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561Y1 - 조립부품의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부품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561Y1
KR880003561Y1 KR2019820004908U KR820004908U KR880003561Y1 KR 880003561 Y1 KR880003561 Y1 KR 880003561Y1 KR 2019820004908 U KR2019820004908 U KR 2019820004908U KR 820004908 U KR820004908 U KR 820004908U KR 880003561 Y1 KR880003561 Y1 KR 880003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ont panel
mold
connecting piece
protruding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4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889U (ko
Inventor
시게루 오가시와
Original Assignee
쏘니 가부시기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니 가부시기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쏘니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08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8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5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부품의 구조
제1도는 종래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횡단면도.
제3도-제6c도는 본원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3도는 사시도.
제4도는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 단면도.
제6a도-제6c도는 요부의 평면도.
제7도-제9도는 본원 고안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7도는 사시도.
제8도는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의 IX-IX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프론트 패널(다른 부재) 7 : 몰드패널(합성수지로 된 부재)
10a, 10b : 돌출편 10a', 10b' : 돌출편의 앞끝
11 : 연결편 12 : 돌기
16 : 합성수지로 된 부재 17 : 조립부재(다른부재)
A : 돌기의 돌출량
본원 고안은 예를 들면 각종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합성수지제의 각종 조립부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는 각종 전자기기의 상자체의 앞면에 부착되는 프론트 패널(1)과, 이것에 조립되는 조립부품인 몰드 패널(2)과의 조립상황을 설명하는 종래예이다. 여기에 표시된 프론트 패널(1)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압출재로 구성된 것이며, 통상 이 종류의 프론트 패널(1)의 앞면에 각종 손잡이나 누름버튼 등을 부착할 경우에는 그 프론트 패널(1)의 배면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부재인 몰드 패널(2)이 조립되고, 상기 손잡이나 누름버튼 등은 그 몰드 패널(2)에 부착된다.
종래, 이와같이 프론트 패널(1)의 배면에 몰드 패널(2)을 조립할 경우 대부분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몰드 패널(2)을 프론트 패널(1) 배면에 접착하고 있지만, 몰드 패널(2)과 같이 비교적 면적이 큰 것을 접착하는 데는 강도상의 문제가 있다. 또 접착 작업시에 접착제가 실처럼 뒤를 끄는 일이 발생하기 쉬워서 그 접착작업은 결코 용이하지 않으며, 작업성이 나쁘다. 또 서비스시 등에 있어서의 몰드 패널(2)의 부품교환은 매우 곤란하다. 그리고 상기 접착방법 대신에, 비스고정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지만, 프론트 패널(1) 및 몰드 패널(2)의 하단(1a) 및 (2a)측은 비스고정이 가능하더라도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은 프론트 패널(1)의 상단(1b)은 전자기기의 상자체의 위면에 노출되는 관계로 그 상단(1b)을 비스고정하려고 할 경우에는 그 비스가 상자체의 위면에 나타나서 외관을 현저하게 저해하기 때문에, 상단(1b)측은 실질적으로 비스고정할 수 없다.
본원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조립이 매우 간단하며, 더구나 조립된 상태에서는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된 강도가 얻어지고, 또한 서비스시 등에 있어서의 분해도 매우 용이한 조립부품의 구조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원 고안을 전자기기의 조립부품의 구조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3도-제6c도는 전자기기의 상자체의 앞면에 부착되는 프론트 패널(6)과, 이것에 조립되는 조립부품인 몰드 패널(7)과의 조립상황을 설명하는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프론트 패널(6)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압출재로 구성되며, 몰드 패널(7)은 예를 들면 ABS, 하이임팩트 스테롤,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몰드 패널(7)은 프론트 패널(6)의 배면(6a)에 밀착되어서 조립되며, 프론트 패널(6) 앞면에 배치되는 손잡이나 누름버튼 등은 그 몰드 패널(7)에 부착된다.
그런데 몰드 패널(7)에는 그 상하 양단에 수평판부(8)가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양 수평판부(8)가 프론트 패널(6)의 상하 양단에 일체로 설치된 수평판부(9)의 내면(9a)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몰드 패널(7)의 양 수평판부(8)에서 그 좌우 길이방향의 복수개소에는 그 좌우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뒤쪽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출편(10a)(10b)과, 이들 돌출편(10a)(10b)의 양끝부 사이에 연결된 탄성을 갖는 연결편(11)이 서로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연결편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의 뒤쪽면에는 돌기(12)가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6a도에 나타낸 것처럼 이 돌기(12)의 앞끝(12a)은 돌출편(10a)(10b)의 앞끝(10a')(10b')의 위치보다 더욱 뒤쪽으로 소정의 돌출량 A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몰드 패널(7)에 의하면, 이것을 제3도-제5도와 같이 프론트 패널(6)의 배면(6a)에 밀착시키고저 끼워 맞추면, 각 연결편(11)의 탄성에 의하여 각 돌기(12)가 프론트 패널(6)의 양 수평판부(9)의 후단에 따라서 배설된 스텝부(13)에 끼워 눌려져서, 그 몰드 패널(7)이 프론트 패널(6)에 고정되어 매우 간단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이때 몰드 패널(7)의 좌우 길이방향은 프론트 패널(7)과의 사이에 설치된 적절한 위치 결정수단(도시 생략)으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이때, 제6b도와 같이 돌기(12)가 스텝부(13)에 끼워 눌려지기 때문에 연결편(11)이 탄성에 의하여 도면과 같이 휘며, 그 연결편(11)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서 몰드 패널(7)이 프론트 패널(6)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양 돌출편(10a)(10b)의 앞끝(10a')(10b')이 스텝부(13)에서 근접되어서, 그 양자간의 간극B는 매우 작아진다.
한편, 사용상태로 프론트 패널(6)의 앞면에 배설된 손잡이나 누름버튼 등이 조작(손가락 등으로 누르는 것)될 때마다, 몰드 패널(7)에는 제6c도에서 화살표 방향의 부하C를 받는다. 그러나 이때 연결편(11)이 제6b도에서 나타낸 간극B해당분의 매우 근소한 양만큼 휜 다음에, 양 돌출편(10a)(10b)의 앞끝(10a')(10b')이 스텝부(13)에 맞닿아서, 연결편(11)이 그 이상 휘는 것을 규제한다. 이 결과 몰드 패널(7)은 상기 부하C에 대해서 매우 안정된 강도를 발휘하며, 연결편(11)이 그 강도의 한계 이상으로 휘어서 이 연결편(11)이 손상되거나, 프론트 패널(6)에 대한 몰드 패널(7)의 고정상태가 풀려 버리는 일은 전혀 없다.
그리고 각 돌기(12)를 스텝부(13)에서 벗겨내도록 양 돌출편(10a)(10b)을 탄성에 항거해서 휘게하는 것 뿐으로, 몰드 패널(7)을 프론트 패널(6)에서 매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어서, 서비스시 등에 있어서의 분해는 매우 간단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몰드 패널(7)의 상단측에만 상기 돌출편(10a)(10b), 연결편(11), 돌기(12) 및 스텝부(13)의 구조를 배설하고, 몰드 팬러(7)의 하단측은 프론트 패널(6)에 비스고정하도록 하는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제7도-제9도는 전자기기의 몰드샤시나 몰드 캐비닛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부재(16)에 프린트 기판이나 투명패널 등의 조립부재(17)를 조립할때의 상황을 설명하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부재(16)는 ABS, 하이임팩트 스테롤,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고, 이것에는 상술한 바와같은 한쌍의 돌출편(10a)(10b), 연결편(11), 돌기(12)가 서로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설치되어 있다. 단, 이 경우 양 돌출편(10a)(10b)은 대략 사다리끝 형태로 경사져 있으며, 다소의 탄성을 지니고 있다. 또 부재(16)에는 대략 L자형 등을 이루는 계지편(18)이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립부재(17)는 계지편(18)의 앞끝(18a)과 돌기(12)와의 사이에 연결편(11)의 탄성에 의하여 삽입되어 협지되며, 제8도와 같이 조립부재(17)에 윗쪽에서 부하C가 작용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양 돌출편(10a)(10b)의 앞끝(10a')(10b')이 조립부재(17)를 받아서, 연결편(11)이 강도의 한계 이상으로 휘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때 부하C가 소정 이상으로 클때에는 양 돌출편(10a)(10b)에 약간의 휨이 생기지만, 연결편(11)에는 일정 이상의 휨은 생기지 않는다. 또 양 돌출편(10a)(10b)이 휨으로써 상술한 큰 부하C가 부재(16)에 직접 전달되어서, 그 부재(16)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원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부재에 간격을 둔 한쌍의 돌출편과, 이들 돌출편의 앞끝부 사이에 연결된 탄성을 갖는 연결편을 서로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설치하고, 상기 연결편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상기 돌출편의 앞끝 위치보다 더욱 돌출된 돌기를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설치해서, 조립시에 상기 돌기로 다른 부재를 누르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조립부품의 구조이므로, 조립이 매우 간단하며, 더구나 조립된 상태에서는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된 강도가 얻어지고, 또한 서비스시 등에 있어서의 분해도 매우 용이한 조립부품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각종 전자기기의 조립부품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이 얻어진다.

Claims (1)

  1.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부재에, 간격을 둔 한쌍의 돌출편과, 이들 돌출편의 앞끝부 사이에 연결된 탄성을 가진 연결편을 서로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설치하고, 상기 연결편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상기 돌출편의 앞끝위치보다 더욱 돌출된 돌기를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설치하고, 착탈 가능하게 상기 돌기에 다른 부재를 탄성적으로 끼워 눌려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조립부품의 구조.
KR2019820004908U 1981-08-19 1982-06-22 조립부품의 구조 KR88000356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122753 1981-08-19
JP1981122753U JPS5829876U (ja) 1981-08-19 1981-08-19 組立部品の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889U KR840000889U (ko) 1984-02-29
KR880003561Y1 true KR880003561Y1 (ko) 1988-10-12

Family

ID=1484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4908U KR880003561Y1 (ko) 1981-08-19 1982-06-22 조립부품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29876U (ko)
KR (1) KR880003561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34613A (de) * 1971-07-09 1973-03-15 Alpura Koreco Ag Vorrichtung zum aseptischen Verpacken von sterilem Gut in Packungen, die aus Verpackungsmaterial gebildet werden, das mit einer chemisch wirkenden Sterilisationsflüssigkeit in Berührung gebracht und anschliessend durch das Innere einer Sterielkammer geführt wi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889U (ko) 1984-02-29
JPS5829876U (ja) 198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7693Y1 (ko)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KR880003561Y1 (ko) 조립부품의 구조
US6084192A (en) Slide knob mounting structure
JP2512360Y2 (ja) 板状物の係合具
JPH0130759Y2 (ko)
JPS638035Y2 (ko)
KR100362812B1 (ko) 스냅 결합식 탄성 체결구
JPH0346525Y2 (ko)
JP2501817Y2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H0260198A (ja) プリント板ガイドレールの取付構造
KR200179724Y1 (ko)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고정장치
JP2522782Y2 (ja) 制御機器の前部の構造
JPH0355214Y2 (ko)
JPH0530375Y2 (ko)
JPS643234Y2 (ko)
KR900000759Y1 (ko) 사출물을 이용한 전자레인지의 키이 패드 구조
JPS5935931Y2 (ja) 機器に於ける押釦取付装置
KR970003853Y1 (ko) 전자제품의 윈도우 조립체구조
KR890007830Y1 (ko) 전자 오르간의 건반구조
KR850001770Y1 (ko) 푸쉬버튼 장치
JPH0726655Y2 (ja) 測定器
JP2000123669A (ja) 連結つまみ
JPH10172689A (ja) 挟持型コネクタ
KR0123931Y1 (ko) 카 오디오용 택트노브의 설치구조
KR970005023Y1 (ko) 디지탈 피아노의 상부 판넬 고정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