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931Y1 - 버튼 취부구 - Google Patents

버튼 취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931Y1
KR880003931Y1 KR2019870004874U KR870004874U KR880003931Y1 KR 880003931 Y1 KR880003931 Y1 KR 880003931Y1 KR 2019870004874 U KR2019870004874 U KR 2019870004874U KR 870004874 U KR870004874 U KR 870004874U KR 880003931 Y1 KR880003931 Y1 KR 880003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mounting hole
tip
tubular body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4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5819U (ko
Inventor
겐지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스코오빌.저팬 가부시기가이샤
곤노 시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코오빌.저팬 가부시기가이샤, 곤노 시게루 filed Critical 스코오빌.저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5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58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9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44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deformable counterpiec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64Details
    • A44B17/007Stud-member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튼 취부구
제1도는 종래의 택버튼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 취부구의 정면도.
제3도는 종래의 다른 취부구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취부구 실시예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을 따라 자른 다면도.
제6도는 사용중인 취부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면판 2 : 타격판
7 : 중공목 12 : 플랜지부
13 : 중공 관상체 14 : 첨단부
15 : 요입부 16 : 천
본 고안은 버튼 취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택타입 또는 스위블-헤드버튼 취부구에 관한 것이다.
택타입과 스위블-헤드버튼은 진등의 버튼으로써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제1도의 버튼 A는 택타입 버튼의 일예를 표시하고, 표면상(장식용) (1)과, 그 표면판에 삽입된 타격판(2)과, 표면판(1) 가장자리부에 고정되고, 그곳으로부터 외통의 틀에서 아래 방향으로 뻗고, 이어서 상방향으로 만곡하여 중앙공(4)을 형성하는 내통(5)을 형성하고, 상단(6)에 종단하는 중공목(7)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스위블-헤드버튼은 외통(3)과 표면판(1)이 직접 결합하지 않고, 외통(3)의 외면에 슬리이브를 미끄러지게 취부하여, 그 슬리이브를 표면판(1)의 외주변 모서리에 결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버튼들은 천에 고착하기 위한 취부구(종종 "택"으로 알려진)와 동등하기 때문에 도시된 택버튼을 연결하여 그 문제점을 설명할 것이다.
제2도는 종래 사용 되어온 택타입버튼 취부구 B의 전형예를 표시하고, 천에 당접하는 플랜지(8)와 그곳으로부터 적립하는 주상체(9)로 이루어 진다.
그 주상체의 선단(10)은 천에 쉽게 관통하도록 첨단으로 되어있다.
그러한 취부구를 사용해서 보탄을 천에 취부하는데에는, 취부구B의 주상체(9)를 천에 삽통하고, 그리고 버튼의 중앙공으로 삽통하고, 이어서 그 선단(10)을 타격판(2)에 때려서 찌그려 붙인다. 이것에 의하여 취부구의 선단(10)은 특정방향으로 만곡하여 중공목(7)의 내통(5) 상단으로 구부려져서 붙여지고, 이리하여 버튼은 천에 취부 완료되는 것이다.
이것을 대안으로서는 제3도에 표시된 취부구C의 주상체를 중공의 관상체로서 구성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버튼 취부의 조작을 실시할때, 관상체의 선단부가 횡으로 퍼져서 부착된다.
상기의 주상체 또는 중공의 관상체로 된 종래의 취부구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고, 안정되게 버튼을 취부할수 없다. 주상체의 경우에는 선단이 일방향에 만곡해서 내통 상단(6)으로 개합되어서 붙는다.
왜냐하면 비교적 가는 첨단부가 내통 상단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버튼 취부시 또는 버튼의 사용중에 상단의 유지가 다소 느슨해지며, 불안정하게 부착된다. 또 첨단은 외통부에 접하는 일도 있으므로 스위블-헤드버튼이 오직 한 방향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더우기 중공 관상체를 가지는 취부구의 경우에는, 코깅시첨단의 변형 형태가 다양하므로, 첨단은 항상 주상체와 같은 형태로 구부러지지 않고, 좌굴도 좌우 또는 사방에서 발생할 수 있다.
또 이 좌굴이 근원방향으로 발생하는 일도 있고, 이 경우에는 취부가 불가능 하거나 불완전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하게 안정된 버튼 취부가 가능하고 일정한 직경으로 부풀거나 팽창되기에 적합한 중공관상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 버튼 취부구는, 의복등의 천에 접하기에 접합한 플랜지와, 천에 뚫린 구멍을 삽통하여 취부 되어야하는 버튼의 취부구멍에서 타력판으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중공의 관상체로 이루어진 버튼 취부구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상체의 첨단에 근접한 대칭위치에 적어도 일부가 요입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는, 이 요입부는 직경을 사이에 두고 대향한 한쌍의 평행홈의 형태로 된 것이다.
본 고안 버튼 취부구는 상기 구조를 가짐으로써, 항상 안정된 버튼 취부를 가능하게 한다. 충격 삽입을 위한 타격판이 있는 형식의 버튼(즉 택타입 또는 스위불-헤드버튼)이 천에 부착될때, 취부구는 버튼 타격면에 대하여 중공 관상체의 첨단이 눌려진다. 이 충격 삽입의 초기 단계에서, 요입부 상부의 관상체가 수평으로 부푸는 동안, 용입부는 더 안쪽으로 오목한 부분을 만든다.
부풀음은 요입부 상부에 즉시 확실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요입부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적은 코깅력으로 중공관상체는 더욱 쉽게 변형되고, 변형된 관상체단부는 더 큰 크기로 부풀고, 버튼은 느슨해지거나 헐거워질 가능성이 적어지고 더욱 확실하게 부착 된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와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버튼 취부구 D를 표시하며, 제4도는 종단면도이고, 제5도의 V-V선을 따라 자른 횡단면도이다. 취부구 D는 천에 접하기 적합한 플랜지(12), 플랜지위에 직립한 중공 관상체(13)로 구성된다. 관상체(13)는 금속제이며, 플랜지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이 입혀지고, 평평한 플랜지에는 관상체의 저단부로 구성된다. 플랜지(12)는 버튼 접속위치를 좌우하는 표면판을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취부구의 중공 관상체(13) 상단(14)은 첨단으로 되어 있어서, 천의 취부구멍으로의 삽통이 편리하게 되어 있다.
관상체는 상단(14)에 근접한 위치에, 버튼 취부시 팽출하는 부분의 하측부분 또는 그 아래의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에, 직경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측으로9 요입하는 홈(15, 16)한쌍이 형성되어 있다. 그 단면은 제5도와 같다.
이 형상은 코깅 동작할대 팽출이 가장 원활히 행하여지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요입쌍은 3개의 위치, 혹은 다각형, 혹은 관상체 전체에 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 1개소만을 국부적으로 요입하도록 고려할 수도 있지만, 버튼의 요입 방향으로 치우치는 경향 때문에 좋지 않다.
이상 설명된 구성에 있어서, 취부구D는 제6도와 같이 버튼A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취부구의 관상체 첨단(14)은 프레스기계(도시안됨)에 의해 천(16)과 버튼(A)의 내통(5) 구멍(4)을 통하여 타격판(1)에 눌린다. 그래서 코깅력은 부분적으로 요입부(15, 15)의 티 안쪽으로 작용하여서, 코(17)부분이 바깥으로 부풀도록 상단(14)의 주위벽에 작용한다. 이렇게 하여 관상체(13)의 상단부는 일정하게 수평으로 팽창하고, 내통부(5)의 상단(6)에 대하여 고르게 주름 잡힌다.
한편, 요입홈(15, 15)의 존재로, 종래 보다도 적은 코깅력으로 충분한 코깅작용을 얻는다.
이상으로, 본 고안은 적은 코깅력으로 강한 지지력을 얻는 버튼 취부구가 제공 되어있다.

Claims (3)

  1. 의복등의 천에 접촉하는 플랜지부와 중공 관상체는 상기 플랜지부에 직립하여 세워지며, 그 끝이 첨단으로 구성된 버튼 취부구에 있어서, 중공 관상체 첨단에 근접한 대칭 위치에 적어도 일부가 요입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취부구.
  2. 제1항에 있어서, 요입부는 직경을 사이에두고 대향한 한쌍의 평행홈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취부구.
  3.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첨단은 코깅 되도록 코깅 단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취부구.
KR2019870004874U 1986-04-11 1987-04-09 버튼 취부구 KR88000393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53437 1986-04-11
JP5343786 1986-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819U KR870015819U (ko) 1987-11-23
KR880003931Y1 true KR880003931Y1 (ko) 1988-11-09

Family

ID=1294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4874U KR880003931Y1 (ko) 1986-04-11 1987-04-09 버튼 취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9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819U (ko) 198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0877Y1 (ko) 단추
KR880003931Y1 (ko) 버튼 취부구
KR20020013732A (ko) 장대 등에 사용하는 훅
KR950002323B1 (ko) 양산살의 굴절방지장치
JPS586640B2 (ja) ヨコホウコウニカドウナ クリツプオユウスルヒツキグ
JPS63214511A (ja) 釘固着式フアスナ
KR960032170A (ko) 부재들을 고정시키는 방법 및 파스너
KR0147239B1 (ko) 팽창부가 있는 못
KR960008229Y1 (ko) 파라솔 살대 고정구
JP3047044U (ja) スナップボタン
KR840000047B1 (ko) 이 중 못
JPH0141337Y2 (ko)
KR100724643B1 (ko) 건축물용 목재 프레임의 체결구
JP4019287B2 (ja) 屈曲釘
JPS5929524Y2 (ja) スナツププロング
KR200227346Y1 (ko) 망치자루
JP2876394B2 (ja) 合成樹脂製安全ピン
JPS6318812Y2 (ko)
JPS5847048Y2 (ja) 支柱と傾斜桟の連結具
JPS6318814Y2 (ko)
KR960009622Y1 (ko) 양복커버용 손잡이
JPS608724Y2 (ja) 被服用リベツト
KR960001156Y1 (ko) 집게가 일체로된 표찰
GB2400340A (en) Hand-held framing tool
JPH0675135U (ja) シートの定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