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515Y1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515Y1
KR880002515Y1 KR2019850012556U KR850012556U KR880002515Y1 KR 880002515 Y1 KR880002515 Y1 KR 880002515Y1 KR 2019850012556 U KR2019850012556 U KR 2019850012556U KR 850012556 U KR850012556 U KR 850012556U KR 880002515 Y1 KR880002515 Y1 KR 880002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speaker
neck portion
present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2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051U (ko
Inventor
윤정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2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515Y1/ko
Publication of KR8700060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0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5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피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와 4도는 종래 스피커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동판 2 : 네크부
3 : 평면부 4 : 골
5 : 보강리브 6 : 보이스코일
7 : 엣지
본 고안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판면을 파도 모양의 형상으로 글을 형성시켜 지향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전기 진동을 음향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파를 공간으로 방사하는 스피커에는 보이스코일과 연결된 진동판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크게 콘 형태의 진동판과 평면 진동판을 들수 있는데 이중 콘 형태의 진동판에 있어서는 지향성이 평면진동판에 비하여 떨어질 뿐만 아니라 주파수특성이 10KHZ부분에서는 고음 스피커(TWEETER)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얇은 스피커로 만들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하여, 평면진동판은 지향성을 좋아지게 하나 음색을 자유로이 얻을 수 없는 것이 큰 단점이며, 진동판을 평면으로 하였기 때문에 분할 공진 현상을 방지하기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콘 형태를 지지대로 하면서 윗면에다 가격이 비싼 알루미늄 하니 콤(AL Hony Comb)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진동판을 경량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자기회로가 커져 가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지향특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할공진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진동판의 한쪽에 경사각도를 갖는 네크부를 형성 시키면서 네크부와 연하여 평면부를 형성시키되 평면부에는 파도모양의 골을 형성시키는 한편, 보강 리브를 골과 수직하게 방사상으로 형성시킨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작용, 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의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진동판(1)의 중앙하부쪽으로 경사 각도를 지닌 네크부(2)를 성형시키는 동시에 네크부(2)와 연하여 평면부(3)를 형성시키되 평면부(3)에는 파도 모양의 골(4)을 형성시키면서 보강리브(5)를 골(4)과 수직하게 방사상으로 형성시켜 보이스코일(6)과 엣지(7)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8은 프레임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은 지향특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큰 형태를 평면으로 개량한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의 사시도를 나타낸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동판(1)은 네크부(2)와 평면부(3)으로 이루어져 있는 동시에 네크부(2)는 경사각도를 지니면서 보이스코일(6)과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평면부(3)는 엣지(7)와 결합되면서 프레임(8)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평면부(3)에는 파도모양의 골(4)을 형성하여 분할공진이 방지되도록 하였고, 골(4)과 수직하게는 보강리브(5)를 방사상(약 30-45도 간격)으로 형성하여 진동판(1)의 골(4)이 지지되고 공진현상이 더욱 개선 되도록 하였다.
또한 진동판(1)의 한쪽에는 네크부(2)를 형성하여 고음확성기와 같은 효과(TWEETER)를 하나의 진동판에서 별도로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펄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하여 하니 콤 평면진동판에서 얻을 수 없는 독특한 음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진동판(1)에다 파형의 골(4)과 보강리브(3)를 형성시킴으로서 종래 형태의 진동판보다는 지향 특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박형 스피커를 만들 수 있어서 세트취부상태도 용이하며, 또한 하니 콤 진동판보다도 음색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경향으로 제조할 수 있어 고충실도를 얻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스피커를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보이스코일과 엣지의 진동판이 연결된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1)의 중앙 하부쪽으로 네크부(2)를 형성시킴과 더불어 네크부(2)와 연하여 평면부(3)를 형성시키되 평면부(3)에는 파도모양의 골(4)을 형성 시키는 한편, 보강리브(5)를 골(4)과 수직하게 방사상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KR2019850012556U 1985-09-26 1985-09-26 스피커 KR880002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2556U KR880002515Y1 (ko) 1985-09-26 1985-09-26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2556U KR880002515Y1 (ko) 1985-09-26 1985-09-26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051U KR870006051U (ko) 1987-04-25
KR880002515Y1 true KR880002515Y1 (ko) 1988-07-13

Family

ID=1924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2556U KR880002515Y1 (ko) 1985-09-26 1985-09-26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5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051U (ko) 198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4273A (en) Coaxial loudspeaker system
US2490466A (en) Loudspeaker diaphragm support comprising plural compliant members
US4300655A (en) Acoustic diaphragm for speaker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3464514A (en) Loudspeaker
US4723296A (en) Electrodynamic transducer of the isophase or ribbon type
US2685935A (en) Acoustic diaphragm
US3032138A (en) Acoustical devices
US1930328A (en) Sound reproducing diaphragm
JPH09224297A (ja) 音響変換器の振動板
US1757107A (en) Sound reproducer
KR880002515Y1 (ko) 스피커
US4362079A (en) Accentuator plate for vibrating soundboard in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H03175800A (ja) 圧電型スピーカ
US3918343A (en) Accordion pickup
JP2597425B2 (ja) 無指向性スピーカシステム
JPH0681353B2 (ja) スピ−カ用振動板
JPH0565193U (ja) 無指向性スピーカの構造
CN218243831U (zh) 一种汽车扬声器及音响系统
CN212785834U (zh) 带音隧的扬声器
CN212910039U (zh) 一种适用于超薄扬声器的新型弹波结构
JPH039434Y2 (ko)
CN218473381U (zh) 同轴扬声器
KR900007920Y1 (ko) 이중 진동판 스피커(double cone speaker)
JPH0136400Y2 (ko)
JPH014127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