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930Y1 - 다용도 화분 - Google Patents

다용도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930Y1
KR840000930Y1 KR2019820007388U KR820007388U KR840000930Y1 KR 840000930 Y1 KR840000930 Y1 KR 840000930Y1 KR 2019820007388 U KR2019820007388 U KR 2019820007388U KR 820007388 U KR820007388 U KR 820007388U KR 840000930 Y1 KR840000930 Y1 KR 8400009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resent
connecting rod
po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7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219U (ko
Inventor
박상표
Original Assignee
박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표 filed Critical 박상표
Priority to KR2019820007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930Y1/ko
Publication of KR8400012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2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9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용도 화분
제1도는 본 고안의 화분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화분중심대의 일부 단면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연결봉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가지 달린 연결봉의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화분바침대의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화분 바침대의 사시도. (벽걸이용)
제7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화분 바침대의 사시도. (연결봉이나 중심봉과 연합 사용하는 것)
제8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화분 바침대의 사시도. (화분바침을 3개 가짐)
제9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화분 바침대의 사시도. (천정거리용 3개의 화분 바침을 가짐)
제10도는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의 정면도. (중심봉에 식물을 매어서 고정)
제11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 (중심봉위에 연결봉을 끼워서 사용함)
제12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정면도. (중심봉위에 가지달린 연결봉을 사용한 것)
제13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정면도. (중심봉위에 제7도의 바침봉을 사용하여 적은 화분을 재치하여 화분을 다층으로 배열한 것)
제14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의 정면도.(중심봉위에 바로 작은 화분을 다층으로 적치 배열한 것)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분 2 : 돌출부
3 : 중심봉 4 : 암사나부
5 : 소공 6 : 연결봉
7 : 가지 8 : 삽입돌부
9 : 바닥용 바침대 10 : 후드
11 : 봉부 12 : 바침접시
13 : 삽입돌부 14 : 벽거리형 바침대
15 : 소공 17 : 바침봉
18 : 원통부 19 : 천정거리용 바침대
101 : 식물 102, 103 : 물구멍
본 고안은 화분과 중심봉과 연결봉과 바침대를 다양하게 사용하여 화분들을 다양하게 배열하여 주위환경에 변화를 줄수 있는 장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한 다용도의 화분과 바침대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도시생활에서 화분들이 시민의 정서생활에 기여하는 바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따라 화분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대로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화분 진열대들은 일반적으로 철근과 앵글등을 용접등을 이용하여 제작한 것들이며, 용이하게 분배, 또는 조립을 할 수 있는 것은 없으며, 또한 구조를 변경할수도 없도록 제작되어 있으므로 화분 배열상에 변화를 줄수 없는 결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간단한 장치들로 구성되어 여러가지로 다양하게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하므로서, 또한 넝쿨식물등을 개성있게 가꿀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져 한다.
제1도에 본 고안의 화분 단면도가 표시되어 있으며, 제2도에는 본 고안의 중심봉이 표시되어 있다.
화분(1)에는 하부바닥의 중심구멍 상부에 돌출부(2)가 일체로 형성되며, 돌출부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도의 중심봉(3)의 길이는 항상 화분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도록 구성되며, 중심봉(3)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2)의 수나사가 끼워질수 있도록 구성된 암나사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봉의 내부중공원통의 경은 상기 돌출부의 내경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중심공의 상부에는 소공(5)이 양측면으로 관통되어 있어, 공지의 고리등에 의하여 천정등에화분을 걸어 놓을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도와 같이 구성된 화분(1)에 제2도의 중심봉(3)을 끼워서 본 고안의 기본 화분을 형성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연결봉(6)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제4도는 연결봉(6)에 가지(7)가 부착되어 있는것의 정면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연결봉(6)의 삽입돌부(8)의 외경은 중심봉(3)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어 중심봉(3)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구성한다.
제5도에는 바닥에 설치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닥용 바침대(9)의 사시도가 표시되어 있다.
바닥용 바침대(9)는 후트(10)위에 봉부(11)가 있으며, 이 봉부(11)는 다양한 조각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봉부(11)의 상부에는 바침접시(12)가 일체로 부착되며, 바침접시(12)는 화분을 바쳐서 안정을 주는 역활과 동시에 바쳐진 화분에 물을 줄때에 물을 받아서 소공(103)을 통하여 봉부(11)에 연하여 아래로 흘러 내리도록 유도하는 역활을 하도록 할수 있다.
바침접시(12) 상부로 연장되는 봉부끝은 삽입돌부(13)를 구성하며 구조는 삽입돌부(8)와 동일하다.
제6도는 벽걸이형 바침대(14)로 바침대를 구성한 것이며, 낚시형상의 바침봉의 끝부에 벽에 걸도록 소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제7도는 중심봉(3)의 상부나, 연결봉(6)의 상부에 끼울수 있도록 구성된 바침봉(17)이 표시되어 있다.
제8도는 제5도의 바침대의 상부에 다수개의 바침자리를 구성한 것이며, 도면에는 3개의 바침접시(12)와 삽입돌부(13)가 표시되어 있다.
제9도에는 천정등에 걸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천정거리용 바침대(19)가 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도 균형유지를 위하여 다수개의 바침자리가 구성되는 것은 물론이며, 도면에는 3개의 바침접시(12)와 삽입돌부(13)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제1도 내지 제9도에서 설명한바와 같은 화분과 중심봉과 연결봉과 바침대를 다양하게 조립하므로서, 본 고안의 목적을 충족할수 있는 다용도의 화분과 바침대를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0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용도의 화분과 바침대의 활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져 한다.
도면에서 바침대들은 표지하지 안했으며, 이들 모든 실시예 들은 상기 제5도 내지 제9도에서 설명된 모든 바침대상에 재치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0도는 본 고안의 다용도의 화분과 바침대의 기본 실시예이다.
즉 화분(1)에 중심봉(3)을 끼워서 식물(101)을 심어 식물(101)이 흔들리지 않도록 중심봉(3)에 묶어놓은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같 이 형성된 화분을 중심봉(3)의 소공(5)를 이용하여 천정에 매달수도 있으며,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각종 바침대위에 재치할수도 있다.
제11도, 제12도는 제10도의 중심봉상에 연결봉(6)을 끼워서 지주를 형성하는 실시예이며, 연결봉(6)은 식물의 키가 자람에 따라 연장시키며, 식물들을 바로 자라게 지지하는 역활을 하는 것이다. 제12도는 연결봉(6)에 가지(7)가 부착된 것을 사용한 것이다.
제13도는 제10도의 중심봉(3)상에 제7도의 바침봉(17)을 끼우고 그위에 중심봉(3)을 가진 중형 화분과 소형 화분을 동일 형식으로 재치하여 다층을 형성한 실시예를 표시하였다.
제14도는 제10도의 중심봉(3)상에 중심봉(3)을 가진 소형화분을 다층으로 직접 적재한 실시예를 표시하였다.
이들 제13도제14도에서는 특히 넝쿨식물을 재배하는데 편리하다. 즉 식물이 커 올라가면서 각각의 화분에 뿌리를 내리게 되므로 성장이 매우 빠르며, 매우 무성하게 넝쿨을 뻗게된다. 본 고안의 재료는 일반적으로 프라스틱이 좋으나 재료에 제한은 없다.

Claims (1)

  1. 화분, 중심봉, 연결봉 및 받침대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다용도 화분에 있어서 밑바닥중심공의 상부에 내부로 부터 구멍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숫나사가 형성된 돌출부(2)가 형성된 화분(1)과 이 돌출부(2)에 나합하는 암나사부(4)를 형성한 중심봉(3)과 소요 길이의 원통상봉으로 되고 하부에는 중심봉(3)의 상부에 삽입할수 있는 삽입돌부(8)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윗측의 다른 연결봉의 삽입돌부를 삽입할수 있는 원통부(18)를 형성한 연결봉(6)과, 선단부를 1또는 복수개로 분기시킨 봉부(11)의 선단부에 받침접시(12)와 화분(1)의 돌출부(2)내에 삽입하는 삽입돌기(13)를 일체로 형성한 바침대로 형성된 다용도화분.
KR2019820007388U 1982-09-18 1982-09-18 다용도 화분 KR8400009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7388U KR840000930Y1 (ko) 1982-09-18 1982-09-18 다용도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7388U KR840000930Y1 (ko) 1982-09-18 1982-09-18 다용도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219U KR840001219U (ko) 1984-04-30
KR840000930Y1 true KR840000930Y1 (ko) 1984-06-14

Family

ID=7214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7388U KR840000930Y1 (ko) 1982-09-18 1982-09-18 다용도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9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924A (ko) * 2000-12-11 2002-06-20 전의표 독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924A (ko) * 2000-12-11 2002-06-20 전의표 독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219U (ko) 198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392B2 (en) Self-watering system for a potted plant
US20140083007A1 (en) Spiral garden
US5235780A (en) Frames for supporting living plants
GB2098043A (en) Plant supports
KR101028771B1 (ko) 급수수단을 구비한 다중 화분
KR840000930Y1 (ko) 다용도 화분
US4942692A (en) Wire frame for living plant wreath
KR20070119940A (ko) 화분 받침대
JP2559252B2 (ja) 裁培容器及び裁培装置
JPH01247023A (ja) 植物栽培筒及びこれを有する植物栽培装置
KR101014627B1 (ko) 화분
CN212036944U (zh) 一种生态景观花台
KR200425493Y1 (ko) 액자 기능을 갖는 탁상용 화분
CN215648407U (zh) 一种园艺花卉种植用立体栽培支架
KR0139530Y1 (ko) 재배장치
CN210143399U (zh) 一种植物固定装置
KR880003317Y1 (ko) 가로(街路)용 화분 받침대
KR870000179Y1 (ko) 조립식 화분
KR200457722Y1 (ko) 덩굴식물용 성장 지지대
KR880000329Y1 (ko) 조립식 화분 받침대의 조립구
CN107593155B (zh) 一种立体拼凑型花盆
KR100336631B1 (ko) 고설 재배용 용기
JP3005460U (ja) 立体植木竹筒及び立体花壇
JP3011489U (ja) 洋蘭鉢受け具
JP3110723U (ja) 懸垂式植木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