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351B1 - 자동 반복 선곡회로 - Google Patents

자동 반복 선곡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351B1
KR880002351B1 KR1019850003638A KR850003638A KR880002351B1 KR 880002351 B1 KR880002351 B1 KR 880002351B1 KR 1019850003638 A KR1019850003638 A KR 1019850003638A KR 850003638 A KR850003638 A KR 850003638A KR 880002351 B1 KR880002351 B1 KR 880002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transistor
ring counter
outpu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398A (ko
Inventor
이규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50003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351B1/ko
Publication of KR86000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0Moving record carrier backwards or forwards by finite amounts, i.e. backspacing, forward spa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counters

Landscapes

  • Electric Clock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Measurement Of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반복 선곡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럭다이어그램.
제2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 회로도의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선곡회로 20 : 디지탈시계 구동부
S1-S6: 푸쉬스위치 S8: 반복 셋팅스위치
45 : 링카운터2 50 : 링카운터1
S7: 주리셋팅 스위치 60 : 제어회로
SOl,SOl' : 솔레노이드 15 : 자동선곡장치
22 : 클럭 및 타이어 23 : 디스플레이부
D1-D8: 발광다이오드 G1-G7: 게이트
G1-G6: 트랜지스터 30 : 리셋트회로
본 발명은 카셋트 또는 더블덱크 카셋트에서 특정구간을 정하여 정하여진 시간과 정하여진 횟수만큼 반복 재생시킬 수 있는 자동반복 선곡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덱크를 사용하는 오디오 기기에서는 음악 및 어학 학습용으로 반복 청취할 수 있는 자동반복(Auto Repeat Play)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정된 곡만 선곡하여 반복 청취할 수 있는 자동반복 선곡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자동반복 선곡 시스템은 원하는 특정된 곡만 선곡하여 계속 반복 재생만 행하고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반복 재생을 원하는 횟수 및 시간만큼은 반복 재생시킬수가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특정된 곡을 선곡하여 반복 재생할 수 있는 회로에 반복 횟수 및 시간을 정하여 주므로써 특정구간을 정하여 정하여진 시간과 횟수만큼 반복 재생시킬 수 있는 자동반복 선곡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통상의 자동선곡 회로의 출력측에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키는 트랜지스터 및 디지탈시계 구동부의 알람 리셋트용 트랜지스터를 연결 구성하고 디지탈시계 구동부의 출력측에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키는 트랜지스터 및 링카운터를 연결 구성시켜서 반복 셋팅 스위치로 셋팅되는 링카운터의 출력을 게이트에서 비교하게 제어부를 구성시킨후 리셋트 회로의 트랜지스터를 제어하게 구성시켜 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럭 다이어그램으로서 자동선곡회로(10)는 앰프를 통하여 자동선곡 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종래의 선곡시와 같이 도시되지 아니한 헤드를 통하여 유기되는 테이프의 자화 상태 신호가 자동선곡 장치에 인가되고 자동선곡 장치에서는 테이프의 곡간 블랭크(Blank)신호(통상 5-10초)를 감지하여 그의 수를 세어 미리 셋트해 놓은 곡수가 되면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정상재생 상태가 되도록 한 것으로 여러가지의 카셋트 덱크에서도 흔히 살펴 볼수가 있다.
그리고 디지탈 시계구동부(20) 역시 디지탈 시계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클럭 및 타이머가 구동되는 상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반복시간 설정 회로에서 반복되는 시간 즉 재생이 끝나는 시점을 셋팅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설정될 시간이 되면 알람 출력으로 재생시간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반복시키고자 하는 곡을 자동선곡회로(10)에서 선곡하고, 반복 재생되는 시간을 디지탈 시계구동부(20)의 반복시간 설정회로로 알람 셋팅을 하며, 반복 횟수 설정회로로 몇회 반복 재생시킬 것인가를 설정하여 링카운터2에 설정된 반복 횟수를 기억시킴과 동시에 표시부에 표시되게 한후 재생 동작을 수행시키면 클럭 및 타이머의 설정된 시간이 될때 알람상태 신호가 링카운터1에 인가되어 링카운터1,2의 상태신호가 동일해질때까지 솔레노이드를 여자시켜 반복 재생 동작을 계속 수행하고 링카운터1,2의 상태 신호가 동일한 출력이 될때에는 제어회로에서 리셋트 회로(30)를 통하여 반복 재생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정상적인 재생 동작을 수행할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제2도의 회로도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자동선곡회로(10)는 헤드에서 유기된 상태신호가 앰프(AMP)에서 직류 차단용 콘덴서(c1)를 통하여 자동선곡장치(15)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푸쉬스위치(S1)를 통하여 원하는 곡을 선곡시키고 발광다이오드(D1-D3)로 선곡된 곡을 표시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선곡이 완료되면 노우드(A)에 고전위 상태 신호가 출력되게 구성시킨 것이다.
그리고 디지탈시계 구동부(20)는 클럭 및 타이머(22)에 디스플레이부(23)가 연결되어 푸쉬스위치(S4)(S5)(S6)로 클럭 및 타이머(22)의 현재 시간을 셋팅시킴과 동시에 반복 재생 구간의 끝부분 감지를 위한 알람 설정시간을 셋팅할수 있게 구성되고, 푸쉬스위치(S3)는 알람 설정시간을 재설정해 줄때 및 반복 재생 동작을 멈출때 현재 시간을 제외하고 모든 정보를 리셋트 시켜 주도록 구성되며, 트랜지스터(Q3)와 병렬연결된 푸쉬스위치(S2)는 알람 설정시간만을 리셋트 시켜 다시 알람 설정시간이 처음부터 카운트 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푸쉬스위치(S2)는 알람 설정 시간을 리셋트 시키는 스위치로써 1회 반복 재생시산+되감기후 재생시작 시간을 설정하여 미리 셋팅해 놓은 시간을 환원시킴으로서 반복 재생을 위한 끝부분 감지를 카운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반복 회수 설정회로(40)는 푸쉬스위치인 반복 셋팅 스위치(S8)를 눌러 링카운터2(45)의 출력단자(1-5) 출력을 선택해 주므로써 원하는 반복 재생 횟수를 세팅해 주게 되며, 이때 반복 스위치(S8)로 설정된 반복 재생 횟수는 저항(R14-R18)이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D4-D8)를 점등시켜 표시해 주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디지탈시계 구동부(20)의 출력이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솔레노이드(SOl)를 여자시켜 카셋트 덱크의 리와인드 버튼(도시안됨)을 구동시키게 구성한 동시에 링카운터1(50)에서 카운트 된후 제어회로(60)에 인가되게 구성시키고 링카운터1,2(50)(45)의 각각의 출력은 앤드게이트(G1-G5)를 통하여 오아게이트(G6)(G7)와 연결되게 구성한후 주리셋팅 스위치(S7)가 구성된 리셋트 회로(30)의 트랜지스터(Q4)(Q5)(Q6)를 제어하게 구성시키며 자동선곡회로(10)의 출력이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솔레노이드(SOl')를 여자시켜 카셋트 덱크의 리와인드 버튼을 환원(스톱)시키게 구성한 동시에 트랜지스터(Q3)를 통하여 디지탈시계 구동부(20)의 알람 설정 시간을 환원시키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전에 각 푸쉬스위치 및 트랜지스터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푸쉬스위치(S1) : 음악선곡 스위치.
푸쉬스위치(S2) : 알람 환원 스위치.
푸쉬스위치(S3) : 현재시간 이외의 모든 정보를 리셋트 시키는 스위치.
푸쉬스위치(S4-S6) : 현재시간 및 알람시간 설정 스위치.
푸쉬스위치(S7) : 모든 시스템을 리셋트 시키는 주리셋팅 스위치.
푸쉬스위치(S8) : 반복 횟수를 설정하는 반복 셋팅 스위치.
트랜지스터(Q1) : 자동선곡장치(15)의 출력을 받아 정지버튼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SOl')를 여자시킴.
트랜지스터(Q2) : 클럭 및 타이머(22)의 출력으로 카셋트 덱크의 리와인드 버튼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SOl)를 여자시킴.
트랜지스터(Q3) : 반복 재생시 리와인드 환원상태 신호에 의하여 설정된 알람 시간을 환원시켜 재 알람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트랜지스터(Q4)(Q5)(Q6) : 반복 횟수의 설정만큼 반복 재생이 완료되었을때 모든 집적 소자를 리셋트시켜 정상동작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반복 재생하고 싶은 노래나 어학 테이프를 카셋트 덱크에 삽입시킨후 푸쉬스위치(S1)를 이용하여 반복 재생을 시키고자 하는 곡을 선택하고(이때 발광다이오드(D1-D3)로 선택된 곡의 숫자를 표시해줌) 푸쉬스위치(S4-S6)를 이용하여 클럭 및 타이머(22)의 알람 설정시간(즉 반복 재생되는 시간)을 셋팅시키며, 반복 셋팅 스위치(S8)를 이용하여 몇회를 반복해서 들을것인가를 링카운터2(45)로 설정한다.(이때 발광다이오드(D5-D8)로 설정횟수를 표시해줌)
그리고 도시되지 아니한 플레이 버턴을 눌러 카셋트 덱크를 재생시키면서 각 노우드(A)(B)(C)의 전위는 저전위 상태신호('0'레벨)를 유지하게 되므로써 각 트랜지스터(Q1-Q6)는 모드 '턴오프' 상태가 되어 재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재생동작을 먼저 시킨후 푸쉬스위치(S1)로 반복 재생시키고자 하는 곡을 선택하고 푸쉬스위치(S4-S6)로 반복 재생시킬 시간을 설정해주며 반복 셋팅 스위치(S8)로 반복 횟수를 결정해 주어도 된다.
이때 푸쉬 스위치(S4-S6)로 설정되는 시간은 한번의 반복 재생이 시작되어 끝날때 까지의 시간인 것이다.(즉 1회 반복 재생시간+되감기후 재생시작 시간)
그리고 재생이 진행되어 푸쉬스위치(S4-S6)로 설정해준 알람 설정 시간이 되면 클럭 및 타이머(22)에서 노우드(B)로 고전위 상태 신호를 출력시켜 저항(R5)(R6)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및 링카운터1(50)의 입력단에 인가시키게 된다.(이때 반복 셋팅 스위치(S8)를 이용하여 4번 반복되게 설정했다고 가정한다.)
이때 링카운터1(50)는 한번 고전위 상태 신호가 인가되므로 출력단자(1)로 고전위 상태 신호가 출력되고 링카운터2(45)는 4회 반복을 설정하였으므로 출력단자(4)로 고전위 상태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어 각각 앤드 게이트(G5)(G2)에 인가되므로 각 앤드 게이트(G5)(G2)는 차단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노우드(C)는 저전위 상태 신호가 되므로써 트랜지스터(Q4)(Q5)(Q6)는 차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고전위 상태 신호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킴으로 리와인드 버튼구동용 솔레노이드(SOl)가 여자되어 리와인드 버튼을 구동시킴으로써 테이프는 리와인드 되게 된다.
이때 테이프가 리와인드 되면 자동선곡장치(15)에는 녹음된 곡과 곡 사이의 곡간 블랭크 신호(5초-10초)를 체크하여 푸쉬스위치(S1)로 선택한 곡이 될때 노우드(A)으로 고전위 상태 신호를 출력시켜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킴으로써 정지버튼 구동용 솔레노이드(SOl')가 여자되어 정지되게 된다. 이때 자동선곡장치(15)에서 출력되는 고전위 상태 신호는 저항(R2)(R4)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켜 주므로써 클럭 및 타이머(22)에 푸쉬스위치(S4-S6))를 이용하여 셋팅시킨 알람 설정시간을 환원시켜 최초상태부터 다시 푸쉬스위치(S4-S6)로 설정해준 알람 설정시간 동안 타이머가 동작하게 하여 준다.
이를 예를들면 푸쉬스위치(S4-S6)로 3분 30초를 셋팅해주면 3분 30초가 될때 노우드(B)에 고전위 상태 신호를 출력시켜 주고 자동선곡장치(15)의 선곡에 의하여 노우드(A)가 고전위 상태 신호가 되어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키면 3분 30초란 시간이 리셋트되고 다시 처음부터 3분 30초의 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
(푸쉬스위치(S3)를 눌러야만 셋팅된 시간이 완전히 리셋트되어 현재 시간만 디스플레이부(23)에서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SOl')를 동작시켜 정지시킨 후에는 다시 자동선곡 기능에 의한 재생동작이 수행되며 또다시 반복재생의 끝부분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반복 재생의 끝부분은 푸쉬스위치(S4-S6)로 설정해준 알람 설정시간이 되면 클럭 및 타이머(22)에서 노우드(B)에 고전위 상태 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재생의 끝부분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노우드(B)에 고전위 상태 신호가 다시 출력되면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리와인드 버튼 구동용 솔레노이드(SOl)를 여자시켜 리와인드되게 하고 링카운터1(50)에서는 출력단자(2)로 하이레벨을 출력시켜 반복 재생 횟수를 카운트하게 된다.
이와같이 반복 재생 동작이 반복되어 링카운터1(50)에서 4번을 반복 재생하였음을 카운트(출력단자(4)로 하이레벨을 출력시킴)하게 되면 앤드게이트(G2)의 일측과 타측에 모두 고전위 상태 신호가 인가되게 되어 앤드게이트(G2)의 출력이 고전위 상태 신호가 되므로써 오아게이트(G6)의 출력측(노우드(C))도 고전위 상태 신호가 된다.
이때 링카운터2(45)는 반복 셋팅 스위치(S8)로 4번을 설정해 주었기 때문에 출력단자(4)로 고전위 상태 신호가 출력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링카운터2(45)로 설정한 반복 재생의 설정 횟수와 링카운터1(50)로 카운트 되는 실제 반복 재생을 행한 횟수가 일치하게 되면 노우드(C)이 고전위 상태 신호가 되며 이때의 고전위 상태 신호는 트랜지스터(Q4)(Q5)(Q6)을 '턴온'시켜 링카운터1(50), 링카운터2(45)클럭 및 타이머(22)를 리셋트 시켜주게 된다.
따라서 링카운터1(50)과 링카운터2(45)는 리셋트 된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클럭 및 타이머(22)도 푸쉬스위치(S4-S6)로 설정해준 반복 시간을 완전히 리셋트 시켜주어 현재 시간만이 디스플레이부(23)에서 표시되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세트는 더이상의 반복 재생 동작은 수행하지 않고 정상적인 동작만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반복 재생동작중에 이를 해제시키 정상적인 재생동작을 수행하게 하려면 주리셋팅 스위치(S7)를 눌러주면 되는 것으로 주리셋팅 스위치(S7)를 누르면 트랜지스터(Q4)(Q5)(Q6)의 베이스에 전원(B+)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4-Q6)가 '턴온'되게 되므로 클럭 및 타이머(22) 링카운터1(50) 링카운터2(45)를 리셋트시켜 초기상태와 시킴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5)의 '턴온'으로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어 리와인드 버튼 구동용 솔레노이드(SOl)가 여자되지 못하여 리와인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주리셋팅 스위치(S7)를 누르면 반복 재생 동작에서 해제되어 정상적인 재생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4회 반복재생에 따른 각부 파형도는 제3도에 나타내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카셋트 또는 더블덱크 카셋트에서 특정 구간을 정하여 정하여진 시간동안 윈하는 횟수만큼 반복 재생동작을 시킬수 있어 어학 학습 및 음악 연습시 편리할뿐 아니라 기존의 자동선곡회로 및 디지탈시계 구동부의 출력을 이용함으로써 회로를 간소화시킬수 있는 자동반복 선곡회로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자동선곡회로(10)의 출력측에 솔레노이드(SOl')를 구동시키는 트랜지스터(Q1) 및 디지탈시계 구동부(20)의 알람 설정시간 리셋트용 트랜지스터(Q3)를 연결 구성하고 디지탈시계 구동부(20)의 출력측에 솔레노이드(SOl)를 구동시키는 트랜지스터(Q2) 및 링카운터1(50)를 연결 구성하며 링카운터1(50)의 출력과 반복 셋팅 스위치(S8)로 셋팅되는 링카운터2(45)의 출력을 게이트(G1-G7)에서 비교하게 제어부(60)를 구성한후 제어회로(60)의 출력으로 트랜지스터(Q4-Q6)를 구동시켜 클럭 및 타이머(22), 링카운터1(50), 링카운터2(45)를 리셋트 시키게 리셋트 회로(30)를 구성한 자동반복 선곡회로.
KR1019850003638A 1985-05-23 1985-05-23 자동 반복 선곡회로 KR880002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3638A KR880002351B1 (ko) 1985-05-23 1985-05-23 자동 반복 선곡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3638A KR880002351B1 (ko) 1985-05-23 1985-05-23 자동 반복 선곡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398A KR860009398A (ko) 1986-12-22
KR880002351B1 true KR880002351B1 (ko) 1988-10-26

Family

ID=1924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638A KR880002351B1 (ko) 1985-05-23 1985-05-23 자동 반복 선곡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3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398A (ko) 198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7461A (en) Synchronizing circuitry for the playback and recording units of a dubbing apparatus
KR880002351B1 (ko) 자동 반복 선곡회로
US4262314A (en) Automatic multiple tape player
GB1603828A (en) Tape record and playback systems
KR910001306Y1 (ko) 예약 녹화 기능을 이용한 자동 경보회로
KR950001241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전주곡 자동선곡회로
JPH01173461A (ja) 磁気テープ端の表示方法
KR930009692B1 (ko) 디에이티의 스킵아이디 기록방법
KR0140366B1 (ko) 테이프 자동반복 구간 확대 설정방법
JPS63217552A (ja) テ−プレコ−ダ
JPS6130333B2 (ko)
JPS6226822Y2 (ko)
JPS61289562A (ja) 映像再生装置
JPS5919993Y2 (ja) プログラム再生装置
JPS6034119Y2 (ja) テ−プレコ−ダの制御回路
KR870002320Y1 (ko) 자동선곡 더블 카셋트의 정배속 전환회로
JPS6235Y2 (ko)
JPH0227436Y2 (ko)
JPS6158893B2 (ko)
JPH0325359Y2 (ko)
KR100368109B1 (ko) 테이프재생장치의구간반복재생방법
KR930003431B1 (ko) 디지탈 오디오테이프 레코더의 자동곡번호 검출표시방법
KR890004231Y1 (ko) 자동 테이프 스캐닝 회로
JPS5923275Y2 (ja) テ−プレコ−ダの制御装置
KR870000045B1 (ko) 테이프의 임의 구간 자동반복 카세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