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4384Y1 - 용접 로보트의 와이어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용접 로보트의 와이어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384Y1
KR880004384Y1 KR2019850011737U KR850011737U KR880004384Y1 KR 880004384 Y1 KR880004384 Y1 KR 880004384Y1 KR 2019850011737 U KR2019850011737 U KR 2019850011737U KR 850011737 U KR850011737 U KR 850011737U KR 880004384 Y1 KR880004384 Y1 KR 880004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re
welding robot
robo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1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021U (ko
Inventor
박성기
박명환
이창수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1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4384Y1/ko
Publication of KR8700050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0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3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75Means for protecting the manipulator from its environment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접 로보트의 와이어 지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용접 로보트의 사시도.
제2도는 제2도의 "A"부분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B"부분 확대도.
제4도는 제1도의 "C"부분 확대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접 로보트 2 : 좌판
3 : 와이어 스탠드 6 : 베어링
7 : 지지대 8 : 회전축
9 : 지지관 10 : 괘지봉
11 : 선재릴 12 : 선재 안내용 브라켓
13 : 와이어지지간 14,14' : 스프링
15,15' : 팁 16 : 지지관
17 : 괘지구 18 : 지지간
19 : 팁 20 : 스프링
21 : 와이어
이 고안은 용접로보트에 설치되는 와이어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면 제1도와 같이 용접로보트에 설비되는 와이어의 지지부분("A", "B", "C")이 자중에 의하여 절곡되지 않도록 완만하게 지지해주고, 로보트의 회전 및 전후진 작동시 원심력이나 관성에 의하여 편중되는 무리한 힘이 지지부분에서 흡수되어 와이어를 완충시켜줄 수 있는 보호장치를 제공코저 하는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용접 로보트에는 여러가닥의 선(線)이 설비된다.
종류별로는, 용접토오치선, 가스관, 토오치간섭 검출선, 가스 방류밸브선, 모우터 구동선, 토오치 냉각수관 등이며, 일단 와이어 스텐드에 집단으로 모아졌다가 로보트 몸체에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여러가닥의 선은 로보트가작동하는데 장해가 되므로 한데 모아지는 단일 와이어로 구성되어야 하고 로보트의 작동 반경내에서 방해가 되지 않는 후부로 연결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용접로보트는 매우 빠르게 회전 및 전후진하게 되므로 로보트에 이끌려 다니는 와이어는 심하게 동요된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단순하게 붙들어 매어줄 경우에는 원심력과 관성, 그리고 자체의 중력이 와이어를 매어단 부분에만 치중되므로 인하여 이 부분이 급격한 각도로 절곡되고 따라서 가스관, 토오치, 냉각수관등의 유통로가 협소하게 찌그러들게 되는 폐단이 발생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절곡에 의한 단선이나 편중 마찰에 의한 마모 및 절선이 야기되어 당해 업계에서는 이 부분의 개선을 절실히 요망하게 되었었다.
본 고안은 용접로보트가 전후진 할때 저항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와이어가 신축되며, 회전할때도 역시 마찰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종동되게 하므로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각종의 선이나 관이 제기능을 원활이 발휘하고 마손이 없이 창구한 수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용접로보트의 회전시, 와이어의 비틀림이나 마칠이 일어나지 않도록 회전 받침대를 만들어 주고 또, 원심력에 의하여 와이어가 요동될때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스프링에 의한 와충지지대를 마련해 주므로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케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관련지어 이 설명하면 명백히 이해 될 것이다.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용접로보트의 사시도로서 용접로보트의 팔은 전후 또는 상하 회전작동을 하면서 용접작업을 하도록 되어 있다.
용접로보트(1)의 좌판(2)상에 경사형으로 입설된 공지의 와이어 스탠드(3)에 있어서, 제2도와 같이 스텐드(3)의 상부에 고정구(4)를 나사 고정하고 베어링 하우징(5) 및 베어링(6)을 끼우며, 지지대(7)의 하부축(8)을 베어링(6)내에 삽입시키되, 지지대(7)의 상부에는 지지관(9)을 용착하여 일측에 선재릴(11)이 보관되는 괘지봉(10)이 횡설된다.
지지대(7)의 일측에는 선재 안내용 브라켓(12)을 체착하여 선재릴(11)에서 풀려나오는 선재가 순조롭게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의 지지관(9)에는 "ㄱ"자형으로 절곡된 와이어지지관(13)을 삽입지지 시키며, 2개의 스프링(14)(14')을 걸어 팁(15)(15')이 매달리도록 한다.
한편 용접로보트(1) 상면의 후단에는 지지관(16)을 용착하고 제3도와 같은형 괘지구(17)를 삽입하여 회전자재 되도록 하며, 용접로보트(1) 상면의 선단부에는 "ㄱ"자형의 지지간(18)을 용착하여 팁(19)이 걸린 스프링(20)을 매어 달아서 와이어(21)의 모든 라인이 지지될 수 있는 구성을 갖춘다.
와이어(21)는 용접토오치(a), 가스관(b), 토오치간섭 검출선(c), 가스 방류밸브선(d), 모우터구동선(e), 토오치 냉각수관(f)으로 종별된 여러가닥을 단일체로 묶어 외피를 피복시킨 것을 사용하여 상기의 와이어 스텐드(3)에 고리(k)를 사용하여 고착시키고, 약간의 여유(p)를 둔상태에서 "ㄱ'자형 와이어 지지간(13)의 팁(15)(15')에 각각 매어단후 용접로보트(1)의 팔이 최대로 전진한 길이에 해당되도록 여유(p)를 두어형 괘지구(17)에 협지시키며, 로보트 팔의 위치에 도달한 와이어는 각 종별로 나뉘어 해당지점에 접속된다.
한편, 선재릴(11)에서 공급되는 선재는 선재안내용 브라켓(12)을 거쳐 피어 모우터(22) (Freeder Motor)를 통과하여 가스관과 안내관(23)으로 삽입되며, 이 안내관(23)은 용접로보트(1) 상면의 선단에 용착되어 있는 "ㄱ"자형의 지지간(18)에 매어 달려서 본 고안의 의도와는 와이어 라인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와이어가 갖추어진 용접로보트는 특히 용접로보트(1) 팔의 좌, 우 회전시 와이어(21)에 가해지는 원심력과 이동후 급히 멈췄을 때의 관성력을 흡수 하도록 구성하여 와이어(21)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으로서 그 작용 상태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용접로보트(1) 팔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때, 도면 제1도의 "A"부분으로 표시한 와이어 지지부도 함께 추종되어 "A"부분의 지향 방향은 항시 로보트 팔과 직선상에 맞추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추종되는 이유는, 와이어 지지간(13)과 일체로 된 지지대(7)가 와이어 스텐드(3)에 설치된 베어링(6)에 축(8)으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해서 지지대(7)는 와이어 스텐드(3)로 부터 자유로히 회전될 수 있고 따라서, 와이어 지지간(13)에 묶어진 와이어(21)는 이끌림 방향으로 항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B"부분은, 와이어(21)를 받쳐줌과 동시에 용접로보트(1) 팔이 회전하면서 "A"부분의 지향각도를 벗어나려 할때 발생되는 비틀림 형상을 그대로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서,형의 괘지구(17)가 지지관(16)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므로 마찰 및 비틀림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상태하에 "A"부분을 회전방향으로 견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A"부분과 "C"부분에 괘지된 스프링(14)(14')(20)은 회전 이동 및 전후진 이동시 와이어(21)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 시켜주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완충 스프링(14)(14')(20)은 팁(15)(15')(19)과 더불어 와이어의 묶여진 부분이 점진적으로 찌그러드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지지장치에 의하여 설비되는 와이어(21)는 저항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체형이 보존되므로 그 기능을 완전하게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창구한 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용접로보트(1)의 좌판(2)상에 경사형으로 입설된 공지의 와이어 스탠드(3)에 있어서, 상부에 회전 및 완충기능을 가진 지지대(7) 및 "ㄱ"자형 지지간(13)의 "A"부를 구성하고, 로보트(1) 팔의 상면 후부에는 회전 및 지지기능을 가진 "B"부 지지관(16)을 구성하여, 이의 선단부에는 완충기능을 가진 "C"부 지지간(18)을 설치하여 이들에 의하여 괘지되는 와이어(21) 라인을 설비하게 됨을 특징으로하는 용접로보트의 와이어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A"부를 구성요건으로 하는 지지대(7)에 있어서, 회전축(8)을 와이어 스텐드(3)에 설치된 베어링(6)에 삽입하여 회전자재 되게하고, 지지대(7)의 상부에는 지지관(9)을 용착하여 "ㄱ"자형 지지간(13)을 관삽하므로서 스프링(14)(14') 및 팁(15)(15')에 의하여 와이어가(21)가 완충되게 하는 용접로보트의 와이어 지지장치.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A"부의 지지대(7)상에 용착된 지지관(9)에 괘지봉(10)을 횡설하여 선재릴(11)을 괘가 시키고, 지지대(7) 후면에는 끝이 관으로 된 막대형의 선재 안내용 브라켓(12)을 체착하여 선재의 보관 및 공급, 이송을 순조롭게 하는 용접 로보트의 와이어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B"부를 구성하는 지지관(16)을 로보트(1) 팔의 후부에 용착하되 타단은 경사형으로 입설되게 하고형으로 된 괘지구(17)를 관내에 삽입하여 와이어(21)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자재 되게하는 용접 로보트의 와이어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C"부를 구성하는 "ㄱ"자형 지지간(18)은 로보트(1) 상면의 선단부에 용착하고 스프링(20) 및 팁(19)을 괘가하여 와이어(21)를 완충시키는 용접 로보트의 와이어 지지장치.
KR2019850011737U 1985-09-13 1985-09-13 용접 로보트의 와이어 지지장치 KR880004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737U KR880004384Y1 (ko) 1985-09-13 1985-09-13 용접 로보트의 와이어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737U KR880004384Y1 (ko) 1985-09-13 1985-09-13 용접 로보트의 와이어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021U KR870005021U (ko) 1987-04-21
KR880004384Y1 true KR880004384Y1 (ko) 1988-12-12

Family

ID=1924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737U KR880004384Y1 (ko) 1985-09-13 1985-09-13 용접 로보트의 와이어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43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638B1 (ko) * 2007-10-15 2009-02-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선회형 크레인의 케이블 행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638B1 (ko) * 2007-10-15 2009-02-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선회형 크레인의 케이블 행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021U (ko) 198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11564A (ko) 의자
JP2009119566A (ja) 吊り型ロボット
US5072942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2199034A (en) Fishing rod holder
US6057526A (en) Wire feed unit system to automatically feed filler wire to a weld
US4371107A (en) Welding machine
KR880004384Y1 (ko) 용접 로보트의 와이어 지지장치
US6523227B2 (en) Shoulder mounted cord retaining clip
CN213103856U (zh) 一种便于拆装的金属拉丝机绕丝盘
US2672310A (en) Electric cord holder for sadirons
JP3274266B2 (ja) バックホーの油圧配管支持構造
US3424436A (en) Hoist chain guide
JPH0349816Y2 (ko)
JP2000093532A (ja) 安全帯のロープ保持具
KR200156968Y1 (ko) 자동차 용접건 핸들링용 건행거
US3915483A (en) Flexible drawback assembly for package tying machine
JPS6013918B2 (ja) 給油装置
JPS592953Y2 (ja) Tig溶接用バックシ−ルド治具
US1867743A (en) Reel
JPS5817856B2 (ja) ケンセツキカイノユアツホ−スレンケツコウゾウ
JP3695562B2 (ja) 産業用ロボット
JPH06297342A (ja) 凹凸面研摩装置
JP2592698Y2 (ja) 自動結束機のワイヤー案内機構
JP2513331Y2 (ja) 矯正機入口ガイド装置
JPS5943108Y2 (ja) 荷重取扱ロボツトのア−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