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880B1 - 양 방향(좌,우) 가로, 세로 쓰기용 전자식 타자기 - Google Patents

양 방향(좌,우) 가로, 세로 쓰기용 전자식 타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880B1
KR890000880B1 KR1019850004528A KR850004528A KR890000880B1 KR 890000880 B1 KR890000880 B1 KR 890000880B1 KR 1019850004528 A KR1019850004528 A KR 1019850004528A KR 850004528 A KR850004528 A KR 850004528A KR 890000880 B1 KR890000880 B1 KR 890000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otor
writing
unit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175A (ko
Inventor
한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50004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880B1/ko
Publication of KR87000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5/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haracter selection
    • B41J5/30Character or syllable selection controlled by recorded information
    • B41J5/44Character or syllable selection controlled by recorded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storage of recorded information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 방향(좌,우) 가로, 세로 쓰기용 전자식 타자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다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제3도는 키 보드(key board) 실시예.
제4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 흐름도.
제5도는 플랙 어드레스 테이블(Flag address Table).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 서브루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입력부 2 : 마이크로 컴퓨터부
3 : 기억부 4 : 모우터 구동부
5 : 출력부 6 : 키 보드
7 : 키스켄 제어부 12 : 클럭 발생기
13 : 중앙처리장치 14 : 어드레스 디코드
22 : 캐리지 모우터
본 발명은 전자식 타자기에 있어서, 좌,우 및 가로, 세로 쓰기를 겸할 수 있는 양방향 가로, 세로 쓰기용 전자식 타자기에 괸한 것이다.
종래의 타자기는 우방향 가로쓰기만 가능하여 문서작성시 세로 쓰기가 필요할 때 불편했으며, 또한 사용목적에 따라 좌방향 세로쓰기를 할 수 없기 때문에 근래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 세로 쓰기는 물론 좌,우 양방향 어느 쪽이던지 자유자재로 타자기를 운용 할 수 있어 문서작성상 편리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든 원하는 기능을 프로그램화 하여 기억부에 내장시켜 하나 또는 두개의 키(key)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에 따른 속도부여와 초보자도 쉽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로, 세로 및 좌,우 양방향등 어느 목적으로 운용하고자 하는 각 지정(모드) 및 제어스위치와 수치, 문자 및 부호키에의해 키-인(key-in)되는 외부 키보드와 각 제어 신호를 받아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제어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지정(Mode)된 선택에 따른 운용기능을 선택하고 또한 키-인된 데이터 문자를 처리하여 프로그램에 따른 모우터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부 및 본 발명 시스템에 제어처리 프로그램과 문자 데이터가 기억되어지는 기억부와, 시스템의 제어처리 프로그램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나르게(Carriage) 및 인덱스, 먹끈(리본) 모우터와 프린트 모우터의 모우터 구동부 및 상기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대로 키인된 데이터가 솔레노이드 구동에 의해 출력부로 디스플레이 및 인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도로써 제반제어 선택스위치와 수치, 문자 및 부호키로 구성된 키입력부(1)와,모든 제어신호와 키입력된 데이터를 제어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가 처리되는 마이크로 컴퓨터부(2) 및 본 발명 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기억되는 기억부(3)와, 타이핑하기 위한 운용되는 각 모우터 구동부(4) 및 운용에 따른 키인된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및 인자하는 출력부(5)로 구성된다.
본 발명 시스템을 전원으로부터 제어스위치가 부속된 키입력부(1)에서 스위치 온 시키던 각 제어부를 초기화 한 다음에 각 목적운용에 따른 제어스위치가 부속된 모든 키보드 스위치를 스캔(SCAN)하게 되고, 이 스캔한 데이터가 마이크로 컴퓨터(2)를 거쳐 기억부(3)에 내장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부(2)에서 기억부(3)에 내장된 시스템제어 처리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지정된 운용에 따른 준비상태가 된다.
이 때 모우터 구동부(4)는 초기상태로 세팅(setting)되면서 키입력부(1)의 지정스위치의 키에 의해 목적대로 마이크로 컴퓨터(3)에 전송된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는 기억부(3)에 기억되고 또한 문자처리되면서 모터 구동부(4)를 구동시켜 출력부(5)의 솔레이노이드를 구동시켜 프린팅되며 또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모우터는 이동되어 다음 문자를 찍을 수 있도록 캐리지를 준비한다. 상기 설명이 제4도의 시스템 흐름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써 제2도 중(6)은 키보드(Key Board), (7)은 키 스캔 제어부(Key SCAN Control), (8)은 클럭발생기(9)는 디스플레이 제어기(Display Controller),(10)은 디스플레이 및 지시기(Display & Indicator), (11)은 페이터 감지 스위치, (12)는 클럭발생기, (13)은 중앙처리장치(CPU),(14)는 번지디코더(address Decoder),(15)는 RAM(Random access Memory), (16)은 ROM(Read only Memory),(17)은 선택회로, (20)은 인터페이스(Interface),(18)은 프린터 구동 회로(열전자식 또는 휠 타입), (19)는 리본(먹끈) 모터와 휠선택 모우터 및 열전자식 헤드(Head)부, (21)은 캐리지(나르게) 모우터 구동부,(22)는 캐리지 모우터,(23)은 인덱스 모우터 구동부,(24)는 인덱스모우터, (25)는 솔레노이드 구동부, (26)은 솔레노이드, (27)은 부저구동부, (28)은 부저이며, 키보드(6), 키 스캔 제어부(7), 클럭발생기(8),디스플레이 제어부(9), 디스플레이 및 지시기(10), 페이퍼 감지 스위치(11), 선택회로(17)로 구성된 부분은 키입력부(1)에 대응하면, 클럭발생기(12), 중앙처리장치(CPU)(13), 어드레스 디코더(14), 인터 페이스(20)으로 구성된 부분을 마이크로 컴퓨터부(2)에 대응하고, RAM(15) ROM(16)으로 구성된 부분은 기억부(3)에 대응하며, 프린터 구동부(18), 리본 모우터 및 휠 선택 모우터(19), 캐리지 모우터 구동부(21), 캐리지 모우터(22), 인덱스 모우터 구동부(23), 인덱스 모우터(24)로 구성된 부분은 모우터 구동부(4)에 대응하고, 솔레노이드 구동부(25), 솔레노이드(26), 부저구동부(27), 부저(28), 프린터 구동부(18)로 구성된 부분은 출력부(5)에 대응한다.
외부 키보드(6)에는 제3도의 키보드 실시예에서 보인(X)도와 같은 키 형태(Key tape)와 (Y)도와 같은 스위치 형태(Switch type)가 있는데 여기서 가로, 세로 및 좌,우 방향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기존의 어떤 키를 이용해서 소프트웨어만 추가시켜 상기와 같은 수행을 할 수 있다.
그리고 ROM(16)의 일부에 플랙 어드레삭 테이블 데이터의 저장상태를 나타낸 제5도는 몇개의 플랙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영역인 세로와 좌방향 및 상방향 플랙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F 세로, F 좌, F 상과 문자간격을 지정하는 F1-F2및 행간격을 지정하는 F3-F4등으로 구성하여 ROM(16)에 저장된 제어처리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호출된다.
따라서 전기스위치를 온하면 초기에 모우터를 이동하여 쓰고자 하는 처음 어느 곳에 두어야 하므로 ROM(16)에 저장된 제어처리 프로그램의 일부인 제6도의 (A) 초기 모우터 이동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초기 모우터 이동 순서도에 따라 세로 플랙 어드레스 데이터(F 세로)를 체크(Check)하여 여백(margin)이 있고, 초기 F 상의 데이터를 체크하여 여백이 없으면 인덱스 모터를 역회전시키고, 초기 F상의 데이터를 다시 체크하도록 점프(Jump)한다.
그리고 F 세로 데이터의 여백이 없거나 초기 F 상 데이터의 여백이 있을 때는 F 좌 데이터를 체크한다. F좌 데이터의 여백이 있고, 초기, 우측 여백을 체크하여 있으면 나르게를 우측으로 이동하고 초기 우측 여백을 다시 체크하기 위해 점프한다.
한편, F 좌 데이터의 여백이 없고 초기 좌측 여백이 없으면 나르게를 좌로 이동하고 초기 하측 여백을 체크하기 위해 점프하고, 초기 우측 여백이 있거나 초기 좌측 여백이 있으면 리턴(Rerurn)하여 다음 루틴(Routine)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중 모우터 이동은 제6도의 (b)의 모우터 이동 서부루틴과 같이 F 세로 플랙을 체크하여 여백이 없을 때(″0″일때) 가로쓰기 이동 루틴이 실행되어 실행순서에 의해 문자간격을 체크하는 루틴(D)이 실행되는데 이루틴은 모아쓰기 문자일때 제5도의 플랙 어드레스 테이블 지정(F 세로)(F1-F2)에 따라 CPU (나르게 피치 카운터)로 OXH, OYH, OZH, OAH, OBH, OCH (임의의 스텝 설정치)가 입력되고, 모아쓰기가 아닐 때는 풀어쓰기로써 나르게 피치 카운터(CPU)에 다른 설정치가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문자간격이 설정되어 체크되면서, F 좌의 플랙을 체크하여 ″1″이고, 여백의 좌측 값이 있으면 리턴되어서 다음 루틴을 실행하고, 여백의 좌측값이 없고 모아쓰기일 때는 나르게 피치카운터(CPU)의 데이터와 나르게의 현재 이동량을 나타낸 데이터를 합산하는 루틴이 실행되고 나르게 모우터(22)를 좌이동하여 운용하지만, 모아쓰기가 아닐 때는 그냥 캐리지 모우터를 좌 이동하고 다음 루틴을 실행한다. F 좌의 플랙이 ″0″일때, 여백의 우측값이 있으면 리턴하여 다음 루틴을 실행하고 여백의 우측값이 없고 모아쓰기 문자이면 나르게 피치카운터(CPU)의 데이터를 나르게의 현재 이동량의 데이터로 감산하는 루틴이 실행된 후 나르게 모터를 우측으로 이동하고 리턴하여 다음 루틴을 실행한다.
한편 모아쓰기가 아닐때는 그냥 캐리지 모우터를 우측 이동한다. 또한 F 세로의 플랙을 체크하여 여백이 있을때(″1″일때) 세로쓰기 이동 루틴이 실행되어 실행순서에 의해 상기에서 기술한 문자간격을 체크하는 루틴(D)이 실행되고 모아쓰기 문자일 때는 나르게 이동량만큼 백(Back)되어 실행하고, 풀어쓰기 문자일때는 나르게를 백(Back)하지 않고 실행하여 F 상의 플랙을 체크하여 ″1″이고 상측에 여백이 없을 때는 인덱스 모우터(24)가 역회전하여 운용하고, 상측에 여백이 있을때는 리턴하여 다음 루틴을 실행한다. 한편, F 상의 플랙이 ″0″이고 여백이 하측으로 있으면 리턴하지만, 여백이 하측으로 없을때는 인덱스모우터(24)는 정회전되어 운용되고 리턴하여 다음 루틴이 실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 시스템 전원을 온하면 전 시스템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시스템 초기 상태가 세트되어 진다.
클럭발생기(12)는 중앙처리장치(CPU)를 통해 모든 시스템의 동기펄스를 인가하고 또한 이신호는 키 스캔 제어부(7)에 가해져 키 보드(Key Board)(6)의 키인(Key-in) 기호에 따른 신호와 동기시켜 중앙처리장치(13)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미 이때는 플랙 어드레스 테이블(Flag address table)은 설정되어 있으므로 각 모드 키를 스캔하면 각 모드별 가로, 세로, 우방향, 좌방향 쓰기가 선택되어지는 데 이것은 기억장치 ROM(16)의 제어처리 프로그램에 의해서 키입력되는 데이터는 중앙처리장치CPU(B)를 거쳐 RAM(15)에 로드되어지는 것으로 ROM(16)은 시스템 전원이 오프되어도 지워지지 않은 메모리 소자이다.
그러므로 각 모드별 프로그램은 CPU(B)로 보내져 각 모드에 따른 프로그램이 수행되어지는 데 초기 모터 이동은 제6도의 본 발명의 실시 서브루틴 흐름도(Sub routine Flowchart)의 (A)루틴을 통해 초기 모우터 이동이 행해진다.
이것은 좌로쓰기에는 캐리지(carriage)가 우측시작 위치로 가고, 우로쓰기에는 캐리지가 좌측시작 위치로 가며 세로쓰기에서는 우선 인덱스 모우터가 초기 위치로 역회전 한 다음 캐리지를 이동한다. 이어서 제4도의 시스템 흐름도(System Flow)에 따라 프린팅(Printing)이 행해진 다음에도 상기 방법과 마찬가지로 가로, 세로, 좌, 우쓰기 모드에 따라 제6도의 본 발명의 실시 서브루틴 흐름도(B)의 이동 루틴을 통해 나르게 모우터(22) 및 인덱스 모우터(24)가 구동되면서 다음 문자를 찍을 수 있는 위치에 나르게를 준비시킨다. 이때 각 모드별은 물론 한글과 같은 모아쓰기 문자나, 영어, 숫자 기타 풀어쓰기 문자를 구분해서 제6도의 (C)(D)서브루틴에 따라 준비한다.
여기서 문자 간격은 제6도의 루틴(D)를 통해서 설정되며, 본 발명에서 다루는 각 표기 방법에 따라 키(Key)의 기능이 달라지는데 스페이스 키(SPACE Key)는 제6도의 서브루틴(F)에서 보인 바와 같이 세로쓰기와 가로쓰기에만 한 문자 간격을 세로 및 가로로 이동하며, 인덱스키(INDEX Key)는 행 이동으로 제6도의 서브루틴(C)에 의해 제6도의 서브루틴(E)와 같은 라인 간격이 첵크되면서 인덱스 모우터 정, 역회전되면서 운용하게 된다. 또한 좌향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에는 보통 백 스페이스(BACK SPACE)의 제6도의 서브루틴(G)와 같은 실행순서에 의해 수행된다.
즉 어떤 모드(Mode)에서도 스페이스 키(SPACE Key)는 문자간격 이동, 인덱스 키(Index Key)는 행이동, 백 스페이스 키( BACK SPACE Key)는 현재 타이핑된 문자쪽으로 이동, 리턴 키(Reurn Key)는 제6도의 서브루틴(H)와 같이 다음 행 준비 이동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느 문자던지 타이핑을 가능케 하며 종래 타자기 괘선(罫先)기능의 불편한 점을 해결했으며 인덱스 모우터와 캐리지(나르게) 모우터를 갖고 있는 전자식 타자기 및 휠타자기와 열전사 타자기 및 프린터에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좌, 우 양방향과 가로, 세로로 쓰기 위한 지정(Mode) 스위치를 부착한 키보드(6), 키입력제어의 키-스캔 제어부(7) 디스플레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클럭발생기(8), 디스플레이 제어부(9), 디스플레이 및 표시기(10), 페이퍼 유무 감지 스위치(11), 외부 주변기기 선택의 선택회로(17)를 구성하여 키보드 키(Key)나 스위치 형태로 가로, 세로 및 좌,우방향을 키보드(6)에서 새로이 지정해서 운용 목적에 따라 하나 또는 두개의 키로 선택할 수 있는 키입력부(1)와, 상기외부 키보드 및 제어부(6)에서 가로, 세로 및 좌,우 양방향에 따른 키(Key)를 입력시 중앙처리장치(CPU)(2)는 클럭발생기(12)의 동기신호로 어드레스 디코더(14)를 통해 키스캔 제어부(7)를 구동시키며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9)와 클럭발생기(8)를 동기시켜 디스플레이 및 표시기를 준비시키고, 각 구동 모우터에 제어신호를 보내며, ROM(16)에 내장된 시스템의 제어처리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부(2) 및 마이크로 컴퓨터부(2)에 의해서 액세스(access)되는 시스템 제어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ROM(16)과 키인된 데이터가 중앙처리장치(13)를 거쳐 잠시 기억시킬 수 있는 휘발성 기억소자 RAM(15)으로 구성된 기억부(3)와, 시스템 제어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좌우 및 가로, 세로 쓰기를 할 때 인덱스 모우터(24)와 캐리지 모우터(22) 및 리본 모우터(19)가 구동되는 모우터 구동부(4) 및 CPU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구동부(25)가 동작하여 솔레노이드(26)에 의해 타이핑되고 또한 디스플레이되며, 어떤 설정치에서 부저(28)가 울리도록 한 출력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좌, 우) 가로, 세로 쓰기용 전자식 타자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스위치를 온(on)할 때 키입력부(1)의 선택스위치와 수치, 문자 및 부호키를 스캔한 데이터와 지정스위치 및 키보드(6)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3)를 거쳐 RAM(15)에 저장하도록 하고, 본 발명의 시스템 제어를 하는 ROM(16)에 내장된 제어처리 프로그램에 의하여 좌로쓰기에는 캐리지가 우측의 시작위치로 가고 우로쓰기에는 캐리지가 좌측 시작 위치로 가도록 캐리지 모우터(22)가 구동되고, 또한 인덱스 모우터(24)의 세로쓰기는 초기위치로 역회전 한 다음 캐리지를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좌,우) 가로, 세로 쓰기용 전자식 타자기.
  3.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6)의 스페이스(SPACE)키는 세로쓰기에는 한 문자 간격을 세로로 이동하며, 좌,가로쓰기에는, 백 스페이스(Back SPACE)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결국 스페이스(SPACE)키는 문자간격에 따른 이동으로 사용되고, 인덱스 키는 행을 이동할 때 사용되며, 백 스페이스 키는 현재 타이핑 된 문자쪽으로 이동하는데 사용되고 리턴키는(RETURN Key) 다음 행을 타이핑할 준비를 하는데 사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좌,우) 가로, 세로 쓰기용 전자식 타자기.
KR1019850004528A 1985-06-25 1985-06-25 양 방향(좌,우) 가로, 세로 쓰기용 전자식 타자기 KR890000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4528A KR890000880B1 (ko) 1985-06-25 1985-06-25 양 방향(좌,우) 가로, 세로 쓰기용 전자식 타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4528A KR890000880B1 (ko) 1985-06-25 1985-06-25 양 방향(좌,우) 가로, 세로 쓰기용 전자식 타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175A KR870000175A (ko) 1987-02-16
KR890000880B1 true KR890000880B1 (ko) 1989-04-12

Family

ID=1924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528A KR890000880B1 (ko) 1985-06-25 1985-06-25 양 방향(좌,우) 가로, 세로 쓰기용 전자식 타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8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175A (ko) 198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4301A (en) Typewriter with text memory
US5395173A (en) Bar code and text printer capable of displaying bar code location
JPS59188480A (ja) オートパワーオフ機能付印字装置
JPH05185653A (ja) テープ印字装置
US5278952A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having layout display control system
JPS59188475A (ja) 電子タイプライタ
KR890000880B1 (ko) 양 방향(좌,우) 가로, 세로 쓰기용 전자식 타자기
US4607966A (en) Electronic typewriter equipped with text memory which saves format data while deleting a line
US4564304A (en) Typewriter with resetting function for margin position and tab position
JPH0522932B2 (ko)
JPS61233578A (ja) プリンタ
US4785312A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a printer unit
EP0273764A1 (en) Text processing system
US5060184A (en) Word processing apparatus
JP2956702B2 (ja) ローマ字かな変換方法
EP0395090A2 (en) Character pattern data generating device
JP2692116B2 (ja) ガイダンス表示可能な文書作成装置
JPH0312332B2 (ko)
KR820001637B1 (ko) 한글 오타 감지제어 방법
KR900000259B1 (ko) 데이지휠 타자기 및 데이지휠 프린터의 양방향 인자방법
JPH0369313B2 (ko)
JPH088110Y2 (ja) 小型プリンタ
JPH0440936Y2 (ko)
KR19980063579A (ko) 문자정보 처리장치
JPH045222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