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523Y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523Y1
KR890000523Y1 KR2019880018561U KR880018561U KR890000523Y1 KR 890000523 Y1 KR890000523 Y1 KR 890000523Y1 KR 2019880018561 U KR2019880018561 U KR 2019880018561U KR 880018561 U KR880018561 U KR 880018561U KR 890000523 Y1 KR890000523 Y1 KR 890000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ece
movable contact
conductor movable
switch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다까 세노오
Original Assignee
오오닥구스 가부시기 가이샤
이이즈까 쇼오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6073324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8781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66582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15029U/ja
Priority claimed from JP1266682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15038U/ja
Application filed by 오오닥구스 가부시기 가이샤, 이이즈까 쇼오헤이 filed Critical 오오닥구스 가부시기 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5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스위치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횡 단면도.
제2도는 동 실시예에 사용하는 도체 가동접촉편과 이것을 장착하는 슬라이드판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종 단면도.
제4(a)도, 제4(b)도는 각기 스위치의 오프(OFF)상태를 보여주는 횡 단면도 및 종 단면도.
제5(a)도, 제5(b)도는 각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및 종 단면도.
제6(a)도, 제6(b)도는 각기 다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횡 단면도 및 종단면도.
제7(a)도, 제7(b)도는 각기 마찬가지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횡 단면도 및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단자 2a,2b : 교부
2a',2b' : 교부의 선단 3 : 절연기대
5 : 도체가동접촉편 6 : 절결부
7,8 : 장착용 절취부 9 : 절결부
10 : 슬라이드부재 11 : 노브
12,13,14 : 돌기 15 : 접촉편 주연
16,16' : 수지벽 17,17' : 커버의 에지
20a,20b : 단자 21a,21b : 교부
22 : 절연기대 23 : 커버
24 : 공극
본 고안은 특히 스위치 동작을 하는 도체가동접촉편에 단자의 교부(橋部)에 대한 접촉압을 높여준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의 전류 개폐기구에는 토글식, 슬라이드식등 몇가지 방식이 있다. 예를들면, 토글식은 한쪽단자의 교부에 압압함에 대하여 탄성을 갖도록 설치한 도체가동접촉편을 중간의 구부(球部)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압전용의 토글(지레)인데, 다른쪽 단자의 교부에 압압접촉 시켜서 단자간의 상기적 접속을 하고, 또 반대로 압압을 해제하여 도체가동접촉편을 다른쪽 단자의 교부로 부터 이탈하여 전기적 접속을 해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압에 의한 접촉에서는 다른쪽 단자의 교부에 대하는 도체 가동접촉편의 접촉압은 약하다.
한편, 슬라이드식은 스프링등의 힘을 가하는 수단에 따라 하방으로 압압하고 있는 도체가동 접촉편을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한쪽 단자의 교부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른쪽 단자의 교부에 대하여 접촉하게 하며, 또 반대로 접촉의 해제를 하게 하여 단자간의 전기적 개폐를 하는 기구이다.
이 슬라이드식 스위치에서는 접촉압을 비교적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도체 가동접촉편을 슬라이드할때의 마찰에 따라 접촉편과 교부의 부착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높은 접촉압을 얻는데는 구조상 한계가 있다.
그리하여, 진애, 플럭스등의 도통저해물(導通저害物)의 부착을 방지하여 스위치의 성능을 높이려고 하면 스위치를 시일구조로 하여 밀폐할 필요가 있다.
또, 교부 도체가동 접촉편의 금속표면에는 공기중의 산소의 영향에 의한 산화물의 형성등, 경시적으로 외부환경에 의한 불량도체 피막이 형성하게 된다.
이 불량도체 피막은 중전류(中電流)를 취급하는 스위치에서는 전류에 의하여 파괴할 수 있고, 도체가동 접촉편의 마찰에 의하여 제거할 수 없어도 그렇게 문제될 것은 없으나, DIP 스위치등과 같이 A오오더의 미소전류를 취급하는 것에서는 도통불량등의 성능저하를 초래한다. 그래서 종래에는 이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교부 도체가동 접촉편의 필요부분에 로듐도금, 금도금과 같은 화학적으로 안정한 귀금속의 도금을 하여왔다.
그래서 본 고안의 주요한 목적은 안정하면 확실하게 전류개페를 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한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대하는 단자의 교부를 절연베이스(BASE)에 형성한 공역 (空域)에 노출하여 이들 교부에 당접하는 도체 가동접촉편을 접동하여 스위치 동작을 하는 스위치에 있어, 상기한 도체 가동접촉편은 공형의 단면을 구비한 곡면 플레이트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도체 가동접촉편은 상기한 공역에 압입함에 따라서 이 도체 가동접촉편의 단부가 상기한 단자의 교부에 탄발적으로 당접되며, 또한 슬라이드 할수 있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프링등의 힘을 가하는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단자의 교부가 배설된 공역에 끼워 넣는 도체 가동접촉편의 형상에 따라 접촉편에 접촉압을 부여하고 있으므로 높은 접촉압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을뿐만 아니라 반복하는 스위치동작에도 견디어 내고, 또 그 접촉도 끼우는 식으로 되어서 접촉면을 제조정하여 실시하므로 장기간에 걸쳐 안정하고 확실한 전류개페를 할 수 있다.
단자의 교부나, 도체 가동접촉편의 필요부분에는 귀금속의 도금이 불필요하게 되며, 또 시일구조를 채용할 필요가 없고, 스위치 그대로를 수세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싼 값으로 할 수 있을뿐 아니라, A오오더의 전류를 취급하는 DIP스위치등과 같은 소형의 스위치에도 적용 할 수 있다.
요약하면 이 스위치는 스위치 동작을 하는 도체 가동접촉편을 공형의 단면을 갖는 곡면 플레이트에 형성하여 이것을 단자의 교부가 노출되어 있는 공역으로 압입함에 따라 이 도체 가동접촉편의 단부가 상기한 단자의 교부에 탄발적으로 당접하게 되며 또한 접동할 수 있게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 스위치는 단자(1a),(1b)의 교부(2a),(2b)를 돌설한 절연기대(3)와 이에 외주에 끼운 카버(4)를 설치한 공역에 도체가동접촉편(5)을 배설하여 된 것이다. 도체가동접촉편(5)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 플레이트로 형성되었으며, 그 주연부에 전류차단용 절결부(6)를 마련하였다.
주연부에는 도시 도체가동접촉편(5)을 슬라이드 부재(1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절결부(7),(8) 및 도체가동 접촉편(5)의 탄성력을 조정하기 위한 스릿형상의 절결부(9)가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전류 차단용 절결부(6)는 장착용 절결부(7),(8)도 겸하고 있다. 도체가동접촉편(5)은 구리, 로듐합금등의 도체금속판을 프레스등으로 절곡하여 곡면 플레이트로 형성한 것으로서 플레이트의 주연이 교부(2a),(2b)의 선단(2a'),(2b')에 접촉한다. 주연은 그 에지(edge)부분이 선단(2a'),(2b')에 당접하여 끼우는 식으로 접촉하며, 양호한 접촉상태가 얻어 지지만 주연을 절단하여서 늘어선 에지에 형성하면 접촉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전류 차단용 절결부(6)는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의 노브(집게)(11)가 우방향으로 높여져 있을때 절연베이스(3)의 수지벽(3a)에 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4(a)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브(11)를 좌방향으로 높였을때 절결부(6)가 교부(2a)의 선단(2a')에 오도록 되어 있다.
선단(2a')이 절결부(6)의 공역에 위치하면 단자(2a),(2b)의 전기적 접속은 해제한다.
제2도의 (10)으로 보여주는 슬라이드 부재는 접촉편(5)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를 선형으로 잘라낸 수지제의 원판에 스위치의 집게가 될 노브(11)및 도체가동접촉편(5)의 절결부(6),(7),(8)와 맞물리는 돌기(12),(13),(14)를 설치한 모양을 하고 있다.
도체가동접촉편(5)은 절결부(6),(7),(8)에 상기 돌기(12),(13),(14)에 끼워서 슬라이드 부재(10)에 장착하였으며, 도체가동접촉편(5)의 주연을 슬라이드 부재(10)의 주면(A)에 당접한다. 하방의 주연(15)은 슬라이드 부재에서 돌출하여 선단(2a'),(2b')에 당접된다.
전류 차단용 절결부(6)와 맞물리는 돌기(12)는 배면(B)이 슬라이드 부재의 주면(A)과 동일평면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부재(10)를 회전하였을때 배면(B)의 교부(2a)의 선단(2a')에 당접하도록 된다.
도체가동접촉편(5)은 슬라이드 부재(10)에 장착되어서,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연베이스(3)의 수지벽(16),(16')으로 형성되는 공극에 끼워진다.
여기에서 끼워지기 전의 접촉편(15)의 구면정점부(C)와 슬라이드 부재(10)의 배면(슬라이드면)(D) 사이의 두께(L1)는 수지벽(16),(16')사이의 거리 ( 1)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며, 도체가동접촉편(5)은 슬라이드 부재(10)와 함께 압입되어 있다.
그리고 도체가동접촉편(5)은 압입함에 따라 정점부(C)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하방의 주연(15)을 교부(2a),(2b)의 선단(2a'),(2b')에 탄발적으로 당접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도체가동접촉편(5)은 슬라이드 부재(10)를 회전함에 따라 커버(4)에 에제(17),(17')(제1도), 에지(18)에 안내되어서 정점부(C)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도체가동접촉편 주연(15)은 선단(2a'),(2b')을 구성하는 면상을 압압하면서 회전한다.
이와 같이 도체가동접촉편(5)을 슬라이드 부재(10)에 장착하여 수지벽(16),(16')에 사이에 압입함에 따라 선단(2a'),(2b')에 접촉하는 주연(15)에 큰 접촉압을 부여할 수 있고, 또 그 접촉도 주연(15)의 에지에 따라 끼우는 식의 접촉으로 되어 있으므로, 양호한 접촉상태를 만들어낼 수 있다.
더우기, 접촉편(5)에 설치한 탄성력 조정용의 스릿형상의 절결부(9)에 따라 교부(2a),(2b)를 배설하는 불균일등에 대하여도 안정하여 양호한 접촉상태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스위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제1도에서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의 노브(11)을 우방향으로 높히면 슬라이드 부재(10)에 장착된 도체가동접촉편(5)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하방의 주연(15)이 교부(2a),(2b)의 선단(2a'),(2b')에 접촉하여 단자(1a),(1b)가 도통(ON)한다.
다음에 제4(a)도와 같이 노브(11)를 좌방향으로 높이면 도체가동접촉편(5)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4(b)도와 같이 절결부(6)에 맞물린 돌기(12)의 배 면(B)의 선단 (2a')에 접촉하고, 단자 (1a), (1b)의 도통은 해제(0FF)된다.
이상과 같이하여 단자 사이의 전기적 개폐는 할 수 있지만 접촉편 주연(15)에는 큰 접촉압을 지니게 하고, 또한 끼우는 식으로 접촉시키고 있으므로, 단자 선단에 플럭스(flux)등 뿐아니라 산화물들의 도통저해물이 존재하여도 양호한 도통을 할 수 있게 한다.
제5(a)도, 제5(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단자(20a), (20b)의 교부(21a), (21b)를 돌설한 절연베이스(22)와 이 외주에 카버(23)로 형성되는 공극(24)에 구형의 도체금속판을 공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도체가동접촉편(25)을 배설한 것이다.
도체가동접촉편(25)은 슬라이드 부재(26)의 홈(27)에 감입하여 장착하였으며, 화살표(28)로 나타내어지는 슬라이딩 방향(교부의 배설방향)으로 부터 보아서 공형의 단면을 나타내도록 절연베이스(22)에 밸설되어 있다.
그리고 그 단부(29)가 단자(20a), (20b)의 교부 (21a), (21b)의 상부면(21 a'), (21b')에 당접되어 있다.
도체가동접촉편(25)은 슬라이드 부재(26)에 장착된 상태로 단부(29)가 슬라이드 부재(26)의 하단(30)보다도 돌출되었고, 또한 단부(29)와 슬라이드 부재(26)의 상단(31)의 거리(L2)가 공극(24)의 상하방향의 거리( 2)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26)의 측부(32)는 상하방향의 거리( 2)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체가동접촉편(25)을 슬라이드 부재(26)에 장착하여 공극(24)에 압입함에 따라 도체가동접촉편(25)의 단부(29)는 교부의 상부면(21a'), (21b')에 탄발적으로 당접하게 되고,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26)의 노브(33)를 화살표(28)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함에 따라 접촉면(25)의 단부(29)는 카버(23)의 내부면(23)으로 안내되어서 교부의 상부면(21a'), (21b')위를 접동한다.
더우기, 여기에서 도체가동접촉편(25)은 금속판을 고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있으므로 교부상부면(21a'), (21b')에 당접하는 단부(29)는 그 에지에서 당접하여 식입식의 양호한 접촉상태를 만들어낸다.
단부(29)를 절단함에 따라 나이프 에지 형상으로 하면 더욱 좋다.
스위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제5(a)도의 경우는 도체가동접촉편(25)이 단자(20a)의 교부상부면(21a)과 접촉하고 있지않으며, 단자(20a)(20b)의 사이는 비도통상태(0N)로 되어 있다.
다음에 노브(33)를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접촉편(25)을 왼쪽으로 움직이게 하면 도체가동 접촉편(25)의 단부(29)는 교부의 상부면(21a)위에 와서 접촉하며, 단자(20a), (20b)의 사이는 도통상태(0N)로 된다.
이에 따르면 접촉편단부(29)에는 큰 접촉암이 부여된 상태도 슬라이딩 되었으며, 또 끼우는 식으로 교부의 상부면(21a'), (21b')과 접촉한다.
제6(a)도, 제6(b)도는 본 고안의 다시금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체가동접촉편(40)은 구형의 도체금속판을 한쪽의 단부근방(40a)을 남기고 공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40)에 설치된 홈(42)에 감입하고 이 슬라이드 부재(41)에 장착하여서 화살표(43)로 나타내어지는 슬라이딩 방향(단자교부의 배설방향)에서 보아서 공형의 단면을 나타내도록 절연베이스(44)에 배설되어 있으며, 도체가동접촉편(40)의 단부(45)는 단자(46a), (46b)의 교부(47a), (47b)에 부착된 L자형 고정접편(48a), (48b)의 공극(50)에 돌출된 돌편의 측면(48a'), (48b')에 당접하고 있다.
도체가동접촉편(40)은 슬라이드 부재(41)에 장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부재(41)의 홈(42)의 수직벽(49)에 접하는 공형상부(40b)와 단부(45) 선단과의 거리(L3)가 수직벽(49)과 고정접편(48a), (48b)의 돌편의 측면(48a'), (48b')의 거리( 3)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41)에 장착하여 절연베이스(44)의 공극(50)에 당접된 돌편측면(48a'), (48b')과 수지벽(49)과의 사이에 압입된 도체가동접촉편(40)은 단부(45)가 돌편측면 (48a'), (48b')에 탄발적으로 당접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41)의 노브(51)를 화살표(43)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함에 따라 카버(52)의 내부면(52')에 안내되어서 돌편의 측면(48a'), (48b')위을 접동한다.
더우기, 여기에서 도체가동접촉편(40)은 단자의 교부(47a), (47b)에 취착한 L자형 고정접편의 돌편측면(48a'), (48b')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으나, 단자의 교부(48a'), (48b')의 단면형상을 L자형으로 하여 교부에 직접 당접하게 하여도 좋다.
접촉하고 있으며, 단자(46a), (46b)사이는 도통상태(0N)로 되어있다.
제6(a)도에는 도체가동접촉편의 단부(45)는 고정접편의 돌편측면(48a'), (48b')에 접촉하고 있으며, 단자(46a), (46b)사이는 도통상태(ON)로 되어 있다.
노브(51)에 따라 도체가동접촉편(40)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게 하면 고정접편(48b)의 단부(45)는 돌편측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단자(46a), (46b)사이는 비도통상태(0FF)로 된다.
제7(a)도, 제7(b)도는 본 발명의 또다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그 기본적 구성은 제6도에 나타낸 스위치와 거의 같은 것이다. 즉, 단자(60a), (60b)의 교부(61a), (61b)를 돌설한 절연기대(62)와 이 외주에 카버(63)로 형성되는 공극(64)에 배설되는 도체가동접촉편(65)은 제6도의 스위치와 마찬가지로 구형의 도체금속판을 단부근방(65a)을 남겨두고 공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66)에 장착하여 단자의 교부(61a), (61b)의 배설방향으로 부터 보아서 공형의 단면을 나타내도록 절연베이스(62)에 배설되어 있으며, 그 단부(67)가 단자(60a), (60b)의 교부(61a), (61b)에 취착된 L자형 고정접편(68a), (68b)의 돌편의 측면 (68a'), (68b')에 당접되어 있다.
도체가동접촉편(65)은 슬라이드 부재(66)에 장착된 상태로 절연베이스(62)의 수지벽(69)에 접하는 공형정부(65b)와 단부(67)의 단과의 거리(L4)과 수지벽(69)과 돌편측면(68a'), (68b')와 거리( 4)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체가동접촉편(65)을 슬라이드 부재(66)에 장착하여 공극(65)의 수지벽(69)과 돌편측면(68a'), (68b')의 사이에 압입함에 따라 도체가동접촉편(65)의 단부(67)는 돌편측면(68a'), (68b')에 탄발적으로 당접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66)에 맞물린 토글(지레) (70)의 노브(71)를 화살표(72)와 같이 회전하게 함에 따라 돌편측면(68a'), (68b')위를 화살표(73)와 같이 슬라이드 한다.
더우기, 여기에서 도체가동접촉편(65)의 단부(67)를 절단에 따라 나이프 에지 형상으로 하면 더욱 좋으며, 단자교부(61a)(61b)의 단면형상을 L자형으로 하기도 하고, 측면의 종방향의 길이를 크게 하여 접촉편(67)을 교부에 직접 당접하게 하여도 좋다는 것은 제6도의 스위치와 마찬가지이다.
나아가서, 도체가동접촉편(65)은 슬라이딩하기 쉽도록 슬라이드 부재(66)에 장착하여 공극(64)의 수지벽(69)과 돌편측면(68a'), (68b')의 사이에 압입하고 있으나, 슬라이드 부재(66)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이 사이에 압입하여도 좋다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제7(a)도에서는 도체가동접촉편(65)의 단부(67)가 고정접편(68a), (68b)의 돌편측면(68a'), (68b')에 접촉하고 있으며 단자(60a)(60b)사이는 도통상태(0N)로 되어 있다.
다음에 지레(70)의 노브(71)를 좌회로 회전하면 슬라이드 부재(66)에 장착된 도체가동접촉편(65)의 단부(67)는 돌편측면(68a'), (68b')의 구성하는 면상좌회로 슬라이딩 하여 단부(67)가 돌편측면(68a')에서 떨어져서 단자(60a)(60b)사이는 비도통상태(OFF)로 된다.

Claims (7)

  1. 상대하는 단자(1a), (1b)의 교부(2a), (2b)를 절연기대(3)에 형성한 공역에 노출되고, 이들 교부(2a), (2b)에 당접하는 도체가동접촉편(5)을 슬라이딩하여 스위치 동작을 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도체가동접촉편(5)은 궁형(弓形 )의 단면을 가진 곡면플레이트로 형성하되, 그 주연부에 전류 차단용 절결부(6)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 접촉편(5)을 상기한 공역에 압입됨에 따라 이 접촉면(5)의 단부가 상기한 교부(2a), (2b)에 탄발적으로 당접되며, 또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도체가동접촉편(5)은 교부(2a), (2b)에 당접하는 단부를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드 부재(10)에 장착되어 함께 공역에 압입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도체가동접촉편(5)은 교부(2a), (2b)에 당접하는 단부가 나이프 에지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도체가동접촉편(5)은 궁형(弓形 )의 단면을 가진 구면(球面 )플레이트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도체가동접촉편(5)은 수지제의 원판의 하방이 선형으로 잘려진 교부(2a), (2b)의 측면에 당접하는 주연이 노출되도록 한 슬라이드 부재(10)에 장착하여 이와 함께 압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6. 제4항에 있어서, 도체가동접촉편(5)은 주연부에 탄성력 조정의 스릿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도체가동접촉편(5)은 교부(2a), (2b)에 당접하는 주연이 나이프 에지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2019880018561U 1981-05-14 1988-11-15 스위치 KR89000052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73324 1981-05-14
JP56073324A JPS57187816A (en) 1981-05-14 1981-05-14 Switch
JP82-12665 1982-02-01
JP1266582U JPS58115029U (ja) 1982-02-01 1982-02-01 スライド式スイツチ
JP1266682U JPS58115038U (ja) 1982-02-01 1982-02-01 トグル式スイツチ
JP82-12666 1982-02-01
KR1019820001892A KR840000055A (ko) 1981-05-14 1982-04-29 스 위 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20001892A Division KR840000055A (ko) 1981-05-14 1982-04-29 스 위 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523Y1 true KR890000523Y1 (ko) 1989-03-10

Family

ID=2727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561U KR890000523Y1 (ko) 1981-05-14 1988-11-15 스위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403127A (ko)
EP (1) EP0068118B1 (ko)
KR (1) KR890000523Y1 (ko)
CA (1) CA1201148A (ko)
DE (1) DE3275251D1 (ko)
GB (1) GB2101405B (ko)
HK (2) HK105588A (ko)
SG (1) SG71685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3700A1 (de) * 1985-09-21 1987-03-26 Bosch Gmbh Robert Schaltungsanordnung fuer ein fernseh-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DE19609973A1 (de) * 1996-03-14 1997-09-18 Teves Gmbh Alfred Antriebsvorrichtung für Scheibenwischer mit einem Parkstellungsschalter
US6351088B1 (en) 2000-03-09 2002-02-26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Non-reversing wiper park switch for wiper drive apparatus
US6737593B1 (en) 2000-07-28 2004-05-18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Non-reversing windshield wiper motor park switch
US9588496B2 (en) * 2012-03-14 2017-03-07 Tom Kodat Device for assisting user in consumption of a substance at a correct time interva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587A (en) * 1931-05-20 1935-05-28 Sachs Joseph Electric circuit controlling mechanism
DE742584C (de) * 1942-01-10 1943-12-07 Elektrotechnischer Bedarfsarti Stufenschalter
US2808476A (en) * 1954-06-25 1957-10-01 Gen Motors Corp Electric switch
US2747166A (en) * 1954-12-13 1956-05-22 Collins Radio Co Interlocked flexible contact assembly for shaft
US3238319A (en) * 1961-09-13 1966-03-01 American Mach & Foundry Switch with axially spaced angularly offset rotary wiper contacts
JPS5210459B2 (ko) * 1974-01-11 1977-03-24
US4082925A (en) * 1976-03-31 1978-04-04 Cts Corporation Rotary switch
JPS5848748Y2 (ja) * 1977-07-19 1983-11-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ツチ
DE2831204C2 (de) * 1978-07-15 1980-05-29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Miniatur-Stufenscha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6191A (en) 1991-03-15
SG71685G (en) 1986-05-02
GB2101405A (en) 1983-01-12
GB2101405B (en) 1985-06-12
HK105588A (en) 1989-01-06
US4403127A (en) 1983-09-06
EP0068118A2 (en) 1983-01-05
EP0068118B1 (en) 1987-01-21
DE3275251D1 (en) 1987-02-26
EP0068118A3 (en) 1984-05-09
CA1201148A (en) 198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3829A (en) Pushbutton switch assembly
US5395259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microcircuit card
US4389549A (en) Side actuated miniature dip switch
US5865303A (en) Electrical rocker switch
US7202432B2 (en) Switch
US4644115A (en) Compact snap action switch
KR890000523Y1 (ko) 스위치
US4072841A (en) Electrical switches
CA1106884A (en) Compact circuit breaker having high interrupting capacity
EP0011413A1 (en) Switch
US3995132A (en) Function indication means for electric switches
JP3399170B2 (ja) スイッチ
JP4256708B2 (ja) スイッチ装置
US4306132A (en) Electrical switches
JP2552922Y2 (ja) プッシュスライド兼用スイッチ
JP3569079B2 (ja) スイッチ
EP0184815A2 (en) Snap acting mechanism
JPH0229635Y2 (ko)
JPS5824349Y2 (ja) スイッチ機構
JP3048274U (ja) レバー式プッシュスイッチ
JP3593687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3187668A (ja) 押釦スイッチ
USRE30546E (en) Function indication means for electric switches
JP4367249B2 (ja) リーフスイッチ
GB1578274A (en) Electrical contact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