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045Y1 - 잔향 부가장치 - Google Patents

잔향 부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045Y1
KR880003045Y1 KR2019810008770U KR810008770U KR880003045Y1 KR 880003045 Y1 KR880003045 Y1 KR 880003045Y1 KR 2019810008770 U KR2019810008770 U KR 2019810008770U KR 810008770 U KR810008770 U KR 810008770U KR 880003045 Y1 KR880003045 Y1 KR 880003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verberation
supplied
delay circu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8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174U (ko
Inventor
다까시 시바다
마사아끼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2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0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91Means for obtaining special acoustic effec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9/00Networks using time-varying elements, e.g. N-path fil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reverberation or echo sound
    • G10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reverberation or echo sound using electronic time-delay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26Time-delay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265Acoustic effect simulation, i.e. volume, spatial, resonance or reverberation effects added to a musical sound, usually by appropriate filtering or delays
    • G10H2210/281Reverberation or ech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5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audio signals to reverberation of the listening sp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26Reverb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잔향 부가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잔향 장치를 도시한 계통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잔향 장치의 출력 특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잔향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계통도.
제4도 및 5도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사용된 도표.
제6도 및 7도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계통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혼합회로를 고시한 계통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혼합 회로에 사용된 가변 저항기의 특성도.
제10A도 내지 10D도는 각각 제8도의 혼합 회로에 사용된 가변저항기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L,21R : 신호 입력 단자 12,12a,12b,22L,22R : 가산기
13,39L,39R : 출력단자 14,37L,37R : 지연회로
15,15a,15b,38L,38R : 스프링형 잔향기 16 : 압축회로
17 : 팽창회로 23 : 혼합회로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잔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연적인 잔향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잔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분야에서 잔향장치는 이미 제안 되어져 있으며, 그 한 실시예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있어서, 원 신호는 입력단자(1)를 통하여 가산기 또는 가산장치(2)에 공급되며, 여기에서, 이 원 신호에 후술될 잔향신호가 부가되어 출력단자(3)로 전달된다. 상술된 잔향신호는 우선 지연회로(4)를 통해 공급되며, 이 지연회로는 예를들면, BBD(버켓 브리게이드 장치)와 감쇄기(5) 및 가산기(6)로 구성되어 있다.상세히 말하면, 입력단자(1)에 공급된 원 신호는 가산기(6)를 통하여 지연회로(4)에 공급 되고 이 지연회로에서 지연되어진다. 이 지연된 신호는 가산기(2)에 공급되어 원 신호에 가산되고, 이와 동시에 감쇄기(5)를 통해 가산기(6)로 궤환된다. 본 경우, 지연회로(4)로 부터는 제 2도의 도표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 신호(a)에 대한 신호(b1), (b2)‥‥가 반복적으로 발생된다.
잔향 신호는 또한 잔향기(7)에 의해 발생된다. 즉, 입력단자(1)에 공급된 원 신호는 또한 잔향기(7)에 공급되고, 이 잔향기의 출력 잔향신호는 또한 가산기(2)에 공급되어 원 신호에 부가된다. 본 경우, 잔향기(7)로 부터의 잔향신호는 제2도에 도시된 곡선(C)로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상술된 종래기술의 잔향장치에 의하면, 지연회로(4)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궤환되어 잔향음을 발생시키므로, 본래의 결함이 확대되어 청취의 관점에서 좋지못한 잔향이 초래된다.
더우기, 종래기술의 잔향장치에 있어서, 잔향기(7)는 단지 원 신호 통로에 병렬접속되어 있으므로, 잔향기(7)의 잔향시간은 자체적으로 짧게되어, 깊고 넓은 장향음을 발생시킬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원천적인 결합을 제거한 잔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연회로와 스프링형 잔향기가 직렬 접속된 신규한 잔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잔향장치에는 입력신호가 공급되는 신호입력단자와 ; 상기 신호입력단자에 접속되는 입력단자와 또한 출력단자를 가진 지연회로와 ; 상기 지연회로 수단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입력단자와 또한 출력단자를 가진 스프링형 잔향기 및 ; 각각 상기 스프링형 잔향기의 출력단자와 상기 신호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잔향응을 발생하는 가산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한쌍의 입력단자와 또한 한쌍의 출력단자를 가진 가산회로가 설치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등은 동봉된 도면과 관련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 것이며, 도면에서 같은 소자나 부품에는 같은 부호가 사용되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3도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잔향장치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 3도에서, (11)는 원 신호가 공급되는 입력단자이다. 이 입력단자(11)에 공급된 원 신호는 가산기(12)를 거쳐 출력단자(13)로 전달되고 또한 BBD로 구성된 지연회로(14)로 이송되어 지연되어진다. 지연된 신호는 스프링형 잔향기(15)로 전달되어 여기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가산기(12)에 공급되어 원 신호에 부가된다. 본 경우, 스프링형 잔향기(15)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즉, 제4도에 곡선으로 도시된 톤 버스트(a)가 스프링형 잔향기(15)에 직접 공급되면, 이 잔향기는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잔향신호(b)를 발생시키며, 이 잔향신호(b)의 피크는 톤 버스트(a)가 공급된 1.5msec(밀리세컨드)후에 생긴다.
제3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잔향장치로서는 원 신호가 지연회로(14)에 의해 지연된 후 스프링형 잔향기(15)에 공급되므로, 잔향신호(b)의 피크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톤 버스트(a)의 공급후 5.5msec만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원 신호는 잔향신호와 명백하게 분리될 수 있거나 또는 원 신호가 깨끗하게 될 수 있다. 더우기, 잔향시간은 지연회로(14)의 지연시간만큼 연장되어, 잔향음의 확장감을 개량할 수가 있다. 또한, 고레벨의 잔향음은 지연회로(14)의 지연시간 예를들면, 5.5msec후 갑자기 발생되므로 폭넓은 잔향감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잔향장치에 따르면, BBD 및 스프링형 잔향기(15)로 구성된 지연회로(14)만이 사용되므로, 잔향장치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다. 더우기, 잔향신호의 피크는 지연회로(14)의 지연시간 만큼 사실상 지연될 수 있으므로, 원 신호가 명료해질 수 있고, 또한 폭넓은 잔향감이 지속될수 있으며 잔향음의 확장 감도 스프링형 잔향기(15)에 의해 실현될 수가 있다.
실험에 따르면, BBD로 구성된 지연회로(14)의 지연시간이 40내지 50msec였을때 가장 자연적인 확장감을 느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제6도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잔향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제 3도의 것과 같은 소자나 부품은 같은 부호로 표시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6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테레오 재생음과 유사한 음의 확장감을 얻기 위해 좌우 스피커(도시치않음)에서 잔향음이 얻어진다. 즉 BBD로 구성된 지연회로(14)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두개의 스프링형 잔향기(15a) 및 (15b)에 공급되고, 이들 잔향기의 출력신호는 가가 가산기(12a) 및 (12b)에 공급되며, 이들 각각의 가산기에는 입력단자(11)를 통해 원 신호가 공급되어 있다. 가산기(12a) 및 (12b)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각각 출력단자(13a) 및 (13b)를 통해 발생된다.
제 6도은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 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얻어지는 동일한 효과가 실행되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제 6도의 실시 예로서, 두개의 스피커가 구동되어 스테레오 재생음자 유사한 최장감이 실현될 수 있다.
제7도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3도 및 제6도의 소자 및 부품과 같은 것은 동일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제 7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회로(16) 및 팽창회로(17)는 제6도의 실시예에 부가하여 사용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입력단자(11)을 통해 통과된 원 신호는 압축회로(16)에 공급되어 그 진폭이 압축된 후 BBD로 구성된 지연회로(14)로 이송된다.이 지연 회로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팽창회로(17)에 공급되어 원 진폭의 신호로 복원되도록 진폭이 팽창된다. 팽창회로(17)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스프링형 잔향기(15a) 및 (15b)로 공급되고, 이들 잔향기의 출력신호는 각각 가산기(12a) 및 (12b)에 공급된다.
제7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6도의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것과 같은 효과가 달성됨을 쉽게 알 수 있다. 더우기, 제7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 신호는 압축회로(16)에 의해 진폭 압축된 후 지연회로(14)로 이송되므로, 이 지연회로(14)는 포화를 방지하여 잔향음의 클립을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우기, 지연회로(14)를 형성하는 BBD에 대한 입력신호의 레벨은 억제되므로, BBD는 잡음이 덜 발생되어 SN비가 개량될 수 있는 영역에서 작동될 수가 있다.
이제 제8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며, 본 고안에 따른 음향장치의 예에는 혼합장치가 적용되어 있다.
제8도에서, (21L)은 입력단자로서 좌채널 신호가 공급되며 가산기(22L)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입력단자(21L)에 인가된 좌채널 신호는 본 고안에 적용된 혼합회로(23)에 공급된다. 우채널 신호는 입력단자(21R)을 거쳐 가산기(22R)로 직접 인가되며 또한 혼합회로(23)에 인가된다.
혼합회로(23)는 4개의 가변저항기(24,25,26, 및 27)와 6개의 완충 증폭기(28,29,30,31,32 및 33)와, 2개의 가산기(34 및 35)로 구성되어 좌채널 신호 및 우채널 신호를 서로 혼합시켜 혼합된 두 신호로 각각 내부 출력단자(36L 및 36R)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입력단자(21L및 21R)에 공급된 좌우채널 신호는 각가 환충 증폭기(28 및 29)를 통하여 가변 저항기(24 및 25)의 한 단부에 공급된다. 이들 가변 저항기(24 및 25)의 다른 단부는 각각 접지되고, 가변 저항기(24 및 25)의 가동편(24a 및 25b)에서 얻어진 신호는 모두다 완충 증폭기 (30 및 31)를 통해 가산기(34)로 공급된다. 가산기(34)의 출력신호는 내부 출력단자(36L)로 전달된다.
입력단자(21L및 21R)와 완충 증폭기(28 및 29)를 거쳐 통과된 좌우채널 신호는 각각 가변 저항기(26및 27)의 한 단부에 공급되며, 이들 가변 저항기 다른 단부는 각각 접지된다. 가변 저항기(26 및 27)의 가동편(26a 및 27a)에서 얻어진 신호는 둘다 모두 환충 증폭기(32 및 33)를 거쳐 다른 가산기(35)로 공급되며, 이 가산기(35)의 출력신호는 다른 내부 출력단자 (36R)로 전달된다.
본 경우, 가변 저항기(24 내지 27)은 모두 B-곡선 특성을 가지며 또한 함께 4개 집단의 가변 저항기를 형성한다. 가변 저항기(24 내지 27)의 공통 노브(18)가 회전되면, 가변 저항기(24 및 27)의 저항치(R1 및 R4)[여기에서(R1및 R4)는 가동편(24a 및 27a)이 정지하는 위치와 접지 단부간의 가변 저항기(24 및 27)의 저항치이고, 사실상 다른 가변 저항기(25 및 26)와 유사하다]는 제9도에 직선 또는 곡선(R1.4)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함께 증감된다. 반면에, 다른 가변 저항기(25 및 26)의 저항치(R2및 R3)는 제9도에 직선 또는 곡선(R2,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면 저항기 (24 및 27)와는 반대 방향으로 함께 증감된다.
본 경우, 가변 저항기(24 내지 27)의 노브(18)는 중간점 즉, 중심각 위치 (Q0)(제9도 참조)에서 유효 회전 각으로 회전될때 찰칵하는 감을 느끼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변 저항기(24 내지 27)의 노브(18)가 중간점(θ0)에서 회전되면, 이들의 저항치(R1,R2,R3, 및 R4)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값(r3)이 된다. 따라서, 찰칵하는 감이 중간점(θ0)으로 노브(18)를 회전시킴으로 확인되면, 가변 저항기(24 내지 27)의 각각의 저항치(R1내지 R4)는 동일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8도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혼할 회로(23)에 의해 공급되어 내부출력단자(36L및 36R)에 전달된 두 신호(제1및 제2 혼합 신호로 참조됨)는 각각 지연회로(37L 및 37R)로 공급되고, 이들 각각의 지연회로는 BBD로 형성되며, 상기 신호를 소정의 시간 만큼 지연시킨다. 따라서, 지연회로(37L 및 37R)에 의해 지연된 제1 및 제2 혼합신호는 각각 스프링형 잔향기(38L 및 38R)로 공급되고, 이들 잔향기로 부터 제1 및 제2 잔향 신호가 발생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잔향신호는 각각 가산기(22L 및 22R)로 공급되어 좌우채널 신호에 가산된 후 각각은 외부 출력단자(39L 및 39R)로 전달된다.
우선, 스테레오 및 자연적인 음의 확장감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스테레오 음감 및 자연직인 확장감을 얻기 위하여, 좌우채널 신호가 각각 완전히 분리되고, 좌우채널 신호에 대한 잔향신호가 적절한 혼합비로 혼합된 후, 각각 좌우채널 신호에 부가되는 상태로 외부 출력단자(39L 및 39R)에 전달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제 8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좌우채널 신호는 혼합회로(23)에 의해 적절한 혼합비로 미리 혼합된후, 이 제 1 및 제2 혼합 신호는 제1 및 제2 잔향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며, 사실상 적절한 혼합비로 좌우채널 신호의 잔향신호를 혼합시킴으로써 제공된 신호와 동일하다.
가변 저항기(24 내지 27)의 노브(18)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것의 완전한 위치(제10A참조)로 회전되면, 이 상태에서 노브(18)의 각도 위치는 θL(제9도참조)이 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가변 저항기(24 및 27)의 저항치(R1및 R4)는 둘다 r1)이고, 반면에 가변 저항기(25 및 26)의 저항치(R2및 R3)은 모두 0이다.
노즈(18)가 상기 위치에서 선정된 각도(△θ)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각각의 가변 저항(24 내지 27)은 제10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러한때에, 저항값(R1및 R4)은 r1에서 r2로 감소되며, 저항값(R2및 R3)은 0에서 r4로 증가된다. 가산기(34)에서 신호의 가산은 제1 채널신호의 레벨에 대한 제2 채널신호의 레벨이 r2에 r4를 가산하는 방법으로 된다. 따라서, 원주 신호로서 구동하는 제1 채널신호는 제1 혼합신호(r2>r4이므로)를 제공하도록 낮은 레벨의 제2 채널신호와 보충적으로 혼합된다. 반면에, 다른 가산기(35)에서 전자와는 반대로, 원 신호로서 구동되는 제2 채널신호는 제2 혼합신호가 될 낮은 레벨의 제1 채널신호와 혼합된다. 이러한 상기 사실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공된 제1 혼합신호에 근거를 두어, 후단에 위치된 지연회로(37L)와 잔향기(38L)에 의하여 제1 잔향신호 가 발생된다. 제1 잔향신호는 좌채널 신호의 잔향신호가 원 신호 성분이고 낮은 레벨의 우채널 신호의 잔향 신호가 제1 혼합신호의 특성에 기인하여 전자와 혼합되는 신호이다. 반면에, 제2 잔향신호는 원 신호성분으로서의 우채널 신호의 잔향신호와 전자에 혼합된 낮은 레벨의 좌채널 신호의 잔향신호로 구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발생된 제1 및 제2 잔향신호는 제각기 가산기(22L 및 22R)에서의 좌채널 신호 및 우채널 신호에 가산될때 확장된 감을 느낄 수 있는 음향 효과가 재현된다. 예를 들자면, 좌채널용 스피커(도시되지 않음)로 부터는 좌채널의 음향과 좌채널의 잔향음이 주로 들리게 되고, 우채널의 잔향음이 약간 들리게 되는 반면에 우채널용 스피커(도시되지 않음)로부터는, 우채널의 음향 및 우채널의 잔향응이 주로 들리며 그리고 좌채널의 잔향음이 약간 들리게 된다.
또한 확장감 있는 음향 효과를 제공하는데에 부가하여 럭 뮤직(Rock music)등을 즐길때, 우채널의 잔향음이 예를들어 좌채널 스피커에서 들려오고 그리고 좌채널의 잔향음은 우채널 스피커에서 들려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노브(18)의 각도 위치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노브(18)는 제10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저항기(24 내지 27)를 위치시키기 위해 θR로(제 9도 참조) 셋트시킴으로써 충분하다.
제 8도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노브(18)의 각도 위치는 θL(또는 θR)에서 θR(또는 θL)로 연속 변화 할 수 있으므로, 좌채널 신호 및 우채널 신호의 혼합 비율은 바라는대로 셋트될 수 있으며 필요한 음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들자면, 노브(18)의 각도 위치가 θ0(제9도 참조)에서 세트되면, 가변 저항기(24 내지 27)는 제10C도에서 도시된 위치에서 셋트된다. 그러므로, 저항치(R1,R2,R3및 R4)모두는 동일값(r3)이 됨으로써, 내부 출력단자(36L 및 36R)에서 얻어진 제1 및 제2 혼합신호는 제각기 모노랄 신호가 된다.결과로서, 이러한 음향 효과는 비륵 원래 음향이 스테레오 음향일지라도, 잔향음이 모노랄 음향임을 나타내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 8도에 도시된 혼합회로(23)에 따르면, 좌채널 신호같은 제1 신호가 가변 저항기(24및 26)를 통하여 가산기(34 및 35)에 인가되는 동안, 제2 신호, 예를들면, 우채널 신호가 가변 저항기(25 및 27)를 통하여 가산기(34 및 35)에 공급되며, 또한 가변 저항기(24 내지 27)는 동일 방향으로 가변 저항기(24및 27)의 저항치(R1및 R4)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집단 관계로 변경되는 동안 가변 저항기 (24 내지 27)는 이전 방향과는 반대인 동일 방향으로 가변 저항기(25 및 26)의 저항치(R2및 R3)를 중가하거나 또는 감소 시키도록 집단 관계로 변경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신호의 제1 및 제2 혼합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완전히 분리된 상태, 혼합상태. 모노랄 상태에서와 같이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모든 가변 저항기(24 및 27)는 다른 것들과 함께 편성됨으로써, 상술된 변화들은 단일 노브(18)를 작동시킴으로써, 확립될 수 있으며. 동작의 관점에서 볼때 매우 편리하다.
2채널용 잔향장치는 제8도를 참조한 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물론, 4채널용 잔향장치로서 본 고안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러한 것은 제 8도에 도시된 혼합회로(23)를 두개 사용하므로써 충분하다.
제8도에서 도시된 예에 의하여, 제 6도의 예와 유사하게 본래의 음향은 명확하게 재생될뿐만 아니라, 자여적인 잔향음이 스프링형 잔향기에 의하여 얻어질 수도 있다.
제8도의 예에서, 가변 저항기(24 내지 27)는 각가 회전형이나 슬라이드형일 수도 있다.
상술된 설명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것이나, 본 고안의 분야에서 숙달된자라면 본 고안의 신규 개요의 정신 또는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으로써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법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져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입력신호가 공급되는 신호입력단자(11)와 ; 입력과 출력단자를 가지고 있는 지연회로(14)와 ; 상기 신호입력단자(11)에 접속된 상기 지연회로 입력단자와 ; 입력과 출력단자를 가진 스프링형 잔향기(15)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형 잔향기(15)의 입력단자는 상기 지연회로(14)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 한쌍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가진 가산기(12)를 구비하며, 한쌍의 입력단자는 각각 상기 신호입력단자(11)와 상기 스프링형 잔향기(15)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가산기(12)의 출력단자는 발생된 바람직한 잔향음을 가지게 되며 ; 스프링형 잔향기(15)에 의해서 발생된 비교적 고레벨 스프링형 잔향음 신호가 입력신호의 인가에 대응하는 상기 지연 시간후에 출력단자에서 나타나는 지연시간을 발생시키는 지연회로(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향 부가 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회로(14)는 버켓 브리게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향 부가장치.
KR2019810008770U 1980-12-23 1981-12-23 잔향 부가장치 KR88000304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85939 1980-12-23
JP1980185939U JPS6318079Y2 (ko) 1980-12-23 1980-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174U KR830002174U (ko) 1983-11-14
KR880003045Y1 true KR880003045Y1 (ko) 1988-08-31

Family

ID=1617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770U KR880003045Y1 (ko) 1980-12-23 1981-12-23 잔향 부가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438525A (ko)
JP (1) JPS6318079Y2 (ko)
KR (1) KR880003045Y1 (ko)
AU (1) AU550158B2 (ko)
CA (1) CA1170579A (ko)
GB (1) GB20924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17547D0 (en) * 1985-07-11 1985-08-14 Evans J M Audio signal generating system
US4852444A (en) * 1986-12-04 1989-08-01 Hoover Alan A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which couples positive acoustic feedback into an electric amplified guitar body for the purpose of sustaining played notes
US5444785A (en) * 1992-01-24 1995-08-22 Rohm Co., Ltd. Echo attaching circuit and audio device using the same
GB2361395B (en) * 2000-04-15 2005-01-05 Central Research Lab Ltd A method of audio signal processing for a loudspeaker located close to an ear
AT409679B (de) * 2001-04-09 2002-10-25 Vanik Avakian Nachhall-vorrichtung
US7555354B2 (en) * 2006-10-20 2009-06-30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 reformatting of multi-channel audio content
US8391504B1 (en) 2006-12-29 2013-03-05 Universal Audio Method and system for artificial reverberation employing dispersive delays
KR100934456B1 (ko) * 2007-07-09 2010-01-06 박종환 스프링 반향기 및 그 조립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8614A (ko) * 1972-08-11 1974-04-10
JPS5249761Y2 (ko) * 1973-12-27 1977-11-11
JPS52114231A (en) * 1976-03-22 1977-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riving device and its method for electric charge transition unit
JPS5329101A (en) * 1976-08-30 1978-03-18 Sony Corp Reverberation sound ad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877581A (en) 1982-07-01
US4438525A (en) 1984-03-20
KR830002174U (ko) 1983-11-14
CA1170579A (en) 1984-07-10
JPS57108298U (ko) 1982-07-03
GB2092417A (en) 1982-08-11
GB2092417B (en) 1984-12-05
AU550158B2 (en) 1986-03-06
JPS6318079Y2 (ko) 198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1572A (en) Stereo synthesizer
EP0699012B1 (en) Sound image enhancement apparatus
US4027101A (en) Simulation of reverberation in audio signals
US5740253A (en) Sterophonic sound field expansion device
GB2202111A (en) Reverb generator
US4053711A (en) Simulation of reverberation in audio signals
KR880003045Y1 (ko) 잔향 부가장치
US5727067A (en) Sound field control device
US4208546A (en) Phase stereophonic system
US6507657B1 (en) Stereophonic sound image enhancement apparatus and stereophonic sound image enhancement method
KR970078741A (ko) 스테레오 음향 시스템
JPH06315200A (ja) 音像定位処理における距離感制御方法
US4049912A (en) Channel mixer for multi-channel audio systems
JPH04242684A (ja) 対話型ビデオゲーム装置
JP3485758B2 (ja) 疑似ステレオ回路
JP2901240B2 (ja) リバーブ発生装置
JP3560306B2 (ja) カラオケ装置
JPH0535680Y2 (ko)
JPS6019200B2 (ja) 残響音付加装置
JPS62163499A (ja) ステレオ音響装置の残響付加装置
JPH05191898A (ja) 音像拡大装置
JPS5919520Y2 (ja) 残響付加装置
JPS62283799A (ja) 音響再生装置
JPS5834880Y2 (ja) 立体音響再生装置
JPS60227600A (ja) 音場制御回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