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138B1 -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138B1
KR890000138B1 KR1019830003170A KR830003170A KR890000138B1 KR 890000138 B1 KR890000138 B1 KR 890000138B1 KR 1019830003170 A KR1019830003170 A KR 1019830003170A KR 830003170 A KR830003170 A KR 830003170A KR 890000138 B1 KR890000138 B1 KR 890000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link
vehicle
belt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989A (ko
Inventor
지브 아브라함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세이프티 이퀴프먼트 코오프레이숀
월테 에스.로고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세이프티 이퀴프먼트 코오프레이숀, 월테 에스.로고스키 filed Critical 아메리칸 세이프티 이퀴프먼트 코오프레이숀
Priority to KR101983000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138B1/ko
Publication of KR85000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2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hav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e.g. by clamping or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제1도는 안전 벨트 견인기에 감겨 있는 벨트 비상 잠김 장치의 한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복귀수단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 1 도의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에 대한 측면도.
제3도는 죔 상태에 있는 클램핑 수단과 잠김위치에 있는 안전 벨트 견인기를 도시한 정면도.
제4도는 클램핑 수단이 이완위치에 있을대, 본 발명에 따른 이완식 고정수단의 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도.
제5도는 제4도와 같은 도면으로서 이완식 고정수단이 이완위치에 있고 그와 연관된 클램핑 수단이 죔 상태에 있을때의 상세도.
제6도는 제4도의 장치를 Ⅵ-Ⅵ 선을 따라 절단한 수평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장치를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수직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완식 고정수단과 자동복귀수단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도.
제9도는 제8도의 실시예에서 클램핑 수단을 제2의 실시예로 대체한 것을 도시한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장치에 대한 측면도 (일부는 단면).
제11도는 제9도의 장치를 ⅩⅠ-ⅩⅠ 선을 따라 절단한 수평 단면도.
제12도는 이완식 고정수단이 이완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제9도의 장치에 대한 상세도.
제13도는 제8도에서 제12까지에 도시한 이완식 고정수단과 자동복귀수단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한 분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11 : 벨트
12 : 견인기 13 : 감김 스풀
14,15 : 스풀 래칫 휘일 16 : 잠김봉
26 : 질량체 35 : 클램핑 수단
60 : 경사수단 70 : 이완식 고정수단
71 : 트리거 링크 75 : 중간 링크
80 : 작동 링크
본 발명은 소정치 이상의 차량관성 변화에 대응하여 벨트를 고정하는 자동차용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의 비상 잠김 장치를 작동하여 벨트를 고정하거나 차량 일부의 작동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벨트를 이완시키는 여러 수단으로 구성된다.
자동차용으로 개발된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에는 견인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견인기는 비상상태가 발생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감속, 또는 가속시에 자동적으로 견인기를 고정하여 더 이상의 벨트 이완을 방지하는 차량 관성 감지 수단의 작동에 따라 벨트를 감는 기능을 한다.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라는 명칭으로 1981년 1월 28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번호 227,275호에서는 차량관선의 변화에 대응하여 안전 벨트를 직접적으로 죌수 있는 부가적인 클램핑 수단이 제안된바 있다. 이러한 클램핑 수단은 종래의 관성 감지 장치에 부착하거나 또는 그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출원이전의 발명장치에 있어서는, 차량에 발생한 비상상태가 해제된 후 클램핑 수단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수동수단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차량의 비상상태가 해제된후, 안전 벨트 클램핑 수단과 그와 관련된 작동수단을 이완위치로 자동복귀시키는 수단을 제공하여 미합중국 출원번호 제227,275호의 실시예에서 필요로 했던것과 같은 수동 복귀 작업의 필요성을 배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지향하는 대체적인 의도는, 벨트를 직접적으로 죄는 한개 이상의 쐐기가 형성된 클램프체로 구성된 클램핑 수단과 안전 벨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클램핑 수단을 경사시켜 벨트를 죄는 경사수단 그리고 차량의 관성이 소정치 이상으로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는 차량 관성 활성화 수단이 장착된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개선된 이완식 고정수단과 복귀수단으로 구성되는데, 상기한 이완식 고정수단은 클램핑 수단과 연결된 작동 링크와 차량 관성 감지 수단과 연결된 트리거 링크 그리고 전기한 작동 링크와 전기한 트리거 링크 사이에 연결되어 트리거 링크가 차량의 관성 감지 수단에 의해 작동되고 복귀수단이 고정수단을 자동적으로 북귀위치 이동시킬때까지 클램핑 수단을 전기한 경사수단의 경사력에 대응하여 이완위치에 정상적으로 정치시키는 중간 링크로 구성되며, 상기한 북귀수단은 클램핑 수단과 연결된 차량 관성 감지 장치를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비상상태가 해제된 후에 차량의 문을 열게 되면 트리거 링크와 중간 링크 및 작동 링크 그리고 링크에 연결된 클램핑 수단을 이완위치로 환원시키도록 트리거와 연결된 케이블 또는 전기 솔레노이드를 작동하는 도어 작동식 기계 또는 전기 스위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부수적인 장점 및 목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고찰해야 할 것이다.
먼저 제 1,2,3도를 참조하면, 각 도면은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10)의 실시예로서 잠김봉(16)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스풀 래칫 휘일(14,15)이 형성된 벨트 감김스풀(13)를 구성요소로 하는 종래의 안전 벨트 견인기(12)에는 안전 벨트가 감겨 있다. 잠김봉(16)의 양단은 견인기 프레임의 내벽(17,18)에 각각 피봇되어 있고, 상기한 견인기 프레임은 밑판 또는 차량 바닥 재(21)에 의해 차체 또는 지지 구조물(20)에 고정된 하부 프레임과 U자형을 이룬다. 수직칼럼(22)는 종래의 자동차에 사용되는 B형 기둥을 예시한 것이며, 안전 벨트 견인기를 설치하는 방법은 공지된 방법을 따른다.. 따라서 제1,2,3도의 실시예는 예를 든 것에 불과하다.
실시예의 안전 벨트 견인기(12)는 관성감지 수단(25)과 함께 공지된 방법으로 설치하고, 관성감지 수단을 구성하는 진자는 헤드(28)에 연결된 스템(27)에 의해 지지되는 질량체(26)로 구성되며, 전기한 헤드(28)는 잠김봉(16)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봉(29)에 형성된 구멍에 조립되어 차량의 관성이 소정치 이상으로 변화할때 잠김봉을 래칫 휘일(14,15)과 맞물리도록 한다. 벨트(11)는 공지된 방법으로 스프링 하우징(30)에 내설된 종래의 감김 스프링에 의해 견인기 스풀위의 감김위치로 경사져 있다.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라는 명칭으로 1981년 1월 28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출원번호 제227,275호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실시예의 비상 잠김 장치(10)는 차량관성 감지수단이 소정치 이상으로 변화한 차량관성을 감지했을 때 벨트(11)를 직접적으로 죄는 클램핑 수단(35)으로 구성된다. 클램핑 수단(35)은 견인기 (12)를 회전시킬 정도로 강한 G급의 차량관성력이 발생했을때 벨트(11)를 고정한다. 상기한 미합중국 출원번호 제227,275호에서도 언급한 바와같이, 클램핑 수단은 차량의 충돌시에 비상 잠김 장치(10)와 조합하여 벨트(11)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반면 견인기(12)는 차량의 급정거에 대응하여 작동을 하게 된다. 차후에 충분히 설명하겠지만, 견인기(12)는 비상상태가 해제된후 스프링력에 의해서 자동복귀 되는 반면, 실시예의 클램핑 수단(35)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복귀수단을 설치해야만 자동복귀가 가능하다.
제1,2,3도 이외에도 제7도를 보면, 클램핑 수단(35)은 하우징(36)으로 구성되며, 앞벽(37)과 뒷벽(38) 및 우측벽(39a) 그리고 좌측벽(39b)으로 구성된 하우징(36)은 현대식 자동차에 사용되는 B형 기둥의 실시예인 칼럼(22)에 설치된다. 또한, 제7도의 하우징(36)에는 벨트(11)가 원활히 통과할 수 있는 벨트 통로(40)가 형성된다. 기본 클램프 블록(41)의 내면(42)은 벨트면에 대해 경사져 있고, 대향 클램프 블록의 내면(44) 역시 벨트면(11)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대향 하고 있는 이들 경사면(42,44)은 견인기 하우징(36)의 상방으로 확개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쐐기형 클렘프체(45a, 45b)가 클램프 블록(41,43)사이에 조립되어 클램프 블록의 표면(42,44)에서 미끄럼운동을 한다. 클램프체(45a)는 다리(46)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지부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쐐기작동 수단과 조합된 수평돌출부(47)가 연결된다. 쐐기형 클램프체(45a, 45b)에는 한쌍의 설상 및 홈형의 측면 접촉부가 제7도의 홈(49)과 같은 측면 홈에 조립된 측면 이부(이耳部)(48a,48b)처럼 벨트(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상시에는 스프링 경사수단에 의해서 상기한 쐐기형 클램프체가 분리되어 벨트가 원활한 미끄럼운동을 한다. 클램프체(45a,45b)는 비교적 마찰계수가 적고 유연하며 강도가 큰 탄성 물질로 피복함으써 벨트를 클램핑할때 벨트(11)면에 균일한 하중이 분포된다.
제7도에서는 쐐기형 클램프체(45a,45b)를 상향시켜 벨트를 클램핑하는 작동수단(50)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작동수단은 지지브래킷(51)으로 구성되며, 지지브래킷(50)에는 구멍(55)이 형성된 하부 플랜지(54)와 측면 플랜지(56)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은 쐐기형 클램프체(45a,45b)를 경사시켜 벨트를 고정하는 경사수단(60)과, 쐐기형 클램프체가 경사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완식 고정수단(170), 그리고 차량관성감지수단에 의해서 소정치 이상의 관성력이 감지되었을 때 쐐기형 클램프체(45a,45b)를 경사수단(60)의 압력하에 클램핑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이완식 고정수단(70)을 작동하는 차량 관성 감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실시예의 경사수단(60)은 코일스프링(61)으로 구성되며, 코일스프링의 일단(62)은 안전 벨트 잠김 장치(10)와 브래킷 플랜지(52)에 대하여 내향으로 옵셋된 브래킷(51)의 하부에 고정된다. 코일스프링(61)의 타단(63)은 다음에 기술한 이완식 고정수단(70)을 지탱한다.
실시예의 이완식 고정수단(70)은 관성감지기(90)의 헤드(93)에 의해 작동되는 트리거 링크(71)로 구성된다. 트리고 링크(71)에는 지자의 헤드(93)와 접하는 접촉패드(7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반대쪽은 플랜지(56) 홈(55)의 외부로 돌출된 하향절곡부(73)에 의해서 피봇되어 있다. 즉, 트리거 링크(71)는 홈(55)에 피봇형식으로 조립되어 하향절곡부(73)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제4,5,6도에 도시한 중간 링크(75)는 대체적으로 U자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양측 아암의 끝단에는 제4도에서와 같은 홈(76)이 가공되어 있어서 트리거 링크(71)를 피봇한다. 즉, 제6도에서 내측 아암(77)은 트리거 링크의 이부(耳部)(77a)를 피봇하고, 외측 아암(78)은 트리거 링크의 봉부(棒部)(78a)를 피봇한다. 평면도인 6도에서 잘 도시된 바와같이 트리거 링크에 구멍을 뚫으므로써 봉부(棒部)(78a)가 형성된다.
견인링크(80)는, 제4,5,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부(47)를 수용하는 구멍 뚫린 아암(82)과 브래킷(51)에 조립된 피봇핀(81)에 회전자재로 연결된다. 특히, 제6도를 참조하면, 견인링크(80)의 내향 아암(83)에는 경사수단의 스프링(63)이 조립되어 하부 플랜지(84)를 밀고 있다. 또한, 하부 플랜지(84)에는 선단랩(86)에 의해 중간 링크(75)와 피봇된 외향 아암(8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선단탭은 중간 링크(75)의 측벽(78)에 가공된 구멍(87)에 외향 조립된다.
제4도 및 제5도와 평면도인 제6도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이완식 고정수단(70)은 쐐기형 클램프체(45a,45b)를 벨트 이완위치에서 정치시킬 수 있도록 트리거 링크(71)와 중간 링크(75) 그리고 작동 링크(80)로 구성된다.
클램핑 수단의 쐐기형 클램프체가 이완위치에 있을때, 이완식 고정수단은 제4도에서와 같은 상태로 된다. 즉, 스프링 끝단(63)의 스프링력이 작동 링크(80)의 플랜지(84)에 작용하면 스프링 수단(60)이 경사되어 트리거 링크의 아암(82)를 제4도에서처럼 상승시키기 때문에 돌출부(47)와 거기에 연결된 쐐기형 클램프체(45a,45b)가 제7도에서와 같이 올라간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61)에 의한 경사수단과 이완식 고정수단의 경사작용은 중간 링크(75)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되는데, 그 원인은 스프링 아암(63)의 스프링력이 트리거 링크(71와 탭(77a) 그리고 중간 링크(75)의 측벽에 형성된 홈과 적절하게 조립된 봉구(78b) 등과 피봇 연결된 중간 링크(75)를 반시계방향으로 아래를 향해 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자(91)가 제4도의 위치에서 제5도의 위치로 움직이게 되면, 트리거 링크의 패드(72)가 상향하고, 트리거 링크(71)가 플랜지(56)에 인접한 피봇단을 기점으로 시계방향의 운동을 하며, 제4도의 위치에 있는 중간 링크(75)의 우측단은 중간링크(75)가 제5도에서처럼 스프링 아암(63)에 의해 반시계방향의 힘을 받도록 반 수직중심이 상승할때까지 아암(85)을 기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작동링크는 돌출부(47)을 매개로 쐐기형 클램프체(45a,45b)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인 자동 복귀수단은 이완식 고정수단을 클램핑 수단이 벨트(11)를 죄고 있는 제5도의 이완위치로부터 상기 클램핑 수단이 벨트(11)를 이완시키는 제4도의 이완가능한 고정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한다. 실시예인 제2도의 자동복귀수단(100)은 케이블(102)이 설치된 도어작동식 기계 스위치(101)로 구성되는데, 케이블집(103)에 내설된 상기 케이블(102)의 끝면 조립부(104)는 제1,2,3,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링크(71)의 자유단과 연결된다. 실시예의 도어작동식 기계 스위치(101)에는 측봉(側棒) 또는 버튼(10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버튼은 하우징(106)에 내설된 스프링력에 의해 캡(108)과 스위치(101)가 장착된 차량 프레임(107)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측봉 또는 버튼(105)의 내부는 케이블(102)과 연결되어 있어서, 차량의 도어를 열면 하우징(106) 내부의 스프링이 하우징(106)의 버튼(105)을 밀어내고, 케이블집(103)을 통하여 케이블(102)이 견인되며, 지지브래킷(51)에 장착된 케이블지지구(109)에 의해 고정된 상기한 케이블은 케이블 끝면 조립부(104)와 거기에 연결된 트리거 링크(71)의 자유단을 제1-5도에서와 같이 하강시키고 트리거 링크와 연결된 중간 링크(75) 및 작동 링크(80)는 제5도의 이완위치에서 제4도의 고정위치로 이동한다. 제2도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복귀수단과, 제4도에서와 같은 위치로 하강된 트리거 수단(104)을 예시한 것이다. 케이블 끝면 조립부(104)는 트리거 링크(71) 자유단의 탭구멍을 통하여 상방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도어를 닫으면 버튼(105)이 제2도의 위치에서 하우징(106)의 내부로 이동하고, 케이블(102)이 트리거 링크의 자유단을 상향시켜 제5도에서와 같이 차량 관성 감짐수단(90)에 의해 트리거 링크가 작동된 형태로 된다.
제8도내지 제13도에는 클램핑 수단이 벨트 이완위치에 있을 때의 이완식 고정수단의 제2의 실시예와 이완식 고정수단을 복귀시키는 자동복귀수단을 예시하고 있다.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의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이완식 고정수단이 작동되고 부품이 유사하기 때문에 제1실시예의 부품번호에서 100을 더한 것을 제2실시예의 부품번호로 정했다.
제8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면, 이완식 고정수단의 제2의 실시예는 플랜지(152)에 의해 클램핑수단 하우징(136)에 지지되는 브래킷 본체(151)을 부품으로 하는 지지브래킷(150)으로 구성된다. 제10도의 실시예에 도시한 것과 같이, 후방 클램프록(141)과 전방 클램프록(143) 사이에는 한개의 쐐기형 클램프체(145)만이 위치하여 작동 아암(182)에 의해 다리(146)가 상승하면 쐐기식으로 벨트(111)를 고정시킨다. 제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유단에 패드(172)가 형성된 트리거 링크(171)의 후미는 탭(173)에 의해 지지 플랜지(156)에 피봇된다. 관성 감지 장치(190)가 차량 관성의 변화를 감지하면 패드(172)하부에 위치한 질량체(191)의 진자헤드(193)가 화전하여 트리거 링크(171)의 자유단을 상승시킨다. 중간 링크의 아암(177,178)에 형성된 홈과 피봇 조립된 트리거 링크의 이부(耳部)는 피봇핀(186)을 기점으로 한 중간 링크(175)의 수직운동을 경사수단(160)의 작용하에 제9도의 위치에서 스프링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제12도의 위치까지 편향시킨다. 분해도인 제13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 링크(180)는 스프링 아암(163)에 의해 피복핀(183)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경사되어 링크 아암(181)과 연계관계에 있는 중간 링크(175)의 좌단을 하향시킨다. 작동 링크(180)의 우측 아암(182)은 지지체(151)의 구멍을 통하여 쐐기형 클램프체(145)의 다리(146)위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서 중요시하고 있고 전기한 제2의 실시예에서 예시한 자동복귀수단은 제8도 및 13도에서와 같이 트리거 링크의 이부(178a)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조립된 이동봉(201)과 연결된 솔레노이드(200)로 구성된다.
상단(203)은 이동봉(201)이 솔레노이드 본체로 이동할때 트리거 링크(171)를 복귀상태로 하강 시킬 수 있도록 이부(178a)의 구멍보다 크게 되어 있다. 솔레노이드(200)는 도어 작동식 스위치(205)와 접속하고 종래의 차량 밧데리(206)와 연결된 인출선(204) 등을 구성요소로 하는 적절한 선기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차량도어의 개폐에 대으하는 작동을 시킬 수 있다. 차량도어를 열었을 경우에는, 원래는 열려 있던 스위치(205)가 적정한 스프링력에 의해 닫히고 솔레노이드(200)와 연결된 전기회로를 활성화시켜 트리거 링크(171)를 제12도의 위치로부터 제9도의 위치로 견인하게 되므로, 상기한 이완식 고정수단은 복귀되고 쐐기형 클램프체(145)는 고정수단의 링크 아암(182)과 맞물려 있는 다리(146)에 의해서 하강된다.
소정치 이상의 차량관성 변화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작동되고 잠김수단을 이완위치에 고정하는 이완식 고정수단과, 차량에 발생한 비상사태가 해제된 후, 또는, 차량 도어의 개폐시에 상기한 고정수단을 복귀시키는 자동복귀수단을 구성요소로 하는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도시했기 때문에, 본 기술분야에 정통한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여러가지 장점과 목적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국한하고 있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수정을 가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상당하는 장치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벨트를 직접적으로 죄는 한개 이상의 쐐기형 클램프체를 갖는 클램핑 수단과, 전기한 클램핑 수단을 경사시켜 안전 벨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클램핑하는 경사수단과, 전기한 경사수단의 경사력에 대응하여 전기한 클램핑 수단이 벨트 이완위치이에 있도록 하는 이완식 고정수단, 그리고 전기한 이완식 고정수단을 작동하여 전기한 클램핑 수단을 이완시킴으로써 전기한 클램핑 수단이 전기한 경사수단의 경사력에 의하여 전기한 벨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 관성 감지 수단으로 구성된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고정수단을 복귀시켜 전기한 클램핑 수단을 전기한 벨트 이완위치로 이동시키고 차량 부품의 일정한 작동에 따른 전기한 경사 수단의 경사력에 대응하여 전기한 클램핑 수단을 전기한 위치에 고정하는 자동복귀수단을 특징응로 하는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차량의 도어 개폐에 대응하여 전기한 고정수단을 자동복귀시키는 전기한 지동복귀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3. 제21항에 있어서, 전기한 차량의 부품이 차량의 도어이며, 전기한 복귀수단은 도어 작동식 스위치와 전기한 이완식 고정수단의 링크 기구를 도어의 개폐에 따라 일정한 방법으로 움직여 스위치를 단락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전기한 도어 작동식 스위치가 스프링력에 의해 스위치 본체이 외부로 돌출된 미끄럼봉과 전기한 미끄럼봉과 전기한 이완식 고정수단의 링크 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5. 정상적으로는 벨트 잠김위치로 경사져 있는 안전 벨트 잠김 수단을 작동시켜 벨트가 풀리지 않도록 하는 차량 관성 감지기로 구성된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에 있어서, 안전 벨트 잠김수단을 풀림위치로 유지하는 이완식 고정수단이, 전기한 장치에 피봇 조립되고 그 일단이 전기한 벨트 잠김 수단과 연결된 작동 링크와, 전기한 장치에 피봇 조립된 일단과 자유단을 갖고 전기한 자유단의 접촉면은 전기한 차량 관성 감지 수단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트리거 링크, 그리고 전기한 차량 관성 감지 장치가 소정치 이상의 관성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한 트리거 링크를 움직이고 전기한 트리거 링크에 의해 움직이기 전까지 전기한 작동 링크의 반대단과 전기한 트리거 링크의 자유단 사이에 조립되어 전기한 작동 링크의 회전을 방지하는 중간 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전기한 이완식 고정수단을 복귀시켜 전기한 안전 벨트 잠김수단을 벨트 이완위치에 있게 하고 전기한 트리거 링크가 관성 감지 수단에 의해서 작동될때까지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자동복귀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전기한 이완식 고정수단을 복귀시키는 전기한 자동복귀수단이 전기한 차량도어의 개폐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도어 작동식 스위치와, 전기한 도어를 열어 전기한 스위치가 작동되었을 경우에 전기한 트리거 링크의 접점을 전기한 관성 감지 수단과 복귀 접촉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전기한 자동복귀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전기한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가 안전 벨트를 직접적으로 죄는 한개 이상의 쐐기형 클렘프체를 구비한 클램핑 수단으로 구성되고, 전기한 작동 링크의 일단이 전기한 쐐기형 클렘프 체중의 하나에 연결되어 전기한 관성감지 수단의 작동으로 인하여 전기한 트리거 링크의 접촉면이 소정치 이상 상승하면 전기한 중간 링크가 움직이고 중간 링크의 운동이 스프링력을 받고 있는 작동 링크를 움직이면 전기한 클램핑 수단의 쐐기형 클렘프체가 안전 벨트 고정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관성 감지 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트리거 링크로 구성된 전기한 이완식 고정수단과, 전기한 트리거 링크를 이동시켜 이완식 고정수단을 복귀시키는 전기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전기한 자동복귀수단, 그리고 차량 도어의 개폐에 의한 스위치 수단의 작동에 따라 전기한 솔레노이드 수단을 작동시켜 전기한 트리거 링크를 전기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기회로 및 스위치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KR1019830003170A 1983-07-12 1983-07-12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KR890000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3170A KR890000138B1 (ko) 1983-07-12 1983-07-12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3170A KR890000138B1 (ko) 1983-07-12 1983-07-12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989A KR850000989A (ko) 1985-03-14
KR890000138B1 true KR890000138B1 (ko) 1989-03-08

Family

ID=1922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170A KR890000138B1 (ko) 1983-07-12 1983-07-12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1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989A (ko) 198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1062A (en) Automatic locking safety belt retraction apparatus with resetting means
US4913497A (en) Belt tightener for seat belts in vehicles
US3610361A (en) Electrically operated seat belt retractor
US5211423A (en) Vehicle seat belt tensioning mechanism
US5097571A (en) Buckle for a safety belt system provided with a belt pretensioner
US3930622A (en) Energy storing safety belt retractor
JP2001513339A (ja) 安全ベルトのバックル
CA1173421A (en) Safety belt webbing emergency locking apparatus
CZ279210B6 (cs) Zámek pro systém bezpečnostních pásů
US4213652A (en) Linear locking seat belt retractor
US7543363B2 (en) Seat belt buckle for use with pretensioner
US5358276A (en) Seat belt webbing clamp assembly
KR890000138B1 (ko) 안전 벨트 비상 잠김 장치
US4771854A (en) Belt winding brake for passive belt retractor
JPS61205531A (ja) 安全ベルト用自動検知締付装置
US4703950A (en) Electrical lock-out mechanism for door mounted seat belt retractors
US4116295A (en) Electrically operated seatbelt retractor
JP2779678B2 (ja) シートベルト緊張装置
US4285479A (en) Inertia release for belt retractor winding prevention mechanism
US4838388A (en) Clamping means for a strap
JPH01285438A (ja) シートベルトのプリローダ装置
US5374080A (en) Safety belt pretensioner for safety belt systems in vehicles
US4846497A (en) Automatic seatbelt system for vehicle
US4313621A (en) Seatbelt system
JP2952783B2 (ja) シートベルト緊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