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4329Y1 - 왕복동식 압축기의 압력 평형장치 - Google Patents

왕복동식 압축기의 압력 평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329Y1
KR880004329Y1 KR2019860007728U KR860007728U KR880004329Y1 KR 880004329 Y1 KR880004329 Y1 KR 880004329Y1 KR 2019860007728 U KR2019860007728 U KR 2019860007728U KR 860007728 U KR860007728 U KR 860007728U KR 880004329 Y1 KR880004329 Y1 KR 880004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art
compressor
pressure
high pressure
low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8519U (ko
Inventor
남시박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7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4329Y1/ko
Publication of KR870018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85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3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8Regulating by delivery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왕복동식 압축기의 압력 평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되는 왕복동식 압축기의 일부 절개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중요부의 구조도.
제3(a)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3(b)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압축기내의 압력 변화곡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첵크밸브 23 : 도관
24, 25 : 환형돌턱 25' : 요홈
26 : 볼
본 고안은 왕복동식 압축기의 압력 평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기내의 고압부와 저압부 사이에 첵크밸브를 개재시킴으로써 압축기의 기동시 및 정지시에 고압부와 저압부간의 압력평형을 단시간내에 이룰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왕복 동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고압부와 저압부가 차단되어 있는 압축기가 가동되다가 정지한후 고압부와 저압부간에 압력평형이 이루어 질려면 제4도에 도시된 t2- t9와 같은 매우 긴시간이 걸린다. 이 압력 평형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다시 기동(起動)을 시키려면 저압부와 고압부의 큰 압력의 차이로 매우 큰 기동토르크를 필요로 하는데, 저전압등으로 모타에서 충분한 회전토르크를 발생시키지 못하면 기동이 실패하고 정상운전을 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거나 압축기의 고정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와같은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기동되는 순간부터 큰 토르크를 필요로 하므로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모타의 소형화를 하기 힘들고 효율이 상승도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압축실내의 고압부와 저압부사이에 볼 베어링을 사용한 첵크밸브를 개재시킴으로써 압축기의 기동을 위해 조속한 압력평형을 이룰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래에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이 설치될 왕복식 압축기의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바 11은 모타, 12는 회전샤프트, 16은 압축플렌저, 17은 압축실린더, 18은 실린더머플러이며, 19는 고압개스배출관, 22는 본 고안에 의한 첵크 밸브이다. 압축기에서 실린더머플러(18), 고압개스배출관(19)내부는 고압부이고, 이들 부분을 제외한 케이싱(10)내부는 저압부(21)이다.
제2도에서는 본 고안의 중요부가 도시되어 있는 바 고압부인 압축실린더 머플러(18)과 저압부(21)사이에 본 고안의 중요부인 첵크밸브(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첵크밸브의 세부구조는 도관(23)의 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내향으로 돌출되게 각각 환형돌턱(24)(25)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부돌턱(24)은 내경이 원형이고 하부돌턱(25)는 내경을 따라 복수개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3도의 25') 또한 각 환형돌턱 사이에는 각 돌기의 내경보다 큰 직경의 볼(26)을 개재시켜서 된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압축기가 장상 가동될때에는 실린더 모플러(18)내가 고압이고 그밖은 저압이므로 압력차에 의하여 볼(26)이 자중을 극복하여 상승되어 상부 환형돌턱(24)에 맞닿아 밀폐부를 형성하게 되고 냉장고인 경우 저압부로의 압축된 냉매개스 이동을 막게되며, 압축냉매를 콘덴서(27)쪽으로만 보내지만 압축기의 가동이 정지되면 실린더머풀러(18)내의 압력이 차츰 떨어지고 일정시간 후는 볼(26)은 자중에 의하여 하부돌턱(25)으로 하강된다. 상부돌턱(24)은 그 단면이 제3도(a)와 같은 반면 하부 돌턱(25)의 단면의 제3(b)도와 같은 구조이므로 볼이 하강하여 하부돌턱(25)에 걸려 있을 때에는 고압부와 저압부간의 개스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의 가동이 정지되는 순간(t0)으로부터 매우 짧은( t1- t6)이 경과하면 고압부와 저압부간의 압력평형이 이루어진다. 이 산간( t1- t8)은 본 고안을 채용하지 않았던 종래의 압축기에서 압력평형에 소용되었던, 시간( t2- t9)에 비하여 비교가 안될 정도로 짧은 시간이다.
한편 압축기가 가동되는 순간부터 정상가동시까지의 본 고안작용을 살펴보면, 기동후 비록 짧은 시간이지만 일정시간 동안은 압축개스가 실린더머플러(18)로부터 저압부(21)로 계속 유출되지만 저압부로의 개스유출로 인한 압력손실보다 고압부로 공급되는 압력상승이 더 크므로 고압부의 압력은 점점 상승되고 이 상승된 압력으로 인하여 볼(26)은 상부 환형돌턱(24)에 맞닿아 밀폐부를 형성하므로 저압부로의 더이상의 압축개스 유출은 정지되며 콘덴서(27)로의 이동만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압축기 기동시에 고압부와 저압부와의 압력평형을 이루어주므로 적은 토르크로도 원할한 기동이 가능하며 따라서 모타의 소형화도 가능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이로 인하여 압축기의 진동을 현저히 줄여 주고 수명도 연장시킨다.
또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이기 대문에 본 고안을 왕복식 압축기에 채용할때 생산비의 추가부담도 매우 적은 잇점이 있다.

Claims (1)

  1. 하나의 케이싱내에 고압부 및 저압부를 분리되게 갖추고 있는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고압부와 저압부사이에 도관(23)의 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내향으로 돌출되게 환형돌척(24)(25)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하부돌턱(25)는 내경을 따라 복수개의 요홈(25')이 나 있으며, 상기 환형돌턱들(24)(25)사이에는 각 환형돌턱내경보다 큰 직경의 볼(26)을 개재시켜서 된 첵크밸브를 수직으로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평형장치.
KR2019860007728U 1986-05-30 1986-05-30 왕복동식 압축기의 압력 평형장치 KR880004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728U KR880004329Y1 (ko) 1986-05-30 1986-05-30 왕복동식 압축기의 압력 평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728U KR880004329Y1 (ko) 1986-05-30 1986-05-30 왕복동식 압축기의 압력 평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519U KR870018519U (ko) 1987-12-24
KR880004329Y1 true KR880004329Y1 (ko) 1988-12-08

Family

ID=1925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728U KR880004329Y1 (ko) 1986-05-30 1986-05-30 왕복동식 압축기의 압력 평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43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519U (ko) 1987-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9270C (zh) 压缩机的排放阀
KR850003939A (ko) 스크로울(scroll) 유체기계
KR920004909Y1 (ko) 스크로울형 압축기
KR100196122B1 (ko) 스크롤식 압축기
KR880004329Y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압력 평형장치
US5080562A (en) Annular rolling rotor motor compressor with dual wipers
JPH0643515Y2 (ja) 2シリンダロータリ圧縮機
KR100301478B1 (ko) 스크롤압축기의바이패스밸브
JPH02227583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S59218380A (ja) スクロ−ル圧縮機
KR100360860B1 (ko) 로터리 압축기의 토출 밸브 장치
KR100284851B1 (ko) 스크롤 압축기의 과압축 방지장치
KR200167998Y1 (ko) 스크롤 압축기의 역회전 방지구조
KR0130196Y1 (ko) 스크롤 압축기
KR100310528B1 (ko) 스크롤 압축기의 과압축 방지장치
KR0139008Y1 (ko) 로터리형 2행정 베인 압축기
KR0173574B1 (ko) 스크롤형 유체기계
KR100308287B1 (ko) 스크롤압축기의선회스크롤구동구조
JPH029974A (ja) スクロール流体装置
JPH1037879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308285B1 (ko) 스크롤압축기의역회전방지장치
KR0136761B1 (ko) 스크롤 압축기
KR200229011Y1 (ko) 스크롤압축기의실링구조
KR20010057494A (ko) 스크롤 압축기의 냉매 가스 흡입구조
KR100314223B1 (ko) 스크롤압축기의토출배압면적가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