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317Y1 - 가로(街路)용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가로(街路)용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317Y1
KR880003317Y1 KR2019850002861U KR850002861U KR880003317Y1 KR 880003317 Y1 KR880003317 Y1 KR 880003317Y1 KR 2019850002861 U KR2019850002861 U KR 2019850002861U KR 850002861 U KR850002861 U KR 850002861U KR 880003317 Y1 KR880003317 Y1 KR 880003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pot
main body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2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178U (ko
Inventor
박무열
Original Assignee
박무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열 filed Critical 박무열
Priority to KR2019850002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3317Y1/ko
Publication of KR8600111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1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3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로(街路)용 화분 받침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a)도는 제1실시예의 평면도, 제4(b)도는 제 2 실시예의 평면도.
제5(a)도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에의 사시도, 제5(b)도는 제5(a)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1" : 제 1, 2, 3실시예의본체 2 : 다공판
3 : 재치실 4 : 저수조
5 : 요부 6 : 삼투관
7 : 격벽 8 : 통공
본 고안은 주로 가로수, 가로등과 같은 봉상의 고정지지치에 손쉽게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화분받침대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이는 특히 단일 또는 복수의 화분을 재치할 수 있는 재치실과, 빗물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물이 고이게 된 저수조와의 관련구성으로 되면서 상기 재치실에 얹어진 화분과 저수조와의 사이에 삼투관에 의한 물의 자동공듭을 매개하는 기술적 수단을 부여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분야에서는 화분을 단일 또는 복수개의 전시하거나 현가하는 기구가 현존하고 있었으나 가로등 같은 기둥 등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물의 저장에 의한 화분에로의 물의 자동공급을 이루려는 단일이며 일체의 기술적 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므로서 이러한 형편에서의 편리성이 떨어지고, 불편함이 고조되어 있다. 일례로, 복수의 재치대로 구획시킨 가정용 화분받침대는 이에 일일이 소정 시간마다 물을 주어야만 하므로서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 되고, 또 가로 같은 곳에 가로의 미화상 진열시킨 화분받침대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작업이 소정시간마다 행해져야 하므로서 그 관리상의 불편함이 있다.
한편, 본고안의 기술분야와 비교적 관련이 있는 종래 기술들은 독립된 화분자체에 물의 저장수단을 구비하여 별도 구획된 화분 토양에로의 물의 자동공급이 이뤄지도록한 것도 많이 알려져 있고 이러한 것의 일예로는 우리나라 공고번호 제298호에 기재된 공고번호 74-454호의 인용 예를 들수 있다.
여기서는 상부에 토양을 마련하고 격판과의 사이로 하부에 저수조를 형성하여 하부에 상부토양으로의 물의 자동긍급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단일의 화분에 마련되는 저수조로의 물공급수단을 깔대리를 포함한 관등의 것으로 별도로 구비하고 있음과 더불어 저수조가 화분 자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므로 그 물의 저수량에 그 제한을 받게 되며, 저수조로부터 토양까지의 물 자동공급수단이 헝겁등에 의한 삼투현상으로 이뤄지도록 한 것이므로 그 물의 자동공급 조건이 효율적으로 될 수가 없다.
특히, 이러한 기술들은 화분의 받침대이면서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포함한 것으로 설계된바 없으므로 이들은 그 사용 및 용도상의 제약을 받게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선행기술들의 제단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가로용 화분받침대에 적합하게 설계된 새로운 기술적 수단을 마련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고안은 비교적 대용량이 될 수 있는 저수조로부터 별도의 독립되어 놓여지는 화분에로의 자동물 공급이 이뤄지도록함에 의해 이러한 물품의 새로운 이용가치를 부여함과 동시에 편리하면서 관리상의 이점도 얻을 수 있도록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물의 공급이 번거로운 위치에 놓여진 가로(街路)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불편 및 관리상의 번거로움으로 인한 도시 미화의 화분진열이 좀더 양호히 진전되지 못하므로 인한 도시환경의 쾌적한 상태를 이루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을 극복시킬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려는데도 있다. 이하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본체(1)내에 다공판(2)으로 된 격벽과의 사이에 그 하부에는 저수조(4), 상부는 화분재치실(3)로 되며, 상기 다공판(2)에는 복수의 통공(8)이 뚫려 있으며 상기 통공(8)을 통하여는 저수조(4)로부터 상부 재치실(3)에 놓여지는 화분까지의 위치를 고려한 삼투관(6)이 끼워져 있다.
또, 상기본체(1)는 적어도 중앙에 소정의 기둥과 끼워질 수 있는 원호면 또는 각형의 요부(5)가 길이방향관통되어 형성되어진다.
또, 상기 본체(1)는 반원요부(5)를 중심으로 서로 분리 결합되는 좌, 우 1개씩 1조의 서로 대칭된 반원형 원통으로 되어지는 구성이다.
또, 상기 1조의 반원형원통 자체는 제 2도에서와 같이 칸막이(7)를 두어 2조로 분리시킨 제2 실시예의 본체(1')로 할 수도 있다.
또, 제5도에서는 본체(1")를 90°각의 부채꼴 형으로 하여 역시 상부에 재치실, 하부에 수조(4)의 구성으로 되고 부채꼴형의 중심부에는 원호면이 형성되어 기둥의 원형면에 맞춰질 수 있도록한 제3실시에의 것이다.
미설명부호 9는 저수조의 수위조절용 누수공이고, 10은 체결볼트, 10',10"는 체결공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상기 언급된바의 여러 실시예의 구성을 거리의 가로등이나 가로수등의 적당한 위치에
구성을 거리의 가로등이나 가로수등의 적당한 위치 제1, 2, 3, 실시예 본체(1)(1')(1")를 두개 또는 네개가 서로 대접되게 한 후 체결볼트(10)로서 소정가로등 또는 가로수에 설치하며, 다공판(2)의 통공(8)을 통하여는 빗물에 의하거나 인력으로 저수조(4)에 소정용량의 물을 저수시킨 후 화분(11)을 재치실(3)에 재치하여 삼투관(6)을 관설하면 저수조(4)의 물은 자동으로 상부의 화분(11)에로 공급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본체를 소망하는 가로등 등의 적당한 높이와 위치에 환착시키면 가로의 분위기를 미려하게 꾸밀 수 있다.
또, 저수조에 비교적 다량으로 저수된 물을 하부에서 상부로의 물 자동공급이 진행되어 이러한 물품의 편리성을 보장하게 되는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반원기둥 형상으로서 전봇대나 기로등의 기둥에 결착될 수 있도록 그 대접면 쪽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의 요부(5)를 형성한 본체(1)와, 이 본체의 내부를 복수의 통공(8)을 가진 다공판(2)으로 가로 방향으로 격벽을 이루게하여 그 하부는 저수조(49로 하고 그 상부는 화분재치실(3)로 하며, 상기 저수조(4)로부터 화분재치실(3)의 소정의 부위까지 삼투관(6)이 관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화분받침대.
  2. 화분재치실(3)내에 세로 방향으로 격벽(7)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화분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1")를 부채꼴 기둥형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용 화분받침대.
KR2019850002861U 1985-03-21 1985-03-21 가로(街路)용 화분 받침대 KR880003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861U KR880003317Y1 (ko) 1985-03-21 1985-03-21 가로(街路)용 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861U KR880003317Y1 (ko) 1985-03-21 1985-03-21 가로(街路)용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178U KR860011178U (ko) 1986-10-02
KR880003317Y1 true KR880003317Y1 (ko) 1988-09-24

Family

ID=1924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2861U KR880003317Y1 (ko) 1985-03-21 1985-03-21 가로(街路)용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3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794B1 (ko) * 2009-04-21 2009-12-07 군산시 하늘공원 가로등
KR200450466Y1 (ko) * 2009-08-13 2010-10-05 영 성 왕 적층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794B1 (ko) * 2009-04-21 2009-12-07 군산시 하늘공원 가로등
KR200450466Y1 (ko) * 2009-08-13 2010-10-05 영 성 왕 적층생육을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178U (ko) 1986-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6720A (en) Plant watering mat system
KR900006270B1 (ko) 자동급수 화분의 급수량 조절방법
KR102117368B1 (ko) 이동식 화분 진열대
US20040010971A1 (en) Grow pole
KR101227836B1 (ko) 수경화분 및 수경재배장치
EP2885963A1 (en) Vertical garden
KR20150087510A (ko)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및 이 박스형 화분수용용기가 다수개 모듈방식으로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벽면녹화장치
US4882875A (en) Plant holder apparatus
KR200475823Y1 (ko) 실내 조경용 화분
KR880003317Y1 (ko) 가로(街路)용 화분 받침대
US40373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available volume for a nutritive solution contained in a hydroponic receptacle
KR200220769Y1 (ko) 점적식 가로등 부착형 거리미화용 화분
CN215223324U (zh) 一种新型植物墙结构
JPH04135426A (ja) 栽培鉢に対するかん水を行うためのプランター
JP2001333653A (ja) フラワーポスト
CN107912181A (zh) 一种适用于栽培多种类的绿植盒子
JPH07115861A (ja) プランター
KR200367528Y1 (ko) 급수식 다용도 화분
US2556522A (en) Irrigating device for growing plants
JP2000102324A (ja) 傾斜式植栽用ポット
KR101014627B1 (ko) 화분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353414Y1 (ko) 화분 걸이 장치 및 화분 걸이 장치를 구비한 기둥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840000930Y1 (ko) 다용도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