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181B1 - 츄잉껌 조성물 - Google Patents

츄잉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181B1
KR880002181B1 KR1019840000787A KR840000787A KR880002181B1 KR 880002181 B1 KR880002181 B1 KR 880002181B1 KR 1019840000787 A KR1019840000787 A KR 1019840000787A KR 840000787 A KR840000787 A KR 840000787A KR 880002181 B1 KR880002181 B1 KR 880002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m
shellac
active ingredient
aspartame
encaps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507A (ko
Inventor
엠.파텔 맨스크
Original Assignee
윌리암 뤼글리 쥬니어 캄파니
엠.파텔 맨스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암 뤼글리 쥬니어 캄파니, 엠.파텔 맨스크 filed Critical 윌리암 뤼글리 쥬니어 캄파니
Publication of KR840007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0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4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1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aerated products
    • A23G4/20Composite products, e.g. centre-filled, multi-layer, lamina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nfectionery (AREA)
  • Seasoning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츄잉껌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츄잉껌 조성물, 특히 츄잉껌의 활성 성분 보호를 위한 식품용 셸락 캡슐화제(shellac encapsulant)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츄잉껌(이하 껌이라함)은 중성인 무미의 저작성 껌 기제 및 그 기제에 혼합할 하나 이상의 비-저작성 활성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의 "활성 성분"은 감미제, 향료 또는 껌의 향미 및 풍미를 결정하는 식품용 산 : 껌을 씹는 동안 점차적으로 방출되어 흡수되는 의약제 또는 약제로서의 인체 치료(body treating)성분 : 또는 구취를 없애거나 감소시키는 청량(breath-freshening)성분이다. 이외에도 껌은 통상적으로 수용성이고 감미로운 비-저작성 벌크제(bulk agent), 색소 및 가소제(이는 껌조직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다)를 함유한다.
씹는 동안 성분을 점차적으로 방출하기 위해서 또는 껌내성분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특정 껌 활성 성분을 캡슐화 하는 것이 필요하거나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디펩타이드 감미제 아스파르탐(L-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같은 특정 인공 감미제는 껌의 우수한 당 성분임이 밝혀졌다. 그러나, 인공 디펩타이드 감미제의 안정성에는 수분 활성도, 시간, 온도 및 pH 가 작용한다. 바람직하지 못한 조건하에서 아스파르탐은 자발적으로 디케토피페라진으로 전환되어 부분적으로 감미도가 저하된다. 아스파르탐은 역시 특정 향료에 존재하는 알데히드와 반응한 결과, 감소된다. 껌중의 아스파르탐의 안정성 및 감미성을 유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아스파르탐을 수분, 특정 향료 및 특정 pH 조건에 노출시키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성분을 캡슐화하는 통상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공지된 선행기술은 껌 활성 성분의 만족 스러운 캡슐화제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특허 제4,122,195호 및 제4,139,639호는 캡슐 덱스트린 및 아라비아 고무내의 아스파르탐의 캡슐화를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친수성이며 수분 침투성인 그러한 캡슐화제는 껌내 아스파르탐의 열화를 방지하는데 있어서 제한된 효과만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수성 캡슐화제가 친수성 피막(coating)보다 더 우수한 불투과성 및 점차적인 방출 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출원인은 껌 활성 성분용으로 과거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던 어떤 친수성 피막도 발견하지 못하였다. 캡슐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 대부분의 소수성 물질(예.폴리비닐아세테이트, 왁스 및 지방)은 제조공정중 가열된 껌괴에 혼합할때 껌 기제에 용해된다. 고분자량의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같은 다른 소수성 물질은 캡슐화 공정에서 요구되는 식품용 용매에 대체로 용해되지 않는다. 출원인은 껌 기제에는 불용성이지만 캡슐화공정에 사용되는 식품용 용매에는 충분히 용해되는 두가지 필수 특성을 가진 캡슐화 물질에 관한 어떤 공지 기술도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껌 기체를 함유하며, 감미제, 향료, 식품용 산, 약제 및 청량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활성 성분이 식품용 셀락 캡슐화제에 의해 캡슐화된 츄잉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껌 기제에는 소수성이며 불용성이나 식품용 용매(예. 에탄올)에는 가용성인 셀락 캡슐화제는 그러한 껌성분의 불침투성 피막을 제공하고, 씹는 중 캡슐화제가 파괴됨에 따라 성분이 점차적으로 방출되게 한다.
또 다른 유리한 점은 셀락 피막이, 향료 및 다른 소수성 성분이 껌 기제에 의해 역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량의 성분을 사용해도 바람직한 효과를 얻게하는 것이다.
디펩타이드 감미제를 사용할 경우, 셀락 캡슐화제는 디펩타이드 감미제가 디케토피페라진으로 분해되는 것과 특정 껌 향료중의 알데히드와의 반응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껌 저장중에 그들의 감미를 대부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껌은 저작성이며 거의 수-불용성인 껌 기제를 약 18% 내지 99%(총 껌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 바람직하게는 약 25%로 함유한다. 껌 조성물의 디펩타이드 감미제 아스파르탐(L-아스파틸-L-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미합중국특허 제3,492,131호 및 3,642,491호에 기술) 또는 식용산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껌 기제는 탈크 충진제 대신에 탄산 칼슘 충진제를 함유할 수 있다. 선행 기술에서는 탄산 칼슘 기제가 더 나은 저작성을 가지며 탈크기제 보다 경제적이었지만, 탄산 칼슘이 껌 pH를 높이고 아스파르탐의 열화 및 산 중화를 촉진시키므로 아스파르탐 및 산을 사용하는 경우 탈크 기제가 더 바람직하다 : 예를 들면 미합중국특허 제4,246,286호는 저장-안정성 아스타르탐 껌을 생산하기 위해 탄산 칼슘 및 강한 염기성 성분이 거의 없는 껌 제품을 기술하고 있다.
껌은 감미제, 향료, 식품용산, 약제 또는 청량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며, 여기서 하나이상의 활성 성분은 식품용 셀락중에 캡슐화 되어 있다. 셀락 캡슐화는 다른 피복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공지된 유동상(床) 피복 방법 또는 공지된 롤러상 피복(roller bed coating)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상 피복법에 있어서는, 활성 성분 입자를 가압공기에 현탁시키고 캡슐화제 용액으로 분무한다. 셀락증기용으로서 에탄올 용매를 사용할 경우, 피복된 성분 입자가 남는다. 공기 유입속도는 바람직한 피복 수준에 도달할 경우 피복된 입자의 중량이 기류에서부터 나와 콜렉팅 빈(collecting bin)에 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롤러 상 피복 방법에 있어서는, 활성 성분 입자를 캡슐화제 및 그 용매 용액에 현탁시킨다. 활성 성분은 용매에 알아볼 수 있을 만큼 녹는 것은 아니다. 현탁액을 가열된 회전 드럼에서 침착시킨다. 열을 가해 용매를 증발시키면 롤러로 부터 회수된 피복된 성분 입자가 남는다. 두꺼운 피막을 얻기 위해서는 이 방법을 반복할 수 있으나, 캡슐화제의 재-용해를 피하기 위해 다른 용매계(system)또는 더 빠른 롤러 속도를 사용하여야 한다.
셀락 캡슐화제는 껌 기제에 용해되지 않는 수분-불투과성 소수성 피막을 제공하여 껌 활성성분, 특히 수분 및 pH 조건에 민감한 디펩타이드 감미제 및 껌에 존재할 수 있는 알데히드를 우수하게 보호한다. 동시에 셀락 캡슐화제는 활성 성분의 조절된 점차적 방출에 영향을 주어 껌의 감미 및 향을 연장시키고 약제의 분산을 지속시킨다.
껌의 감미제는 고-효능 감미제(즉, 감미도가 자당 감미도의 약 20배 이상인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감미제는 아스파르탐, 삭카린, 시클라메이트, 타우마틴, 아세실팜 k, 디하이드로칼콘즈 또는 그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감미제는 총 껌 조성물 중량의 약 0.025% 내지 약 2.0%양으로 존재하는 아스파르탐이다. 이 인공 감미료 셀락 캡슐화제는 아스파르탐 중량의 약 5.0% 내지 약 90.0% 바람직하게는 약 25.0%의 양으로 존재한다.
껌 조성물은 향료, 바람직하게는 분무 또는 동결 건조한 향료(예. 정유 및 인공향료)를 바람직한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 그러나 통상적으로 활성 향료는 껌 조성물 중량의 약 1%로 함유된다. 셀락 캡슐화는 향료의 방출을 연장시키고, 산화 및 다른 분해 반응으로부터 특정 향료를 보호한다. 셀락 피막은 또한 향료가 껌 기제에 흡수되어, 바람직한 향 수준에 필요한 고가의 향료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한다.
몇몇 향료, 특히 과일향료와 함께, 껌에 산미를 주도록 식품용 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말산 및 시트르산 같은 산을 바람직한 양, 통상적으로 껌 총중량의 약 1%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산을 셀락 캡슐화 시키면 씹는 동안 서서히 확산되어 산미를 적당하게 지속시켜 준다. 고용해성 및 생성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산미 때문에 과거에는 쓰지 않던 다른 산(예 락트산 및 타르타르산)이 셀락으로 캡슐화 할때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캡슐화는 이러한 산이 탄산 칼슘과 같은 알칼리 물질에 노출될 경우 중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껌은 아스피린 및 은 아세테이트(이는 흡연 억제제로 사용됨)같은 약제의 비히클(vehicle)로 사용해 왔다. 약제를 껌괴에 혼합하여 껌을 씹을때 약제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분산되도록 방출되는 속도를 지연 및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라 그러한 약제를 셀락 캡슐화시키면 약제의 방출 속도가 조절되고 그러한 제제가 껌 기세에 역으로 흡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껌 조성물은 역시 구취를 없애거나 감소시키는 청량제도 함유할 수 있다. 적절한 청량 성분은 구리 글루코네이트(참조, 미합중국특허 제2,894,876호)이나 구리 또는 아연의 다른 염도 사용될 수 있다.
껌은 임의로 색소 약 0.1중량% 내지 약 2.0중량%(껌 조성물의 중량기준) 및 가소제 약 0.1중량% 내지 약 25중량%(껌 조성물의 중량기준)를 함유한다. 액성 향료(이는 캡슐화되지 않는다)도 역시 껌에 함유시킬 수 있다.
비-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껌은 벌크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거의 또는 전혀 동화되지 않는 칼로리치를 가진 벌크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지만, 껌 조성물은 또한 감미로운 수용성 벌크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가당 껌에 있어서, 벌크제는 덱스트로즈, 자당, 말토즈, 덱스트린, 건조전화당, 과당, 레불로즈, 갈락토즈, 옥수수시럽 또는 옥수수시럽의 고형 또는 그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가당 껌에 있어서, 벌크제는 폴리덱스트로즈(화이자에서 제조한 저-칼로리 탄수화물) 또는 당 알콜(예. 솔비톨, 만니톨, 크실리톨) 또는 그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벌크제는 껌 조성물 총 중량의 약 30% 내지 80%로 존재한다.
껌은 통상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기제를 가열하여 혼합기에 넣는다. 색소가 필요하다면 이때 가할 수 있고 이어 벌크제(사용하는 경우), 셀락-캡슐화된 활성 성분 또는 성분들 및 가소제를 첨가할 수 있다. 껌을 혼합기에서 꺼내어 그 혼합물을 압착하거나 압출시키고 날개로 잘라 냉각시킨 후 공지된 방법으로 포장한다.
[실시예 Ⅰ]
셸락 캡슐화 아스파르탐을 함유하는 무가당 껌을 다음 제형에 따라 제조한다 :
성분 중량퍼센트 성분 중량퍼센트
껌 기제 27.00 펩퍼민트 향료 1.20
솔비톨 분말 41.525 글리세린 8.00
70% 솔비톨용액 10.00 색소 0.025
만니톨 분말 12.00 셸락-캡슐화된 아스파르탐 0.25
[실시예 Ⅱ]
셸락 캡슐화된 아스파르탐을 함유하는 가당껌을 다음 제형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
성분 중량퍼센트 성분 중량퍼센트
껌 기제 20.00 글리세린 1.00
옥수수 시럽 13.00 펩퍼민트 향료 1.00
당 64.75 셸락-캡슐화된 아스파르탐 0.25
청량 껌을 제조하려면 0.06중량%의 셸락-캡슐화된 구리 글루코네이트를 실시예 Ⅱ에 기술한 껌에 가한다.
[실시예 Ⅲ]
셸락-캡슐화된 식품용 산 및 셸락-캡슐화된 아스파르탐을 함유하는 껌을 다음 제형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
성분 중량퍼센트 성분 중량퍼센트
껌 기제 25 색소 0.025
솔비톨 분말 47.125 셸락-캡슐화된 시트르산 0.8
70% 솔비톨 용액 12 향료 0.8
만니톨 분말 8 셸락-캡슐화된 아스파르탐 0.25
글리세린 6
[실시예 Ⅳ]
셸락-캡슐화된 아스피린, 셸락-캡슐화된 건조 향료 및 셸락-캡슐화된 아스파르탐을 함유하는 껌을 다음 제형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
성분 중량퍼센트 성분 중량퍼센트
껌 기제 27.00 색소 0.025
솔비톨 분말 28.725 셸락-캡슐화된 아스피린 15.00
70% 솔비톨 용액 12.00 셸락-캡슐화된 향료 3.00
만니톨 분말 8.00 셸락-캡슐화된 아스파르탐 0.25
글리세롤 6.00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셸락은 각 캡슐화 활성 성분 중량의 25.0%에 해당하는 양으로 존재하여 불투과성의 소수성 피막을 제공한다.

Claims (15)

  1. 활성 성분을 감미제, 향료, 식품용 산, 약제 및 청량제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하고, 활성 성분을 식품용 셸락으로 캡슐화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츄잉껌 조성물중의 하나이상의 활성 성분에 거의 불투과성인 피막을 입히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셸락 캡슐화제가 활성 성분의 약 25.0중량%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유동상(fluidized bed)에서 캡슐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롤러 상(roller bed)에서 캡슐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감미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감미제가 디펩타이드 감미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디펩타이드 감미제가 아스파르탐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아스파르탐이 껌 조성물 약 0.025% 내지 약 2.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캡슐화제가 아스파르탐의 약 5.0% 내지 약 90.0중량%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셸락 캡슐화제가 아스파르탐의 약 25.0중량%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향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향료를 담체 분말 상에서 공-건조시킨 후 캡슐화시킴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식품용 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약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청량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고-효능 감미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40000787A 1983-02-18 1984-02-18 츄잉껌 조성물 KR880002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6760483A 1983-02-18 1983-02-18
US467,604 1983-02-18
US467.604 1983-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507A KR840007507A (ko) 1984-12-08
KR880002181B1 true KR880002181B1 (ko) 1988-10-17

Family

ID=2385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787A KR880002181B1 (ko) 1983-02-18 1984-02-18 츄잉껌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136315B1 (ko)
JP (1) JPS60500519A (ko)
KR (1) KR880002181B1 (ko)
AU (1) AU556557B2 (ko)
CA (1) CA1213771A (ko)
DE (1) DE3479081D1 (ko)
DK (1) DK160668C (ko)
ES (1) ES529848A0 (ko)
FI (1) FI79932C (ko)
IT (1) IT1177567B (ko)
NZ (1) NZ207185A (ko)
PH (1) PH19842A (ko)
WO (1) WO19840032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5038B1 (fr) * 1984-12-21 1990-03-16 Roquette Freres Chewing-gum sans sucre mouchet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4931293A (en) * 1986-12-23 1990-06-05 Warner-Lambert Company Food acid delivery systems containing polyvinyl acetate
CA1312769C (en) * 1987-07-08 1993-01-19 Zdravko Dokuzovic Hydrophilic plasticizing system and chewing gum containing same
FR2715538B1 (fr) 1994-02-01 1996-04-26 Roquette Freres Composition de chewing-gum présentant une qualité organoleptique améliorée et procédé permettant de préparer un tel chewing-gum.
EP1014805B1 (en) * 1997-09-18 2008-08-13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containing physiological cooling agents
US6455080B1 (en) 1997-12-29 2002-09-24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containing controlled release acyclic carboxamide and method of making
US6627233B1 (en) 1997-09-18 2003-09-30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containing physiological cooling agents
US6592912B1 (en) 1997-12-30 2003-07-15 Wm. Wrigley Jr. Company Method of controlling release of antimicrobial agents from chewing gum and gum produced thereby
EP1043937A4 (en) * 1997-12-30 2004-05-12 Wrigley W M Jun Co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LEASE OF ANTIMICROBIAL AGENTS IN A CHEWING GUM AND CHEWING GUM PRODUCED ACCORDING TO THIS PROCESS
AU2002318866B2 (en) * 1997-12-30 2005-12-22 Wm. Wrigley Jr. Company Method of Controlling Release of Antimicrobial Agents in Chewing Gum and Gum Produced Thereby
US6174514B1 (en) 1999-04-12 2001-01-16 Fuisz Technologies Ltd. Breath Freshening chewing gum with encapsulations
JP2002515228A (ja) * 1998-05-18 2002-05-28 バイオヴェイ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封入体を有する息清涼化チューインガム
JP3143433B2 (ja) * 1998-07-07 2001-03-07 三基商事株式会社 マスキング組成物
CA2366845A1 (en) * 1999-03-22 2000-09-28 Atp Avant-Garde Technologies & Product Marketing & Licensing S.A. Composition for medicated chewing gums,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tablets so obtained
KR100344198B1 (ko) * 1999-10-08 2002-07-19 일양약품주식회사 실데나필 시트레이트의 속효제형
JP2009539386A (ja) * 2006-06-16 2009-11-19 ガムリンク エー/エス 疎水性酵素配合物を含むチューインガム
US9968564B2 (en) 2009-06-05 2018-05-15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Delivery of functional compounds
US8859003B2 (en) 2009-06-05 2014-10-14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Preparation of an enteric release system
US20100310726A1 (en) * 2009-06-05 2010-12-09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Novel Preparation of an Enteric Release System
US8859005B2 (en) 2012-12-03 2014-10-14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Enteric delivery of functional ingredients suitable for hot comestible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6663A (en) * 1967-05-29 1971-04-27 Colorcon Coated tablet
US3780195A (en) * 1969-10-22 1973-12-18 Balchem Corp Encapsulation process
US3622352A (en) * 1970-04-30 1971-11-23 Philip Morris Inc Edible compositions and method for coating them
US3962463A (en) * 1972-04-03 1976-06-08 Life Savers, Inc. Chewing gum having surface impregnated, microencapsulated flavor particles
US3985913A (en) * 1974-07-31 1976-10-12 Scm Corporation Condiment encapsulation by spray drying
US3914439A (en) * 1974-08-16 1975-10-21 Shepard Chemical Ind Inc Dry particulate flavor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same and use thereof
DK76676A (da) * 1975-03-19 1976-09-20 Life Savers Inc Tyggegummistykke og fremgangsmade til dets fremstilling
JPS5925666Y2 (ja) * 1976-07-08 1984-07-27 日本エヌ・シ−・ア−ル株式会社 インク・チユ−ブ付ゴム印判
US4122195A (en) * 1977-01-24 1978-10-24 General Foods Corporation Fixation of APM in chewing gum
US4224345A (en) * 1978-10-16 1980-09-23 Lotte Co., Ltd Chewing gum base and a combination of a chewing gum with fatty matter
US4259355A (en) * 1979-03-05 1981-03-31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Chewing gum containing flavor composition and flavor composition therefor
AT364688B (de) * 1979-07-19 1981-11-10 Gergely Gerhar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romaproduktes
FR2476986A1 (fr) * 1980-02-28 1981-09-04 Tech Europ Lab Procede de stabilisation de la vitamine c dans des gommes a macher et produits alimentaires similaires
US4384004A (en) * 1981-06-02 1983-05-17 Warner-Lambert Company Encapsulated APM and method of preparation
US4386106A (en) * 1981-12-01 1983-05-31 Borden, Inc. Process for preparing a time delayed release flavorant and an improved flavored chewing gum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36315A4 (en) 1985-07-30
IT1177567B (it) 1987-08-26
FI79932C (fi) 1990-04-10
AU2574284A (en) 1984-09-10
NZ207185A (en) 1986-06-11
JPS60500519A (ja) 1985-04-18
ES8506982A1 (es) 1985-08-16
DK160668B (da) 1991-04-08
DE3479081D1 (en) 1989-08-31
IT8447717A0 (it) 1984-02-20
PH19842A (en) 1986-07-22
FI843961A0 (fi) 1984-10-09
FI79932B (fi) 1989-12-29
DK495884A (da) 1984-10-17
AU556557B2 (en) 1986-11-06
FI843961L (fi) 1984-10-09
EP0136315B1 (en) 1989-07-26
WO1984003201A1 (en) 1984-08-30
ES529848A0 (es) 1985-08-16
JPS6339219B2 (ko) 1988-08-04
DK495884D0 (da) 1984-10-17
KR840007507A (ko) 1984-12-08
DK160668C (da) 1991-09-23
CA1213771A (en) 1986-11-12
EP0136315A1 (en) 198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3577A (en) Shellac encapsulant for high-potency sweeteners in chewing gum
KR880002181B1 (ko) 츄잉껌 조성물
US4824681A (en) Encapsulated sweetener composition for use with chewing gum and edible products
US4911934A (en) Chewing gum composition with encapsulated sweetener having extended flavor release
EP0067595B1 (en) A chewing gum composition incorporating encapsulated l-aspartyl-l-phenylalanine methyl ester
US6692778B2 (en) Method of controlling release of N-substituted derivatives of aspartame in chewing gum
CA2273034C (en) Method of controlling release of bitterness inhibitors in chewing gum and gum produced thereby
US4711784A (en) Encapsulation composition for use with chewing gum and edible products
US6472000B1 (en) Method of controlling release of bitterness inhibitors in chewing gum and gum produced thereby
WO1989011212A2 (en) Method of controlling release of cyclamate in chewing gum and gum produced thereby
US5124160A (en) Granulation of active ingredients using polyvinyl acetate and alcohol
WO1999062354A1 (en) Method of controlling release of n-substituted derivatives of aspartame in chewing gum and gum produced thereby
WO1996020608A1 (en) Chewing gum containing encapsulated combinations of aspartame and acesulfame k
US6080432A (en) Chewing gum composition containing sodium glycinate and method of making a chewing gum product therefrom
AU2319702A (en) Method of controlling release of bitterness inhibitors in chewing gum and gum produced thereby
NO162592B (no) Tyggegummiblanding og fremangsmaate for fremstilling dera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10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