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4416Y1 -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416Y1
KR880004416Y1 KR2019840007911U KR840007911U KR880004416Y1 KR 880004416 Y1 KR880004416 Y1 KR 880004416Y1 KR 2019840007911 U KR2019840007911 U KR 2019840007911U KR 840007911 U KR840007911 U KR 840007911U KR 880004416 Y1 KR880004416 Y1 KR 880004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ssette
bracket
bas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7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032U (ko
Inventor
다쓰히꼬 쓰찌야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438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34748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439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3474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1019437U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34760U/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0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4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 G11B5/55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 G11B5/5504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across tape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63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erpendicular to its main side, i.e. top loading

Landscapes

  • Unwinding Web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의 사시도.
제2도는 좌측면도.
제3도는 우측면도.
제4도는 평면도.
제5도는 헤드베이스 동작기구의 분해도.
제6도는 제4도의 Ⅵ-Ⅵ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Ⅶ-Ⅶ단면도.
제8(a)도, 제8(b)도, 제8(c)도는 뚜껑과 캠판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9(a)도, 제9(b)도, 제9(c)도는 헤드베이스와 슬라이드판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10도는 오소거(誤消去)방지 기구의 좌측면도.
제11(a)도, 제11(b)도, 제11(c)도는 오소거 방지기구의 종단면도.
제12도는 오소거 방지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基坮) 4 : 뚜껑
4 : 훅부 12a, 12b, 15 : 비틀림 스프링
13 : 록크부재 13b : 아암부
13c, 39b, 53b : 스톱퍼 16 : 캠판
16a : 가이드 슬릿 16b : 가이드홈
R1, R2: 리일축 H : 자기헤드
P : 핀치로울러 S2, S1: 솔레노이드
t2: 오소거방지편 T : 카세트 테이프
21 : 지지대 24, 56 : 작동스위치
25, 26, 40, 44 : 가이드편 28 : 슬라이드판
29 : 헤드 베이스 30 : 구체(球體)
31 : 판스프링 32 : 나사
34 : 로울러 35, 37, 38, 45, 57 : 스프링
39 : 로울러 브래킷 43 : 브레이크 판
43b : 훅 46 : 브레이크 슈우
52 : 축 53 : 외측금구
53c : 아암 55 : 내측금구
55a : 상단훅 55b : 작동편
본 고안은 수화자가 부재중인 경우의 전화기등에 장비되어 메세지식 테이프(message tape)의 재생들을 행하는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화자가 부재중인 경우의 전화기등에 사용되는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에서는, 카세트 테이프를 장진했을때에 메세지의 개시 위치를 맞출 필요가 있다.
이 조작은 자기 헤드를 카세트 테이프의 테이프면에 가볍게 접촉시켜 테이프의 위치를 판단하고, 필요에 따라 테이프를 조송(早送)하여 메세지의 재생개시 위치를 자기(磁氣)테이프에 맞추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는 상기 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카세트 테이프를 장치에 장진하여 뚜껑을 닫은 후에 버튼 조작등을 별도로 행할 필요가 있었다.
또 일반적으로 카세트 테이프를 조작시키는 장치에서는 헤드 베이스가 리일축에 대하여 진퇴 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헤드 베이스에 고정 설치된 자기 헤드가 재생이나 녹음시에 테이프면에 닿고, 또 정지시에는 테이프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헤드 베이스의 접동 동작에 있어서는 자기 헤드가 상하로 흔들리는 현상이 없고 안정된 상태에서의 작용이 필요하게 된다.
또 일반적으로 카세트 테이프에서는 녹음 내용을 보관하고 싶을때에 카세트 케이스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오소거방지편(誤消去防止片)을 절취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카세트 테이프를 테이프 플레이어에 장진했을 때에 훅(HOOK)모양의 기구가 오소거방지편의 결손부에 들어가도록 하여, 이 훅(HOOK)모양의 기구의 동작에 의하여 오소거방지회로를 작동시키고 있다.
그런데 근래 보급되어 있는 마이크로카세트 테이프로서는 상기 오소거방지편이 카세트 케이스의 축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훅(HOOK)모양의 기구를 그대로 장비하는 경우에는 이 훅 모양의 기구에 의하여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의 삽입 방향을 차단하게 되어 테이프 장진을 행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카세트 테이프를 장진하여 뚜껑을 닫은 상태로서 즉시 메세지 개시위치 수다등을 행할 수 있도록한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동 조작을 감소하고, 자동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카세트식 케이프 플레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기헤드의 진퇴이동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가이드 기구를 구비한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뚜껑의 개폐동작을 이용한 오소거방지장치를 구비한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으로 동작성이 좋고, 수화자가 부재중인 경우의 전화기에 사용되는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카세트 장치의 뚜껑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자기헤드를 구비한 헤드베이스를 전진시켜, 자기헤드를 카세트 테이프의 테이프면에 가볍게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카세트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테이프 지지대와 함께 판스프링을 기대(基臺)상에 고정설치하고, 판 스프링에 의해 구체(球體)를 개재시켜 헤드 베이스를 하향으로 누룰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를 덮은 뚜껑의 개폐동작을 이용하여 이 뚜껑이 열려있을때에 오소거방지용의 훅 기구를 축방으로 피하게 하고, 뚜껑이 닫혀 있을때에는 훅 기구를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의 측면에 맞닿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도면에 관계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장치는 기대(基臺)(1)의 상면 전부(前部)에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를 장착하는 카세트 장착부(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카세트 장착부(2)에는 리일축(R1),(R2)자기헤드(H)및 펀치로울러(P)등이 장비되어 있다.
또 기대(1)의 상면 후부는 구동부재 장비부(3)로 되어 있으며 이 구동부재 장비부(3)에는 상기 리일축(R1)또는 (R2)를 고속 회전시키는 큐우(CUE), 리뷰우(REVIEW), 동작용의 모우터(M1)및 리일 축(R1)을 저속 회전시키는 플레이 동작용의 모우터(M2)가 구비되어 있다.
구동부재 장비부(3)에는 자기헤드(11)및 핀치로울러(p)를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S1)및 리일축(R1), (R2)의 브레이크를 해제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S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 장착부(2)의 상방에는 뚜껑(4)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같은 개략적인 구성을 가진 테이프 플레이어의 각 기구중 우선 상기 뚜껑(4)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자기헤드(H)와 핀치로울러(P)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동기구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뚜껑(4)에는 좌우 한쌍의 다리(4a), (4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방의 다리(4a)는 기대(1)의 좌측판(1a)에 지점(11a)에 의하여 회전자재롭게 취부되고 제2도 타방의 다리(4b)는 기대의 우축판(1b)에 지점(11b)에는 비틀림스프링(12a), 지점(11b)에는 비틀림 스프링(12a)이 각각 취부되어 있으며 이 비틀림 스프링(12a), (12b)에 의하여 뚜껑(4)은 항상 열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한편 상기 기대(1)의 우측판(1b)의 전단부 외면에는 록크부재(13)가 지점(14)에 의하여 회전 자재롭게 장비되어 있다.
이 록크부재(13)가 지점(14)에 의하여 회전자재롭게 장비되어 있다.
이 록크부재(13)는 상방 부분에 레버부(13)가 지점(14)에 의하여 회전 자재롭게 장비되어 있다.
이 록크부재(13)는 상방 부분에 레버부(13a)와 걸어 맞춤아암부(13b)를 일체로 가지고 있으며, 걸어맞춤아암부(13b)의 걸어맞춤변(13e)이 상기 뚜껑(4)의 선단에 절곡 성형된 훅부(4c)와 걸어맞춰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지점(14)에는 비틀림 스프링(15)이 구비되어 록크부재(13)가 제3도의 화살표 α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으며 또 록크부재(13)의 내측에 돌출 설치된 스톱퍼(13c)가 상기 우측판(1b)의 상변에 맞닿아서 록크부재(13)의 α방향으로의 이동한게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카세트 장착부(2)로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를 장착한 후 뚜껑(4)을 닫으면 뚜껑(4)의 훅부(4C)가 록크부재(13)의 걸어맞춤 아암부(13b)의 상부 경사변(13d)에 닿는다. 또 뚜껑(4)을 닫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부 경사변(13d)의 안내 작용에 의하여 록크부재(13)가 β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후 훅부(4C)가 걸어 맞춤 아암부(13b)의 걸어맞춤변(13e)에 걸어 맞춰져 뚜껑(4)이 닫힌 상태로서 록크된다. 한편 뚜껑(4)을 열을때에는, 록크부재(13)의 레버부(13a)를 조작하여 록크부재(13)를 β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 결과 걸어맞춤 아암부(13b)의 걸어맞춤변(13e)과 뚜껑(4)의 훅부(4c)가 벗겨져 록크가 해제되고, 상기 비틀림스프링(12a), (12b)의 탄성력에 의하여 뚜껑(4)은 자동적으로 열리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기대(基臺)(1)의 좌측판(1a)의 외측 전방부분에는 캠판(16)이 장비되어 있다.
이 캠판(16)은 전단부분이 지점(17)에 의하여 회전 자재롭게 취부되어 있으며 그 후단부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슬릿(16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뚜껑(4)의 좌측면에는 이 가이드슬 릿(16a)내에 들어갈 수 있는 직경을 가진 판(4d)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4)을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핀(4d)이 캠판(16)의 가이드 슬릿(16a)의 내부에 서서히 들어가고, 그리고 가이드슬릿(16a)에 경사각에 의해 캠판(16)은 제2도에 나타낸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된다.
또 이캠판(16)에는 자기헤드(H)와 핀치로울러(P)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16b)과 그 상단에 연속하는 각혈(角穴)(16c)을 뚫어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기대(1)의 테이프 장착부(2)의 상며는 제4도(평면도)및 제5도(분해도)에 나타낸 구조로 되어 있다.
리일축(R1), (R2)은 도시한 바와같이 기대(1)상에 돌출하고 있지만, 각 리일측(R1), (R2)은 기대(1)의 하측에 설치된 기어, 벨트 전달기구(도시않음)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재장비부(3)에 설치된 상기 모우터(M1), (M2)로 구동되어있다. 또 이 리일축(R1), (R2)의 전방에는 플라스틱제의 테이프 지지대(21)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이 테이프 지지대(21)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이 테이프 지지대(21)의 좌우양단에는 지지평면(21a)에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평면(21a)은 기대(1)의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리일축(R1), (R2)의 후방위치에는 후부지지대(22)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면(22a)은 상기 지지평면(21a)과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진되는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의 하면은 상기 지지평면(21a)과 후부지지대(22)의 상면(22a)으로 지지되게 된다.
또 상기 테이프 지지대(21)의 지지평면(21a)으로 부터는 1쌍의 돌기(21b)가 위로 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21b)는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의 장진시에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의 2개의 구멍(t1), (t2)에 삽입되어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이다. 또 상기 일방의 돌기(21b)의 전방위치에는 캡스턴(Capstan)축(23)이 근저바여 설치되어 있으며 이 캡스턴축(23)도 돌기(21b)와 함께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의 일방의 구멍(t1)에 삽입되는 것이다.
또 이 캡스턴축(23)은 기대(1)의 하측에 설치된 동력전달기구(도시않음)에 의해 테이프 플레이 동작시에 테이프를 이송속도에 따른 회전수로 회전하고, 상기 펀치로울러(P)로서 테이프를 협지하여 테이프 이송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부지지대(22)의 후방위치에는 마이크로 작동스위치(24)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액튜에이터(24a)에 의하여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가 장전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기대상에는 3개의 가이드핀(25), (26), (27)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각 가이드핀(25), (26), (27)은 제6도 제4도와 (Ⅵ-Ⅵ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 단부부(段付部)(25a), (26a), (27a)가 형성되고, 또 이단부(25a), (26a), (27a)보다 상방의 위치에도 단부부(25b), (26b), (27b)가 형성되어 있다((27a), (27b)는 도시를 생략).
상기 기대(1)의 상면에는 슬라이드판(28)과 헤드 베이스(29)가 상하 2단에 달라붙어 있지만, 이들은 상기 각 가이드핀(25), (26), (27)에 의하여 접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판(28)은 측면(28a)이 가이드핀(25)의 하측단부부(段付部)(25a)에 안내되고 가이드구멍(28b)이 가이드핀(26)의 하측단부부(26a)에 또 1개의 가이드구멍(28c)이 가이드핀(27)의 하측단부부(27a)에 의하여 안내되고 있다. 한편 상기 헤드 베이스(29)는 측면(29a)이 가이드핀(25)와 상측단부부(25b)에 안내되고 또 가이드구멍(29b)이 가이드 핀(26)의 상측단부부(26b)에, 또 1개의 가이드구멍(29c)이 가이드핀(27)이 상측단부부(27b)에 의하여 안내되고 있다.
또 상기 헤드베이스(29)의 중앙부분에도 가이드 기구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기구를 제7도(제4도의 Ⅶ-Ⅶ단면도)에 나타낸다. 상기 헤드 베이스(29)의 중앙부분에는 접동 방향으로 가늘고 기다란 凹부(29g)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凹부(29g)상에 구체(球體)(30)가 들어 있다.
그리고 이 구체(30)가 판스프링(31)으로 눌려져 있다.
이 판스프링(31)은 상기 테이프 지지대(21)상에 나사(3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헤드베이스(29)는 상기 판 스프링(31)의 탄압력에 의하여 하향으로 눌려져 이 힘에 의해 헤드베이스(29)와 상기 가이드핀(25), (26), (27)의 단부부 (25b), (26b), (27b)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흔들림이 흡수된다.
따라서 헤드베이스(29)가 접동할때에 헤드베이스(29)상에 설치된 자기헤드(H)는 상하로 움직이지 않고 안정되어 있다.
또 헤드베이스(29)가 접동할때에는 구체(球體)(30)가 전동(轉動)하기 때문에 헤드베이스(29)와 판스프링(31)사이의 마찰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 상기와 같이 지지되어 있는 슬라이드판(28)은 선단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S1)의 플런저에 핀(3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판(28)의 좌측부에는 브래킷(28d)이 직각으로 절곡성형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28d)에 로울러(34)가 접동자재롭게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울러(34)가 상기 캠판(16)(제2도)에 형성된 가이드 홈(16b)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 상기 브래킷(28d)에는 스프링(35)의 일단이 취부되어 이 스프링(35)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판(28)이 솔레노이드(S1)로부터 떨어져 있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또 슬라이드판(28)상에 돌출설치된 스프링걸이(28e)에는 스프링(37)이 취부되어 있고 이 취부되어 있고 이 스프링(37)은 상방에 위치하는 헤드베이스(29)의 구멍(29d)으로부터 상방으로 노출되고, 또 이스프링(37)은 타단은 헤드베이스(29)의 스프링걸이 구멍(29e)에 걸려 있다. 즉 헤드베이스(29)와 상기 슬라이드판(28)은 이 스프링(3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게 된다. 또 슬라이드판(28)에는 또 1개의 스프링걸이(28f)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걸이(28f)는 상기구멍(29d)을 통하여 헤드베이스(29)보다도 상방에 돌출하여 있고, 헤드베이스(29)의 상방에 설치된 스프링(38)의 일단이 걸려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38)의 타단은 핀치로울러(P)를 지지하고 있는 로울러브래킷(39)의 하단돌기(39a)에 취부되어 있다.
한편 이 로울러 브래킷(39)은 기대(1)상에 고정 설치된 핀(40)에 대하여 요동 자재롭게 취부되어 있다.
또 상기 로울러 브래킷(39)의 하측에는 스톱퍼(39b)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톱퍼(39b)는 헤드베이스(29)의 탈출구멍(29f)및 슬라이드판(28)의 걸림구멍(28g)을 통하여 기대(1)상에 형성된 탈출구멍(41)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울러 브래킷(39)은 핀(40)을 지점으로 하여 제5동에 나타낸 θ방향으로 회동하게 힘이 가하여져 있지만, 상기 스톱퍼(39b)가 상기 슬라이드판(28)의 걸림구멍(28g)의 걸림구멍(28g)의 일변(28h)에 맏닿는 것에 따라 로울러브래킷(39)의 θ방향으로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또 상기 헤드베이스(29)상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진 헤드브레킷(42)이 취부되어 있으며 이 헤드 브래킷상에 자기헤도(H)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제4도, 제5도에 나타낸 부호(43)는 브래이크판이며 그 중앙에 뚫어 설치한 슬라이드구멍(43a)이 상기 후부지지대(22)의 기부(基部)(22b)(제5도)에 끼워져서 기대(1)상에 접동자재롭게 취부되어 있다. 이브래이크판(43)은 기단(基端)이 상기 솔레노이드(S2)의 플런저에 대하여 핀(44)(제4도)에 의하여 연결된 것이며, 또 브레이크판(43)의 선단에는 훅(43b)에 절곡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훅(43b)은 상기 슬라이드판(28)의 구멍(28i)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훅(43b)가 상기 테이프 지지대(21)상에 형성된 돌부(21c)의 사이에 스프링(45)(제4도)이 취부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판(43)의 양측에 형성된 아암(43c)에는 고무등에 의하여 제조된 브레이크 슈우(4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S2)가 여자하고 있지 않을때는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슈우(46)가 양 리일축(R1), (R2)의 기부 로울러에 맞닿고, 이 리일축(R1), (R2)의 공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에 뚜껑(4)의 개폐동작에 의한 헤드베이스(29)와 슬라이드판(28)의 이동 동작에 관한여 설명한다.
제8(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4)이 열려 있을때에는 캠판(16)은 핀(4d)에 맞닿는 위치까지 회동하여 정지하고 있다.
이때 제9(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S1)는 여자되어 있지 않게 때문에 슬라이드판(28)은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귀된다.
따라서 이 슬라이드판(28)에 취부된 로울러(34)는 캠판(16)의 마이드홈(16b)의 최우단까지 후퇴한 상태가 된다. 즉 이때가 슬라이드판(28)의 가장 후퇴된 상태이다. 또 슬라이드판(28)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스프링걸이(28f)는 헤드베이스(29)의 구멍(29d)의 둘레에 닿아 있기 때문에 헤드베이스(29)도 이 가이드판(28)과 함께 후퇴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자기헤드(H)는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한편 핀치로울러(P)는 로울러브라킷(39)의 밑에 설치되어 있는 스톱퍼(39b)가 슬라이드판(28)의 걸림구멍(28g)의 일변(28h)(제5도)에 닿아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판(28)과 함께 후퇴한 상태로 되어있다.
따라서 뚜껑(4)을 열은 상태에서는 자기헤드(H)와 핀치로울러(P)가 후퇴하여 잇기때문에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를 장진할 수 있다.
다음에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를 장진하여 뚜껑(4)을 닫으면 제8(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4)의 측면에 설치된 핀(4d)이 캠판(16)의 가이드슬릿(16a)내에 들어가고, 캠판(16)을 하향으로 회동시킨다. 뚜껑이 완전하게 닫힌 상태에서는 캠판(16)의 가이드슬릿(16a)이 수평이 되는 자세로 된다. 또 슬라이드판(28)에 취부되어 있는 로울러(34)는 캠판(16)의 회전에따라 가이드홈(16b)의 상단 위치가지 이동한다.
따라서 제9(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28)은 로울러(34)와 함께 약간 전진하게 된다.
또 헤드베이스(29)도 스프링(37)에 의하여 끌리어 슬라이드판과 함께 전진한다.
이 전진한 상태에서는 헤드베이스(29)상에 고정설치된 자기헤드(H)는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면에 가볍게 접촉한다.
또 핀치로울러 브래킷(39)도 스프링(38)에 의하여 끌리어 θ방향으로 약간 회동하지만 핀치로울러(P)는 캡스턴축(23)에 닿을때까지는 달하지 않고 테이프면과 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자기헤드(H)가 테이프면에 가볍게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CUE동작 상태이며 예컨데 이 카세트 장치를 수화자가 부재중인 전화기 이용했던 경우에는 자기헤드(H)가 접촉하고 있는 테이프면이 어떤 녹음위치인가를 검출하고 메세지의 도중위치 일때에는 모우터(M2)를 작동시켜 리일축(R1)을 고속회전시켜 테이프 조송(早送)하거나 되감기를 하여 메세지의 개시 위치를 맞추어 놓는다.
그리고 예를들면 수화자가 부재중인 경우 전화가 걸렷을때의 신호등과 같은 카세트 플레이 신호가 발신되면 솔레노이드(S1)가 이자되어 이 솔레노이드(S1)의 플런저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드판(28)이 더욱 전진한다.
이때 제8(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슐라이드판(28)에 취부되어 있는 로울러(34)는 캠판(16)의 각혈(16C)의 최좌단까지 이동한다. 또 제9(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28)이 전진하면 스프링(37)에 의하여 헤드베이스(29)도 끌리어 전진한다.
그러나 헤드베이스(29)는 그선단(29g)이 테이프 지지대(21)에 닿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또 슬라이드판(28)은 좀더 크게 전진하기 때문에 그 동작량의 차는 스프링(37)의 신장에 의하여 흡수된다. 한편으로 로울러 브래킷(39)은 슬라이드판(28)의 전진에 의하여 θ방향으로 회동하고 핀치로울러(P)가 캡스턴축(23)에 닿는다.
그리고 스프링(38)의 신장에 의해 핀치로울러(P)는 일정한 힘에 의하여 캡스턴축(23)에 압접하고, 이 캡스턴축(23)과 핀치로울(P)에 의하여 테이프가 협지된다.
동시에 리일축(R1)과 캡스턴축(23)이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하고, 테이프가 일정한 빠르기로 송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기헤드(H)는 헤드베이스(29)와 함께 전진하여 적절한 힘에 의하여 테이프면에 맞닿는 위치에 테이프 플레이 또는 녹음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수화자가 부재중인 전화가 끊어진 경우와 같이 테이프 플레이 신호가 정지하면 솔레노이드(S1)의 여자는 끊어지고, 제9(b)도의 상태로 복귀하여 리일축(R1)의 고속으로 회전하여 테이프가 소종되어 메세지의 개시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에 테이프 플레이어에 장비되어 있는 오소거 방지기구(50)(제4도)에 관하여 그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의 오소거 방지편(t2)은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오소거방지편(t2)을 절취 제거한때에 테이프에의 새로운 녹음이 행해질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기구가 오소거 방지구(50)이다.
이 기구는 제4도 및 제10도(좌측면도), 제11(a)도 제10도의 (XI-XI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상에 절곡 성형된 1쌍의 지지편(51), (51)의 사이에 축(52)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축(52)에 자 모양으로 절곡한 외측금구(53)가 회동자재토록 취부되어 있다. 이 외측 금구(53)의 윗쪽둘레부에 스프링걸이구멍(53a)이 뚫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걸이구멍(53)과 기대(1)의 우측판(1b)의 사이에 스프링(54)이 걸려있으며 이 스프링(54)에 의하여 외측금구(53)가 X방향(제11(a)도)으로 회동하도록 힘이 가해져 있다. 그리고 외측금구(53)의 후부에 돌출설치된 스톱퍼(53b)가 기대(1)의 상면에 맞닿는 상태에서 방향의 회동이 한계에 이른다. 또 외측금구(53)의 일방의 측면에는 상방으로 신장된 아암(53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아암(53C)은 외측금구(53)가 X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는 상태인때 (제11(a)도의 상태인때)에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의 상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 외측금구(53)의 하측에는 걸림편(53d)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편(53d)은 기대(1)의 하측까지 신장되어 있다.
또 상기한 외측금구(53)의 내측에는 마찬가지 자모양으로 절곡 형성된 내측금구(55)가 설치되어 잇으며 이 내측금구(55)도 상기축(52)에 대하여 회동 자재롭게 취부되어 잇다.
또 이 내측금구(55)의 상단에는 상기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의 오소거 방지편(t2)에 맞닿는 혹(55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내측금구(55)의 하단에는 작동편(55b)이 신장되어 있으며 이 작동편(55b)은 기대(1)의 하방위치에서 설치한 마이크로 작동스위치(56)의 액튜에이터(56a)를 동작시킬 수 있는 위치로 향하여 있다.
또, 내측금구(55)의 상단과 상기 외측금구(53)의 상단돌기(53e)와의 사이에는 스프링(57)이 걸려 있으며 이 스프링(57)의 작용에 의하여 내측금구(55)는 항시 Y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힘이 가해져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뚜껑(4)이 열려있을때에는 제11(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금구(53)의 아암(53C)을 누르는 것이 존재하지 않기때문에 이 아암(53C)은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의 상방에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외측금구(53)는 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하여 X방향으로 최대한으로 회전하고 있다. 한편 내측금구(55)는 하단의 작동편(55b)이 외측금구(53)의 하단 걸림편(53d)에 닿아 있으므로 이 이상Y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내측금구(55)의 상단 훅(55a)은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의 측면에 오소거 방지편(t2)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즉 이 상태에서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를 제12도의 화살표Z방향으로 삽입하여 장진할때에 상기 내측금구(55)의 상단훅(55a)이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의 삽입방향 전방을 차단하지 않게 된다(제11(a)도).
따라서 오소거 방지기구(50)의 존재에 의하여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 장진 작업에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를 장진후에 뚜껑(4)을 닫으면 외측금구(53)의 아암(53C)이 이 뚜껑(4)의 하면에 의하여 눌려져 외측금구(53)는 Y방향으로 회동한다. 또 내측금구(55)도 스프링(57)에 끌리어 외측금구(53)와 함께 방향으로 회동할려고 한다. 이때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의 오소거 방지편(t2)이 제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금구(55)의 상단 훅(55a)이 오소거 방지편(t2)에 닿아, 이 이상 내측금구(55)의 Y방향의 회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내측금구(55)의 하단 작동편(55b)은 마이크로 작동스위치(56)의 액튜에이터(56a)를 동작시킬 수 없고, 오소거 방지회로는 작용하지 않는다.
한편 마이크로 카세트 테이프(T)의 오소거 방지편(t2)이 제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1(c)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금구(53)가 Y방향으로 회동한때에 내측 금구(55)의 훅(55a)이 오소거방지편(t2)의 결손부에 들어가기 때문에 내측금구(55)는 Y방향으로 최대한 회동한다. 따라서 내츠금구(55)의 하단 작동편(55b)이 마이크로 작동 스위치(56)의 액튜에이터(56a)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이때에 오동작방지회로가 작동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이 설계적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리일축(R1, R2)이 돌설되어 있는 기대(1)와 상기 기대(1)상에 설치되어 리일축을 포함한 카세트 테이프(T) 장착(2)와, 상기 카세트 테이프(T) 장착(2)의 측방에 설치된 축(52)에 회동 자재롭게 취부되어 카세트 장착부에 장진된 카세트 테이프(T)보다도 상방으로 뻗은 아암(53C)을 구비한 외측금구(53)와, 축(52)에 회동자재롭게 취부되어 카세트 테이프(T)의 오소거 방지편(t2)의 유무를 검지하는 훅(55a)을 구비한 내측금구(55)와, 상기 외측금구(53)를 아암(53C)이 상방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압하기 위한 장치(54)와, 상기 내측금구(55)를 외측금구(53)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탄압하기 위한 장치(57)와, 상기 내측 금구(55)의 하방에 설치한 작동편(55b), 작동편(55b)에 의하여 동작하는 스위치(5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상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는 뚜껑(4)이 상기 외측금구(53)에 설치한 아암(53C)을 압압하여 외측금구(53)를 회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탄압하기위한 외측금구(53)와 내측금구(55)와의 사이에 걸려있는 스프링(5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금구(53)는 회동을 규제하는 스톱퍼가(53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KR2019840007911U 1981-02-14 1984-08-13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KR88000441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43881U JPS57134748U (ko) 1981-02-14 1981-02-14
JP56-19439 1981-02-14
JP56-19437 1981-02-14
JP56-19438 1981-02-14
JP1943981U JPS57134744U (ko) 1981-02-14 1981-02-14
JP1981019437U JPS57134760U (ko) 1981-02-14 1981-02-14
KR2019810007575U KR880000804Y1 (ko) 1981-02-14 1981-11-10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7575U Division KR880000804Y1 (ko) 1981-02-14 1981-11-10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032U KR840006032U (ko) 1984-11-10
KR880004416Y1 true KR880004416Y1 (ko) 1988-12-12

Family

ID=2728262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7575U KR880000804Y1 (ko) 1981-02-14 1981-11-10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KR2019840007911U KR880004416Y1 (ko) 1981-02-14 1984-08-13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KR2019840007912U KR880004417Y1 (ko) 1981-02-14 1984-08-13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7575U KR880000804Y1 (ko) 1981-02-14 1981-11-10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7912U KR880004417Y1 (ko) 1981-02-14 1984-08-13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8800008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417Y1 (ko) 1988-12-12
KR840006033U (ko) 1984-11-10
KR880000804Y1 (ko) 1988-03-15
KR840006032U (ko) 1984-11-10
KR830002131U (ko) 198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648B1 (ko) 카세트로딩장치
KR880004416Y1 (ko) 카세트식 테이프 플레이어
JPS6055894B2 (ja) 記録再生装置
KR950012200B1 (ko) 카세트 로딩 장치
US4491889A (en) Cassette tape player
JPS6113299B2 (ko)
KR940001248B1 (ko) 카세트 로딩장치
JPH0743791Y2 (ja) テープレコーダ装置
JPH0229563Y2 (ko)
KR900010406Y1 (ko)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JPS5923248Y2 (ja) カセツト式テ−プレコ−ダ
JPH0222857Y2 (ko)
JPS6314416B2 (ko)
JPS6012244Y2 (ja) ソレノイドの動作切換機構
JPS5842538B2 (ja) テ−プレコ−ダ
JPS5819732Y2 (ja) 磁気記録再生機のカセット収納装置
JPH0135317Y2 (ko)
JP2573688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H0713073Y2 (ja) カセット装着装置
JPH0249009Y2 (ko)
KR820002219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오토셔트 오프(auto shut off)장치
US3893183A (en) Instant stop device for a tape player-recorder
JPH0477978B2 (ko)
KR920010460B1 (ko) 카세트식 기록재생장치
KR840000424Y1 (ko) 누름 버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