시된 PLAY MSG 기입 항목 포인트로 전송된다.
제15도는 이동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의 PLBACK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이며, 도시된 블럭(430)으로 입력된다. 블럭(430)으로부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432)으로 진행하여 RAM을 판독한 후 434로 표기된 CVSD가 디코드된다. 그 다음에 RAM 어드레스는 436에서 갱신되고,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438)으로 진행하여 PTT, 비상, 또는 단부 어드레스 무효화 신호가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한다. 결과가 부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430)으로 다시 진행하고, 결과가 정인 경우 PLBK ABORT 루틴(440)으로 전송된다.
PLBK ABORT 루틴은 제16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블럭(450)에 기입 항목을 도시한다. 블럭(450)으로부터, 프로그램은 블럭(452)으로 진행하고 무효화가 PTT 또는 비상 무효화인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고, 만약 그럴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포트를 리세트 시키도록 블럭(464)으로 즉시 진행한 뒤에 프로그램 제어를 466으로 표기한 바와 같은 제 3 도의 START 기입 항목 포인트로 복귀시킨다. 블럭(452)에서의 결과가 부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454)으로 진행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포트가 리세트된 뒤에 블럭(456)에서 방금 청취된 메시지가 가장 최근것인가를 체크한다. 가장 최근것이 아닌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ACTIVE 플래그를 클리어 시키는 블럭(456)으로 진행하게 된다. 456에서의 테스트 결과가 정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458)으로 진행하고 메시지가 베이스로부터의 전진 메시지인지를 테스트하며, 전진 메시지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462)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블럭(458)에서의 흐름이 부인 경우, 460에서 신호음이 발생되어 ACTIVE 플래그(462)를 클리어 시킨다.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464)으로 진행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포트가 리세트된 다음에, 프로그램 제어는 START 루틴(466)으로 직접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탈 음성 저장 시스템용 베이스 유니트는 상기 출원에서 설명된 소프트웨어에 대한 어떤 변경을 제외한 현제 출원계류중인 이전의 출원서에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제17도는 상술한 패킷 분해 루틴에 관한 흐름선도이며, 패킷 분해 루틴은 새로운 오퍼레이터 상태 기능(상기 출원서의 제8(b)도에 358로 도시된)이 다음에 계속되어 제17도에 도시된 새로운 기능이 패킷 분해 루틴에 부가된다. 따라서,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패킷 분해 루틴의 새로운 상태 동작은 블럭(470)에서 시작하여 블럭(472)으로 바로 진행하여 디지탈 음성 저장 비상 기능을 요구하는 명령 데이타 패킷이 블럭(472)으로 제어를 전송한 뒤에 블럭(474)으로 진행되고 폴링(polling)이 발생하는 경우 폴링은 중단된다.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476)으로 진행하고 DVS 비상 기능이 수행되어 승인의 전송을 포함하며, 외부 경보를 작동시키고, 선택 모드 플래그를 세트시키고, ID 코드의 이동을 표시하고, 후에 재조사 하기 위해 LIFO 스톡(stock)으로 삽입된다. 프로그램 제어는 PSK RECEIVE 루틴(480)으로 전송된다.
PSK RECEIVE 루틴은 또한 위에서 설명된 계류중인 출원서에 기술되어 있다. 서비스 기능 요구가 데이타 명령 패킷에 의해 어드레스 되는 경우, 프로그램은 블럭(482), (484)으로 진행하며, 폴링이 진행중인 경우 폴링은 다시 중단된다. 프로그램은 그때 블럭(486)으로 진행하며, 서비스 기능 요구가 수행되어 승인의 전송을 내장하고, 패킷을 프린트하고, ID를 표시하고, 나중에 재조사 하기 위해 FIFO 대기 행렬로 삽입된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 제어는 PSK RECEIVE 루틴(488)으로 전송된다. 기록 상태 기능을 어드레스 시키는 데이타 명령 패킷은 프로그램 흐름을 블럭(490)으로 진행시킨 다음에 블럭(492)으로 진행시키고, 베이스가 대기중인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고, 대기중이 아닌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PSK RECEIVE 루틴(494)으로 전송된다. 블럭(492)의 결과가 정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496)으로 진행하여 폴(poll)이 진행중인지의 여부를 테스트 하고, 폴이 진행중인 경우, 프로그램 제어는 POLL EXIT 루틴(498)으로 전송된다. 블럭(496)에서의 결과가 부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결합을 완성시키고, 전체 잔여 시간을 표시하고, 블럭(500)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필요한 시간으로 조정된 벡터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록기 상태 기능을 수행하도록 진행된다. 프로그램 제어는 그 다음에 블럭(502)으로 표시된 PSK RECEIVE 루틴으로 전송된다. 최종적으로, 디지탈 음성 저장 승인 기능을 요구하는 데이타 명령 패킷은 프로그램 흐름이 블럭(504)과 블럭(506)으로 진행하도록 해주며, 유니트가 대기중인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고, 대기중이 아닌 경우, 프로그램은 블럭(510)으로 진행하여 승인 기능이 수행된 뒤에 512로 표기된 PSK RECEIVE 루틴으로 진행하게 된다.
제18도는 디지탈 음성 시스템용 베이스 유니트 컴퓨터 프로그램을 위한 전송 처리가 루틴을 도시한 흐름선도이다. 전송 처리 루틴은 블럭(522)으로 직접 진행하는 프로그램 흐름과 함께 블럭(520)에 입력된다. 블럭(522)으로부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524)으로 진행하여 PTT가 활성인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고, 활성이 아닌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다른 대기 주기동안에 블럭(522)으로 다시 진행하게 된다. 블럭(524)에서의 결과가 정인 경우, 프로그램은 블럭(526)으로 진행하고, 베이스가 디지탈 음성 저장 기록 모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테스트가 수행된다. 디지탈 음성 저장 기록 모드에 있지 않을 경우, 프로그램 블럭(528)으로 진행하며, 전송 기능이 수행됨은 물론 PTT를 복구시키기 위해 대기된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 제어는 PSK RECEIVE 루틴(530)으로 다시 전송된다. 526에서의 테스트 결과가 정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532)으로 진행하여 기록 ID 코드를 얻게 되며, 블럭(534)으로 진행하여 기록 데이타 패킷을 형성하고 패킷을 전송한다.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536)으로 진행하여 기록 개시 시간을 기록하는 538로 진행하여 이동 유니트에 대한 전체 잔여 기록 시간을 얻는다. 블럭(540)으로 진행하여 프로그램 흐름은 잔여 시간을 표시한 다음에, 블럭(542)으로 진행하여 잔여 시간이 0인지의 여부를 테스트한다. 잔여 시간이 0이 아닌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544)으로 진행하고, 시간은 감소되고, 그 다음에 블럭(540)으로 진행하여 잔여 시간을 표시한게 된다. 블럭(542)에서의 테스트 결과가 정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546)으로 진행하여 전체 시간을 표시하고, 그 위에 블럭(548)으로 진행하며 전체 시간이 0인지의 여부를 테스트한다. 전체 시간이 0이 아닌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550)으로 진행하여 전체 시간이 감소되고, 그 뒤에 전체 시간을 표시하는 블럭(546)으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전체 시간이 블럭(548)에서 0인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블럭(552)으로 진행하여 전송 중단을 대기시키고, 블럭(554)으로 진행하여 PTT복구를 테스트 한다. PTT복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프로그램 흐름은 다른 지연 주기 동안에 블럭(552)으로 다시 진행된다. 블럭(554)에서의 테스트 결과가 정인 경우, 프로그램은 블럭(556)으로 진행하여 메시지 단부(EOM) 음(tone)을 전송시킨 다음에 블럭(558)으로 진행하여 기록 단부에 기록된다. 프로그램 제어는 그 다음에 블럭(560)으로 표기된 PSK RECEIVE로 다시 전송된다.
요약하면, 다중 유니트 랜드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고, 다중 메시지 저장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디지탈 음성 저장 이동 제어 단자가 설명되었다.
본 발명에 대한 상기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는 동안에,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과 변화를 가할 수 있다.

Claims (7)

  1. 음성 및 데이타 통신을 위한 다중 유니트 통신 시스템내의 이차 스테이션을 위한 무선 제어 단자에 있어서, 상기의 통신 시스템은 일차 스테이션(20)과 다수의 2차 스테이션(22)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의 무선 제어 단자는 ; 음성 메시지를 숫자화하기 위한 숫자화 수단인 MPU, CVSD(60, 62)와 ; 숫자화된 음성 메시지를 기억시키기 위한 메모리 수단인 RAM(76)과 ; 숫자화된 음성 메시지를 이전에 기억되어 숫자화된 음성 메시지에 부가시키기 위한 처리 수단인 MPU(60)와 ; 숫자화되어 기억된 메시지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인 CVSD(62)와 ; 상기의 변환되어 기억된 메시지를 1차 스테이션(20)으로 전송시키기 위한 전송 수단인 이동 송수신기(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무선 제어 단자에 또한 기억된 음성 메시지를 작동시켜 변환 수단인 CVSD(62)에 의한 변환후에 상기 메모리 수단인 RAM(76)에 기억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시키기 위한 수단인 CVSD, 오디오 필터와 출력부(62, 80, 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2차 스테이션(22)에 기억된 선정된 스테이션 어드레스(74)와 일치하는 기록 명령과 어드레스를 보유하고 있는 일차 스테이션(20)으로부터 명령 데이타 패킷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의 일차 스테이션(20)에 의해 상기의 이차 스테이션(22)으로 전송된 음성 메시지를 숫자화 시키고 기억시키기 위한 수단인 MPU, CVSD와 RAM(60, 62, 7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무선 제어 단자는 8개의 균일하고 어드레스 가능한 가변의 일차 스테이션(20)에 전송된 메시지를 기억시키기 위한 수단에 의해서 특정지어지는 메모리 수단인 RAM(7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단자.
  5. 제 1 항에 있어서, 메시지 입력의 완료에 응답하여 음성 메시지가 입력된 오퍼레이터(40)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인 MPU, CVSD, 오디오 필터 및 출력부(60, 62, 80, 82)를 포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단자.
  6. 제 1 항에 있어서, 비상 상태 조건을 나타내는 명령 데이타 패킷의 전송을 촉진시키기 위한 수단인 3개의 스위치로 구성된 세트(92)와, 변환수단을 촉진시키기 위한 수단과, 이차 스테이션(22)에 의한 비상사태 명령 데이타 패킷을 전송한 후에 일차 스테이션(20)에 의해 전송된 명령 데이타 페킷과 응답하여 기억된 메시지의 전송을 개시하는 전송수단인 이동 송수신기(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단자.
  7. 제 3 항에 있어서, 일차 스테이션(20)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가 기억되지만 재생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인 메시지 지시기 램프(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단자.
KR1019830005711A 1982-12-06 1983-12-02 무선 제어 단자 KR890001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447,373 US4495647A (en) 1982-12-06 1982-12-06 Digital voice storage mobile
US447373 1982-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333A KR840007333A (ko) 1984-12-06
KR890001477B1 true KR890001477B1 (ko) 1989-05-04

Family

ID=2377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711A KR890001477B1 (ko) 1982-12-06 1983-12-02 무선 제어 단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495647A (ko)
EP (1) EP0128932A1 (ko)
KR (1) KR890001477B1 (ko)
CA (1) CA1214216A (ko)
IL (1) IL70303A (ko)
IT (1) IT1169356B (ko)
MX (1) MX157632A (ko)
WO (1) WO1984002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3140A (en) * 1983-03-30 1986-02-25 Voicetek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voice communication storage and forwarding with simultaneous access to multiple users
JPS60201751A (ja) * 1984-03-27 1985-10-12 Nec Corp 音声入出力装置
US4667191A (en) * 1984-12-21 1987-05-19 Motorola, Inc. Serial link communications protocol
US4965569A (en) * 1987-06-30 1990-10-23 Motorola, Inc. Digitized stored voice paging receiver
US5003576A (en) * 1987-07-24 1991-03-26 Richard J. Helferich Analog/digital voice storage cellular telephone
US4905003A (en) * 1987-07-24 1990-02-27 Richard J. Helferich Analog/digital data storage system
DE3856495D1 (de) 1987-07-24 2001-11-22 Richard J Helferich Kommunikationssystem mit Sprachspeicherungsvorrichtung, Empfangsanlage dafür, und Methode für den Empfang von Kommunikationspaketen
US4864301A (en) * 1987-07-24 1989-09-05 Richard J. Helferich Variable speed transmission recording and retrieval of data
USRE34976E (en) * 1987-07-24 1995-06-20 Richard J. Helferich Analog/digital voice storage cellular telephone
USRE37618E1 (en) * 1987-07-24 2002-04-02 Richard J. Helferich Analog/digital data storage system
US4873520A (en) * 1987-11-02 1989-10-10 Motorola, Inc. Paging receiver for storing digitized voice messages
US4941203A (en) * 1988-09-12 1990-07-10 Motorola, Inc. Two-way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electable operating modes
US5063588A (en) * 1988-11-21 1991-11-05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utomatic identification of calling parties
US5109525A (en) * 1988-12-02 1992-04-28 Delaware Two-way radio with voice storage
CA1309142C (en) * 1988-12-02 1992-10-20 Daniel K. Nichols Two-way radio with voice storage
US5068898A (en) * 1989-12-26 1991-11-26 Motorola, Inc. Voice messaging method for selective call receivers
DE4108714A1 (de) * 1990-03-21 1991-09-26 Peiker Andreas Einrichtung der elektrischen informationstechnik und zusatzgeraet fuer eine solche einrichtung
WO1993012618A1 (en) * 1991-12-10 1993-06-24 Khyber Technologies Corporation Portable messaging and scheduling device with homebase station
DE9305576U1 (ko) * 1993-04-14 1993-07-08 Holzrichter, Dieter, Dr.Med., 2000 Hamburg, De
GB2279476B (en) * 1993-06-21 1998-01-07 Nec Corp Selective calling receiver capable of providing a message by a speech sound
US5627878A (en) * 1993-10-27 1997-05-06 Tcsi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 apparatus for receiving, storing and forward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to a wireless network,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herefrom
US5745551A (en) * 1993-10-27 1998-04-28 Tcsi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 apparatus for receiving, storing and forwarding a plurality of voice signals to a wireless network,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herefrom
US5630205A (en) * 1994-06-14 1997-05-13 Ericsson Inc. Mobile phone having voice message capability
US5790957A (en) * 1995-09-12 1998-08-04 Nokia Mobile Phones Ltd. Speech recall in cellular telephone
US5724410A (en) * 1995-12-18 1998-03-03 Sony Corporation Two-way voice messaging terminal having a speech to text converter
US6018671A (en) * 1995-12-29 2000-01-25 Motorola, Inc. Silent call accept
US6226533B1 (en) 1996-02-29 2001-05-01 Sony Corporation Voice messaging transceiver message duration indicator and method
TW391092B (en) 1996-12-27 2000-05-21 Hitachi Ltd Cellular mobile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to an caller
US6253061B1 (en) 1997-09-19 2001-06-26 Richard J. Helferich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information to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US6636733B1 (en) * 1997-09-19 2003-10-21 Thompson Trust Wireless messaging method
US7003304B1 (en) * 1997-09-19 2006-02-21 Thompson Investment Group, Llc Paging transceiver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retrieving messages
US6826407B1 (en) * 1999-03-29 2004-11-30 Richard J. Helferich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udio and visual messaging
US6983138B1 (en) * 1997-12-12 2006-01-03 Richard J. Helferich User interface for message access
US6167254A (en) * 1998-03-16 2000-12-26 Avaya Technology Corp. Coordination of message writing indic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communication systems
EP1145533A3 (en) * 1998-12-18 2003-01-22 Louise Fourie Modular communication device interface
US7136630B2 (en) * 2000-12-22 2006-11-14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of recording voice signals in a mobile set
US7072641B2 (en) 2002-03-19 2006-07-04 Sprint Spectrum L.P. Reactive management of dropped ca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76245B1 (en) 2002-03-19 2006-07-11 Sprint Spectrum L.P. Proactive management of dropped ca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64573B2 (en) * 2003-09-26 2010-02-16 Siemens Industry, Inc. Integrated building environment data system
JP2007329878A (ja) * 2006-06-09 2007-12-20 Canon Inc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7831217B2 (en) * 2007-10-10 2010-11-09 Pine Valley Investm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digital signaling without internal modification of analog FM transceiv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1496A (en) * 1969-06-23 1972-02-08 Phonplex Corp Electronic voice annunciating system having binary data converted into audio representations
US4060848A (en) * 1970-12-28 1977-11-29 Gilbert Peter Hyatt Electronic calculator system having audio messages for operator interaction
US3694811A (en) * 1971-01-04 1972-09-26 Technitrend Inc Query and response system with audio message synthesizing
US3706929A (en) * 1971-01-04 1972-12-19 Philco Ford Corp Combined modem and vocoder pipeline processor
US3710313A (en) * 1971-01-13 1973-01-09 P Kimball Emergency warning systems
US3808591A (en) * 1971-08-11 1974-04-30 Lockheed Aircraft Corp Voice warning system
US3803358A (en) * 1972-11-24 1974-04-09 Eikonix Corp Voice synthesizer with digitally stored data which has a non-linear relationship to the original input data
US3846783A (en) * 1973-03-12 1974-11-05 Eikonix Corp Remote paging with message storage
GB1460148A (en) * 1973-04-26 1976-12-31 Lucas Industries Ltd Data transmission system
US4182989A (en) * 1975-10-24 1980-01-08 Nissan Motor Company, Inc. System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link between a ground station and each of vehicle drivers within a limited communication area
US4131849A (en) * 1976-10-21 1978-12-26 Motorola, Inc. Two-way mobile radio voice/data shared communications system
US4209836A (en) * 1977-06-17 1980-06-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peech synthesis integrated circuit device
US4232390A (en) * 1977-09-01 1980-11-04 Mcevilly Jr Richard V Mobile radio vehicle control system
US4117263A (en) * 1977-11-17 1978-09-26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Announcement generating arrangement utilizing digitally stored speech representations
US4181813A (en) * 1978-05-08 1980-01-01 John Marley System and method for speech recognition
JPS5544624A (en) * 1978-09-25 1980-03-29 Nec Corp Information input/output unit
JPS5593334A (en) * 1979-01-10 1980-07-15 Nec Corp Radio selection call receiver
JPS55137739A (en) * 1979-04-16 1980-10-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obile message communication system
US4255618A (en) * 1979-04-18 1981-03-10 Gte Automatic Electric Laboratories, Incorporated Digital intercept recorder/announc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333A (ko) 1984-12-06
WO1984002434A1 (en) 1984-06-21
IL70303A (en) 1987-08-31
MX157632A (es) 1988-12-07
IT1169356B (it) 1987-05-27
CA1214216A (en) 1986-11-18
EP0128932A1 (en) 1984-12-27
IT8349439A0 (it) 1983-12-05
US4495647A (en) 1985-01-22
IL70303A0 (en) 198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477B1 (ko) 무선 제어 단자
KR890000413B1 (ko) 디지탈 음성 저장 시스템
CA2051388C (en) Analog/digital voice storage cellular telephone
US4905003A (en) Analog/digital data storage system
KR100333254B1 (ko) 연속 녹음 능력을 가진 이동 전화기
EP0443562A2 (en) Cordless telephone
USRE37618E1 (en) Analog/digital data storage system
EP0377581B1 (en) Analog/digital data storage system
JPS5955643A (ja) メツセ−ジの受信機能を備えた個別選択呼出受信機
JPH0217775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7240723A (ja) デジタル音声記憶通信システム
JPH0563790A (ja) 留守番電話装置
JPS6364099B2 (ko)
JPH01135137A (ja) 音声蓄積通信方式
JPS60242760A (ja) テレツクスデ−タの転送装置
JPH06291886A (ja) デジタル音声記録再生装置
JPH041265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