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277Y1 - 자동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 - Google Patents

자동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277Y1
KR890001277Y1 KR2019850016434U KR850016434U KR890001277Y1 KR 890001277 Y1 KR890001277 Y1 KR 890001277Y1 KR 2019850016434 U KR2019850016434 U KR 2019850016434U KR 850016434 U KR850016434 U KR 850016434U KR 890001277 Y1 KR890001277 Y1 KR 890001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resistor
voltage
rese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6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138U (ko
Inventor
김영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6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277Y1/ko
Publication of KR870011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2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2Noise reduction and elimination in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입력단자 3,4 : 출력단자
5 : 정전압회로 6 : 제어회로
7 :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 Q1-Q6: 트랜지스터
FET :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R1-R11: 저항
ZD1,ZD2: 제너다이오드 LED1: 발광 다이오드
C1,C2: 콘덴서
본 고안은 전원을 투입하는 순간에 자동으로 뮤우팅(MUITING) 및 리셋트 (RESET)가 걸리고 정전원이 되면 뮤우트 동작이 해제된 직후 리셋트가 해제되어 항상 정확한 동작이 되도록한 자동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등의 제품에서 전원을“온-오프”하는 장치를 갖고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리셋트(RESET)가 필요한 집적소자 등을 채용하여 출력을 구하는 제품의 경우 전원을“온”하게 되면 프로그램의 미정비 및 회로가 안정되지 못하여 제품이 오동작을 하거나 초기에 커다란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전원이 다운되어 저전압이 되면 역시 제품이 오동작을 하게되고 이상한 출력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정전압이 인가될때까지 신호 출력단에 뮤우팅을 걸고 리셋트를 시켜서 제품의 오동작이나 노이즈발생을 제거한 자동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로써 정전압 회로의 출력이 안정되기 전까지 뮤우트와 리셋트 동작을 행하도록 하며 안정된 전압이 제어 회로를 동작시켜 뮤우트 및 리셋트 동작을 해제시킴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시키도록 하며 또한 전압의 다운(DOWN)시에도 자동적으로 뮤우트가 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 및 집적소자가 리셋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제품의 오동작이나 이상 현상을 방지한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단자(1)의 입력전원이 저항(R1)(R2)을 거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2)와 제너다이오드(ZD1)에 인가시켜 트랜지스터((Q1)의 구동을 제어하고 리폴 제거용 콘덴서(C1)를 연결하여 접전압 회로(5)를 구성하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 가변저항(VR1)과 저항(R3)(R5) 및 제너다이오드(ZD2)으로 바이어스 되는 트랜지스터(Q3)를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측에 저항(R4)으로 바이어스 되는 트랜지스터(Q4)를 연결한 후 발광다이오드(LED1)와 저항(R6)(R7) 및 역방향 저지용 다이오드(D1)를 연결 구성하여 제어회로(6)를 구성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측 출력이 저항(R8)(R9)으로 분배되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측에 인가시킴으로써 저항(R10)을 거쳐 뮤우트 전원이 출력되게 구성하고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측에 저항(R11)으로 바이어스 되는 트랜지스터(Q6)를 연결하여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측에 콘덴서(C2)를 연결함과 동시에 리셋트 전원이 출력되게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7)를 구성하여 출력단자(3)로 출력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원이 입력단자(1)로 인가되면 정전압 회로(5)와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7)에 인가되게 된다.
이때 정전압 회로(5)에서 정전압이 출력되기전에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7)의 저항(R10)을 거쳐 뮤우트 전압을 출력시켜 뮤우팅 동작을 행하도록 하며 저항(R11)을 거쳐 트랜지스터(Q6)를 도통시켜 리셋트 전압을 출력시킴으로써 리셋트 상태를 유지시키고 콘덴서(C2)에 충전시킨다.
그리고 전원이 정전압 회로(5)의 콘덴서 보호용 저항(R1)과 저항(R2)을 거치고 제너다이오드(ZD1)로써 제너전압을 유지시켜 저항(R2)으로 바이어스 되는 트랜지스터(Q2)를 도통시키고 따라서 트랜지스터(Q1)가 도통하여 일정 전압이 출력되게 된다.
이때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는 항상 바이어스가 걸려 있어 트랜지스터 (Q1)를 동작하게 하며 온도에 대한 보상 및 트랜지스터(Q2)의 전류를 보상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출력이 기준 전류 제어용 가변저항(VR1)과 저항 (R3)(R5) 및 제너다이오드(ZD2)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3)의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3)가 도통하게 되고 또한 저항(R4)으로 바이어스 되는 트랜지스터 (Q4)가 도통하여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측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D1)를 점등시켜 정전압이 인가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이때 저항(R6)과 다이오드(D1)는 발광다이오드(LED)를“온-오프”할수 있는 기준 전압을 유기시키도록 동작하며 저항(R7)은 발광다이오드 보호용으로 동작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측 출력이 저항(R8)(R9)으로 분배되어 트랜지스터(Q5)의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5)를 도통시키므로 뮤우트전압은 출력되지 않아 뮤우팅 동작이 해제된후 저항(R11)으로 바이어스되는 트랜지스터(Q6)가 부도통 상태가 되어 리셋트 전압도 출력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반드시 뮤우팅 동작이 해제된 후에 리셋트 전압이 출력되지 않도록 콘덴서(C2)가 동작하게 된다.
또한 전원이 다운된 상태가 되면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측과 저항(R6)과의 전위차에 의하여 발광다이오드(LED1)가“오프”되고 따라서 저항(R8)(R9)으로 분배된 분배전압도 바이어스 전압보다 낮게 되어 트랜지스터(Q5)가“오프”상태가 됨과 동시에 뮤우트 전압이 나타나 뮤우팅 동작을 행하고 또한 트랜지스터(Q6)가 도통하게 되어 리셋트 전압이 출력되어 기기는 리셋트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정전압 회로(5)의 정전압이 출력되기전에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7)의 상호 역 구동하는 트랜지스터(Q5)(Q6)의 도통 상태에 따라 뮤우트 전압과 릿세트 전압이 출력되게 하였으며 정전압이 제어회로(6)에 인가되면 발광다이오드(LED1)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정전압이 인가되고 있음을 알려주고 트랜지스터(Q4)의 도통전류에 의하여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7)의 트랜지스터(Q5)(Q6)를 제어하므로써 뮤우트 및 리셋트 전압 출력되지 않도록 하며 이때 뮤우트 전압보다 리셋트 전압을 콘덴서(C2)로써 지연시켜 뮤우팅 해제 직후에 리셋트 동작도 해제시켜 주게 된다.
또한 사용중 전압이 다운되면 발광다이오드(LED1)가“오프”되고 뮤우트 및 리셋트 전압을 출력시키는 것으로써 제품의 오동작 및 이상음을 방지하여 항상 확실한 동작을 행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트랜지스터(Q1)(Q2)와 제너다이오드(ZD1) 및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로 구성된 정전압 회로(5)의 출력측에 가변저항(VR1)과 저항(R3)(R5) 및 제너다이오드 (ZD2)로써 바이어스 되는 트랜지스터(Q3)를 연결하고 콜렉터측에 트랜지스터(Q4)를 연결한 후 발광다이오드(LED1)와 저항(R6)(R7) 및 다이오드(D1)를 연결하여 제어회로 (6)를 구성하고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측에 뮤우트 및 리셋트회로(7)의 저항(R8) (R9)으로 바이어스되는 트랜지스터(Q5)를 연결하여 콜렉터측에 저항(R11)으로 바이어스되는 트랜지스터(Q6)를 콘덴서(C2)와 함께 구성시켜 된 자동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
KR2019850016434U 1985-12-07 1985-12-07 자동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 KR890001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6434U KR890001277Y1 (ko) 1985-12-07 1985-12-07 자동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6434U KR890001277Y1 (ko) 1985-12-07 1985-12-07 자동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138U KR870011138U (ko) 1987-07-15
KR890001277Y1 true KR890001277Y1 (ko) 1989-03-31

Family

ID=1924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6434U KR890001277Y1 (ko) 1985-12-07 1985-12-07 자동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2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138U (ko) 1987-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9914A (en) Dimmer control circuit
JP2003100472A (ja) 発光ダイオード用駆動装置
JPS59133735A (ja) デジタル制御装置用オン・オフ装置
GB1467023A (en) Current limiter responsive to current flow and temperature rise
KR890001277Y1 (ko) 자동 뮤우트 및 리셋트 회로
JPH0546571B2 (ko)
JPH06103331B2 (ja) 負荷の無負荷作動の認識のための回路装置
GB2238674A (en) Control circuit for scr ac relay.
US4979072A (en) Lamp output protective circuit in electronic controller
JPS5845213B2 (ja) 電流制御ヒステリシス回路
JPH05129665A (ja) Led駆動回路
JP2000081919A (ja) 起動回路
KR0127291Y1 (ko) 오디오기기의 자동 조절 조명 장치
GB2088161A (en) Bulb Driver with Short Circuit Protection
JPH0238512Y2 (ko)
JPS6122345Y2 (ko)
KR890000225Y1 (ko) 뮤팅기능을 겸한 전원제어회로
JPH0122269Y2 (ko)
KR880001977Y1 (ko) 원터치식 교번 스위칭 제어회로
KR890000469Y1 (ko) 전자기기의 건전지 교체회로
KR920006430Y1 (ko) 대기전원을 이용한 전원 입력 표시회로
KR860003483Y1 (ko) 전원개폐시의 충격 잡음 제거회로
JPS6241341Y2 (ko)
KR880002186Y1 (ko) 오디오 기기에서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KR850002760Y1 (ko) 초음파 가습기의 전원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