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169B1 - 읽혀지지 않은 메세지를 눈으로 볼 수 있게 표시한 페이저 - Google Patents

읽혀지지 않은 메세지를 눈으로 볼 수 있게 표시한 페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169B1
KR880002169B1 KR8204341A KR820004341A KR880002169B1 KR 880002169 B1 KR880002169 B1 KR 880002169B1 KR 8204341 A KR8204341 A KR 8204341A KR 820004341 A KR820004341 A KR 820004341A KR 880002169 B1 KR880002169 B1 KR 880002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pager
display
us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979A (ko
Inventor
데이비드 프랭크 윌러드
웨인 티드웰 제랄드
Original Assignee
빈센트 죠셉로너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빈센트 죠셉로너,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빈센트 죠셉로너
Publication of KR840001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읽혀지지 않은 메세지를 눈으로 볼 수 있게 표시한 페이저
제 1 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페이저의 전체 블록선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표시 페이저내의 메모리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회로의 회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페이저내에 읽혀지지 않은 메세지를 기억하고 이러한 메세지의 존재를 표시하는 회로의 회로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페이저 동작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 5 도는 제 4 도의 기능발생기의 확장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수신기 14 : 기능 제어기
14 : 어드레스 디코더 18 : 데이타 디코더
24 : 소스형 디코더 28 : 표시RAM
34 : 정보발진기 40 : 전자감쇄기
52,54,56,58 : 클럭 플립플롭 64 : 종료카운터
98 : 메세지 플립플롭 108 : 무음버턴
112 : 섬광발진기
본 발명은 메세지(pag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출된 정보를 눈으로 볼 수 있게 표시하는 페이저에 관한 것이다.
페이저는 원거리의 장소에 있는 사용자가 중앙위치로 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휴대용 장치이다. 가장 간단한 형태로서, 페이저는 주의가 필요한 다른 사실을 수많은 사용자에게 간단히 경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중앙위치로 호출되어 호출된 사람이 누구이고 메세지가 무엇인지 알게 된다. 이러한 원리의 많은 개량품중 몇몇은 호출되어지고 있는 특정 페이저의 사용자에게만 경보를 발하는 선택적인 호출을 행한다. 이것의 또다른 특징은 몇가지 종류의 신호로써 사용자에게 경보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메세지를 전달하는 메세지 페이징(paging)이다. 그밖의 특징도 가능하며 이 특징은 몇몇 페이저들에 사용되고 있다. 이용가능한 특징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페이저의 설계자는 다음의 몇가지를 포함하여 소정의 목적을 유지한다. 사용자는 자기가 호출될때까지 페이저를 잊어버릴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사용자가 호출되는 경우 이외에 페이저가 아무 소리도 내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을 뜻한다. 그것은 또한 페이저의 무게의 일부가 밧데리이고 한가지 목적이 필요한 전기에너지, 그다음에 필요한 밧데리의 규격을 제한하는 것이므로, 가능한한 가벼워야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페이저를 사용할때의 난점은 페이저의 사용자가 사람들의 그룹중에 있을때 일어난다. 한편, 페이저가 사용자의 주의를 위하여 명료하게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호출을 간과해버릴런지 모를 가능성을 최소한도로 줄이기 위해서 엄중한 경보음을 사용할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보음은 다른 사람들의 직업을 중단시키게 되는 불쾌한 산란감을 안겨다 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페이저의 사용자를 당황하게 만들 수도 있다. 종종, 페이저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해결방법은 페이저를 꺼버리는 것이나 이와 같이 페이저를 꺼버리면 호출을 놓치게 될 위험성이 있게 된다. 그렇지만, 이렇게 했을때, 사용자는 장소가 어디던가에, 그를 위해 어떤 사람이 보낸 메세지를 그에게 알려주도록 한 페이저의 주요 목적을 상실케 된다. 페이저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려고 하는 사람의 관점에서 보아, 스위치 오프된(꺼져 버린) 페이저는 페이저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없게 되어 버렸음을 의미한다.
페이저의 양호한 특성은 그것의 사용자에게 조심스런 경보를 제공해주는 것임이 명백하다. 이러한 경보는 과거에는 호출이 행해지고 있는 사용자에게 몇가지 형태의 표시기를 사용하게 하여 달성되어 왔는데, 그때에는 음량이 낮추어져야만 했다. 그러나, 이러한 호출표시기는 통신센터를 호출할 필요성이 있는 사용자에게 그를 위한 메세지가 무엇인지 발견하도록 경보를 발하는 것 이외에는 아무런 역할도 할 수 없었다. 만일 페이저가 숫자가 매겨진 호출과 같이 그에게 정보를 줄 뿐만 아니라 메세지를 전달해주는 것일 경우에는, 메세지가 정상적으로 통신센터에 기억되지 않기 때문에 메세지를 잃어버리게 된다.
사용자가 페이저를 꺼버리고 호출을 수신할 경우에 발생되는 페이저 이용도의 약화는 사용자가 자기의 음향을 꺼버렸을때 복수의 호출들을 수신할 경우와 합성된다. 관련 메세지를 수신하지 않고 복수의 경보음을 듣는 사용자는 페이저 이용도를 많이 상실하게 되어 버린다. 페이저가 그것의 사용자를 사회그룹에서 남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작업에 종사할 수 있게 해주는 한편 마땅히 그래야만 하는 유용한 도구이려면, 사용자는 그가 그룹중에 있을 동안 그에게 오는 메세지를 기억하여 그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각에 그 메세지들을 재생하는 소정의 방법이 필요하다.
만일 사용자가 일정한 장소에 있다면, 해결책은 간단하다. 그 해결책은 통상적인 전화응답 서비스와, 나중에 재생하기 위해 테이프 레고더상에 메세지를 기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테이프 레코더와 관련된 크기 및 무게 그리고 그것과 관련된 재생장비 및 재생장비의 가격 때문에 페이저의 사용자를 위해 만족스러운 해결책이 못된다. 테이프 레코더 및 기록된 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조합한 페이저는 너무 가격이 비싸고 너무 커서 페이저로서 가지고 다니기에 불편하다.
페이저의 이용도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몇가지 다른 특징이 있다. 이것중 하나는 사용자가 볼륨을 턴오프시키려함에도 불구하고 어떤 호출자가 페이저의 사용자에 도달하게 해주는 우선 시스템(priority system)이다. 우선 시스템의 특징은 단독음 페이징(tone-only paging), 보이스 페이징(voice paging) 또는 데이타 페이지와 조합될 수 있다. 표시부가 없는 페이지, 즉 단독음은 단지 그에게 공급원에 대해 말하지 않고 자기를 찾는다는 사실을 페이저의 사용자에게 경보해 주기만 한다. 그밖에, 단독음 페이지의 공급원에 대해 그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은 유용할 것이다. 더우기, 페이저의 사용자가 비우선 보이스 페이지(non-priority voice page) 수신하는 기간 동안 경보를 울리지 않도록 선택되었다면, 경보가 울리지 않는 기간 동안 보이스 페이지를 수신하였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페이지를 손실 없이 소리를 내지 않게 되는 페이저를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눈으로 볼 수 있게 표시해 주는 페이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출사실을 사용자에게 표시해주는 페이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호출을 표시한 이후로 수신되었던 호출수를 사용자에게 표시해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호출을 요구 받은 수를 사용자에게 눈으로 볼 수 있게 표시해 주는 것이다.
그밖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눈으로 볼 수 있게 표시한 페이저는 라디오 수신기, 라디오 수신기상의 소정의 수신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수신기상에 수신된 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수단, 주어진 기간 동안 수신된 메세지의 수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수신된 복수의 메세지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페이저의 블록선도이다. 제1도에서, 안테나(10)는 기능제어기(14)의 제어를 받게 되는 수신기(12)에 결합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기능제어기는 수신(12)의 온 및 오프 절환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페이저 내의 밧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간헐적으로 수신기(12)를 동작시킨다. 수신기(12)는 어드레스 디코더(16) 및 데이타 디코더(18)로 향하는 출력을 가진다. 어드레스 해독기(16)는 특정 페이저가 호출되었는지 알수 있도록 수신된 어드레스와 어드레스 프로그램(20)을 비교하며, 호출되지 않은 경우에 페이저가 작용하는 것을 막는다. 어드레스 디코더(16) 및 어드레스 프로그램(20)이 이 페이저에 대한 호출을 검출한다면, 페이지형 프로그램(22)은 다음에 신호를 소스형(source-type) 디코더(24)에 인가하므로써 만들어지고 있는 페이지의 유형을 결정한다. 페이지가 데이타 페이지인 경우, 소스형 디코더는 표시 RAM(28)에 데이타를 공급하도록 데이타 프로그램(26)에 의해 제어되는 데이타 디코더(18)를 인에이블 시킨다. 표시 RAM(28)은 표시부(32)상의 데이타를 표시하도록 기능제어기(14)의 제어를 받아 표시제어기(30)에 의해 제어된다.
제1도의 페이저 사용자는 경보를 들을때 보통 가장 먼저 페이지를 알게 된다. 이것은 기능제어기(14)의 제어를 받아 경보발진기(34)에서 발생된다. 경보발진기(34)는 기능제어기(14)에 의해서 역시 제어되는 오디오 증폭기(36)를 동작시켜 경보를 스피커(38)에 전달한다. 경보에 보이스 페이지(voice page)가 따르게 되는 경우, 오디오 신호는 기능제어기(14)에 따르는 오디오 레벨을 설정하는 수신기(12)로 부터 전자감쇄기(40)로 진행한다. 페이지가 단독음 또는 데이타인 경우에, 경보신호는 단지 가청신호이며, 다른 정보는 표시부(32)상에 사용자에게 유용하게 표시된다. 페이지가 데이타 페이지인 경우에, 표시부(32)는 데이타 디코더(18) 및 표시 RAM(28)으로 부터 해독된 데이타를 표시하며, 또한 기능제어기(14)의 제어하에서 소스를 표시한다. 페이지가 보이스 페이지인 경우에, 사용자는 수신기(12)로 부터 전자감쇄기(40), 오디오 증폭기(36) 및 스피커(38)를 통해 사운드를 수신한다. 또, 페이지가 단독음인 경우에, 사용자는 경보 발진기(34)에 의해 내부적으로 발생되고 오디오 증폭기(36) 및 스피커(38)에 접속되는 경보음을 듣는다. 사용자는 또한 표시부(32)상에서 단어 “호출(call)”및 호출소스에 대한 지시를 알아보게 된다.
표시 페이저의 특별한 장점은 행동하기 불편한 시각에 도달하는 메세지를 가억하여 그 메세지를 페이저의 사용자가 나중에 이용하게 해주는 능력이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려면, 페이저의 사용자는 그것이 아직 읽혀지지 않은 어떤 메세지를 포함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그의 페이저를 점검할 수 있어야 한다.
제2도의 회로는 아직 읽혀지지 않은 메세지가 메모리에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지시해주는 표시제어기이다. 제2도에서, 페이지 어드레스 디코더(16)는 단독음 또는 데이타 페이지가 수신될때 출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출력은 지연소자(50)에서 지연되어 레지스터를 형성하도록 종속접속된 클럭 플립플롭(52,54,56 및 58)에 인가된다. 플립플롭(52,54,56 및 58)의 각각의 출력은 표시부(32)의 분리된 메세지 표시기에 접속된다. 따라서, 어드레스 디코더(16)로 부터의 단일 출력은 플립플롭(52)을 트리거(trigger)할 것이며 표시부(32) 상에 단일 메세지를 표시할 것이다. 다른 메세지의 수신은 메모리중에 있으며 재호출을 받게 되는 제2메세지의 존재를 표시하여 플립플롭(54)을 트리거할 것이다. 메세지는 카운터(62)를 클록시키고 또 종료카운터(64)를 리셋트 시키는 판독 버턴(read button)에 의해 메모리로 부터 재호출된다. 카운터(62)의 출력은 정상 상태하에서 영(zero) 출력을 생성하는 8개의 디코더(66)중의 하나에 인가된다. 이것은 아무런 메세지도 재호출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여서 표시부상의 대기 위치에서 시각 지시기를 세트시킨다. 판독버턴(60)이 일단 눌려지면, 카운터(62)는 그것을 일로 카운트하게 하는 디코더(66)에 펄스를 제공해서 제1메세지를 표시부에 호출하게 된다. 판독 버턴(60)의 반복 동작은 디코더(66)가 메모리에 기억될 수도 있는 4가지 메세지를 통해서 순서대로 계수하도록 한다.
디코더(66)가 5로 계수할때, 이것은 카운터(62)를 리세트 시키도록 OR 게이트(68)를 트리거한다. 대안으로, 종료 카운터(64)는 사용자가 다섯개의 메세지를 읽으려 하지 않은 경우에 카운터(62)를 리세트 시킬 OR게이트(68)에 임펄스를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페이저의 사용자는 그의 페이저의 메모리내에 메세지가 없거나 하나, 둘, 셋, 넷의 메세지가 있다는 것을 그에게 지시하는 표시부를 가진다. 새로운 메세지가 수신될때, 그들은 처음에 메모리에 놓여지고 읽혀지거나 읽혀지지 않든간에 초기의 메세지가 메모리로 부터 상실되도록 다시 읽혀진다. 메모리내의 메세지수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메세지를 읽었는지 아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제3도의 회로는 메모리에 읽혀지지 않은 메세지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지시해준다. 제3도에서, 페이지 어드레스 디코더(16)는 페이지의 수신에 대한 지시를 제공한다. 그 페이지가 데이타 페이지 또는 단독음 페이지인 경우, 신호는 OR게이트(70) 및 플립플롭(72) 뿐만 아니라 AND 게이트(74,76,78)에 제공된다. 플립플롭(72)은 데이타 페이지 또는 단독음 페이지를 지시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을 발생한다. 그 응답은 AND 게이트(74) 및 AND 게이트(80)에 대한 입력으로서 공급된다. AND 게이트(80)에 대한 제2 입력은 섬광(flash) 발진기(82)에 의해 공급된다. AND 게이트(80)의 출력은 페이지의 수신을 지시하는 섬광표시를 제공하도록 표시부(32)로 택해진 섬광지시이다. 제2페이지가 수신되는 경우, AND 게이트(74)는 AND 게이트(76,86)으로 택해진 출력을 공급하는 플립플롭(84)를 트리거 한다. AND 게이트(86)의 출력은 제2페이지의 수신에 대한 섬광지시를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플립플롭(88,90)은 각각 제3 및 제4 페이지의 수신을 지시해준다. 이러한 지시는 제3 및 제 4 페이지의 수신을 표시하도록 각각 AND 게이트(92,94)로 택해진다.
사용자가 그의 페이저를 읽었을때, 섬광이 종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표시증가 스위치(96)를 증가시키고 또한 완전한 메세지가 판독을 위해 표시되었을때 메세지 플립플롭(98)으로 부터 출력을 발생시키는 판독스위치(60)는 누름으로써 성취된다. 페이저가 단독음이라면, 완전한 메세지가 메세지의 소스를 지시하는 일표시이다.
데이타 페이지는 표시된 숫자 및 그들의 소스를 위한 4개의 표시 분리선을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재호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메세지는 메세지의 각 선이 적어도 일단 표시되었다면 읽혀질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이 발생할때, 플립플롭(98)은 플립플롭(72,84,88,90)중 적당한 것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은 리세트시키는 신호를 제공한다.
제3도의 회로는 또한 가청경보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경보는 판독버턴(60) 또는 리세트버턴(100)에 의해 리세트된다. 각각은 플립플롭(104)을 리세트시키는 OR게이트(102)에 임펄스를 공급한다. 어떤 종류의 페이지의 수신으로 AND 게이트(106)로 받아들여진 OR게이트(70)로 부터 출력을 발생한다. 무음버턴(108)이 풀려지면, 플립플롭(110)은 AND 게이트(106)를 금지하는 저 입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신호가 없을때, AND 게이트(106)는 오디오 정보(112)를 작동하도록 플립플롭(104)을 트리거하여, 경보신호로써 스피커(114)를 구동한다. 무음버턴(108)이 풀려져서 플립플롭(110)을 리세트시키면, 스피커(114)로 부터 아무런 신호가 나오지 않은 것이다. 또한 스피커의 부호에 대한 사각표시를 가능케 하는 OR게이트(116)로 전달된 신호도 없을 것이다. 이는 그의 페이저가 무음모드에 있다는 시각적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가 무음모드에서 보이스 페이지를 수신한다면, 이것은 플립플롭(120)을 세트시키는 AND 게이트(18)를 작동시켜 섬광발진기(112)를 작동시키는 출력을 생성한다. 섬광발진기(112)의 출력은 OR 게이트(116)으로 받아들여져 무음모드에 있을 동안, 사용자가 보이스 페이지를 수신하도록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표시부상의 스피커에 대한 섬광지시를 제공해준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표시 페이저의 동작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제4도에서, 블록(510)은 “온(ON)”버턴의 누름에 응답하여 페이저를 턴온한다. 이는 최대 레벨로 오디오의 볼륨을 세트시키고, 수신기 채널을 열며, 경보음을 내고, 사용자가 점검하도록 표시부를 턴온하는 시작블록(512)의 단계를 요구한다. 조정된 기간후, 오디오 신호가 턴오프되고, 표시부가 단어 “온”을 보이게 된다. 이 방법에서 다음 단계는 코드 플러그의 판독을 지시하는 블록(514)에 의해 표시된다.
코드 플러그는 특정 페이저에 지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수를 식별하는 정보와 아울러 그 수와 관련된 기능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코드 플러그에 인코드될 수도 있는 가능한 기능은 단독음, 보이스 페이지 및 데이타 페이지이다 이것중 어떤 것은 우선 호출을 받게 될 수도 있으며, 그것은 무음모드의 선택을 무효로 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특정기능과 호출식별 숫자는 코드 플러그에 기억된다. 블록(514)에 의해 지시되는 코드플러그의 단독단계는 그것이 영구기억장소로 부터 신속한 인출을 위한 버퍼메모리로 코드 플로그내에 있는 향하는 그 정보를 읽는다. 이러한 기능이 완성되면, 페이저는 은이 되고 준비된다.
페이지를 검출하고 수신된 신호와 페이저의 검출 과정 사이의 동기를 설정하는 공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 3,801,956호 및 제 3,855,576호에서 광범위하게 다루어졌다. 이 특허들은 여기에서 충분히 설명된 것처럼 참조로서 통괄된다. 이러한 특허 및 본 발명에서는 수신된 신호가 반복하여 샘플되고, 또 검출된 샘플비트는 페이저와 상관되어서 서두어의 존재를 검출한다. 그리고 서두어가 검출된다면 동기어 및 페이지 주소도 검출된다.
본 발명의 페이저에서는, 수신된 신호가 1200Hz의 비율로 샘플된다. 이 연산은 1200Hz의 비율로 인터럽트를 발생하도록 타이머를 세트하고 시작하는 연산박스(516)에 의하여 제어된다. 연산박스(516)는 또한 기능제어기에 대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카운터의 세팅을 지시한다. 결정블록(518)은 다음에 기능제어기에 대한 인에이블 비트의 존재에 대하여 테스트한다. 비트가 없다면, 제어는 기다림을 검출하는 연산박스(520)로 진행한다. 연산박스(520)로 부터의 출구는 결정박스(518)로 향하며, 기능 제어기에 대한 인에이블 입력이 없을 경우에 기다림 모드의 제어를 유지한다. 기능제어기 비트가 셋트되면, 결정블록(518)으로 부터의 출구는 제어기의 다음의 셋팅까지 다음의 인에이블 비트를 클리어시키는 연산블록(522) 향하며 기능제어기 박스(524)로의 유입을 지시한다.
제5도는 제4도의 기능제어기 블록(524)의 확장된 플로우챠트이다. 제5도에서, 연산박스(528)가 데드맨(edadman) 타이머를 리셋트시킨 후, 결정블록(530)은 검출신호의 존재에 대한 테스트를 한다. 페이지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검출신호는 제로이고, 페이지가 수신된다면 그것은 1 부터 9까지의 숫자이다. 제로 검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즉 페이저의 부존재를 지시하는 경우, 결정블록(530)으로 부터의 출구는 결정블록(532)으로 향하게 된다. 검출신호가 1 부터 9까지의 숫자라면 결정블록(530)으로 부터의 출구는 데이타 페이지의 존재에 대하여 테스트 하는 결정블록(534)로 향한다. 이것은 데이타가 뒤따를 것임을 지시하는 멈춤숫자 9의 존재에 대한 테스트를 나타낸다. 먼저 페이지가 데이타 페이지가 아니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결정블록(534)로 부터의 출구는 검출된 숫자의 기억 및 미래의 페이지에 대하여 리셋트 시키도록 검출숫자의 클리어링을 지시하는 연산박스(536)로 향한다. 다음에 출구는 수신된 페이지가 단독음이고 동시에 우선인지 알도록 테스트하는 결정블록(538)으로 향한다. 어떠한 유형의 우선 페이지라도 호출자가 무음모드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무효로 하게 하는 것이다. 수신된 페이지가 단독음 및 우선인 경우에는, 결정박스(538)로 부터의 출구는 우선 플래그를 셋트시키도록 연산박스(540)로 향한 다음 단독음을 위한 입력코드 레지스터를 셋트시키도록 연산박스(542)로 향하게 된다. 수신된 페이지가 단독음 및 우선이 아닌 경우에는, 결정블록(538)으로 부터의 출구는 페이지가 단독음인지 알도록 테스트 하는 결정블록(544)으로 향한다.
이제 검출된 페이지가 단독음이 아니라고 생각하자. 다음에 결정블록(544)으로 부터의 출구는 우선 보이스 페이지의 존재에 대하여 테스트 하는 결정블록(546)으로 향한다. 1인 경우에, 출구는 우선 플래그를 설정하도록 결정박스(548)로 향하며, 다음에 보이스 페이지 입력을 위해 페이저를 셋트시키도록 연산박스(550)로 향하게 된다. 페이지가 우선 보이스 페이지가 아닌 경우에, 결정박스(546)로 부터의 출구는 보이스 페이지의 존재에 대하여 테스트 하는 결정박스(552)로 향한다. 1인 경우에는, 출구는 또한 연산박스로 향하게 된다.
이제 단독음과 데이타에 대한 페이저의 동작의 비교를 생각하자. 어느 경우에 사용자는 페이저의 도착에 대한 경보를 받으며 그는 경보신호 이외에 아무 것도 듣지 못한다. 무음모드에 있고 비우선 페이지를 수신한다면, 사용자는 촉각 경보를 수신할 것이다. 이어서 그는 페이저에 메세지의 표시를 기대한다. 페이지가 단독음인 경우, 유일한 메세지는 단어 “호출(call)” 및 페이지의 소스일 것이다. 그 메세지가 데이타 메세지라면 데이타는 수신되어 표시전에 해독되어야 한다. 이제 그림의 결정블록(534)으로 부터의 출구를 고려하라.
데이타 페이지가 수신되었을때, 데이타는 잡음 및 페딩(fading)의 종래시 데이타 손실을 최소로 하기 위해 선택된 골레이(golay) 순차모드일 것이다. 이러한 데이타의 존재로 인해 수많은 데이타의 전위를 지시하는 결정박스(534)에서 연산박스(544)로의 출구가 된다면, 이때 두가지 유형의 정보중 하나가 연산박스(556)로 향하게 된다. 페이지가 단독음인 경우 이것은 메세지가 단어 “호출(call)”및 소스정보인 해독된 데이타 페이지의 경우 처럼 처리될 것이다. 따라서, 연산박스(542)로 부터 지시된 바와 같은 단어 “호출(call)”및 소스정보의 조합이나 연산박스(554)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은 데이타는 마지막 데이타 블록 후 페이지 플래그를 세트시키는 버퍼 할당기(556)의 제어를 받아 기억으로 할당될 것이다.
결정블록(558)은 다음에 메모리에서 보수화된 데이타 페이지의 존재를 지시하는 페이지 플래그의 존재에 대하여 테스트한다. 영인 경우 출구는 결정블록(532)으로 향하게 된다.
데이타 페이지의 존재를 지시하는 페이지 플래그라면 출구는 페이지가 우선 데이타 페이지인가의 여부를 테스트 하는 결정블록(560)으로 향한다. 그렇다면, 연산블록(562)은 우선 플래그를 세트시키고 결정블록(564)으로 출구된다. 페이지가 우선 데이타 페이지가 아니고 따라서 데이타 단독페이지인 경우, 결정블록(560)으로의 출구는 데이타 페이지 입력을 셋트시키는 연산블록(564)으로 향하게 된다. 제5도의 플로우챠트의 전술한 부분으로 부터의 모든 출구는 동작중에 지금 상태에 해당하는 작용 루틴에서 세트되었던 타이머가 제로로 카운트 하였는지 알아보도록 테스트 한 결정블록(532)으로 인도되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연산블록(566)은 타이머의 계수를 하나씩 감소시키며, 결정블록(568)은 타이머가 이제 제로인지 알아보도록 점검한다. 그렇다면, 출구는 타이머 입력을 셋트시키도록 연산블록(570)으로 간다.
결정블록(532)으로 부터의 지시가 타이머가 제로로 같아지는 것이라면, 출구는 결정블록(572)으로 간다. 타이머가 제로가 아니고 일단 감소된 후 제로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결정블록(568)으로 부터의 출구는 또한 결정블록(572)으로 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타이머가 제로가 아니고 일단 감소되어 제로에 도달하는 경우, 연산블록(570)으로 부터의 출구는 또한 밧데리가 낮은 값인지 알아보도록 테스트 하는 결정블록(572)으로 향한다. 그렇다면, 출구는 페이저가 온인지 테스트 하도록 결정블록(574)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출구는 저전지 플래그가 셋트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테스트하는 결정블록(576)으로 향한다. 그렇지 않다면, 연산블록(578)은 저전지 플래그를 세트시키고 저전지의 사용자에게 경보를 하기 시작한다.
결정블록(572,574,576)으로 부터의 교번 응답은 페이저 표시부 및 스퍼커내의 벨 표시기의 섬광을 제어하는 결정블록(578)에서 연산블록(580)으로의 출구와 함께 나가게 된다. 페이저는 밧데리의 저전압, 메모리의 가득참, 불량 데이타의 검출, 데이타 페이지의 수신 및 보이스 페이지의 수신을 알리는 경보를 갖고 있다. 낮은 전압의 밧데리 경보만이 다른 모든 경보가 페이저의 수신에 의해 트리거 되기 때문에 페이지의 비존재시에 동작될 필요가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페이저는 제5도의 플로우챠트의 초기부분으로 부터의 페이징에 관계된 정보를 제어하는 정보를 수신할 것이며 또 결정블록(572)으로 시작하는 순서로 부터 저전압 밧데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것이다. 이들은 경보 플래그가 셋트인지의 여부를 알도록 테스트 하는 결정블록(582)에 의하여 테스트된다.
경보 플래그가 세트되어 상술한 경보상태중의 하나가 존재함을 지시한다면, 이때 연산블록(584)은 적당한 경보를 발생할 것이다. 결정블록(582) 및 연산블록(584)으로 부터의 출구는 스위치 입력의 감지를 지시하는 연산블록(586)으로 향한다. 다음에 연산블록(588)은 다음 상태의 결정을 지시한다. 이는 상태표의 검사를 통해서 더욱 자세히 논의될 것이다. 다음의 결정블록(590)은 다음 상태가 전류상태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묻는다. 만일 그렇다면, 출구는 제4도의 기다림 루우프로 향하며 또 결정블록(518)의 입력으로 향하게 된다. 상태표의 다음 상태가 전류상태와 동일하지 않다면, 이때 결정블록(590)으로 부터의 출구는 다음 상태의 동작수행을 요구하는 연산블록(592)으로 향하게 된다. 다음의 연산블록(594)은 전류상태를 새롭게 하고 제4도의 기다림 루우프에 대한 제어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페이저의 동작에 대한 일정한 특징이 상태표에 요약된다. 제5도의 결정블록(590)의 효과를 논의할때 이미 상태표를 참조해왔다. 이 연산은 우선 순서의 입력과 페이저의 연산상태를 나열한 상태표시 상태들을 고찰하므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상태표]
Figure kpo00001
상태표에서 좌측상의 수직열은 페이저의 모든 가능한 동작상태를 나열하고 있다. 상태표의 상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나열된 머릿글자는 여러상태를 호출하는 입력들이다.
세 입력들은 수동제어에 의한 것이다. 이들은 온-오프버턴, 판독버턴 및 홀드버턴이다. 두 입력들은 내부동작에 의해서 시작된다. 이들은 데이타 페이지와 보이스 페이지이다. 마지막 입력은 시간종료이며, 그것은 어떠한 다른 입력도 전진을 야기시키지 않는다면 내부적으로 다른 상태로 전지시키도록 발생된다. 상태표시에서 대쉬(-)는 페이저가 특정상태에 있을때 무시되는 입력들을 지시한다.
이제 페이저가 오프라고 생각하자. 그것은 좌측열의 최상부에 기입한 오프상태이다. 최상부 행을 따라 생각하자면, 어떠한 입력도 온-오프 버턴을 제외한 그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음은 명백하다. 온 오프 버턴을 미는 것은 제1열, 제2행에 있는 전력상승 톤상태로 상태변화하게 할 것이다. 아무런 일도 종료시까지 일어나지 않을 것이며, 다음에 그것은 제3행을 전력상승시키도록 전진할 것이다. 이것은 종료될 것이며 다음에 온상태로 전진할 것이다. 만일 온/오프 버턴이 다시 작동된다면, 페이저는 턴 오프될 것이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다른 상태가 상태표에서 지시한 바와 같이 페이저의 도착이나 지드 또는 홀드버턴의 사용에 의해서 호출된다. 상대표의 상태중, 검색상태는 리드버턴에 의해 호출된다.
판독 버턴은 메모리를 검색하고 도 메모리로 부터 표시부상에 놓을 어떤 것을 호출한다. 홀드버턴은 “동결표시”라고 표식된 상태를 호출한다. 이는 표시된 숫자를 아래로 기록하는 그러한 활동을 위해 시간을 제공하도록 표시부의 정상적인 사이클링을 방해한다.

Claims (5)

  1. 페이저에서, 메세지가 수신될때 종속접속된 플립플롭들(72, 84, 88, 90)중의 하나가 증가하는 단계와, 메세지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지시해주는 섬광표시 (32) 단계, 및 메세지가 읽혀졌을때 섬광표시 (32)를 끝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혀지지 않은 메세지를 지시하는 방법.
  2. 수신기(12), 수신된 페이지의 디코드용 디코더(16) 및 기능 제어용 기능 제어기(14)를 구비한 페이저에 있어서, 보이스 페이지를 단독음 페이지나 데이타 페이지로 부터 구별하기 위한 페이지 어드레스 디코더(16)와, 단독음 페이지이거나 데이타 페이지인 페이지들의 계수값을 축적하기 위해 종속접속된, 플립플롭(72, 84, 88) 및 읽혀지지 않은 단독음 페이지나 데이타 페이지를 지시하도록 섬광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섬광 발진기(8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표시부를 읽었을때 섬광 신호의 표시를 끝내기 위한 스위치(9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
  4. 제3항에 있어서, 페이지 어드레스 디코더로 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오디오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스피커(1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
  5. 제4항에 있어서, 오디오 경보를 울리지 않게 하기 위한 무음버턴(108)과 오디오 경보가 울리지 않을때 페이저의 수신을 눈으로 볼 수 있게 표시하기 위한 섬광발진기(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
KR8204341A 1981-09-29 1982-09-27 읽혀지지 않은 메세지를 눈으로 볼 수 있게 표시한 페이저 KR880002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306,798 US4385295A (en) 1981-09-29 1981-09-29 Pager with visible display indicating unread messages
US306,798 1981-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979A KR840001979A (ko) 1984-06-07
KR880002169B1 true KR880002169B1 (ko) 1988-10-17

Family

ID=2318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341A KR880002169B1 (ko) 1981-09-29 1982-09-27 읽혀지지 않은 메세지를 눈으로 볼 수 있게 표시한 페이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385295A (ko)
EP (1) EP0089981A4 (ko)
JP (1) JPH0638591B2 (ko)
KR (1) KR880002169B1 (ko)
AU (1) AU557400B2 (ko)
BR (1) BR8207899A (ko)
CA (1) CA1179737A (ko)
DK (1) DK163199C (ko)
FI (1) FI75957C (ko)
MY (1) MY103610A (ko)
WO (1) WO1983001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4645A (en) * 1981-06-10 1982-12-15 Nec Corp Receiver for individual selective call
JPS58131831A (ja) * 1982-02-01 1983-08-05 Nec Corp 無線選択呼出受信機
GB2118337B (en) * 1982-02-09 1986-01-15 Nippon Electric Co Pager receiver for giving at least one of extraordinary tones and extraordinary displays
JPS5997240A (ja) * 1982-11-27 1984-06-05 Nec Corp 表示機能付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S609234A (ja) * 1983-06-28 1985-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付選択呼出受信装置
GB2149164B (en) * 1983-09-30 1987-06-17 Nec Corp Pager receiver
JPS60191531A (ja) * 1984-03-13 1985-09-30 Nec Corp 表示機能付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4701759A (en) * 1984-04-03 1987-10-20 Motorola, Inc. Call reminder for a radio paging device
US4644351A (en) * 1984-05-08 1987-02-17 Motorola, Inc. Two way personal message system with extended coverage
JPH0669163B2 (ja) * 1985-09-17 1994-08-31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機能付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5682148A (en) * 1985-11-27 1997-10-28 Seiko Corporation Paging system with message numbering prior to transmission
US5185604A (en) * 1985-11-27 1993-02-09 Seiko Corp. And Seiko Epson Corp. Message indicating icon mechanism
CA1296066C (en) * 1985-12-10 1992-02-18 Toshihiro Mori Radio paging receiver having a message protection capability
CA1332184C (en) * 1987-06-30 1994-09-27 Motorola, Inc. Digitized stored voice paging receiver
EP0297367A3 (en) * 1987-06-30 1990-09-19 Motorola Inc. Digitized stored voice paging receiver having a single input user control
US4887291A (en) * 1987-07-23 1989-12-12 American Monitoring Systems, Inc. System for annunciating emergencies
JP3159121B2 (ja) * 1987-09-30 2001-04-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受信装置
US5844498A (en) * 1987-11-13 1998-12-01 Nec Corporation Paging receiver with a message selection circuit
US5471204A (en) * 1988-04-09 1995-11-28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notifying reception of a call signal in a perceptual mode determined by counting a number of times of the reception
US4994797A (en) * 1989-03-08 1991-02-19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user controlled page disposition
EP0465509A4 (en) * 1989-03-27 1992-05-13 Motorola, Inc. Communication receiver having informational displays
US5177477A (en) * 1989-08-14 1993-01-05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eceiver having a file for retaining multiple messages
US5172092A (en) * 1990-04-26 1992-12-15 Motorola, Inc. Selective call receiver having audible and tactile alerts
ATE150890T1 (de) * 1990-11-05 1997-04-15 Motorola Inc Selektivrufempfänger mit anzeige einer empfangenen nachricht
US5473320A (en) * 1992-05-08 1995-12-05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presentation of received messages based on time
US5933088A (en) * 1993-01-22 1999-08-03 Uniden America Corporation Pager with message sequencing
US5398022A (en) * 1993-01-22 1995-03-14 Uniden America Corporation Pager with display illumination
US5478776A (en) * 1993-12-27 1995-12-26 At&T Corp. Process for fabricating integrated circuit containing shallow junction using dopant source containing organic polymer or ammonium silicate
US5739764A (en) * 1993-12-28 1998-04-14 Nec Corporation Selective calling receiver having an alerting time auto-control function
JP2647055B2 (ja) * 1995-05-17 1997-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5821874A (en) * 1996-03-19 1998-10-13 Sony Corporation Messaging terminal with voice notification
US6061570A (en) * 1997-02-24 2000-05-09 At & T Corp Unified message announcing
US6393296B1 (en) * 1997-04-03 2002-05-21 Lucent Technologies, Inc. E-mail access from cellular/PCS phones using user agents
US6400814B1 (en) * 1997-12-02 2002-06-04 Siemens Information And C Communication Mobile, Llc Telephone with ringer silencer screening feature
US6157630A (en) * 1998-01-26 2000-12-05 Motorola, Inc. Communications system with radio device and server
JP3012598B2 (ja) 1998-06-29 2000-02-21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付き無線選択呼び出し受信機及びメッセージ情報表示方法
US6429772B1 (en) 1998-09-18 2002-08-06 Timex Group B.V. Pager with unread pager message indicator
US6323783B1 (en) 1998-09-24 2001-11-27 Timex Group B.V. Device with alternating status message display capability
US6157814A (en) * 1998-11-12 2000-12-05 Motorola, Inc. Wireless subscriber unit and method for presenting advertisements as a message indicator
US7546141B2 (en) * 2000-05-23 2009-06-09 Robert Leon Hybri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60126542A1 (en) * 2000-05-23 2006-06-15 Robert Le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2234297A1 (en) * 2009-03-26 2010-09-29 novero GmbH Method for operating a portable mobile internet media recorder
EP2244449A1 (en) * 2009-04-23 2010-10-27 novero GmbH Mobil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9142A (en) * 1974-08-16 1977-04-19 Wycoff Keith H Selectively callable receiver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one characteristics
US4010461A (en) * 1975-01-17 1977-03-01 Bell & Howell Company Alerting system with dual-address memory
JPS5518084B2 (ko) * 1975-01-28 1980-05-16
US3976995A (en) * 1975-05-22 1976-08-24 Sanders Associates, Inc. Precessing display pager
US4197526A (en) * 1975-12-03 1980-04-08 Boris Haskell Miniature pager receiver with digital display and memory
JPS584289Y2 (ja) * 1978-04-18 1983-01-25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を備える無線選択呼出し受信機
US4336524A (en) * 1979-07-17 1982-06-22 Levine Alfred B Video display pager receiver with memory
JPS5693440A (en) * 1979-12-27 1981-07-29 Nec Corp Pocket type portable receiver
JPS5953736B2 (ja) * 1980-07-22 1984-12-26 日本電気株式会社 個別選択呼出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953682A (en) 1983-04-27
KR840001979A (ko) 1984-06-07
BR8207899A (pt) 1983-09-13
FI75957B (fi) 1988-04-29
DK236383A (da) 1983-05-26
AU557400B2 (en) 1986-12-18
DK236383D0 (da) 1983-05-26
EP0089981A1 (en) 1983-10-05
EP0089981A4 (en) 1985-06-10
FI831902L (fi) 1983-05-27
US4385295A (en) 1983-05-24
JPS58501569A (ja) 1983-09-16
FI831902A0 (fi) 1983-05-27
DK163199C (da) 1992-06-22
DK163199B (da) 1992-02-03
CA1179737A (en) 1984-12-18
MY103610A (en) 1993-08-28
FI75957C (fi) 1988-08-08
JPH0638591B2 (ja) 1994-05-18
WO1983001356A1 (en) 198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169B1 (ko) 읽혀지지 않은 메세지를 눈으로 볼 수 있게 표시한 페이저
KR880002194B1 (ko) 메모리의 상태를 눈으로 볼 수 있게 표시한 페이저
US63516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message which has been received
KR960007575B1 (ko) 경보 신호 발생 페이징 수신기
JP2531074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4741020A (en) Clerk paging system
KR100189591B1 (ko)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US5177477A (en) Selective call receiver having a file for retaining multiple messages
EP0803848A1 (en) Radio selective calling receiver and calling method
EP0297368B1 (en) Digitized stored voice paging receiver
KR20000048515A (ko) 음성 및 데이타 메세지를 가진 페이저
EP1027690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JP2669222B2 (ja) 選択呼び出し受信装置
JPH0730940A (ja) ページャーの報知方式
EP0297367A2 (en) Digitized stored voice paging receiver having a single input user control
MXPA00002261A (es) Metodo y aparato para mostrar en pantalla un mensaje que ha sido recibi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