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726Y1 - 전지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전지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726Y1
KR880003726Y1 KR2019820005610U KR820005610U KR880003726Y1 KR 880003726 Y1 KR880003726 Y1 KR 880003726Y1 KR 2019820005610 U KR2019820005610 U KR 2019820005610U KR 820005610 U KR820005610 U KR 820005610U KR 880003726 Y1 KR880003726 Y1 KR 880003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battery case
battery compartment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5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892U (ko
Inventor
하루노리 야모모도
Original Assignee
소니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08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8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7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지 수납장치
제1도는 종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도시도인 전체사시도.
제3도는 주요부 확대사시도.
제4도는 주요부 사시도.
제5도는 수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지수납실 13 : 전지
14 : 코일 스프링 23 : 계합부
24 : 전지 케이스 25 : 구멍
28 : 계합 갈고리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전원전지를 수납하는 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두개의 전지(1)를 전지케이스(2)에 수납한 후, 이 전지케이스(2)에는 전극기기 캐비넷(3)의 케이스 수납구(4)로부터 삽입하도록 한 전지 수납장치가 알려져 있다. 전지 케이스(2)에는 전극을 겸한 한쌍의 눌림용 코일 스프링(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지(1)를 케이스(2)에 수납할 즈음에는, 전지(1)로 이 스프링(5)을 압축시키면서 전지(1)를 비집어 넣도록 하지 않으면 안되었고, 대단히 넣기 어렵다. 또한 전지(1)를 꺼낼때도 좁은 케이스(2)에 손가락을 넣어서, 스프링(5)으로 물리고 있는 전지(1)를 꺼내는 것은 쉬운것은 아니다. 케이스(2)는 수납구(4)로부터 캐비넷(3)내에 수납되었을 때 도시하지 않지한 적절하게 설치된 로크수단에 의해 로크된다. 그래서 케이스(2)를 꺼낼경우에는, 먼저 이 로크를 해제하고 나서 케이스(2)에 형성된부(6)를 손가락으로 걸어서 케이스(2)를 꺼내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스(2)의 출입을 원터치로 행할 수가 없다.
본 고안은 상기 결점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캐비넷(10)에는 전지수납실(11)이 설치되어 있고, 캐비넷(10)의 측면에 설치된 수납개구(12)로부터, 두개의 전지(13)를 수납한 전지 케이스(24)를 밀어넣어서 전지 수납실(11)에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전지 수납실(11)의 후벽(11a)에는 한쌍의 코일 스프링(14)이 부착되어 있다.
제3도는 상기 스프링(14)의 부착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후벽(11a)에는 한쌍의 장공(15, 16)이 중간부(17)를 두어 설치되어 있다. 이와 함께 장공(15, 16)의 양측에 한쌍의 갈고리형을 한 돌기(18, 19)가 일체로 설치되고, 더우기 중간부(17)의 아래쪽 돌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4)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끝으로부터 단자(14a)가 도출됨과 함께 이 한쪽끝이 돌기(18, 19) 사이에 삽입되어 돌부(20)에서 지지되므로서 부착된다.
이 부착상태에서, 코일 스프링(14)은 돌기(18, 19)와 중간부(17)와 돌부(20)에 의해 안정하게 지지된다. 더구나, 코일스프링(14)의 부착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해도 좋다.
전지 수납실(11) 저부의 개구(12) 부근에는부(21)가 형성되고, 캐비넷(10)의 측면(10a)에는 상기부(21)와 연통하는부(22)가 형성되어 있다.부(21)의 저부에는 계합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전지케이스(24)의 후면(24a)에는 한쌍의 구멍(25)이 코일 스프링(14)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됨과 동시에 저부에는 산모양의 한쌍의 안내편(26)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편(26)은 전지케이스(24)에 두개의 전지(13)가 수납되었을 때, 전지(13)의 위치를 결정한다.
케이스(24)의 저면 전방에는 조작편(27)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편(27)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어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고, 그 하면에 삼각형의 계합갈고리(28)가 설치되어 있다. 더구나 전지 케이스(24)는 예를 들면 ABS 수지 또는 하이인팩트스티롤등의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의한 전지 수납장치에 있어서의 전지의 수납시 및 인출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24)에 두개의 전지(13)를 수납한다. 이경우, 두개의 전지(13)를 평행으로 하여 케이스(24)에 쑥들어가는 것뿐으로, 간단하게 수납할 수가 있다. 수납된 전지(13)는 안내편(26)으로 위치가 결정되며, 다음에 전지(13)를 수납한 케이스(24)를 개구(12)로부터 밀어넣어서, 전지케이스(24)의 전면(24b)를 손가락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밀면 케이스(24)는 미끄러지면서 수납실(11)내로 밀려들어간다. 이때 조작편(27)이부(21)에 감합하여부(21)내에서 미끄러짐과 동시에 스프링(14)의 선단부가 구멍(25)으로 부터 케이스(24)에 밀어 넣어져 전지(13)의 전극에 접촉한다. 전지케이스(24)를 계속해서 밀어넣으면, 전지케이스(24)는 코일스프링(14)을 전지(13)로 압축하면서 미끄러지고, 다음에 계합 갈고리(28)가부(21)의 저부에 일단 올라 앉은후 계합부(23)로 쑥 들어간다. 이때 케이스(24)로 부터 손가락을 놓아 압압을 해제하면,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4)는 수납실(11)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14)이 압축되면서 그 선단부가 구멍(25)을 두어 전지(13)의 전극에 압접하고 있다. 따라서 전지(13)의 전압은 코일 스프링(14)을 통하여 단자(14a)로부터 내부의 회로에 공급된다. 또한 스프링(14)의 상기 압축에 의애, 케이스(24)에는 화살표 B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있으나 계합 갈고리(28)가 계합부(23)의 단부에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24)는 제5도의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제5도의 상태에서부(22)에 손가락을 넣어서 조작편(27)을 그 탄력에 버티어 화살표 C방향으로 압압하면 계합 갈고리(28)가 계합부(23)로 부터 위쪽으로 벗겨져 로크가 해제된다. 그순간 스프링(14)의 힘에 의해 케이스(24)는 B방향으로 튀어나와 그 일부가 개구(12)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그래서 손가락으로 케이스(24)를 잡아쥐어 수납부(11)로 부터 빼내어, 다음에 전지케이스(24)를 거꾸로하면, 전지(24)가 낙하하여 인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지를 수납한 전지케이스를 전자기기의 수납실에 수납하도록 하고, 상기 전지케이스에는 수납된 전지의 전극이 수용되는 구멍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실에는 스프링을 설치하고, 이때, 상기 전기케이스를 상기 수납실의 수납구로부터 밀어넣을 때, 상기 스프링이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전극에 접촉하면서 압축되도록 상기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수납실에 수납된 상기 전지 케이스에 가해지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를 수납상태에서 지지하는 로크 수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전지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지케이스에 전지를 간단하게 출입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전지 케이스의 수납실로의 출입도 간단하게 된다. 특히, 전지 케이스 인출시는, 로크를 해제하면, 케이스가 튀어나오므로, 감이좋은 조작감을 얻을수가 있어 의장상에도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1)

  1. 전자기기에 설치된 전지수납실(11)과, 이 전지 수납실에 자유롭게 붙였다 떼게끔 수납되는 케이스(2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지 케이스(24)는, 1) 전지(13)를 집어넣고 빼게끔하기 위한 개구가 상부에 설치된 상자형으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하나로 성형되고, 2) 한측면에는 삽입된 전지(13)의 전극이 향해지도록 구멍(25)이 설치되고, 3)외측면에는 전지 케이스(24)의 상기 전지 수납실로의 삽입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탄성을 갖는 조작편(27)이 설치되고, 4)상기 조작편(27)에는 계합 갈고리(28)가 설치되어, 상기 전지 수납실(11)은 5) 한측면에는 상기 전지 케이스를 집어 넣고 빼게끔하기 위한 개구(12)가 설치되고, 6) 상기 전지케이스(24) 수납때 상기 계합 갈고리(28)와 계합하여 상기 전기 전지 케이스(24)를 로크시키는 계합부(23)가 설치됨과 동시에, 7) 상기 개구(12)와 마주보는 측면에는 상기 전지 케이스(24)의 상기 구멍(25)을 통해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또한 기계적으로 압잡하고, 상기 계합 갈고리(28)와 계합부(23)의 비계합 상태로 이 전지 수납실(11)에서 상기 전지 케이스(24)를 탄성에 의해 돌출시키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1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수납장치.
KR2019820005610U 1981-10-29 1982-07-15 전지 수납장치 KR88000372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61827 1981-10-29
JP1981161827U JPS5866556U (ja) 1981-10-29 1981-10-29 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892U KR840000892U (ko) 1984-02-29
KR880003726Y1 true KR880003726Y1 (ko) 1988-10-15

Family

ID=2995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5610U KR880003726Y1 (ko) 1981-10-29 1982-07-15 전지 수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66556U (ko)
KR (1) KR8800037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9062A (ja) * 2011-06-23 2013-01-10 Audio Technica Corp ヘッドホンの電池ケースおよびそれを備えたヘッドホン
KR102498267B1 (ko) * 2021-01-13 2023-02-13 주식회사 아이웍스 마이크로버블 생성 혼합 수중 에어레이터 회전분사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0605U (ko) * 1974-10-17 1976-04-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892U (ko) 1984-02-29
JPH0145085Y2 (ko) 1989-12-26
JPS5866556U (ja) 198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8209Y2 (ko)
US11050188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US4002397A (en) Connector for electric plug
US4025142A (en) Cover for use with a ribbon coaxial cable connector
TW201534004A (zh) 盤式卡插件
SK50792008U1 (en) Positive lock connector
US6280240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with an improved slider
KR880003726Y1 (ko) 전지 수납장치
JPH0757608A (ja) 電気機器の端子カバー装置
CN210018171U (zh) 无线耳机收纳盒
US5240792A (en) Battery holder for electronic apparatus
US6807067B2 (en) Battery-Locking mechanism
KR840001564Y1 (ko) 축전지 팩 장착장치
CN220934442U (zh) 一种卡座
CN211776579U (zh) 智能门锁
KR910004679Y1 (ko) 착탈식 리모콘 겸용 버튼부착장치
JP4721037B2 (ja) 電子機器
KR0135906Y1 (ko) 원격조정기용 배터리 커버의 탈, 장착구조
JPS6216743Y2 (ko)
JPH02160386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S6213399Y2 (ko)
JPH0644953A (ja) コイン形電池を用いた電子機器
KR930008006Y1 (ko) 전자기기의 밧데리 착탈장치
JP3421930B2 (ja) 電池ケース
KR910005310Y1 (ko) 전자기기의 박형전지 수납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