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4519Y1 -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저상용 사다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저상용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519Y1
KR880004519Y1 KR2019850007812U KR850007812U KR880004519Y1 KR 880004519 Y1 KR880004519 Y1 KR 880004519Y1 KR 2019850007812 U KR2019850007812 U KR 2019850007812U KR 850007812 U KR850007812 U KR 850007812U KR 880004519 Y1 KR880004519 Y1 KR 880004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elevator
threshold
hatch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7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848U (ko
Inventor
박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07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4519Y1/ko
Publication of KR8700008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8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5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저상용 사다리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3도는 사다리 구조물의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32, 33 : 옆막대 4 : 수직막대
6 : 링크 7 : 횡막대
8 : 문턱단 9 : 조정보울트
10 : 스위치 접촉판 12 : 스위치 박스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시설물에 있어서 필수적 설치요건 중의 하나인 승강통로측의 저상 사다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접고 펴는 방식으로 된 새로운 사다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자체의 고장으로 승강통로 바닥과 엘리베이터 저부와의 사이에 남아있는 공간부에서 보수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작업자가 건축구조물의 최하층에서 상기 승강통로의 최하부로 내려가기 위해서는 일단 승강기를 최하층 바닥면 위치보다 높게 올린 다음에 승강구의 출입문을 열어 놓고 승강통로 벽상에 이미 고정 설치되어 있는 사다리를 이용, 상기 통로의 바닥으로 내려가야 하는 것이 작업순서이다.
이러한 사다리는 이것이 설치된 벽면으로부터 발디딤부의 돌출단까지의 거리(A)와 출입문턱의 돌출폭(B)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컨데,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B가 A보다 작은 경우 승강기가 이상요인으로 인해 최하층 바닥면 이하로 하강하게 되면 사다리가 승강기의 앞끝에 돌출하게 되고, 이때문에 승강기내의 탑승객이나 화물등 충격으로 받게 될뿐 아니라, 승강기 자체도 파손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같은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상 B가 A보다 크게 사다리를 설계해서 시설해야 한다.
그런데 B>A일때도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수리작업자가 통로 바닥으로 내려가면 반드시 사다리를 이용해야 하지만 출입문턱의 돌출폭(B)이 사다리의 돌출단 거리(A)보다 크고 어둡기 때문에 정상적인 위치에서는 사다리를 발견할 수 없고 상반신을 통로의 바닥쪽으로 얼마간 들이밀어서 더듬거리며 찾아내어야 한다.
실제로 이러한 행위는 추락사고 등과 같은 상당한 위험이 뒤따르게 때문에 안전을 위해 가급적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설령 작업자가 사다리를 발견할 경우에도 사다리에 발끝을 걸치기란 여간 곤란한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안전한 디딤과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반신을 앞쪽으로 상당히 구부려야 하고 이때 자칫 복부나 앞가슴 부위가 승강구의 아랫 문턱에 당하 충격을 받을 수도 있으려니와 작업복이 더렵혀지기 쉽기 때문이다.
더우기 첫발을 사다리에 걸쳤다 할지라도 다른 발이 스텝에 닿을 때까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도 없다.
발디딤을 눈으로 확인키는 어렵다는 것은 그만큼 작업자가 심리적인 부담감을 갖게되는 것은 물론 실족사고를 촉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설물의 승강통로 저상에 설치되는 사다리의 단점을 개선하여 동종류의 사다리 설치의 기본요건, 즉 위에서 말한바와 같은 B>A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운데 작업시에만, 다시말해서 작업자가 오르내릴때에 한해서 A가 B보다 커지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의 안전한 출입을 도모한 것인바, 이와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2도 이하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승강통로의 승강구측 벽면(1)상에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받침(2a)을 가진 브래킷(2)이 여러개 고정 설치되어 있고 개개의 힌지부(2b)에는 상향되게 접고 수평되게 펼 수 있는 형태의 옆막대(31, 32, 33)가 브래켓당 한쌍씩 있다.
상기 옆막대(31, 32, 33)의 타단은 수직막대(4)에 역시 접고 펴는데 알맞도록 핀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연결접속부마다 디딤대(5)가 고정되어 있다.
또, 최상부에 위치한 옆막대(31)의 중간에는 2절식 링크(6)의 아랫단(6b)이 핀으로 유착되어 있고 윗단(6a)은 횡막대(7)의 뒷끝에 핀으로 유착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구의 문턱단(8)상에는 드라이버등의 공구로 들릴 수 있는 머리를 가진 조정보울트(9)가 제자리에 공회전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문턱단(8)의 하방으로 길게 늘어뜨린 조정보울트의 나사부에는 상기 횡막대(7)의 앞끝이나 나사 끼움되어 있어서 조정 보울트(9)를 좌 또는 우측 방향으로 트는데 따라서 오르내리게 되어 있다.
한편 최하방에 위치한 옆막대(33)의 저면에서 대략 중간쯤에는 스위치 접촉판(10)이 외측 옆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하방에 별도로 설치한 브래킷(11)상에는 접등자(13)를 지닌 스위치 박스(12)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 먼저 엘리베이터가 정상 가동중일때를 설명하면, 승강구 문턱단(8)에 위치한 조정보울트(9)를 일측방향으로 틀면 조정보울트(9)는 제자리에서 공회전하고 횡막대(7)는 그 나사부를 따라 상승한다. 이때 2절식 링크(6)는 횡막대(7)에 이끌려 함께 올라가면서 최상부측 옆막대(31)를 덩달아 끌러올린다.
모든 옆막대(31)(32)(33)는 수직막대(4)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끌어 올려진다. 이때 횡막대(7)는 수평으로 상승되지만 옆막대(31)(32)(33)만큼은 브래킷(2)의 힌지부(2b)의 축을 중심으로 앞쪽이 들리는 이른바, 각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다가 횡막대(7)가 조정보울트(9)의 나사부 상단에 당도하면 더 이상의 상승은 할 수 없게 된다.
이같은 상승 상한선에 이르렀을 때 사다리가 완전히 접힌 상태이며, 접힌 사다리의 돌출판 즉, 디딤대(5)의 돌출폭은 폈을때의 그것보다 현저히 줄어서 승강구 문턱단(8)의 돌출폭보다 작다. 따라서 승강기의 운행에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다(제2도 점선표시).
승강기 운행을 중지하고 보수작업등을 통해 사다리를 펴는 경우에는 위에 말한 접을때의 역순으로 진행되는것이다(제2도의 실선표시).
사다리를 폈을때의 돌출폭단은 승강구 문턱단에 비해 크기가 크기 때문에 작업자가 발견하기도 쉽고 이를 이용하기도 매우 안전하다.
그리고 만약, 사다리가 펴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아닌 타인이 상기 통로의 저상에서 보수작업인 상황을 알지 못한채 운행을 하게 된다면 승강기의 앞쪽이 펴진 사다리에 충돌하여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나 시설물에 손상을 입기 십상이다. 이러한 문제는 스위칭 장치에 의해 말끔히 해소될 수 있다.
즉, 사다리가 완전히 펴지면 최하단 옆막대(33)의 접촉판(10)이 접등자(13)를 눌러 스위치박스(12)의 전기회로를 차단해서 운행 모우터의 전원을 차단, 승강기를 운행 불능상태화하는 것으로 달성할 수 있다.
보수작업을 마친 작업자가 펴진 사다리를 타고 올라간 다음 조정보울트(9)를 틀어 사다리를 접으면 접동자(13)는 자동적으로 원상복귀되고 이어 스위치 박스(12)내의 회로가 도통되면서 승강기의 운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 시설물의 승강통로 저상용 절첩식 사다리 구조에 따르면, 승강기의 보수 작업을 위해 이용하는 사다리의 안전성이 매우 높고 또한 사용시에는 사다리의 돌출단 거리가 승강구 문턱단보다 크고 비사용시 이를 접었을때에는 승강구 문턱단보다 작으므로 승강기 운행상에 아무런 장애요인이 되지 않는다.
더우기 사다리가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의 타인에 의한 승강기 운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안전성도 대단히 크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상의 승강구 문턱단측 벽면에다가 수평받침(2a)과 윗쪽에 힌지부(2b)를 가진 브래킷(2)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 설치하고, 상기 힌지부(2b)상에는 통상형의 절첩식 사다리의 옆막대(31)(32)(33) 전단부를 핀으로 유착하며, 최상단 옆막대(31)의 중간에 2절 링크(6)의 하단을 핀으로 유착하고, 이 링크(6)의 상단은 횡막대(7)의 후단에 핀으로 유착하며, 승강구 문턱단(8)상에는 제자리 공회전하는 조정보울트(9)를 설치하고, 문턱단의 하방으로 노출된 나사부에 상기 횡막대(7)의 타단을 나사끼움하며, 최하단 옆막대(33)에는 외향 접촉판(10)을 부착하고 그 하방의 브래킷(11)상에는 접등자(13)가 딸린 승강기 전원개폐용 스위치 박스(1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저상용 사다리.
KR2019850007812U 1985-06-27 1985-06-27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저상용 사다리 KR880004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812U KR880004519Y1 (ko) 1985-06-27 1985-06-27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저상용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812U KR880004519Y1 (ko) 1985-06-27 1985-06-27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저상용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848U KR870000848U (ko) 1987-02-20
KR880004519Y1 true KR880004519Y1 (ko) 1988-12-23

Family

ID=1924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7812U KR880004519Y1 (ko) 1985-06-27 1985-06-27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저상용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45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848U (ko)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6809A1 (en) Elevator Car with Maintenance Platform and Method for Maintenance of the Elevator Installation
JP5015246B2 (ja) 検査されるエレベータの頂部や底部における最小空間を確保する安全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安全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
JP5450061B2 (ja) 浅いピットおよび/または低いオーバヘッドを備えたエレベータ
KR100399425B1 (ko) 조절 가능한 상단 에지 난간 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US20190135586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low headroom
US20070056810A1 (en) Method for Carrying Out Maintenance and Inspection Operations at an Elevator Installation
US7140473B2 (en) Safety top balustrade for a car of a machine room-less elevator
US3012633A (en) Foot ladder actuated safety means
JP5778722B2 (ja) 浅いピットおよび/または低いオーバヘッドを備えたエレベータ
KR102480892B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KR20200050555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KR880004519Y1 (ko) 엘리베이터 승강통로의 저상용 사다리
US2018033988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lighting and an elevator
CN112678655A (zh) 一种可折叠开合的轿顶护栏
US1112438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lighting and an elevator
CN214243390U (zh) 一种可折叠开合的轿顶护栏
CN209974025U (zh) 带安全开关的电梯底坑爬梯构造及电梯
US4645037A (en) Elevator escape structure
CN113321099A (zh) 一种电梯轿顶的可伸展智能护栏
JPH11173045A (ja) 開閉式梯子
CN219009616U (zh) 一种电梯层级防坠落结构
JP2001247272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装置
CA1265069A (en) Elevator escape structure
JPH0527417Y2 (ko)
JPH01335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