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4414Y1 -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414Y1
KR880004414Y1 KR2019850012651U KR850012651U KR880004414Y1 KR 880004414 Y1 KR880004414 Y1 KR 880004414Y1 KR 2019850012651 U KR2019850012651 U KR 2019850012651U KR 850012651 U KR850012651 U KR 850012651U KR 880004414 Y1 KR880004414 Y1 KR 880004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ontact plate
vending machine
protective box
sold 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2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738U (ko
Inventor
정금모
최봉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2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4414Y1/ko
Publication of KR870005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7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4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장치
제1도는 종래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발췌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발췌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구 3 : 보호박스
4 : 고무패킹 5 : 삽입구
7, 8 : 접점판 9, 9' : 고정홈
10, 10' : 미끄럼면 11, 11' : 압착핀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료의 하중에 의하여 원료통내에 원료가 없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판매기의 주종을 이루는 커피 및 국산차등의 자동판매기에서의 판매중지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는 온수통에 물이 없을때, 물받이의 수위가 적정수준을 넘어 섰을경우, 컵이없을 경우에만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 원료의 매진상태를 감지하는 장칙가 없어 원료가 매진상태인데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동전을 받아들여 컵과 물만이 투출되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성 저하 및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료통에 원료가 충만되어 있을 경우에는 원료의 하중에 의해 원료매진 감지장치가 온(on)되고 원료가 매진상태 일때는 원료매진 감지장치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오프(off)되도록 한 것이며, 원료매진 감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발광소자의 수광소자로써 원료의 매진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자동판매기 원료통(2)에 있어서, 원료통(2)의 하부 일측에 탄성을 가진 접점판(7)의 삽입구(5)를 뚫은 보호박스(3)를 형성하여, 접점판(7)과 "ㄴ"형의 고정 접점판(8)을 삽입시킨 고정구(1)를 약간의 경사를 이룬 압착편(11)(11')이 보호박스(3)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면(10)(10')에 밀착되게 끼워, 스크류(12)(12')로 결착시키며, 접점판(7)은 삽이부(5)를 관통하여 원료통(2)내로 삽입되어 원료(3)의 자중에 의해 동작되도록 하고 원료(23)의 유출방지용의 연질 고무패킹(4)이 탄성을 가진 접점판(7)을 감싸도록 보호박스(3)의 외면에 밀착되게 부착하여서 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광소자(24)와 대향되게 수광소자(25)를 원료통(2)의 좌우측에 각기 설치하여 원료의 매진 상태를 감지토록 구성시킨 것이다.
미설명부호 "6"은 스크류홀, "13"은 감지장치, "14"는 모우터, "15"는 원료 투출장치, "16.18"는 기어, "17"은 축, "19"는 구동부, "20"은 투출구, "21"는 와이어 믹싱장치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모우터(14)에 의해 동력이 구동부(19)를 통해 기어(16)(18)에 전달되면 와이어 믹싱장치(22)와 원료투출장치(15)가 회전되므로 원료(23)가 투출되는데, 원료(23)의 량이 적정량을 유지하고 있으면 접점판(7)에 원료(23)의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접점판(7)이 제4도 가상선과 같이 하향되어 "ㄴ"형의 고정접점판(8)과 접점이 되므로 온(on)상태가 되고 원료(23)가 매진상태 일때는 원료(23)의 하중이 가벼워지므로 접점판(7)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되어 "ㄴ"형의 고정접점판(8)과 떨어지게되기 때문에 즉시 매진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때 탄성을 가진 접점판(7)과 고정접점판(8)사이로 원료(23)가 유출되어 불완전한 접촉이 되는것을 보호박스(3)내의 외면에 밀착되게 부착시킨 연질의 고무패킹(4)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광소자(24)에서 수광소자(25)로 빛을 보낼때 원료(23)가 어느 적정량을 유지하고 있으면 빛이 원료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소자(25)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동작상태(판매중)로 유지하게 되고, 원료통(2)내에 원료(23)가 적정량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발광소자(24)에서 나오는 빛이 곧 바로 수광소자(25)에 전달괴어 원료(23)의 매진 상태를 감지하게 되어 동작불능(판매중지)상태를 나타내 주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원료의 매진시 이를 감지장치가 즉시 감지할 수 있게되므오 사용자가 사용전에 원료의 매진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자동판매기 원료통(2)에 있어서, 원료통(2)내의 하부 일측에 접점판(7)의 삽입구(5)를 뚫은 보호박스(3)를 형성하여 고정홈(9)(9')에 탄성을 가진 접점판(7)과 "ㄴ"형의 접점판(8)을 삽입시킨 고정구(1)를 약간의 경사를 이룬 압착편(11)(11')이 보호박스(3)의 내면에 형성된 미끄럼면(10)(10')에 밀착되게 끼워 결착하고, 원료의 유출방지용인 연질의 고무패킹(4)이 접점판(7)을 감싸도록 보호박스(3)외면에 부착하여서 된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장치.
KR2019850012651U 1985-09-25 1985-09-25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장치 KR8800044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2651U KR880004414Y1 (ko) 1985-09-25 1985-09-25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2651U KR880004414Y1 (ko) 1985-09-25 1985-09-25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738U KR870005738U (ko) 1987-04-24
KR880004414Y1 true KR880004414Y1 (ko) 1988-12-12

Family

ID=1924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2651U KR880004414Y1 (ko) 1985-09-25 1985-09-25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44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738U (ko) 198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5808A (en) Coffee percolator
US20210361126A1 (en) Touchless dispenser
PT2123201E (pt) Distribuidor de bebidas automático com dispositivo de distribuição melhorado
KR880004414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감지장치
KR850006628A (ko) 자동판매기용 시럽 감지기
EP1245713A1 (en) Sensor to measure the properties of a gaseous or liquid medium
EP3087880B1 (en) Household coffee-making machine
US5465878A (en) Portable household water dispenser
KR100647825B1 (ko) 커피자동판매기의 컵 배출장치
ES2378694T3 (es) Dispositivo detector, particular para máquinas expendedoras de bebidas, y máquina expendedora de bebidas provista con un dispositivo detector
US20120019838A1 (en) Sensor apparatus intended to detect the level of a liquid, gel or powder substance contained in a receptacle
KR102301858B1 (ko) 음료 배출 기기들 내에 자동화된 감지를 위한 시스템
KR100402603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CN219030807U (zh) 物料投放器、物料投放组件、基站及足浴器系统
KR0128352B1 (ko) 담배 자동판매기
JPH0285430A (ja) 自動水栓装置
KR940008231Y1 (ko) 팬히터의 카트리지 탱크자동 배출장치
KR910001876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 감지장치
KR950004063A (ko) 동전 배출 장치 및 자동 판매기
KR200160600Y1 (ko) 자동판매기의 급수장치
KR200154378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장착구조
KR19990017795A (ko) 냉장고의 워터 디스펜서 제어장치
KR950001570A (ko) 커피자동판매기의 컵 배출장치
KR0150015B1 (ko) 음료자판기용 캐니스터장치
KR870000631Y1 (ko) 정량 정제약 분배기(Tablet Fe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