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789B1 - 철도탱크차용의 가열된 출구밸브 - Google Patents

철도탱크차용의 가열된 출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789B1
KR890000789B1 KR1019850700269A KR850700269A KR890000789B1 KR 890000789 B1 KR890000789 B1 KR 890000789B1 KR 1019850700269 A KR1019850700269 A KR 1019850700269A KR 850700269 A KR850700269 A KR 850700269A KR 890000789 B1 KR890000789 B1 KR 890000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valve
flange
cargo
heat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700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700231A (ko
Inventor
피이. 뢰빙거 리챠드
Original Assignee
피이. 뢰빙거 리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이. 뢰빙거 리챠드 filed Critical 피이. 뢰빙거 리챠드
Publication of KR85070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700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heating or cooling through the walls or internal parts of the container, e.g. circulation of fluid inside th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5/00Tank wagons for carrying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5/00Tank wagons for carrying fluent materials
    • B61D5/04Tank wagons for carrying fluent materials with means for cooling, heating, or insu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416With heating or cooling of the system
    • Y10T137/6579Circulating fluid in heat exchange relationsh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855Vehicle
    • Y10T137/6866Railway c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348Tank with internally extending flow guide, pipe or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철도탱크차용의 가열된 출구밸브
제1도는 이 발명의 밸브를 가진 철도 탱크차의 측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탱크와 결합된 밸브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밸브의 3-3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4도는 이 발명의 가열된 밸브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밸브의 5-5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1도는 탱크(3), 탱크 받침대(4)(5), 짧은 견인대(6)(7) 및 탱크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휘일 트럭 (8)(9)을 가진 철도 탱크차(2)를 측면도로 나타낸다. 탱크 (3)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개 차의 윗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화물 헤치(hatch)혹은 화물입구(10)가 설치되어 있다. 탱크 단부들(13)(14)중 하나로 부터 탱크의 바닥 중앙을 향해 아래로 경사지는 1쌍의 경사진 가열 요소들(11)(12)이 탱크의 내부에 위치하고, 출구 밸브(15)는 탱크의 바닥 중앙에 위치한다. 1쌍의 유체 배출 파이프(18)(19)와 1쌍의 가열된 유체 매체 도입 파이프(16)(17)가 출구 밸브(15)에 인접히 위치한다. 탱크의 바닥과 그 탱크에 담긴 화물을 가열하기 위해서, 뜨거운 오일, 증기 혹은 뜨거운 물과 같은 가열된 유체 매체가 공급원(도시안됨)으로 부터 각 입구들안으로 압입된다. 도입 매체는 각 열교환 요소에 있는 다수의 열교환 통로 혹은 흐름 도관들을 통해 순환하고, 결국 가열 요소(11)의 배출 파이프(18)및 가열 요소(12)의 배출 파이프 (19)과 같은 배출구의 밖으로 흘러나간다. 그 매체는 지상으로 버려지거나 공급원으로 회수되어 다시 재가열 순환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들(11)(12)이 단부들(13)(14)로 부터 출구 밸브(15)를 향해 경사져 있다. 이 경사로 인하여 화물이 확실하게 출구 밸브로 흐르게되고 또한 가열 요소들(11)(12)내의 물 혹은 응축물이 가열 요소들로 부터 확실히 배수되어 결빙을 없애거나 가열 요소들내의 부식성 유체를 제거함으로써 가열요소들의 작업수명을 연장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제2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열 요소들(11)(12)에는 윗판(20)(21)이 있고, 그 윗판(20)(21)은 탱크(3)의 바닥 부분 혹은 바닥판(22)위에 배치되거나 혹은 거기로 부터 사실상 수직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있다.
환형 표면(23)에 의해 형성된 원형 공간 혹은 구멍이 탱크의 바닥판(22)에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장치 혹은 가열 요소들(11)(12)의 판(20)(21)은 서로 밀봉 결합하게 마주쳐 용접되는 중앙 가장자리들 혹은 말단 단부들(24)(25)을 가진다. 이런 횡방향 용접 이음매 혹은 접합부의 중앙에는 환형 표면(26)에 의해 형성된 원형 구멍이 마련된다. 탱크 바닥의 구멍과 가열요소들의 구멍은 사실상 서로 정렬되어 있고 가열 요소 구멍이 바닥 구멍으로 부터 수직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있다.
환형 플랜지(27)와 같은 밸브 부착 부재는 판(20)(21)의 하부 표면들(28) (29)사이에 각각 삽입되고, 판들(20)(21)과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상부 표면(30)을 가진다. 플랜지(27)의 하부 표면(31)은 또한 탱크 바닥(22)의 상부 표면(32)과 밀봉적으로 결합된다. 플랜지(27)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판들에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 흐름 구멍(33)이 상부 표면(30)과 하부 표면(31)사이에 뻗어 있다.
환형 시일(35)과 다수의 나사 고정구들(36)과 같은 적절한 부재에 의해 플랜지에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밸브 몸체(34)는 플랜지(27)의 하부 표면(31)과 밀봉적으로 결합된다. 밸브 몸체(34)에 있는 유체 흐름 구멍(37)은 플랜지(27)의 구멍(33)과 유체 흐름이 통하게 되어 있어 액체화 물이 탱크(3)로 부터 중력에 의해 흐를 수 있게 한다. 회전가능한 웨이퍼 혹은 디스크(38)와 같은 밸브요소(또, 구체일 수도 있다)가 밸브몸체(34)의 구멍(37)내에 설치되어 구멍(37)을 선택적으로 밀폐하거나 열어준다. 웨이퍼(38)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지의 작동수단은 이 발명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어서 도시되지 않았다.
제2도 및 제3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판(39)은 플랜지(27)의 반경방향으로 외향하는 표면(40)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그 표면으로 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있어 플랜지(27)를 둘러싼 사실상 환형의 공간(41)을 형성하고, 이 공간(41)의 하부는 바닥판(22)의 표면(32)에 의해 그리고 그 상부는 판(20)(21)에 의해 각각 한정된다. 가열된 매체 배출 파이프(18)(19)는 환형의 공간(41)과 유체 흐름이 통하게 되어 있다. 옆으로 뻗어있는 유체 흐름 도관(42)은 판(20)의 하부 표면(28)에 붙어 있고, 이 도관(42)에는, 환형 판(39)의 구멍(50)에 의해 밸브부착 플랜지(27)를 둘러싼 환형 공간(41)과 유체 흐름이 통하게 도관(42)을 배치하는 연결도관(43)이 있다. 도입 도관(44)이 판(20)에 붙어 있고, 도입 도관(16)과 유체 흐름이 통하게 되어 있다.
또한, 판(21)의 하부 표면(29)에는 옆으로 뻗어있는 유체도관(45)이 붙어있고, 이 유체 도관(45)에는, 환형 판(39)의 구멍(51)에 의해 환형 공간(41)과 유체 흐름이 통하게 유체 도관(45)을 배치하는 연결도관(46)이 있다. 도입 도관(47)이 판 (21)에 붙어 있고 도입 파이프(17)과 유체 흐름이 통하게 되어 있다.
각 도입 도관(44)(47)은 각각 연결 도관(43)(46)과 유체 흐름이 통하게 되어 있어, 도입 파이프(16)(17)에 도입된 증기나 뜨거운 물 혹은 기름이 가열 요소들(11) (12)을 통해 순환하고 플랜지(27)를 둘러싼 환형 공간(41)안으로 들어간 다음 배출 파이프(18) 혹은 (19)을 통해 빠져나가 지상 혹은 용기안으로 배출되거나, 가열 요소를 통한 재가열 및 재순환을 위해 다시 공급원으로 재순환 될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출구 밸브, 가열 요소 및 도관 배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횡방향 가열 도관들 (42)(45)이 생략된 점을 제외하고는, 양실시예들이 사실상 동일하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유사한 요소들이 제2도 및 제3도에 사용된 참조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표시되었다.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가열 요소들은 가열 요소(11)를 위한 말단단부(60)와 가열 요소(12)를 위한 말단단부(61)를 가지며, 이 단부들(60)(61)은 서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있다. 상기 말단 단부(60)와 이어진 단부(63)와 상기 말단 단부 (61)와 이어진 단부(64)를 가진 횡판(62)이 밸브의 윗뚜껑으로 사용된다.
횡판(62)은 제1횡방향 도관(65)과 제2횡방향 도관(66)을 가진다. 그 도관들 (65)(66)은 환형 판(39)의 구멍들(67)(68)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플랜지(27)를 둘러싼 환형 공간(41)과 유체 흐름이 통하게 배치된다.
플랜지(27)를 탱크내에 위치시켜 밸브가 차의 바닥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뻗는 거리를 줄임으로써, 이 밸브 구조의 장점이 얻어진다. 밸브 플랜지가 차의 내부에 있고 가열 요소들(11)(12)의 판들(20)(21)과 밀봉적으로 결합되고 환형공간, 혹은 유체 매체 가열실 혹은 도관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므로 밸브 플랜지 및 밸브 몸체의 급속한 가열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구멍(33)에 바로 인접한 화물의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켜 유체가 플랜지 및 밸브를 통한 흐름을 개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판들(20(21)이 플랜지(27)의 윗면과 사실상 같은 높이에 있으므로, 모든 화물이 경사진 판들 아래로 흐르고 밸브 구멍을 통해 탱크로 부터 배출되는 경향이 있다.
환형 공간(41)이 바닥판(22)과 판들(20)(21)사이의 절연된 막힌 공간(70)내에 있으므로, 열이 대기로 덜흩어지고, 결국 더 많은 열이 플랜지를 통해 그리고 그 주위의 인접한 화물로 강제로 발산된다.
밸브 부착 플랜지가 탱크내의 차 바닥 위에 설치됨으로써, 플랜지에 부착된 밸브는 더 적은 길이로 탱크에 매달리거나 탱크로 부터 아래로 뻗는다. 이런 특성에 의해 지상으로부터의 탱크의 높이가 더 커지며 밸브가 덜 손상을 받게 된다. 탱크 안으로 튀어나온 플랜지의 윗표면이 가열 요소들의 화물 지지판들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더큰 지상으로부터의 높이가 얻어질 수 있다. 이런 판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모든 화물이 탱크로 부터 중력에 의해 흐르는 것을 촉진시킨다.

Claims (4)

  1. 탱크가 바닥과 그 바닥에서 일정간격 떨어진 가열요소를 가지며 그 가열요소가 탱크에 밀봉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바닥과 가열요소 사이에 막힌 공간을 형성하는 철도 탱크차 탱크용의 가열가능한 화물 출구로서, 상기 가열요소에 있는 제1구멍, 상기 탱크 바닥에 있는 제2구멍, 및 상기 제1구멍으로 부터 제2구멍까지 상기 가열 요소 및 탱크 바닥을 통과하여 연장하는 화물 유체 흐름 통로를 포함하는 화물출구에 있어서, 대기로의 열 소산을 감소시키고 지상으로 부터의 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해 제한된 거리만큼 밸브(15)가 탱크(3)로 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가열 요소(11, 12)의 윗판(20, 21)과 동일면에 있는 상부 표면을 가지는 밸브 부착 플랜지(27), 및 상기 밸브를 통한 화물의 흐름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주위로 가열된 유체 매체가 흐르게 하기 위한 열 공간(41)을 형성하도록 상기 플랜지의 바깥 둘레로 부터 떨어져 있는 환형판 부재(39)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탱크차 탱크용의 가열 가능한 화물 출구.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15)가 상기 화물 유체 흐름 통로를 선택적으로 밀폐 및 개방하도록 상기 밸브 부착 플랜지(27)의 하부 표면에 밀봉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출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유체 매체를 위한 배출파이프들(18,19)이 상기열 공간(41)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출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유체 매체를 위한 도입 파이프들(16,17)이 공간 (70)을 통과하고 상기 플랜지(27)에 인접히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출구.
KR1019850700269A 1984-02-27 1985-01-28 철도탱크차용의 가열된 출구밸브 KR890000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583,648 US4624189A (en) 1984-02-27 1984-02-27 Heated outlet valve for railway tank car
US583,648 1984-02-27
PCT/US1985/000135 WO1985003915A1 (en) 1984-02-27 1985-01-28 Heated outlet valve for railway tank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700231A KR850700231A (ko) 1985-12-26
KR890000789B1 true KR890000789B1 (ko) 1989-04-07

Family

ID=2433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700269A KR890000789B1 (ko) 1984-02-27 1985-01-28 철도탱크차용의 가열된 출구밸브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624189A (ko)
EP (1) EP0173711B1 (ko)
JP (1) JPS61501262A (ko)
KR (1) KR890000789B1 (ko)
BR (1) BR8505431A (ko)
CA (1) CA1220980A (ko)
DE (1) DE3573908D1 (ko)
IN (1) IN161977B (ko)
IT (1) IT1183409B (ko)
MX (1) MX162357A (ko)
SU (1) SU1542410A3 (ko)
WO (1) WO1985003915A1 (ko)
ZA (1) ZA857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0447A (en) * 1989-07-14 1991-06-04 Loevinger Richard P Tank car discharge valve heating unit
WO1991001238A1 (en) * 1989-07-14 1991-02-07 Loevinger Richard P Heated tank car with discharge valve and pressure equalizer
US5058511A (en) * 1989-07-14 1991-10-22 Loevinger Richard P Heated tank car with discharge valve and pressure equalizer
US6347589B1 (en) 2000-06-30 2002-02-19 Trn Business Trust Railway tank car having a heating system with internal heat transfer panel
US7717143B2 (en) * 2006-09-07 2010-05-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Heated outlet valve for a hydrogen storage tank
US20100122641A1 (en) * 2008-11-17 2010-05-20 Greg Molaro Dual purpose bitumen/diluent railroad tank car
CA2695907A1 (en) * 2009-03-05 2010-09-05 Robica-Forman Tank Ltd. Transformer oil holding assembly
US9714719B2 (en) * 2015-09-24 2017-07-25 Union Tank Car Company Bottom outlet valve removable independent steam jacket
RU2703603C1 (ru) * 2018-04-03 2019-10-21 "Головное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вагоностроения имени Валерия Михайловича Бубнова" Вагон-цистерна для затвердевающих и вязких грузов
CN108468606A (zh) * 2018-05-03 2018-08-31 沈东岳 一种汽车恒温单向阀一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9605A (en) * 1923-06-15 1926-01-12 Horace W Ash Tank-car heater
US3028874A (en) * 1959-11-02 1962-04-10 Dow Chemical Co Valve
US3176764A (en) * 1961-01-26 1965-04-06 J B Beaird Company Inc Integral tank shell heat-exchange coils
US3228466A (en) * 1964-04-24 1966-01-11 Union Tank Car Co External heating arrangement for a storage tank
US3439910A (en) * 1966-07-27 1969-04-22 Zimmermann & Jansen Gmbh Back draft valve for blast furnace installation
US3687087A (en) * 1970-04-13 1972-08-29 Acf Ind Inc Insulating structure for interior of railway freight cars
BE795182A (fr) * 1972-02-24 1973-05-29 Thyssen Niederrhein Ag Obturateur a clapet pour agencement de collecte d'eponge de fer
US3973585A (en) * 1973-08-14 1976-08-10 Controls Southeast, Inc. Jacket construction for fluid flow fittings
DE2606005C3 (de) * 1976-02-14 1981-10-22 MTU Motoren- und Turbinen-Union München GmbH, 8000 München Gekühlte Drosselanordnung für Heißgase, insbesonderezur Nachschaltung hinter der Brennkammer eines Strahltriebwerkes
US4476788A (en) * 1982-06-07 1984-10-16 Richard Loevinger Heated railroad tank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24189A (en) 1986-11-25
WO1985003915A1 (en) 1985-09-12
EP0173711B1 (en) 1989-10-25
IT8519616A0 (it) 1985-02-22
EP0173711A1 (en) 1986-03-12
JPH0116709B2 (ko) 1989-03-27
IT1183409B (it) 1987-10-22
SU1542410A3 (ru) 1990-02-07
DE3573908D1 (en) 1989-11-30
IN161977B (ko) 1988-03-05
ZA85772B (en) 1985-09-25
JPS61501262A (ja) 1986-06-26
CA1220980A (en) 1987-04-28
MX162357A (es) 1991-04-26
BR8505431A (pt) 1986-02-18
EP0173711A4 (en) 1986-07-29
KR850700231A (ko) 198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789B1 (ko) 철도탱크차용의 가열된 출구밸브
US4476788A (en) Heated railroad tank car
US4603733A (en) Heated railroad tank car
KR100197836B1 (ko) 용융금속의 공기처리용 금속야금 용기로 부터 배출되는 고온가스를 취급하기 위한 후드조립체
KR890000858B1 (ko) 가열된 철도 탱크 차
US5020447A (en) Tank car discharge valve heating unit
US5141047A (en) Fluidized bed heat exchanger
US5058511A (en) Heated tank car with discharge valve and pressure equalizer
FI107037B (fi) Lämmitetty säiliövaunu, jossa on poistoventtiili ja paineentasain
CA1310542C (en) Combination bottom outlet saddle and sump
US5419270A (en) Arrangement of a submersible pump
US3738305A (en) Oil tank heating apparatus
RU2171766C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ая цистерна для вязких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US5390730A (en) Fluid cooling system
US3362466A (en) Apparatus for conditioning the contents of a container
JPH05203098A (ja) 液化天然ガスの気化装置
SU1180308A1 (ru) Цистерна дл легкозастывающих грузов
US229373A (en) Milk-cooler
CN108916001A (zh) 一种压缩机换热器
GB2360577A (en) Heat exchanger construction
JP2000007088A (ja) 浮屋根式タンクの融雪装置
JPH08152233A (ja) 水素ガス排出装置
JPH012694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