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471B1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471B1
KR890001471B1 KR1019840006176A KR840006176A KR890001471B1 KR 890001471 B1 KR890001471 B1 KR 890001471B1 KR 1019840006176 A KR1019840006176 A KR 1019840006176A KR 840006176 A KR840006176 A KR 840006176A KR 890001471 B1 KR890001471 B1 KR 890001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assembly
leaf springs
coupled
assembly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054A (ko
Inventor
고조 마에니시
요우이찌 나까니시
시게또시 유자와
무네오 나까다
Original Assignee
다데이시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데이시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7535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09130A/ja
Application filed by 다데이시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데이시 다까오 filed Critical 다데이시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3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27Polarised relays in which the movable part comprises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sandwiched between pole-plates, each forming an active air-gap with parts of the stationary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0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Cooker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계전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자 계전기의 제1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전개 투시도.
제2도는 커버와 접극자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기 제1양호한 실시예의 내측 평면도.
제3도는 도면에 수직이고 제2도의 점선으로 보여준 면으로 취한, 상기 제1양호한 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는 접극자 어셈블리의 스트로크가 수평 축을 따라 도시되고 힘이 수직축을 따라 도시된, 이상화된 계전기에 대한 이상적 스위칭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제5도는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의 스트로크가 수평축을 따라 도시되고 힘이 수직축을 따라 도시된, 제1도, 제2도 및 제3도의 제1양호한 실시예의 실제 스위칭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의 계전기의 제2양호한 실시예의 필수 부분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적인 설명도.
제7도는 제1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한 제1도와 유사한, 본 발명의 전자 계전기의 제3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전개 투시도.
제8도는 그 커버가 제거되고, 접극자 어셈블리가 도시되지 않은, 상기 제3양호한 실시예의 내측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9도는 상기 커버가 제거되고 대부분의 접극자 어셈블리가 절결(노치)부분을 제외하고는 도시된, 제1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한 제2도와 유사한, 상기 제3양호한 실시예의 내측의 다른 개략적인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도면과 수직인 평면으로 취한, 제1양호한 실시예와 관련된 제3도와 유사한, 상기 제3양호한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전자 계전기의 제4양호한 실시예의 필수부분의 투시도.
제12도는 상기 제4양호한 실시예의 상기 필수부분의 측면도.
제13도는 상기 제4양호한 실시예의 상기 필수부분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 및 제3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한 제1도 및 제7도와 유사한, 본 발명의 전자 계전기의 제5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전개 투시도.
제15도는 제3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한 제8도와 유사한, 그 커버가 제거되고 접극자 어셈블리가 도시되지 않은, 상기 제5양호한 실시예의 내측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16도는 상기 커버가 제거되고 대부분의 접극자 어셈블리가 그 절결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도시된 제1 및 제3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한 제2도 및 제9도와 유사한, 상기 제5양호한 실시예의 내측의 다른 개략적인 평면도.
제17도는 제1 및 제3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한 제3도 및 제10도와 유사한, 제19도의 도면과 수직인 평면으로 취해진, 상기 제5양호한 실시예의 종 단면도.
제18도는 상기 제5양호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인 평면도.
제19도는 편향이 수평축을 따라 도시되고, 스프링힘이 수직축을 따라 도시된, 상기 제5양호한 실시예에서 스프링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제20도는 접극자 어셈블리의 스트로크가 수평축을 따라 도시되고 힘이 수직축을 따라 도시된, 제14도-제17도의 양호한 실시예의 스위칭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인데,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계전기에 대한 좋은 스위칭 특성을 얻도록 사용될 수 있고, 스위치 접점들이 전자석의 여기에 응하여 접극자 어셈블리의 이동에 의해 전환되는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전자 계전기는 철심을 가진 전자 코일로 구성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에 마주하여 위치된 접극자를 장치한 가동 블록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 가동블록은 자석의 자화 또는 감자화에 따라 전후 왕복가능하도록 장치되고, 접점들은 상기 가동블록의 이 왕복운동에 따라 개폐되는 것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전자석이 여기될때, 가동블록은 일정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이동하여 일정접점들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한다. 한편, 코일이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인 전기적 방향으로 여기될때, 가동블록은 반대방향으로 편향되고 이동하여 상기 일정 접점들을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한다(코일이 여기되지 않았을때 위치는 이들 위치들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또는 가동블록의 바이어싱(편향)에 따라 그들 사이의 중간 위치일 수도 있다). 그리하여 접점들은 확실하게 전환되고, 훌륭하고 효과적인 계전기가 제공된다.
전자 계전기의 설계 및 생산시 일어나는 중요한 문제는 그것의 접극자 어셈블리의 평향력 특성을 조절하는 중요성이다. 수직축을 접극자 어셈블리상의 각종 힘을 도시하고 수평축을 따라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의 배위를 도시한, 첨부도면들중 제4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접극자 어셈블리의 모든 위치들에서, 접극자 상의 평향력이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상의 작동력과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에 대해 요구된 복귀력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하면, 계전기가 작동될 때 상기 접극자를 이동하기에 유효한 힘의 양은 접극자 어셈블리 상의 편향력보다 더 커서, 접극자 어셈블리가 작동을 이해 확실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접극자 어셈블리상의 편향력은 접극자 어셈블리를 복귀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더 커서, 접극자 어셈블리가 필요할 때 그 원위치로 확실하게 복귀되도록 한다. 이 조건이 접극자 어셈블리의 모든 위치들에 고려 될때, 우리는, 제4도에 곡선(B)로 도시된, 접극자 어셈블리에 대한 편향력 곡선이 제4도의 곡선(A)로 도시되고 계전기의 코일에 가해진 전압에 기초로한 작동력 곡선과 제4도의 곡선(C)로 도시된 요구된 복귀력곡선 사이에서 떨어지는 조건을 유도한다. 그러나, 과거에는 이런형의 전자 계전기의 편향력 특성 곡선의 조정은 접극자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단일의 판스프링을 조절함에 의해 실행되었었고, 이것은 접극자의 편향력 특성을 더욱 엄밀한 필요조건으로 엄밀하게 적응시키는 것을 어렵게 한다. 게다가, 제작 공차에 의해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부품들의 기계적 특성의 변동들로 인하여, 그리고 어셈블리 부정확성으로 인하여, 편향력 특성곡선은 어떤 한도까지 요구된 것과 떨어질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만일 하나의 판 스프링이 접극자 어셈블리의 위치를 복귀시키는데 사용된다면, 계전기의 동작 특성을 적당히 조절 한정 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게다가, 중요한 점은 그 동작중 접극자 어셈블리의 어떤 동요를 방지하는 것이다. 즉, 전자석 어셈블리의 선택적 여기에 의해 왕복되는 것과 같이 그 자체의 평행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접극자 어셈블리의 그런 동요나 꿈틀거리는 동작은 계전기의 접촉 동작에서 일어날 수 있고 계전기의 동작 특성의 불균일성을 일으킬 수 있으며, 게다가 접촉어셈블리의 다른 부분들이 다른 딴 부분들과 접촉하게 할 수가 있고, 그리하여 불확실한 동작을 초래한다. 접촉 어셈블리의 접촉부들이 금과 같은 값비싼 금속으로 덮여 있거나 만들어진 경우에, 이것은, 전혀 금을 사용하는 잇점을 무가치하게 하는, 전기 전도를 위하여 상호 접촉을 가져야 하는 어떤 비 금부분들의 결과를 초래하고, 계전기 접점들의 저항이 가변이며 단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값비싼 귀급속의 큰 양의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게다가, 상호 미끄러짐과 상호 마멸이 이동함에 따라 접극자 어셈블리의 그러한 편향 또는 동요 동작에 의해 계전기 접점들 사이에 일어날 수 있고, 이것은 이들 접점들상의 지나친 마멸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접극자 어셈블리의 이 동요는, 비록 실제로 접극자 어셈블리가 동요하지 않고 편향 수단이 대칭으로 배열할 경우 기울어짐이 없다 할지라도 접극자 어셈블리의 동요 및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확실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그 동작 특성이 편리하고 쉽게 훌륭하게 조절 될 수 있는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향력 특성이 넓은 범위와 다양한 특성 패턴으로 변경될 수 있는 그러한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 공차에 인한 동요의 조절과 어셈블리 부정확도가 보상될 수 있는 그런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의 목적은 성능이 확실한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동작 특성에 일치하도록 제작될 수 있는 그런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쉽고 값싸게 제작될 수 있는 그런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간편한 그런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부가 심하게 닳지 않는 그런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부가 상호 마멸되기 쉽지 않은 그런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 왕복되는 것에 따라, 그 접극자 어셈블리의 평행성이 언제나 확실하게 그런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접극자 어셈블리가, 전후 왕복 운동함에 따라 동요하는 것을 방지한 그런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것의 접촉동작의 지연이 되기가 쉽지 않은 그런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접촉점의 저항이 심하게 변화하는 것이 방지된 그런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심한 양의 귀금속이 그 접촉점의, 피복 또는 제작시에 절대 필요하지 않은 그런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양상에 의하면,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전자석과 : 상기 전자석의 선택적 여기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전자석과 마주하고 있는 접극자 어셈블리와 :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의 이동에 따라 동작하는 접촉기구와 : 그 이동 방향에 따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한쌍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하고 있는 전자 계전기에 의해 성취된다.
그러한 구조에 의하면, 편항력 특성 곡선이 어느 한 또는 두판 스프링의 스프링력 및 특성을 변경함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므로, 단지 하나의 지지판 스프링이 사용된 경우와는 대조적으로 전자 계전기의 가능한 조절 범위 및 다양성을 크게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계전기의 동작 특성은 편리하게 그리고 쉽게 훌륭히 조절될 수 있고, 넓은 범위 및 다양한 특성 패턴에 걸쳐 변경될 수 있다. 이와같이 이 전자 계전기의 조절에 있어서, 제작 공차에 의한 그리고 어셈블리 부정확도에 의한 변동은 보상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며, 게다가, 이 전자 계전기는 서비스가 확실하고, 그 동작 특성에 일치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 전자 계전기는 쉽게 그리고 값싸게 제작될 수 있고 크기가 콤팩트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의하며,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그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의 어느 한쪽에 상기 두개의 판 스프링이 장치된 상기 정의된 형의 전자 계전기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그러한 구조에 의하며, 접극자 어셈블리는 두개의 판 스프링들 사이에 특히 잘 일정하게 지지된다.
게다가, 이들 및 다른 목적들든 상기 제1판스프링이 그 중앙부분에 의해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에 그리고 두 단부들에 의해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한편 제2상기 판스프링이 그 두단부에 의해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에 그리고 그 중앙이 부분에 의해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정의된 형 전자 계전기에 의해 성취된다. 게다가, 상기 제1판스프링은 그 중앙부분에 의해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에 느슨하게 결합될 수 있고, 그 두단부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에 느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판스프링이 두측부상의 부분 스프링력이 다소 다를때 조차, 상기 제1판 스프링이 그 중앙부분이나 그 두개의 단부이동 측로에 의해 이 불균형에 따라 이동 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1판스프링에 의해 미치는 힘이 우측 및 좌측 사이에 불규칙 또는 비대칭일때 조차도 전자석에의 접극자 어셈블리의 평행배향이 유지되는 것을 이들 가능한 배열이 확실하게 유지한다.
더우기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상기 각 판 스프링들이 그 중앙 부분에 의해 고정부재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의 하나에 그리고 그 단부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의 다른것에 결합되고 : 상기 두개의 판 스프링들의 상기 단부들이 관련 부재에 결합되어 그것들이 상기 부재들에 대해 이동할 수 없거나 회전할 수 없게 하고 ; 상기 판 스프링들의 상기 단부들이 관련부재에 결합되어 그것들이 이동할 수는 없으나 상기 부재에 대해 외전할 수 있게 하는, 먼저 기술된 형의 전자 계전기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그러한 구조에 의하면, 판 스프링들의 단부 결속점들에서 아무런 플레이도 일어나지 않고, 그것들이 그들의 위치에 대해 그리고 그들의 회전에 관계없이 또는 그들의 회전에 대해 고정 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의 판 스프링들의 스프링력들 사이에 아무런 불균형도 일어나지 않고, 접극자 어셈블리 아무런 동요나 치우침이 일어날 수 없고, 그 자체의 평행선은, 이리저리 왕복 되는 대로, 언제나 확실하다. 그리하여, 계전기의 접촉부들은 상호 마모나 심하게 닳아지기 쉽지 않다. 따라서, 그것의 접촉작용의 어떤 지연이 없는 계전기가 제공된다. 이와같이 전자 계전기의 동작 특성들은 아주 확실하게 된다.
더우기,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의 모든 이동중에, 평행사변형이 상기 하나의 판스프링의 단부의 고정점(a)과 : 상기 점(a)에 가까운 상기 한 판 스프링의 상기 중앙 부분의 고정점(b)와 : 다른 판 스프링의 맞은편 단부의 고정점(c)와 : 상기 점(c)에 가장 가까운 상기 다른 판 스프링의 상기 중앙 부분의 고정점(d)로 정의되는, 형의 전자 계전기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그런 구조에 의하면, 그것이 이리저리 이동함에 따라 접극자 어셈블리의 아무런 실질적인 기울어짐도 일어날 수 없다. 이것은 휘어진 판 스프링의 자유 부분들의 길이의 변경이 최소인 사실의 결과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평행 사변형이 유지되는 바와같이, 그것의 두쌍의 측부들은 늘 그들이 움직임에 따라 상호 병렬로 유지된다.
더우기,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의 이동시의 일정점에서 상기 한판 스프링이, 일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 상에 형성된 쇼울더 형과 접촉하고,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가 상기 일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한판 스프링이 상기 쇼울더 형과 접촉하고 있는 부분둘레를 굽히고 있는, 형의 전자 계전기에 의해 성취된다.
그런 구조에 의하면, 상기 일정방향으로 이동하는 바와같이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의 이동중, 상기 하나의 판 스프링의 유효 탄성계수는 첫째로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 상에 형성된 상기 쇼울더 형과 접촉하기 전에 제일 낮은 값을 갖고, 그러나 상기 하나의 판 스프링이 접촉한 후에는 그 유효 탄성계수가 둘째로 더 높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두개의 판 스프링을 포함한, 접극자 어셈블리에 대한 복귀 수단의 동작특성은 아주 유리하게 그리고 적당히 조절하여 최적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에 부착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가 그 왕복 경로에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를 유지하도록 상호 동작하는 가이드 형으로 형성된 고정부재로 구성하는, 먼저 기술된 형의 전자 계전기에의해 성취될 수 있다.
그런 구조에 의하면, 접극자 어셈블리는 이리저리 동요하지 않게 아주 확실하게 유지되고, 따라서 아주 확실하게 계전기의 접촉 소자들의 상호 일치 부분의 이동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계전기의 접촉점의 저항은 심하게 변하지 않고, 그러므로 많은 양의 귀금속이 이들 접점들을 제작 또는 피복하는 데에 필요하지 않다.
게다가,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상기 하나의 판 스프링의 단부가 분기 형태로 형성되고, 그 한 분지가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며, 다른 분지가 판 스프링의 고정량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선택적으로 늘리어지는, 그러한 전자 계전기에 의해 성취된다.
그런 구조에 의하면, 전자 계전기의 동작 특성은 더욱 바람직하게 조절될 수 있고, 왜냐하면 판 스프링은 상기 다른 분지가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해 눌리어 질때, 상기 다른 분지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눌리어 지지 않는 때의 경우와 다른 탄성비례 상수를 가진다. 그리하여 계전기의 접극자 어셈블리의 편의력 특성은 후술되는 바와같이,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의 모든 위치들에 대해 복귀력 특성과 작동력 특성 사이에 적당히 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양호한 실시에와 함께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들과 특징들은 제1도-제6도에서 그리고 제7도-제18도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제1도는 전개도로 본 발명의 계전기의 제1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계전기는 고주파 계전기로서 구성된 것이며, 접점어셈블리와 전자석 어셈블리(10)와 접극자 어셈블리(20)와, 한쌍의 복귀 스프링(30 및 35)와, 외부 케이스(40)를 포함하고 있는 베이스 어셈블리(1)로 대략적으로 만들어 졌다.
베이스 어셈블리(1)는 합성수지와 단자 플랫포옴(8)으로 일체적으로 성형돈 베이스(2)로 구성하고 있다.
베이스(2)는 거기에 형성된 사각형 홈(3)을 가지고 있고, 단자 플랫포옴(8)은 이 홈(3)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거기에 장치된 고정단자(9a,9b 및 9c)를 가지고 있다. 상기 단자(9a, 9b, 및 9c)들의 상부 접촉부(9a',9b' 및 9c')들은 도면에 대해 베이스 어셈블리(1)의 상부측의 홈(3)에 놓여있고, 이 홈(3)에는 거기에 어느 한쪽상의 단자(9a,9b, 및 9c)들의 각 상부 접촉부(9a', 9b' 및 9c')들에 인접한 홈(3)의 벽들상의 접지 접점(6a∼6f)들이 제공되어 있다. 베이스(2)의 바닥에서 외부로 네개의 접지단자(7)들이 돌출하여 있고, 이들 접지 단자(7)들과 접지접점(6a∼6f)들은 동-니켈 합금의 필름과 같은 베이스(2)의 표면상에 배치된 엷은 전기도전성 막에 의해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물론 이들 전기 도전성 막들은 고정단자(9a,9b 및 9c)들과 접촉하여 있지 않다.
전자석 어셈블리(10)는 철심(11)을 중간에 채우고 있고 코일(17)이 감겨져 있는 스풀(12)을 가지고 있다(제1도에는 도시되지 않고, 제2도에서 볼 수 있음). 스풀(12)은, 철심(11)의 대응 돌출 단부의 양쪽에 위치된 각 그 단부에 두개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하는 극편(19a, 및 19b)를 가지고 있는, 요크 부재(19)에 연결되어 있다. 상세히 말하면, 스풀(12)과 요유크 부재(19)사이의 접속들은 스풀(12)의 어느 한 단부상에 있는 플랫홈부재(13)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플랫홈 부재(13)의 홈(13a)을 통해 채워진 상부로 돌출하는 극편(19a)에 의해 이루어지며, 한편 극편(19b)들의 내접 측면들은 플랫홈 부재(13)의 측부(13b)의 외접 측면에 접촉한다. 이 전자석 어셈블리(10)는 그 요홈(4)에 고정됨에 의해 베이스(2)에 채워진다. 그리고 두개의 코일단자(18)들은 두개의 플랫홈 부재(13)들에 고정적으로 장치되고, 특별히 도시되지 않은, 베이스(2)의 적당한 구멍들을 통해 거기에서 아래로 돌출하여, 작동전기 에너지가 그 두개의 단부가 상기 코일단자(18)에 접속되어 있는 코일(17)에 선택적으로 가해진다.
접극자 어셈블리(20)는 합성 수지로 일체적으로 성형된 본체부(21)를 가지고 있고, 이 본체부(21)의 각 단부에는, 서로 대향하여 있는 두 영구자석(27)들로 c-형을 이루도록 그들 사이에 연결하는 영구자석(27)과 두개의 금속판편(26a,26c)이 프레임부(22)에 장치되어 있다. 게다가, 두개의 절연된 접점 이송부재(28)들이 상기 본체부(21)에 형성된 슬롯형 구멍(23)들에 채워지고, 이들 두개의 접점이송 부재(28)들은, 각각이 그 중앙 부분에의해 상기 접점이송부재(28)에 의해 유지되고 자유 스프링판과 함께 상기 중앙부분의 양측에 뻗어 있는 각개의 스프링 접촉편(29a 및 26b)들을 이송한다. 접극자 어셈블리(20)는 각 그 단부에 금속판편(267a 및 26b)들이 그 사이에 유효한 측방향 이동으로, 철심(11)의 단부와 극편(19a 및 19b)들 사이에 한정된 전술한 갭에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접극자 어셈블리(20)는 A 및 A'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통하여, 이들 판 스프링(30 및 35)들에 의해 제공된 복귀력에 대해 전자석 어셈블리(10)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20)의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두개의 판 스프링(30 및 35)들에 의해 이 위치에 유지된다(제2도 참조). 이 횡 방향 이동중에, 접극자 어셈블리(20)는 전자석 어셈블리(10)와 대략 평행한 그 종축으로 배향된 채로 남아 있고, 요동하지 않으나, 대체로 그 자체에 대략 평행으로 언제나 이동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양호한 실시예에서, 제1판스프링(30)은 베이스(2)에 형성된 홈(5a)에 채워진(두개의 외부부분(31a 및 31b)을 가진)그 중앙부분(31)에 의해 베이스(2)에 고정되고, 그 단부부분(32a,32b)은 접극자 어셈브리(20)의 본체부(21)에 형성된 홈(24)들에 채워져 있다. 한편, 판스프링(35)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20)의 본체부(21)상에 형성된 대응 돌출부(25)들에 느슨하게 채워진(그 노치형이 상기 판 스프링(35)의 종방향을 따른 어느 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그 중앙부분에서 후크 또는 노치형 부분(36a,36b)들에 의해 접극자 어셈블리(20)에 고정되어 있고, 그 단부부분(37a,37b)들은 베이스(2)에 형성된 홈(5b)에 채워진다. 판 스프링(30 및 35)들의 스프링력들은 거기에 가해진 힘에 대해 접극자 어셈블리(20)의 (도면에 도시된 그래프의)스트로우크인, 제5도에서 각각 선(P)와 (Q)에 의해 주어졌다. 판 스프링(30)의 스프링력의 그래프는 직선(P)이고, 판 스프링(35)의 스프링력의 그래프는 그 중앙에 굽혀진 직선(Q)이다. 이 선(Q)이 중앙에서 굽혀진 이유는, 접극자 어셈블리(20)가 그 이동의 중앙점으로부터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A'방향으로 이동될때, 판스프링(35)이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20)의 본체부(21)에 형성된 돌기부(36a.35b)에 의해 고정된 그 중앙 부분으로부터 그 단부들로 굽혀지는 때문이고, 그러나 한편 접극자 어셈블리(20)가 그 이도의 중앙점으로부터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A방향으로 이동될 때 판스프링(35)이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20)의 상기 본체부(21)상에 형성된 쇼울더 형(50a,50b)에 대해 인접하게되는 그 중간부분으로 그 단부로부터 굽혀지고 따라서 더 높은 유효 탄성계수를 가진 때문이다. 제5도에서 우측기선 알파(α)는 접극자 어셈블리(20)가 A'방향으로 완전히 배치될 때의 상황을 도시한 것이고, 한편 좌측기선 베타(β)는 그것이 A방향으로 완전히 배치될때의 상황을 보여준 것이다.
특히, 전자 코일(17)이 소자되었을 때,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전자석 어셈블리(10)의 철심(11)은 자화되고, 흡인력은 철심(11)의 두 단부표면과 두개의 금속판편(26b)들 사이에 존재하고, 한편 반발력은 펄심(11)의 상기 단부표면들과 다른 두개의 금속판 편(26a)들 사이에 존재하며, 그리하여 접극자 어셈블리(20)는 제2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접촉편(29a)의 두 단부들이 접점9b' 및 9c')와 접촉하는 한편 스프링 접촉편(29b)의 두 단부들이 접지접점(6a 및 6c)들을 접촉하고 그렇게 하는 동안 다소 굽혀진다. 다른 한편, 전자코일(17)이 여기될 때, 흡입력은 철심(11)의 두개의 단부표면들과 두개의 금속판편(26a)들 사이에 존재하고, 반발력은 상기 철심(11)의 단부표면들과 다른 두개의 금속표면(26b)들 사이에 존재하고, 그리하여 접극자 어셈블리(20)는 제2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접촉편(29b)의 두 단부들이 접점(9a' 및 9c')들을 접촉하고 한편, 스프링 접촉편(29a)의 두 단부들이 접지접점(6d 및 6f)들을 접촉시키고 그렇게 하는 동안 다소 굽어진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1양호한 실시예에서, 접극자 어셈블리(20)는 코일(17)의 여자 또는 비여자에 따라 화살표 A 및 A'방향으로 전후 이동하고, 저점(9a' 및 9c',9b' 및 9c')을 전환시킨다. 전체 편향력 곡선은, 스프링(30 및 35)의 스프링 힘을 나타내는 고선(P) 및 (Q)와, 스프링 접촉편(29a 및 29b)의 탄성에 의해 미치는 스프링 힘을 나타내는 곡선(R) 및 (S)를 조화봐여 만들어진, 제2에서의 곡선(X)로 정의되었다. 이 합성편향력 곡선(X)은 작동력 곡선(A)와 요구된 복귀력 곡선(C)와의 사이에, 이상 계전기를 위해 제4도에 도시된 이상 편향력 곡선(B)과 같이 편리하게 맞도록 형성 되었다.
상세히 말해서, 이 계전기의 편향력 곡선(X)의 조절은, 그들의 굽혀진 각을 기초로하여, 판 스프링(30 및 35)의 특성을 조절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5도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같이, 판 스프링(30)의 스프링힘의 그래프(P)는 유효하게 직선이고, 이 스프링의 세기의 조절은 편향력 곡선(X)을 상하로 이동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다른 한편, 판 스프링(35)의 스프링힘의 그래프(Q)는 접극자 어셈블리(20)의 스트로우크의 중간에서 굽어진 직선이고, 이 스프링의 세기의 조절은 편향력 곡선(X)의 기울기 각을 결정하는 효과를 가진다. 계전기의 특성과 이들 스프링(30)들의 특성들을 조절하므로써 매우 적당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
판 스프링(35)가 상기 본체부(21)상의 돌출부(25)에 느슨하게 채워진 그 중앙이 후크 또는 돌기부(36a,36b)에 의해 접극자 어셈블리(20)에 느슨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또한 그 단부부분(37a,37b)들이 베이스(2)에 형성된 홈(5b)들에 느슨하게 또는 미끄럽게 채워지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35)의 두개의 측부상의 부분 스프링힘이 다소 다를때 조차, 스프링(35)은 돌출부(25)상의 측로들을 이동하는 후크 또는 노치부(36a,35b)에 의해 이 불균형에 따라 이동할 수 있고, 판 스프링(35)에 의해 미치는 힘이 우측 및 좌측사이에서 불규칙적이거나 또는 비대칭일때 조차, 코일(17)과 철심(11)에의 접극자 어셈블리의 평행 배향은 유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계전기의 제2양호한 실시예를 논의 하고자 한다. 이 제2양호한 실시예가 바로 앞에서 말한 제1양호한 실시예와 아주 유사하기 때문에, 상기 제1양호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기술하고, 이 제2양호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아무런 특별한 도면이 도시되지 않고, 단지 개략적인 평면도로 그 동작을 도해한 제6도만이 논의될 것이다.
이 계전기는 상술된 제1양호한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판 스프링(30 및 35)들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양호한 실시예에서 경우와 같이, 제1판스프링(30)은, 두개의 외부분분(31a 및 31b)이 상기 베이스(2)에 형성된 홈(5a)에 채워져서, 그 중앙부분(31)에 의해 베이스(2)에 고정되고, 그 단부부분(32a, 32b)들이 접극자 어셈블리(20)의 본체부(21)에 형성된 홈(24)에 채워지고, 한편, 판 스프링(35)은 노치형이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20)의 본체부(21)에 형성된 대응 돌출부(25)에 채워진 상기판 스프링(35)의 종방향을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그 중앙부분에서 후크 또는 노치형 부분(35a, 36b)에 의해 접극자 어셈블리(20)에 고정되고, 한편 그 단부부분(37a, 37b)들이 베이스(2)에 형성된 홈(5b)에 채워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 제2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판스프링(30)이 그 중앙 부분(31)에 의해 베이스(2)에 고정될 때 접착제가 거기에 가해져서, 상기 제1판스프링(30)의 두개의 외부부분(31a 및 31b)들이 상기 베이스(2)에 형성된 홈(5a)의 단부에 고착되어, 제1판 스프링(30)의 이들 점들이 베이스(2)에 대해 고정되고 거기에 관해 이동하거나 회전될 수 없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제1판스프링(30)이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20)의 본체부(21)에 형성된 홈(24)에 채워진 그 단부부분(32a, 32b)과 함께 접극자 어셈블리(20)에 고정될 때, 다시 접착제가 거기에 가해져서, 상기 두개의 단부부분(32a, 32b)들은 상기 홈(24)들에 고착되어, 제1판스프링(30)의 이들 점들이 접극자 어셈블리(20)에 대해 고정되고 거기에 대해 이동하거나 회전 할 수 없게 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게다가, 제2판스프링(235)이 그 중앙부분(35)과 돌기부(36a 및 36b)에 의해 접극자 어셈브리(20)에 고정될 때, 접극자 본체부(21)의 돌출핀 부(25)는 주름을 잡아 수축시켜 상기 제2판스프링(35)의 돌기부(36a, 36b)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2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분에 고착되게 하고, 그리하여 제2판스프링(35)의 이들 점들이 접극자 어셈블리(20)에 대해 고정되고 거기에 대해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없게 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그리고 또한, 그 단부부분(37a, 37b)이 상기 베이스(2)에 형성된 홈(5b)에 채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1판 스프링(35)이 베이스(2)에 고정될 때, 다시 접착제가 거기에 가해져서, 상기 두개의 단부부분(37a, 37b)들은 상기 베이스(2)에 고정되고, 그리하여 제2판 스프링(35)의 이들점들이 베이스(2)에 대해 고정되고 거기에 관해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없게 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이들 확실한 고정에 의하여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 스프링(30 및35)들이 이동하고 이리저리 굽혀짐에 따라 그 이동방향으로의 접극자 어셈블(80)의 위치들일지라도 언제나 그 도면에서 (32a, 31a, 37b 및 36b)로 도시된 점들이 평행사변형을 이루는 것이 확실하다. 그리고 유사하게 또한(31b, 32b, 36a 및 37a)로 도시된 네개의 점들은 언제나 평행 사변형을 이룬다. 달리 말하면, 제1판스프링(30)의 좌측 부분의 내부단부가 베이스(2)에 고정된 점(31a)은 베이스(2)에 대해 고정된 점이고, 상기 제1판 스프링(30)의 상기 좌측 부분의 외부단부가 접극자 어셈블리(20)에 대해고정된 점(23a)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20)에 대해 고정된 점이고, 제2판스프링(35)의 우측 부분의 외부단부가 베이스(2)에 고정된 점(37b)은 베이스(2)에 관해 고정된 점이고, 상기 제2판스프링(35)의 상기 제2판 스프링(35)의 상기 우측부분의 내부 단부가 접극자 어셈블리(20)에 대해 고정된 점(36b)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20)에 대해 고저된 점이며, 모두 평행 사변형을 이룬다 : 그리고 유사하게 제1판 스프링(30)의 우측 부분의 내부 단부가 베이스(2)에 고정된 점(31b)은 베이스(2)에 관해 고정된 점이고, 상기 제1판스프링(30)의 상기 우측부분의 외부 단부가 접극자 어셈블리(20)에 대해 고정된점(32b)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20)에 대해 고정된 점이고, 제2판스르링35)의 좌측부분의 외부 단부가 베이스(2)에 고정된 점(37a)은 베이스(2)에 대해 고정된 점이고, 상기 제2스프링(35)의 상기 좌측부분의 내부단부가 접극자 어셈블리(20)에 대해 고정된 점(36a)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20)에 대해 고정된 점이며, 모두 평행 사변형을 이룬다.
판스프링(30)(35)의 단부는 물론 중앙부를 접극자 어셈블리(20)의 몸체부재(21)와 베이스(2)에 고착하는 이런 특정구조에 의해서 그 구조물이 느슨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따라서, 이러한 판 스프링들의 아암부의 폭들에서 아무런 차이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접극자 어셈블리(20)의 좌측 및 우측상에서 스프링힘은 균등하게 되고 접극자 어셈블리(20)가, 그것이 그것의 새로운 축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전자석 조립체와 평행한 관계를 이탈할 가능성이 방지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대로 그리고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점(32a), (31a), (37b), (36b)들이 항상 평행사변형 구조를 이루고, 점(31b), (32b), (36a),(37a)역시 평행사변형 구조를 한정하므로, 접극자 어셈블리(20)의 자체 평행 구조가, 그것이 앞뒤왕복 운동할 때, 확실히 유지된다. 이럼으로 접점(9a'), (9b'), (9c')의 동작에서 시간 지연이 제거되고 따라서 전자 계전기의 동작 특성이 개선된다. 더욱이, 고정 접점, (9a'), (9b'), (9c')에 접촉하는 가동 접촉편(28, 28)의 위치 점이 변하지 않고 접극자 어셈블리(20)의 자체 평행 유지가 확실함으로 가동접촉편(28, 28)의 벗어난 미끄러짐이, 고정 접점(9a'), (9b'), (9c')에 대해 발생하지 않고, 이러한 접촉편들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대략 설명한 양호한 효과는 만일 도시된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운동 및 회전운동에 대해 고정되기보다는 회전하도록 판스프링들의 단부들이나 중앙부가 고정되었더라도, 일어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개념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고 이해해야 한다. 또한 두 판스프링들은 양호한 실시에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직선일 필요는 없고 어느쪽에 대해 각도를 가지고 굽은 부위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판 스프링(30)(35)들이 그들중 하나(판스프링(30))가 판스프링(30)의 중간부(31)에서 베이스(2)에 고정되고, 두 단부(32a)(32b)에서 접극자 어셈블리(20)에 고정되며, 다른 하나(판 스프링(35)는 반대구조로 그 판스프링(35)의 중간부(36a)(36b)에서 접극자 어셈블리(20)와 고정되고, 그 두 단부(37a)(37b)에서 베이스(2)와 고정된 구조로 도시되었지만, 이런 형태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것이 아니며,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예를들면 그들 두 판 스프링이 그들의 중앙부에서 접극자 어셈블리에 고정되고, 그들의 단부에서 베이스(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반대구조로 판 스프링 둘다가 그들의 중앙부에 의해 베이스(2)에 고정되고 그들의 단부에 의해 접극자 어셈블리에 고정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런 구조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제 제7, 8, 9, 20도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계전기의 전개도이다. 이 계전기는 고주파 계전기로서, 접점 어셈블리를 포함한 베이스 어셈블리, 전자석 어셈블리, 접극자 어셈블리(48), 한쌍의 복귀 스프링(83),(84), 외부 케이스(106)를 포함한다.
베이스 어셈블리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베이스(21)와 두 단자 플랫홈(101)(102)을 포함한다. 베이스(21)는 4모퉁이에 4개의 컬럼(21), (22), (23), (24)을 가진다. 또한 베이스안에 형성된 두 사각형 슬롯(25)(26)을 가지며. 단자 플랫홈(101)(102)은 상기 슬롯(25)(26)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며, 또한 각각의 플랫홈(101)(102)은 고정단자(100a), (100b), (100c), (100d), (100e), (100f)가 설치된다. 단자 (100a), (100b), (100c)의 상부접점부(100a'), (100b') (100c')는 슬롯(25)내에 놓이고, 단자 (100d) (100e) (100f)의 상부접점(100d') (100e') (100f')은 도면에서 볼 때 베이스 어셈블리의 상부 측면상에서 슬롯(26)내에 놓인다.
전자석 어셈블리(33)는 철심(34)이 끼워지고 그 위에 코일(36)이 감겨진 스풀(35)을 포함한다. 스풀(35)은 철심(34)의 대응 돌출 단부의 양 측상에 위치된 각각의 대응 단부에서 돌출한 두개의 상향 돌출극편(27a)(27b)을 포함한 요크부재(27)에 연결된다. 상세히 말하면, 스풀(35)과 요크부재(27)의 사이에서의 연결은 스풀(35)의 한 단부에 끼워진 플랫홈 부재(38), (39)에 의해, 플랫홈 부재(38), (39)내의 슬롯(40)에 끼워진 상향 돌출극편(27a), (27b)에 의해 완성된다. 전자석 어셈블리(33)는 슬롯형 챔버(25)(26)사이의 요홈(41)에 끼워짐으로서, 그리고 플랫홈부재(38), (39)에 의해 그 안에 유지됨으로서 베이스(21)와 고정된다. 두 코일단자(44)(45)가 플랫홈 부재(38)내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하방으로 베이스(20)내의 적당한 구멍들(도시안함)을 통해 돌출해서 작동 전자에너지가 선택적으로 그것을 통해 코일로 공급되도록 코일의 단부들은 코일 단부들은 그 코일 단자(45)에 연결된다.
접극자 어셈블리(48)는 합성수지로 전체적으로 성형된 몸체부(49)를 포함하며, 이 몸체부(49)의 각각의 단부에는 프레임부(56),(57), 두 판편(50)(51) 또는 (52)(53), 영구자석(54),(55)가 각각 대응해서 설치되고, 영구자석(54), (55)은 서로 대향해서 배치되고 판편들과 C형을 이루게 배치된다. 또한 4절연 접점 이송부재(79)(80)(81)(82)가 몸체부(49)내에 형성된 슬롯형 구멍(58)(59)(60)(61)내로 끼워지고, 이러한 4접점 이송부재(79)(80)(81)(82)는 각각 스프링 접점편(75a)(75b)(75c)(75d)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접점편은 그 중앙부에서 대응 접점 이송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중앙부 양측상에서 자유 스프링 판으로 연장한다. 접극자 어셈블리(48)는 그 단부들에서 판편(50)(51) 또는 (52)(53)이 철심(34)의 단부 사이에 정의된 상기 갭들로 약간의 측면운동이 그들 사이에서 가능한채로 극편(27a)(27b)과 함께 기워지도록 배치된다. 접극자 어셈블리(48)는 이런 위치로 두 판스프링(83)(84)에 의해 유지된다. 즉, 제8도에 도시된 방향 A1, A2으로 어느 정도의 거리 만큼 이런 판 스프링(83)(84)에 의해 제공되는 회복력에 대항해서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48)과 전자석 조립 체(33)의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판 스프링들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중요한 특징은 접극자 어셈블리(48)의 프레임부(56)(57)이 전자석 어셈블리(33)의 플랫홈 부재(38)(39)의 각각 한 부재의 상면상에 미끄러지는 하부 단부 족부(56')(57')를 가지며, 접극자 어셈블리(48)의 몸체부에는, 계전기의 베이스(20)의 측벽(111a)(111b)(111c)(111d)에 의해 한정되는 안내 홈들 각각에 미끄러지는 하부단부의 다른 족부(101a)(101b)(101c)(101d)가 제공되었다. 그럼으로, 접극자 어셈블리(48)는 적극적으로 제한적으로 전자석 어셈블리(33)의 축과 본질적으로 평행한 종축과 배향되게 유지되어 전술한 제1, 제2실시예보다 더 확실히 벗어난 운동을 하지 않고 본질적으로 그 스스로 평행운동을 한다.
이러한 제3실시예에서, 제1판스프링(83)은 두구멍(85a)(85b)을 가진 중앙부에 의해서, 예를들면, 가열작업에 의해 크림프되는 몸체부(49)상의 크림프(Crimp) 편(71)(72)(제9도)에 접극자 어셈블리(48)의 몸체부(49)에 고정된다. 제1판스프링(83)의 단부(83a)(83b)는 베이스(20)의 기둥편(21)(22)내에 각각 형성된 슬롯(21a)(22a)에 끼워진다. 유사하게 이 제3실시예서, 다른, 즉, 제2판스프링(84)은 중앙부에 형성된 두 구멍(86a)(86b)을 가진 중앙부에 의해 접극자 어셈블리(48)에 고정된다. 또한 그것은 예를들면 가열작업으로 크림프되고, 구멍(86a)(86b)을 통해 각각 끼워진 몸체부(49)상의 크림프 편(74)(73)에 의해서도 고정된다. 제2판스프링(84)의 단부(84a)(84b)는 베이스(20)의 기둥편(23)(24)내에 각각 형성된 슬롯(23a)(24a)에 끼워진다. 제9도를 참조하면, 판 스프링(83)(84)이 곡율지게 구부러져 편향 바이아스힘을 제8도, 제9도에 도시된 화살표 A1방향으로 접극자 어셈블리(48)상에 가한다.
제8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면, 가동접촉편(75a)875b)가 고정접촉부재(100a)(100b)(100c)와 대면하도록 슬롯형 챔버(25)안에 삽입되고, 유사하게 다른 두 기둥 접촉편(75c)(75d)도 고정 접촉부재(100d)(100e)(100f)와 대면하게 슬롯형 챔버(26)안에 끼워진다. 접극자 어셈블리(48)가 전, 후로 운동하면, 이후 설명되는 것처럼 이런 접촉편들은 이런 단자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서로 분리되게 한다. 접지 접점(104)은 가동 접촉편들(75a-75d)의 외부측상에서의 위치와 대향된 위치로 챔버(25)(26)내에 제공된다. 접지판(105)은 고정 접촉부재들(100a-100f)사이에 절연물(101)(102)아래 계전기 외측에 배치되는 접지 단자(105a)를 가졌다. 접지판(105)은 제10도에서 볼 수 있듯이 베이스(20)의 제7도의 하부면에 부착된다. 실제로, 베이스(20) 및 접지판(105)은 둘다 합성수지로 만들고, 페인팅법, 플레이팅법 증기 증착법으로 형성되는 금속 전기 도전성막(도시안됨)으로 피복된다. 이렇게 하여 제7도의 접지 단자들은 챔버(25)(26)안에서 접지 접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실시예의 동작이 이제 설명된다.
전자코일기(36)이 탈부세 되면, 접극자 어셈블리(48)는 스프링(83)(84)의 편향 작용하에서 제7도, 제8도, 제9도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운동하여서, 챔버(25)안에서, 스프링 접촉편(75a)의 두 단부가 접점(100a')(100b')에 접촉하는 반면, 다른 스프링 접촉편(75b)의 두 단부는 접지 접점(104)에 접촉한다. 그리고, 다른 챔버(26)안에서는 스프링 접촉편(75d)의 두 단부가 접점(100e')(100f')에 접촉하는 반면, 다른 스프링 접촉편(75c)의 두 단부는 접지접점(104)에 접촉한다. 이 동작 상태에서, 접극자편들(50)(52)은 접극자 어셈블리(48)의 한 측상에 있는데, 이들은 전자석 어셈블리(33)의 한 측상의 접촉편(27a)에 이끌리고, 다른 접극편(51)(53)은 전자석 어셈블리(33)의 철심(34)의 측면으로 이끌린다. 영구자석(54)(55)에 기인한 저석은 제8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철심(34)내에서 흐른다.
반면에, 전자기 코일(36)에 부세된다면, 이 상태에서 영구자석의 자속이 상쇄되고, 접극자(50)(52)가 전자석 어셈블리(33)의 다른 측 상의 접촉편(27b)에 이끌리고, 접극자 어셈블리(48)는, 극복되는 스프링(83)(84)의 편향 작용에 대항해서 제7도, 제8도, 제9도에 도시된 화살표 A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챔버(25)내에서, 스프링 접촉편(75a)의 두 단부들이 접점(100a')(100b')로부터 떨어져 접지접점(104)에 접촉하는 반면, 다른 스프링 접촉편(75b)의 두 단부들은 접점(100b')(100c')에 접촉한다. 그리고 다른 챔버(26)내에서는, 스프링 접촉편(75c)의 두 단부들이 이제 접점(100d')(100e')에 접촉하는 반면에, 다른 스프링 접촉편(75d)의 두 단부들은 접점(100e')(100f')으로부터 떨어지고 접지접점(104)에 접촉한다. 바꿔말하면, 이 제3실시예에서, 접극자 어셈블리(48)는 코일(36)의 부세 또는 탈부에 따라 화살표 A1 및 A2방향으로 전후 운동을 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점들(100a'-100f')을 절환한다. 따라서 양호한 계전기 동작이 얻어진다.
접극자 어셈블리(48)의 몸체부(49)로부터 돌출한 안내편 또는 레그들(101a-101d)이 접극자 어셈블리(48)의 왕복운동중에 안내벽들(111a-111d)로 한정된 베이스(20)내에 형성된 홈들에 미끄러질 수 있게 맞물리기 때문에,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의 흔들림이 적극적으로 방지되어서, 가동 접촉편(75a 내지 75d)이 고정접촉편(100a'-100f')에 대해서 항상 고정점에 충격을 주므로, 접점 저항이 작아지고 접점의 노화가 최소화되는 잇점을 제공해 준다.
더욱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절환 동작중에 가동접촉편(75a 내지 75d)이 대응 고정 접촉편(100a' 내지 100f')으로부터 떨어질때 그 가동접촉편이 전기 도전성 막으로 피복된 접지접점(104)에 접촉하기 때문에, 그리고 베이스(20)의 챔버(25, 26)가 또한 전기 도전성 막으로 차폐되었기 때문에, 그렇게 되지 않으면 가동 접촉편(75a-75d)과 고정 접촉편(100a'-100f')이 서로 떨어질 때 고주파 단락 회로를 발생시킬 수도 있지만 그러한 위험은, 즉 가동접촉편과 고정접촉편 사이의 정전 접속과 같은 위험은 발생되지 않는다. 제1도에 도시된 접지 단자(105a)는 절연물(101)(102)내에서 이웃 고정 단자(100a-100f)사이에 고주파 전류가 누설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원리적으로 4개의 안내편(101a-101d)중의 오직 하나만이 사용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실제로, 만일 그것과 관련된 안내벽이 그 단일 안내편의 양측에 접촉되면 충분하다.
특히 이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접극자 어셈블리(48)의 몸체부(49)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안내편 또는 레그(101a-101d)가 몸체부(49)와 일체로 합성수지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리고 베이스(20)내에 형성된 안내벽(111a-111d)이 금속성 전기도전성 막으로 덮여있기 때문에, 금속성 안내벽(111a-111d)와 합성수지 안내편(101a-101d)사이의 미끄러짐이, 금속성 전기 전도전성막이 존재하므로, 매우 부드럽게 되며, 그 결과 금속성 전기 도전성이 막이 떨어져 나가서 그것이 고정 접촉면(100a'-101f')과 가동 접촉면(75a-75d)사이에 끼어들어 접촉에서의 어떠한 장해를 일으키지 않는다.
제9도를 참조하면, 제3도실예에서 운동방향으로 접극자 어셈블리(48)를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한쌍의 판스프링(83)(84)을 위해 어떤 방향에 대해 지지점으로서 역할을 하는 단부(83b)(84b)가 베이스(20)의 슬릿(22a), (22b)에 접착물(M)과 함께 고정된다. 이경우, 접극자 어셈블리(48)의 몸체부(49)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안내편(110a-110d)이 베이스(20)내에 형성된 안내벽(111a-111d)과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되므로, 다른 단부(83a)(84a)가 외팔보(Cantilever)방식으로 유지되어 운동하거나 회전할 수 없으며, 접극자 어셈블리(48)의 종방향(왕복운동 받향에 대해 횡방향)에 있는 판 스프링(83)(84)의 한 단부(83b)(84b)와 함께 회전운동 할 수 있지만, 접극자 어셈블리(48)의 진동이나 비틀림운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판스프링(83)(84)의 두 단부(83a)(83b)(84a, 84b)를 모두 고정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판스프링(83)(84)가 꿈틀거릴려할때도, 레그(101a-101d)를 가진 안내 수단이 접극자 어셈블리(48)의 비틀림 운동을 방지한다. 그러나, 물론, 접극자 어셈블리(48)에 대한 구동력은 이 경우 증가할 것이다.
제11도, 제12도, 제13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두 스프링(83)(84)의 한 방향으로 단부(83a)(84b)를 베이스(20)에 선회가능하게, 즉, 그들이 회전하나 병진 운동을 못하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11도에 투시도로, 제12도에 입면도로, 제13도에 평면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구조가 도시되었다. 스프링(83)(84)의 각 단부(83b)(84b)는 하방을 향해 노치(109)를 가지며, 컬럼(기둥)편 (22) 또는 (24)의 대응부분에는 상방으로 향한 노치가 벽부(108)내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이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스프링(83)(84)의 한 방향에 있는 단부(83b)(84b)가 주축으로 유지되어 제7도에 도시된 수직축에 관해 베이스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타단부들은 제9도에 등에 도시된 것처럼 미끄러질 수 있게 억제된다. 따라서, 접극자 어셈블리(48)의 진동이나 비틀림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제3 및 제4실시예에서, 판스프링(83)(84)의 단부(83b)(84b)로부터 판 스프링(83)(84)을 접극자 어셈블리(48)에 고정한 즉 크림프 편(71)(73)에 고정한 점들까지의 길이가 동일하게 하고, 판 스프링(83)(84)의 두 단부(83b)(84b)사이의 길이가 상기 크림프 편(71)(73)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럼으로, 단부(83b)(84b)와 크림프 편(71)(73)에 의해 한정되는 모양이 실제로 평행 사변형이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같은 잇점이 있다. 즉, 그러한 구조에 따라서 두 스프링(83)(84)이 동일 굽힘 각도를 가질 것이기 때문에 접극자 어셈블리(48)가 항상 평행한 채로 화살표 A1, A2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평형 부하가 가동 접촉편(100a-100f)과 고정 접촉편(100a-100f)사이에 작용할 것이다. 또한 제9도에서, 접극자 어셈블리(48)가 평행한 방식으로 화살표 A1, A2방향을 따라 운동할 때 실제로 이 접극자 어셈블리(48)는 아주 작은 량만큼 상기 방향과 수직으로 운통하여 고정 접촉편(100a-100f), 접지단자(104)의 청소도 가능하다.
제14도 내지 제17도를 보면, 본 발명의 계전기의 마지막 제5실시예가 제3실시예에 대한 제7도 내지 제10도와 유사하게 도시된다. 이 제5실시예와 앞서 설명한 제3실시에와의 유일한 차이점은 두 갈래편(83a1, 83a2,)(83b1, 83b2)이 판 스프링(83)의 단부(83a)(83b)상에 형성된 점이다. 상기 두 갈래편중 두단부(83a)(83b)상에서 긴쪽(83a1)(83b1)은, 제18도에서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20)로부터 연장한 기둥편(21)(22)의 슬릿(21a)(22a)으로 삽입된다.
두단부(83a)(83b)상에서 두 갈래의 짧은 (83a2, 83b2)은 각각 기둥편(21)(22)의 측벽상에 돌출물(90)(91)에 선택적으로 가끔 접촉해서, 접극자 어셈블리(48)의 몸체부(49)가 근본적으로 두 갈래편(83a1)(83b1)에 의해 편향되게 한 반면, 다른 두 갈래편(83a2)(83b2)는 선택적으로 가끔, 이런 두 갈래편(83a2)(83b2)이 기둥편(21)(22)의 축벽상에서 돌출물(90)(91)에 접촉할 때만, 접극자 어셈블리(48)의 몸체부(49)상에 더 큰 스프링 편향력을 가해준다. 이점을 제외하고는 제5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마주 유사하므로 간략화를 위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계전기 동작에서, 접극자 어셈블리(48)가 판스프링(84)에 의해 A2로 눌러지며 가동 접촉편(75a)은 공통 고정 접촉편(100b')와 정상 폐쇄쪽의 고정 접촉편(100a')에 접촉하는 반면 가동접촉편(75b)은 챔버(25)내에서 접지접촉점(104)에 접촉한다. 다른 가동 접촉편(75c)는 챔버(26)내에서 접지단자(104)와 접촉한 반면, 가동접촉편(75d)은 정상 폐쇄쪽의 공통 고정 접촉편(100e')와 고정 접촉편(100f')과 접촉한다. 가동 접극자 어셈블리(48)의 한쪽상의 접극자(51)(53)는 철심 프레임(27)의 한쪽의 접촉편(27b)(27b)에 이끌리고 다른 접극자(50)(52)는 철심(34)의 단부측면으로 이끌림에 따라 영구자석(54)(55)의 자속은 B방향으로 철심(34)내에 흐른다.
전자코일(36)이 영구자석의 자속을 상쇄하는 자속을 발생하도록 부세된 대, 접극자(50)(52)는 철심 프레임(27)의 접촉편(27a)(27a)로 이끌리고, 접극자(51)(53)은 철심(34)의 단부측면으로 이끌린다. 바꿔말하면, 가동 접극자 어셈블리(48)는 판스프링(83)(84)에 의해 가해진 스프링힘에 대항하여 철심(34)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운동한다. 그 결과, 가동 접촉편(75a)은 고정 접촉편(100a')(100b')으로부터 떨어져 접지 접촉점(104)에 접촉하고, 가동 접촉편(75b)는 고정 접촉편(100b')(100c')에 접촉한다. 그리고 가동 접촉편(75c)은 고정 접촉편(100d')(100e')에 접촉하는 반면 가동 접촉편(75d)은 고정 접촉편(100e')(100f')으로부터 떨어져 접지접촉점(104)와 접촉한다. 다시 말하면, 비도통 상태가 고정 접촉편(100a')(100b')사이와 (100e')(100f')사이에 이뤄진 반면, 도통 상태 접촉편(100b')와 (100c')사이, (100d')와 (100e')사이에 이뤄진다.
전자코일(36)이 탈부세되면, 접극자 어셈블리(48)의 몸체부(45)가 판스프링(83)(84)의 스프링힘에 의해 A2방향으로 구동되고, 부품들의 상태는 회복되어 고정접촉편(100a')(100b')사이에, (100e5)(100f)이에 도통상태가 달성되고, 비도통 상태는 고정접촉편(100b')(100c')사이에, (100d')(100e')사이에 달성된다.
그러한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대한 제5도와 유사한 그래프인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축에 접극자 어셈블리(48)의 스트로크와 수직축에 힘이 도시되어서 제14도 내지 제17도의 제5실시예의 계전기의 실제 절환특성-부하 a1은 판 스프링(83)(84)에 기인하여 A2방향으로 가동접극자 어셈블리(48)상에 작용함-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가동 어셈블리(48)를 A1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항상 부하특성 X1보다 높은 Y1특성의 힘을 발생하는 특성 동작 전압이 접극자(48)에 가해짐으로서 부하 a1를 극복한다.
동작전압이 상승하면, 접극자 어셈블리(48)는 A1방향으로 운동하고, 다른 두갈래편(83a2)(83b2)이 제18도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물(90)(91)에 접촉할 때 판스프링(83)의 스프링힘은 전이점 m으로부터 상승한다. 바꿔말하면 두 갈래편(83a1)(83b1)의 어느쪽의 스프링힘이 제19도에 도시된 특성 K1과 같다면, 판스프링(83)의 스프링힘 전체는 제19도에 도시된것 처럼 전이점 m으로부터 특성 K3의해 도시된 것처럼 상승하는데, 그 이유는 제18도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물(90)(91)과 두 갈래편(83a2)(83b2)이 접촉하여 구부러질때 발생되는 부가적인 힘 K2 때문이다.
그러므로, 만일 판스프링(83)의 두 갈래편(83a2) (83b2)와 판스프링 그 자체에 기인한 힘이 제20도에 도시된 것처럼 자체가 종래의 특성인 특성 X1으로 성장된다면, 판스프링(83)의 힘특성이, 제18도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물(90) (91)에 두 갈래편(83a2) (83b2)이 접촉할 때 발싱되는 힘 K3에 기인하여, 제19도에 도시된 것처럼 K4로 변화되기 때문에, 동작전압 A1을 변화함없이 회복전압측의 스프링힘을 C1부터 C2가지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힘 C2을 발생하는데 필요한 힘이하로 복귀 전압을 감소시킴으로 A2방향으로 가동 접극자 어셈블리(48)을 복귀할 때, 복귀전압은 특성 Z2으로 지시된 바와같이 힘 특성 X1보다 항상 낮춰진다. 따라서 종래의 복귀전압 특성 Z1보다 높은 복귀 전압특성 Z를 발생한다.
이에 대한 설명이 이하 계속된다. 예를들면, 동작 전압특성 Y2이, Y2가 힘 X3에 대해 너무 높기 때문에, Y1까지 감소될 때, 동작전압 특성 Y2을 Y1로, 고정된 복귀 전압특성 Z2함께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두 갈래편(83a2) (83b2)을 지지하고 두 갈래편(83a1) (83b1)을 베이스(20)의 돌출물 (90) (91)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방식으로 접촉함에 의해, 스프링힘에 대한 전이점 m은, 제19도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베이스(20)의 돌출물(90) (912)에 두 갈래편(83a1) (83b1)이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해서 발생되고, 스프링힘 특성은 판 스프링(83) (84)의 한 단부가 얼마나 구부러졌는가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고정된다. 여기에서, 크림프편들은 판 스프링등을 고정하여 유지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로 양호한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함없이 본 발명의 분야에 익숙한 자들은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여러가지 변경, 생략, 대폐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와 보호 범위가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4)

  1. 전자석과 : 상기 전자석의 선택적인 부세에 따라 운동하며 상기 전자석에 대향한 접극자 어셈블리와 :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의 운동에 따라 동작하는 접촉기구와 :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가 그 운동 방향에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한쌍의 판스프링을 포함한 전자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두판 스프링들이 접극자 어셈블리 운동방향에 대해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의 어느 한쪽상에 설치되는 전자 계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들중 첫번째는 그것의 중앙부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에 결합되고 그 두단부가 고저우재에 결합한 반면, 두번째 판스프링은 그 두단부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에 결합하고 그 중앙부가 고정부재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 계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판스프링이 느슨하게 그 중앙부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에 결합된 전가 계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들중 첫번째 판 스프링의 상기 중앙부는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돌출부 상에서 갈고리형이 된 전자 계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가 상기 첫번째 판스프링의 종축을 따라 연장한 전자 계전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판스프링이 그 두단부가 느슨하게 고정부재에 고정된 전자 계전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들중 첫번째 판스프링이 그 두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된 전자 계전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들중 첫번째 판스프링은 그 중앙부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에 결합되고, 그 두단부는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판스프링들중 두번째 판스프링이 그 중앙부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에 그리고 그 두단부가 고정부재에 결합된 전자 계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들중 첫번째 것은 그 두단부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에 결합되고, 그 중앙부가 고정부재에 열결된 반면 상기 판스프링들중 두번째 것 역시 그 두단부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에 결합되고, 그 중앙부가 고정부재에 연결된 전자 계전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들 각각이 그 중앙부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와 고정부재의 어느 하나에, 그리고 그 두단부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와 고정부재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전자 계전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 판스프링들이 상기 단부들이 그와 관련된 부재에 결합되어 그 부재에 관해 그들이 이동하지도 회전하지도 못하도록 된 전자 계전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 판스프링들의 상기 단부들이 그와 관련된 부재에 결합되어 그 부재에 관해 이동하지 못하나 회전할 수 있도록 된 전자 계전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의 모든 운동중에, 상기 판스프링들중 하나의 단부의 고정점(a), 상기점(a)에 가장 가까운 상기 판스프링들중 상기 하나의 중앙부의 고정점(b), 상기 판스프링들중 다른 하나의 대향 단부의 고정점(c), 상기점(c)에 가장 가까운 상기 판스프링들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중앙부의 고정점(d)으로 평행 4변형이 한정된 전자 계전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가 어떤 방향으로 운동할 때 어떤 점에서 상기 판스프링들중의 하나가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 상에 형성된 쇼울더 형과 접촉하며,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가 더욱 상기 어떤 방향으로 운동할때, 상기 판스프링들중 상기 하나가 상기 쇼울더형과 접촉하는 부분주위에서 구부러지는 전자 계전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와 고정부재에 부착된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안내부재가 협동하여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를 그 왕복통로내에 유지하는 안내 형태가 형성된 전자 계전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에 그 양측에 부착된 다수의 안내 부재들과 고정부재를 가지며, 고정부재가 상기 안내부재가 협동하여 상기 접근자 어셈블리를 그 왕복통로에 유지하는 안내형태가 형성된 전자 계전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가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또한 금속막이 피복된 합성수지로 형성된 전자 계전기.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 판스프링들의 한 방향에서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그들이 고정부재에 관해 운동이나 회전을 할 수 없도록 된다면, 두 판스프링들중 다른 한 방향에서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느슨하게 결합된 전자 계전기.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 판스프링들중 어느 한 방향에서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그들이 상기 고정부재에 관해 운동할 수 없거나 회저할 수 있는 반면, 상기 두 판스프링들중 다른 방향에서 단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느슨하게 결합된 전자 계전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두 판스프링들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단부들의 상기 고정부재로 결합이 접착제에 의해 이뤄지는 전자 계전기.
  2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 판스프링들의 한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재에 베이스 결합된 점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두 판스프링들의 상기 접극자 어셈블리로의 상기 베이스 결합점들에 가장 가까운 접극자 결합점들 사이의 거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또한 관련 스프링들 상에서 상기 베이스 결합점들과, 그들 대응 상기 접극자 결합점들 사이의 거리들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전자 계전기.
  2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들중 하나의 단부가 두 갈래 형태로 되는데, 그 갈래중 하나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스프링의 유연한 정도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에 대항하여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전자 계전기.
  2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들중 하나의 두 단부들 각각은 두갈래 형태로 되는데, 그 갈래중 하나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판스프링의 유연한 정도에 따라 상기 고저우재에 대항하여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전자 계전기.
KR1019840006176A 1983-10-05 1984-10-05 전자 계전기 KR890001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87232A JPS6079633A (ja) 1983-10-05 1983-10-05 電磁継電器
JP58-187232 1983-10-05
JP21753583A JPS60109130A (ja) 1983-11-17 1983-11-17 電磁継電器
JP58-217535 1983-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054A KR850003054A (ko) 1985-05-28
KR890001471B1 true KR890001471B1 (ko) 1989-05-04

Family

ID=1620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176A KR890001471B1 (ko) 1983-10-05 1984-10-05 전자 계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4647885A (ko)
EP (2) EP0253100B1 (ko)
JP (1) JPS6079633A (ko)
KR (1) KR890001471B1 (ko)
AT (1) ATE84912T1 (ko)
DE (1) DE348605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0771A (en) * 1986-08-26 1988-04-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rmature biasing means in an electromagnetic relay
CN104538250B (zh) * 2015-02-03 2016-08-24 佛山市川东磁电股份有限公司 一种磁力开关
CN110965951B (zh) * 2019-11-27 2024-01-23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大通径水力锚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7358A (en) * 1967-11-06 1970-06-23 Hermetic Coil Co Inc Relay
DE2454967C3 (de) * 1974-05-15 1981-12-24 Hans 8024 Deisenhofen Sauer Gepoltes elektromagnetisches Relais
DE2461884C3 (de) * 1974-12-30 1982-04-15 Sds-Elektro Gmbh, 8024 Deisenhofen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ät
JPS5636832A (en) * 1979-08-31 1981-04-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olar electromagnet
JPS5636109A (en) * 1979-08-31 1981-04-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onostable type polar electromag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92728A (en) 1987-09-08
EP0262297A3 (en) 1988-04-20
DE3486050D1 (de) 1993-03-04
EP0262297A2 (en) 1988-04-06
KR850003054A (ko) 1985-05-28
EP0253100A3 (en) 1988-04-20
EP0253100A2 (en) 1988-01-20
JPS6079633A (ja) 1985-05-07
ATE84912T1 (de) 1993-02-15
US4647885A (en) 1987-03-03
JPH0452578B2 (ko) 1992-08-24
EP0253100B1 (en) 1993-01-20
DE3486050T2 (de) 199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641B1 (ko) 유극 릴레이
US4727344A (en) Electromagnetic drive and polarized relay
KR890003642B1 (ko) 유극 전자석 작동장치
US4551698A (en)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US5515019A (en) Polarized power relay
CA1152132A (en) Electromagnetic relay
US5015978A (en) Electromagnetic relay
US4626813A (en) Electromagnetic drive and polarized relay
US4730176A (en) Electromagnet having a pivoted polarized armature
US4339734A (en) Encased miniature relay
CA1224511A (en) Electromagnetic relay
KR890001471B1 (ko) 전자 계전기
US5003274A (en) Electromagnetic relay
EP0124109B1 (en) Electromagnetic relay with symmetric reaction
EP0360271B1 (en) Electromagnetic polar relay
US4509025A (en)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EP0157029A1 (en) Electromagnetic drive and polarized relay
JPS58216321A (ja) 接極子旋回形電磁継電器
US4482875A (en) Polarized electromagnetic midget relay
JP6789316B2 (ja) 薄型リレー用クレードル、クレードル組立体、及びリレー
CN111463069A (zh) 电磁继电器
US6118359A (en)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CA1234851A (en) Monostable type relay
JPH11260231A (ja) 有極電磁継電器における有極磁気回路
JPH05174689A (ja) 有極リ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