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681B1 -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 Google Patents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681B1
KR890000681B1 KR1019810004686A KR810004686A KR890000681B1 KR 890000681 B1 KR890000681 B1 KR 890000681B1 KR 1019810004686 A KR1019810004686 A KR 1019810004686A KR 810004686 A KR810004686 A KR 810004686A KR 890000681 B1 KR890000681 B1 KR 890000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unit
units
construction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983A (ko
Inventor
유끼오 아리다
Original Assignee
미사와 호오무 가부시끼가이샤
미사와 지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사와 호오무 가부시끼가이샤, 미사와 지요지 filed Critical 미사와 호오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10004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681B1/ko
Publication of KR830007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68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구축되는 건물에 있어서의 건축 유니트의 배치관계의 1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배치관계에서 건축 유니트를 배열 설치한 상태의 개요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건축 유니트의 기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 및 제5도는 모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을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부분 종단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매달기 지그의 1예를 그 사용 실시예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강제중공 기둥체 15 : 바닥체
A : 기준 유니트 B, B1, B2, B3, B4: 건축 유니트
C : 기초
본 발명은 복수개의 건축 유니트를 결합하여 건물을 구축하는 유니트 구축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는 복수개의 유니트를 크레인에 의해 소정 위치에 매달아 내려서 설치하므로써 건물을 구축하는 유니트 구축법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모서리부에 기둥체를 갖춘 복수개의 건축 유니트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인접하는 유니트 끼리를 각각의 기둥체를 통하여 결합하여 건물을 구축하는 경우, 이 구축에 사용되는 건축 유니트로서는 각각의 유니트 상호를 설계대로 정학하고 용이하게 결합하는데 있어서 모두 고정밀도의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건축 유니트는 공장에서 일정규격으로 생산된다고 하나 건축 유니트에 다소의 성형 오차, 재료 오차 등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려고 하면 현저하게 생산성이 저하하여 건축 유니트의 생산비를 현저히 높이게 된다.
한편 일정규격으로 공장에서 생산된 복수개의 건축 유니트를 소정형상으로 형성된 기초 위에 설치하여 건물, 주로 주택을 구축하는 경우 유니트는 트럭의 적재 대로부터 크레인으로 직접 기초 위에 매달아 내리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건물을 구축하는 경우 현장작업의 노력절약화를 향상시키는데 있어 건축 유니트로서 완성도가 높은 것을 사용할 것이 요청되고 또 내구성이 높고 중량감이 있는 건물을 구축하기 위하여는 고중량의 건물 유니트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완성도가 높고 또한 고중량의 건축 유니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완성도가 낮거나 또는 비교적 경량의 유니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건축 유니트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이 소정 위치에 정확히 설치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2개째 이후의 건축 유니트를 이미 설치된 건축 유니트에 인접시켜서 설치할 때에는 막대한 노력을 요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건축 유니트의 생산비를 특별히 높이지 않고 고정밀도를 목적으로 하는 건물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유니트 구축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완성도가 높고 또한 고중량의 건축 유니트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크레인에 의해 매달아 내려서 설치할 때에 건축 유니트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이 소정 위치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유니트 구축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하면 네군데 모서리에 강제 프레임을 배열 설치하여 형성한 바닥체와, 이 바닥체의 네군데 모서리에 세워 설치한 4개의 강제중공 기둥체를 구성 주체로 하여 이루어진 건축 유니트를 적어도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결합하여 건물을 구축하는 벙법으로서, 기초 위에 설치되는 건축 유니트 중의 1개를 고정밀도의 것으로 형성하여 이것을 기준 유니트로 하고 미리 형성한 기초 위의 소정 위치에 먼저 상기 기준 유니트를 크레인에 의해 매달아 내려서 설치하고, 그후 다른 1개 이상의 건축 유니트를 모두 기준 유니트에 뒤따르게 하여 상기 기초 위의 소정 위치에 크레인에 의해 매달아 내려 설치하고, 그런후 상기 기준 유니트의 기둥체에 뒤따르게 하여 다른 1개 이상의 건축 유니트의 기둥체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구축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건축 유니트로서는 통상 그의 측면에 외벽체를 미리 결합한 것이 사용되고 건축 유니트는 그의 외벽체를 건물의 바깥 둘레면에 위치시켜서 설치된다.
또 상부에 별도의 건축 유니트가 결합되지 않은 건축 유니트로서는 기둥체의 상부에 지붕체를 미리 결합한 것이 사용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제2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 기초 위에 설치된 건축 유니트의 측면에 면하는 측에 있는 2개째 이후의 건축 유니트의 측면을 그의 윗끝 가장자리가 상기 이미 설치된 건축 유니트의 측면과 멀어지게 되는 방향으로 경사시켜서 상기 2개이후의 건축 유니트를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기는 2개째 이후의 건축 유니트의 설치는 상기 2개째 이후의 건축 유니트의 기둥체의 측면 아래쪽에, 유니트간에 소정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편 (Clearance piece)을 장착하여 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축법은 정밀도가 높은 기준 유니트를 준비하여 이것에 다른 유니트를 수평방향에서 뒤따르게 하여 건물을 구축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준 유니트 이외의 유니트는 정밀도를 의식적으로 낮춘것이라도 전체로서 정밀도가 높은 건물을 구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건축 유니트의 생산성을 낮추는 일이 없으며, 오히려 기준 유니트 이외의 유니트에 대해서는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도 나타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 설치한 유니트에 인접시켜서 설치하는 2개째 이후의 건축 유니트는 경사시켜서 매달아 내리고 더우기 건축 유니트의 특정 위치에 간격편을 장착하여 이 건축 유니트를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건축 유니트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이 소정 위치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본 발명의 구축법은 후술하는 프리그라우트법(pregrout法)과 병용함으로써 더욱 효과를 높일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니트 구축법은 완성도가 높고 또한 고중량의 건축 유니트에 의한 공업화 생산주택(조립식 주택)의 구축에 기여하는 바 큰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축법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구축되는 건물에 있어서의 건축 유니트의 배치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상 1의 위치에 기준 유니트를 배열 설치하고, 2, 3, 4 및 5의 위치에 상기 기준 유니트(A)에 뒤따르는 다른 건축 유니트(B1, B2, B3및 B4)를 각각 배열 설치하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5개의 건축 유니트를 수평방향으로 배열 설치 및 결합하여 건물의 1층부를 구축하는 것이다.
1개의 기준 유니트(A) 및 4개의 다른 건축 유니트(B)는 모두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군데 모서리에 강제 프레임을 배열 설치하여 형성된 바닥체(15)와, 바닥체(15)의 네군데 모서리에 세워 설치한 4개의 강제 중공기둥체(10)를 구성 주체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런 점이 있어서는 모두 동일한 구조체이지만 기준 유니트 (A)만은 다른 건축 유니트(B)와는 다른 별도의 생산라인에서 고정밀도의 것으로 형성되어 진다.
또 각각의 유니트(A, B)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측면에 적절한 외벽체(11), 샤시창(12)등이 미리 부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유니트(A, B)의 각각의 기둥체(10)의 윗끝 부분은 통상, 이 윗끝 부분에 자유로이 붙이고 뗄수 있도록 장착한 프레임(14)으로 연결되어 있다.
특히 기준 유니트는 그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둥체(10)의 윗끝 부분을 프레임 장착에 의하여 연결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각각의 유니트(A, B)의 건물 안쪽에 면하는 측면은 기본적으로 개방하여 있고 적절한 2개 이상의 유니트의 내부 끼리 하나의 방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각각의 유니트의 내부 측면, 또는 각각의 유니트의 중앙부에 구획벽 등을 설치해 둘 수도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5개의 건축 유니트를 결합하여 건물의 1층부를 구축할 경우에는 먼저 미리 소정형상으로 형성한 기초(C) 위에서 제1도에 있어서의 1위치의 기초(C)에 앵커보울트를 끼워 기준 유니트 (A)를 설치 고정시킨다.
이 기준 유니트(A)의 설치 고정은 크레인(도시하지 않음)으로 매달아 내리면서 수행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구축장소에 따라 기준 유니트(A)보다 먼저 다른 건축 유니트 (B)의 어느 것인가를 매달아 내리는 것이 편리한 경우에는 그러한 다른 건축 유니트를 매달아 내린후 기준 유니트(A)를 매달아 내려서 설치하여도 좋다.
그런 후, 설치 고정시킨 기준 유니트(A)의 3측면에 각각 뒤따르게 하여 순차적으로 다른 건축 유니트(B1, B2, B3)를 제1도에 있어서의 2, 3, 4의 위치에 각각 기준 유니트(A)와 마찬가지로 크레인으로 매달아 내리면서 설치하고 또 동일하게 다른 건축 유니트(B4)를 제1도에 있어서의 5의 위치에 설치하여 각각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초(C)에 앵커보울트를 끼워서 고정시키는 동시에 모든 다른 건축 유니트(B)도 각각의 기둥체(10)를 기준 유니트(A)의 기둥체(10)에 고정쇠용구(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결합 고정시킨다.
또 각각의 다른 건축 유니트(B)도 각각 인접하는 것끼리 마찬가지로 고정쇠용구 (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고정시킨다.
다음에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각의 유니트의 기초 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제3도~제6도는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미리 소정 위치에서 소정형상으로 형성된 기초(C) 위의 소정 위치에, 현장으로 운반되어진 복수개의 건축 유니트 중의 1개의 기준 유니트(A)를 크레인에 의해 제7도에 도시한 매달기 지그(D)를 사용하여 수평으로 매달아 내린다.
이 기준 유니트(A)의 설치는 아직 기초(C) 위에 장해가 되는 물건이 전혀 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 후, 이미 기초(C) 위에 설치된 상기 기준 유니트(이미 설치한 유니트)(A)의 1측면(21)에, 별도의 건축 유니트(B)를 그의 1측면(22)을 면하게 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그때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설치한 유니트(A)의 측면(21)에 면하는 측의 건축 유니트(B)의 측면(22)을 그의 윗끝 가장자리(22a)가 상기 미리 설치한 유니트(A)의 측면(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시켜서 매달아 넣는 즉 매달기 지그(D)의 4줄의 체인(31)의 앞끝을 건축 유니트(B)의 네군데 모서리 앞끝 부분에 걸어서 이 건축 유니트(B)를 매달아 올렸을 때 이 건축 유니트(B)의 1측면(22)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도록 미리 4줄의 체인(31)의 길이를 조정한 매달기 즈그(D)를 사용함으로써 건축 유니트(B)를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시켜서 상기 측면(22)의 반대측의 측면(23)의 아래끝 가장자리(23b)를 먼저 기초(C) 위에 접촉시키는 상태로 매달아 넣어서 설치한다.
이때의 경사각도는 건축 유니트(B)의 형태, 크기 등에 따라 반드시 일률적으로 정할 수는 없으나 통상 건축 유니트(B)의 1측면(22)의 아래끝 가장자리(22b)를 그의 반대측의 측면(23)의 아래끝 가장자리(23b)보다 대략 5cm 윗쪽에 위치시킨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3개째 이후의 건축 유니트(B) 소정 위치에 매달아 넣으려고 할때에, 그의 서로 인접한 2측면이 이미 설치된 2개의 유니트의 각각의 측면에 면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접하는 면이 큰쪽의 측면을 경사시켜서 설치한다.
또한 제4도는 건축 유니트(A, B)를 각각 큰쪽의 측면쪽에서 본 측면도이고, 제5도는 건축 유니트(A, B)를 각각 작은쪽의 측면쪽에서 본 측면도이며, 따라서 제4도에서는 작은쪽의 측면을 경사시켜서 매달아 내려서 설치하려고 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제5도에서는 큰쪽의 측면을 경사시켜서 매달아 내려 설치하려고 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건축유니트(B)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설치된 유니트(A)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지만 각각 완전히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건축 유니트(B, B)에 대해서는 2개의 유니트를 병행하여 매달아 내려서 설치할 수도 있으나 1개씩 순차적으로 매달아 내려서 설치하는 것이 건물의 정밀도를 높이는데 있어 바람직하다.
이상, 건축 유니트를 매달아 내려서 설치하는 방법의 일반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매달아 내려 설치하는 방법은 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에 미리 시이드관(sheath 管)(17)을 매설하고 또한 건축 유니트에 미리 앵커보울트(16)를 결합해 두고, 시이드관(17)내에 그라우트재(18)를 주입한 후 시이드관(17)내에 앵커보울트(16)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을 병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그라우트재(18)는 앵커보울트(16)를 삽입 후에 호오스 등을 사용하여 시이드관내에 주입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다음에 상기한 완성도가 높은 유니트를 상기한 특히 바람직한 설치방법(프리그라우트법)을 병용하여 매달아 내려서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제6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다.
제6도는 이미 설치한 건축 유니트(A)의 1측면(21)에 이 측면(21)에 면하는 쪽의 측면(22)을 경사시켤 별도의 건축 유니트(B)를 상기 매달아 내려 설치하는 경우의 각각의 유니트(A, B)의 아래끝 부분 근방을 기초(C)와 함께 도시한 것으로서(10, 10)은 이미 설치한 유니트(A)의 강제 기둥체(10, 10) 및 설치하려고 하는 유니트(B)의 강제기둥체로서 이 기둥체(10, 10)의 아래끝 부분에는 유니트(A, B)의 설치전에 미리 앵커 보울트(16, 16)를 각각 고정시키며, 기초(C)에는 시이드관(17, 17)을 미리 매설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미 설치한 유니트(A)는 상기 시이드관(17)내에 그라우트재(18)를 주입한 후, 그 속에 앵커보울트(16)를 삽입하여 기초(C) 위에 설치 고정시킨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매달아 설치하는 방법은 건축 유니트(B)를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시킨 상태에서 서서히 매달아 내리는 것이다.
그때 시이드관(17)내에 그라우트재(18)를 주입해 놓고, 강제 기둥체(10)의 아래끝 부분에 고정시킨 앵커보울트(16)의 앞끝을 상기 그라우트재(18)에 면하게 해서 건축 유니트(B)를 매달아 내리면 이미 설치한 유니트(A)에 대한 건축 유니트(B)의 매달아 내리는 위치가 소정 위치에 오도록 미세하게 조정하면서 건축 유니트(B)를 이미 설치한 유니트(A)에 대응시켜서 매달아 내리면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 설치한 유니트(A)에 별도의 유니트(B)를 인접시켜서 설치할 때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설치한 유니트(A)의 측면(21)에 면하는 쪽의, 설치하려고 하는 건축 유니트(B)의 측면의 아래쪽, 즉 모서리부에 강제 기둥체(10)를 갖춘 건축 유니트(B)에 있어서는 이 기둥체 (10)의 측면의 아래쪽에, 유니트(A, B)간 즉 각각의 기둥(10, 10)간에 소정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편(P)을 창작해 둔다.
그리하여 유니트의 설치시에 이 간격편(P)를 이미 설치한 유니트(A)의 기둥체 (10)에 맞닿게 하므로써 양 유니트(A, B)간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정확히 규제할 수 있다.
특히 이것을 상기 경사로 매달아 내리는 설치법에 적용한다면 건축 유니트(B)를 소정 위치에 설치할 때까지는 간격편(P)은 아무 방해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격편 (P)과 이미 설치한 유니트(A)의 기둥체(10)와의 간격을 시각에 의해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간격편(P)이 건축 유니트(B)를 소정 위치에 설치하는데 있어 안내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 간격편(P)을 이미 설치한 유니트(A)의 기둥체(10)에 장착해 두면 건축 유니트(B)의 설치시에 그의 아래끝 부분 등이 간격편(P)의 걸리는 등의 장해가 생기기 때문에, 간격편(P)의 장착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폐해가 생긴다.
또 제7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매달기 지그(D)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이 매달기 지그(D)는 매달음 부분(30)과 이 매달음 부분에 각각 1단이 연결되고 각각의 다른 단에 훅(hook)(31')을 가진 4줄의 체인(31)과, 이체인 (31) 각각의 일부에, 모서리부가 각각 분배프레임용 매달음 체인(32')에 의해서 연결되는 분배프레임(32)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용할 때에 각각의 훅(31')을 건축 유니트의 네군데 모서리의 기둥체(10)의 윗끝 부분에 걸어서 매달음 부분(30)을 크레인으로 매달아 올리는 것이다.
그리고 그때 4줄의 체인(31)의 길이를 조정하므로써 건축 유니트를 소정각도로 경사시켜서 매달아 올릴 수가 있으며, 또 각각의 체인(31)의 훅(31')은, 매달음 부분 (30)을 매달아 올리면 분배프레임(32)에 의해 분배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유니트의 소정 위치에 걸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하여서 설치한 1층부의 상부에 상기한 방법에 준하여 별도의 건축 유니트를 얹어놓아 결합 고정시킨다면, 2층집 주택을 구축할 수가 있다.
그 경우 2층부를 구성하는 건축 유니트로서는 그의 상부에는 지붕부를 미리 결합 고정시킨 것이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단층주택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도시한 건축 유니트(A, B)의 상부에 지붕부가 있는 유니트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축법에 있어서는 각각의 다른 건축 유니트(B)를 기준 유니트(A)에 뒤따르게 하여 설치하는 한, 건물의 구축장소와 도로와의 상관관계에 따라, 즉 트럭 등으로부터 크레인으로 유니트를 매달아 내리는 관계상, 각각의 유니트의 설치순서를 변경시켜도 좋지만 기준 유니트를 최초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또 실시예에서는 기준 유니트 1개에 대하여 4개의 다른 건축 유니트를 뒤따르게 하여 설치하는 예를 예시하였으나 다른 건축 유니트의 수는 1개 이상 8개까지 가능하다.

Claims (10)

  1. 네군데 모서리에 강제프레임을 배열 설치하여 형성한 바닥체와 이 바닥체의 네군데 모서리에 세워 설치한 4개의 강제 중공 기둥체를 구성 주체로 하여 이루어진 건축 유니트를 단층 또는 2층 건물에서 수평방향으로 복수개를 결합하여 건물을 구축하는 방법으로서, 기초 위에 설치되는 건축 유니트 중의 1개를 고정밀도의 것으로 형성하여 이것을 기준 유니트로 하여 미리 형성한 기초 위의 소정 위치에 먼저 상기 기준 유니트를 크레인으로 매달아 내려 설치하고, 그후 1개 이상의 다른 건축 유니트의 기둥체 측면 아래쪽에 유니트간의 소정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편이 장착된 1개 이상의 상기 다른 건축 유니트를, 상기 기준 유니트의 측면과 면하는 쪽의 측면의 윗끝 가장자리가 상기 기준 유니트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방향으로 경사시켜서 모두 상기 기준 유니트에 뒤따르게 하여 상기 기초 위의 소정 위치에 크레인으로 매달아 내려 설치하며 그런 후 상기 기준 유니트의 기둥체에 뒤따르게 하여 1개 이상의 상기 다른 건축 유니트의 각각의 기둥체를 결합하여 하나의 층에 대하여 상기 기준 유니트 주위에 최대 8개의 상기 다른 건축 유니트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2. 제1항에 있어서, 기초 위에 설치되는 건축 유니트가 1개의 기준 유니트와 4개의 다른 건축 유니트로서, 3개의 다른 건축 유니트의 각각의 서로 인접하는 건축 유니트의 2개의 기둥체를, 기준 유니트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기둥체에 각각 결합하고, 나머지 1개의 다른 건축 유니트의 기둥체를, 2개의 다른 건축 유니트의 기둥체를 결합한 기준 유니트의 기둥체에 기준 유니트에 대각방향으로 결합하는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에 별도의 건축 유니트가 결합되지 않은 건축 유니트에는 기둥체의 상부에 지붕체를 미리 결합해 두는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축 유니트의 측면에 외벽체를 미리 결합해 놓고 이 외벽체를 건물의 바깥 둘레면에 위치시켜서 설치하는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5. 제1항에 있어서, 기초 위의 소정 위치에 설치한 상기 기준 유니트 및 상기 다른 건축 유니트 위에, 구성 주체가 상기 건축 유니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지붕체를 미리 결합한 2층 건축 유니트를 매달아 내려 결합하는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6. 제5항에 있어서, 기준 유니트 위에 상기 2층 건축 유니트를 최초로 결합하는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7. 제1항에 있어서, 설치하려고 하는 건축 유니트의 측면의 아래끝 가장자리를 이 측면의 반대측의 측면의 아래끝 가장자리보다 대략 5cm 윗쪽에 위치시켜서 상기 건축 유니트를 매달아 올리므로써 건축 유니트를 경사시키는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8. 제7항에 있어서, 설치하려고 하는 3개째 이후의 건축 유니트가 서로 인접하는 2측면이 2개의 이미 설치된 건축 유니트의 각각의 측면에 면하는 경우에는 접하는 면이 큰쪽의 측면을 경사시키는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9. 제1항에 있어서, 기초에 시이드관(sheath 管)을 매설하고 또한 상기 기초 위에 설치되는 건축 유니트에 미리 앵커보울트를 결합해 놓고 시이드관내에 앵커보울트를 삽입하여 앵커보울트를 그라우트재(grout 材)에 의해 고정시키는 방법을 채용하는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10. 제9항에 있어서, 시이드관내에 앵커보울트의 삽입 전 또는 삽입 후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KR1019810004686A 1981-12-02 1981-12-02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KR890000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4686A KR890000681B1 (ko) 1981-12-02 1981-12-02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4686A KR890000681B1 (ko) 1981-12-02 1981-12-02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983A KR830007983A (ko) 1983-11-09
KR890000681B1 true KR890000681B1 (ko) 1989-03-24

Family

ID=1922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686A KR890000681B1 (ko) 1981-12-02 1981-12-02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6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878B1 (ko) * 2005-11-03 2008-08-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모듈러 주택용 패널 박스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22784D0 (en) * 1998-10-20 1998-12-16 Stoodley William R C Volumetric modular build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878B1 (ko) * 2005-11-03 2008-08-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모듈러 주택용 패널 박스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983A (ko) 198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539B1 (ko) 유니트건물과 그 구축방법
US20080047225A1 (en) Construction Configurations and Construction Methods of Steel Houses
KR890000681B1 (ko) 건축 유니트에 의한 건물의 구축법
RU98115133A (ru) Конструктив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й, в частности односемейных домов
JP3233822B2 (ja) 耐震性木造家屋構造
JPH04185834A (ja) 立体トラス構造物及びその構築工法
JP2607701B2 (ja) ユニット連結装置
JPS6015790B2 (ja) 構造物の築造法
JP2975365B1 (ja) ユニット式建物における屋根パネルの施工方法
JP3039613U (ja) 取付金具
JPH07100940B2 (ja) 複数階建て地下構築物の構築方法
JP2003301518A (ja)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JPH03194044A (ja) ユニット住宅
JP2767481B2 (ja) ロングスパンエレベーターを使って資材を運搬する逆打工法による地下躯体の構築工法
JPH0532565Y2 (ko)
RU1772329C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теновых панелей с колонной
JP2599241Y2 (ja) ユニット式建物の軒天パネル
JP3105133B2 (ja) 入口壁構造体
JPH0513841Y2 (ko)
JP3022472U (ja) 玄関ユニットの接合構造
JP3943444B2 (ja) 鉄骨ユニット系平屋建物及びその施工方法
JPH04153465A (ja) 増築用間仕切耐力壁パネルの施工方法
JPH0540181Y2 (ko)
JPH0312085Y2 (ko)
JPS6047431B2 (ja) 建築ユニツトの吊り込み設置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