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389Y1 - 벽돌 - Google Patents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389Y1
KR880002389Y1 KR2019850008854U KR850008854U KR880002389Y1 KR 880002389 Y1 KR880002389 Y1 KR 880002389Y1 KR 2019850008854 U KR2019850008854 U KR 2019850008854U KR 850008854 U KR850008854 U KR 850008854U KR 880002389 Y1 KR880002389 Y1 KR 880002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brick
shaped bent
mortar
joi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8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354U (ko
Inventor
김경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윤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윤호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2019850008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389Y1/ko
Publication of KR8700023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3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3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벽 돌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적재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2' : 상하경사면
2a, 2b : 상하면접합부 3, 3' : 호형절곡부
5 : 압압부 6 : 공간부
본 고안은 벽돌을 쌓을 때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많은 양의 벽돌을 단시간내에 정확하게 쌓을 수 있고 벽돌의 연결부분 즉, 몰탈이 위치되는 부분의 마무리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서 작업공정의 능률화를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인의 선출원인 198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635호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몸체의 상하면 중앙에 돌조와 돌조요입부를 각각 형성하여 몸체들이 안정되게 결합되게 하고 몸 전체의 상면과 일측면에 호형절곡부를 형성하여 그 호형절곡부에 몰탈이 위치되어 벽돌들을 적재할때 몰탈이 벽돌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 있었다. 그런데 상기의 것은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호형절곡부에 몰탈을 위치시키고 그 상부로 벽돌을 적재할 때 몰탈의 양이 많으면 몰탈이 벽돌의 밖으로 노출되고 적으면 상부에 위치되는 벽돌과 하부에 위치되는 벽돌이 안정되게 고정이 되지 아니하고 벽돌의 수직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는 추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필요로 하였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적재되는 벽돌들이 항상 안정된 상태에서 적재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몰탈 부분의 마무리 작업을 하지 않고도 벽돌과 벽돌 사이에 공간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초보자라도 손쉽게 벽돌을 쌓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의 상하면 모서리부분에 상, 하경사면(2) (2')을 형성하고 몸체(1)의 상면과 일측면에 호형절곡부(3) (3')를 각각 형성하며 양측에는 요홈부(1')를 종설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몸체(1)의 상면 호형절곡부(3)와 경사면(2)사이에 상면접합부(2a)를 형성하고 몸체(1)의 하면경사면(2')내측에 상면접합부(2a)와 정확히 접합되도록 한 하면접합부(2b)를 형성하여 하면접합부(2b)의 내측으로형의 압압부(5)를 몸체와 일체로 돌설시켜 벽돌 적재작업시 압압부(5)가 상면 호형절곡부(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되 압압부(5)의 저면과 상면 호형절곡부(3)의 상면 사이에 공간부(6)가 형성되도록 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4는 몰탈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벽돌의 적재작업시 몸체(1)의 상면과 일측면에 형성된 호형절곡부(3) (3')에 몰탈(4)을 삽입시켜 몸체들을 적재시키게 되는데 이때 몸체(1)의 상면 호형절곡부(3)에 위치된 몰탈(4)을 몸체(1)의 저부에 돌설된 압압부(5)가 첨부도면 제2도와 같이 적당한 힘으로 압압하게 되므로서 몰탈(4)이 상면 호형절곡부(3)와 압압부(5)사이의 공간부(6)에 고루 퍼지게 되어 몸체(1)와 몸체(1)가 정확하고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작업시에는 압압부(5)가 상면 호형절곡부(3)내로 삽입됨에 따라 적재작업시에 별도의 도구가 없어도 수직을 정확하게 맞출수 있게 되고 수평을 맞추는 작업은 몸체(1)의 상하부에 형성된 경사면(2) (2')과 상, 하면접합부(2a)(2b)사이의 경계선만 정확히 맞추면 되고 이때 상, 하경사면(2) (2')과 몸체(1)양측에 종설된 요홈부(1')에 의하여 벽돌 적재작업시에 몰탈이 벽돌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마무리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그 작업을 한 것과 같이 보이게 되고 그 부분을 임의 색을 가진 페인트등으로 도색하게 되면 외관의 미려효과는더욱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벽돌사이의 몰탈 두께가 일정하지 아니하여 매지 넓이가 일정하지 않게되는 경우가 없고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함과 동시에 그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몸체(1)의 상하면 모서리부분에 상, 하경사면(2) (2')을 형성하고 몸체(1)의 상면과 일측면에 호형절곡부(3) (3')를 각각 형성하며 양측에는 요홈부(1')를 종설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몸체(1)의 상면 호형절곡부(3)와 경사면(2)사이에 상면접합부(2a)를 형성하고 몸체(1)의 하면경사면(2') 내측에 상면접합부(2a)와 정확히 접합되도록 한 하면접합부(2b)를 형성하여 하면접합부(2b)의 내측으로형의 압압부(5)를 몸체(1)와 일체로 돌설시켜 벽돌 적재작업시 압압부(5)가 상면 호형절곡부(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되 압압부(5)의 저면과 상면 호형절곡부(3)의 상면 공간부(6)가 형성되도록 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KR2019850008854U 1985-07-15 1985-07-15 벽돌 KR880002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8854U KR880002389Y1 (ko) 1985-07-15 1985-07-15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8854U KR880002389Y1 (ko) 1985-07-15 1985-07-15 벽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354U KR870002354U (ko) 1987-03-17
KR880002389Y1 true KR880002389Y1 (ko) 1988-07-02

Family

ID=1924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8854U KR880002389Y1 (ko) 1985-07-15 1985-07-15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3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521A (ko) * 2002-06-12 2003-08-30 백은기 블럭제조(측면칼라페인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354U (ko) 198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389Y1 (ko) 벽돌
JPS58729Y2 (ja) 外装材
JPH077484Y2 (ja) 目地押え具
JPS5831946Y2 (ja) コ−キング仕上げ具
GB2299124A (en) Pointing brickwork
KR870001570Y1 (ko) 벽돌
JPH0145297Y2 (ko)
KR900001303Y1 (ko) 타일의 지지구
JPS5944842U (ja) 仮設用足場板
KR900007440Y1 (ko) 조립식 소형마감블럭
JPS5835511U (ja) ブロツク
JPH04135638U (ja) 打放しコンクリートの面補修定規
JPS58167130U (ja) 軒先役物瓦
JPS613826U (ja) 瓦上に重量物を設置する場合の瓦補強板
JPS58134538U (ja) コンクリ−ト型枠に固着するスラブ引き具
JPS59167112U (ja) 屋根楝部の構造
JPH038240U (ko)
JPS5919730U (ja) 構築用枠組下地材
JPS59167225U (ja) 屋根楝部の構造
JPS6058741U (ja) 壁仕上げ構造
JPS58186020U (ja) 屋根瓦
JPS6414833U (ko)
JPS6017970U (ja) 釘打ち用治具
JPH01174739A (ja) 建築用パネルの接続構造
JPS5923U (ja) 楝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