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028B1 - 인삼커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삼커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028B1
KR880002028B1 KR1019860007040A KR860007040A KR880002028B1 KR 880002028 B1 KR880002028 B1 KR 880002028B1 KR 1019860007040 A KR1019860007040 A KR 1019860007040A KR 860007040 A KR860007040 A KR 860007040A KR 880002028 B1 KR880002028 B1 KR 880002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coffee
granules
extract
t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448A (ko
Inventor
김상봉
Original Assignee
김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봉 filed Critical 김상봉
Priority to KR101986000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028B1/ko
Publication of KR88000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삼커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인스턴트 인삼커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용되고 있는 커피는 카페인을 위시한 인체에 좋지 않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카페인이 제거된 커피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여, 미합중국 특허 제3,671,263호와 제2,309,092호는 염화메틸렌 유기용제와 접촉시키거나 혹은 카페인 저함유 수용액으로 카페인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거된 무카페인 커피 제품을 제조하였지만 역시 맛과 풍미면에서 원래의 커피보다 열등하였다.
또한, 통상의 인삼차는 수삼을 세절후 용매 추출하여 동결 혹은 열풍건조한 과립상의 제품으로서 증숙 혹은 열풍건조중에 유효성분인 각종의 방향성분들이 휘발되어 제거되므로 인체에 유용한 약리 효과를 주는 성분들이 모두 낭비되어버리며, 또한 수삼이 지니는 인삼 특유의 고유한 풍미도 현저하게 감소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 출원 제72-671호에서는 유당을 이용하여 수삼의 약효와 향기가 발산되지 않고 유당에 흡수되어 향과 맛이 우수한 분말차를 제조하였으나 유당자치의 이미(異味)와 충분한 향기성분의 추출불량 및 성분 파괴등에 의하여 실용화에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커피의 고유한 향을 최대한 유지시키면서도 인체에 전혀 무해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카페인등을 그대로 커피에 유지시키면서 인삼성분과 향성분을 함께 혼합시켜서 다량 섭취에도 불구하고 인체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독특한 맛, 향 및 색을 지니는 즉석 인삼커피를 개발하였다.
커피는 쓴맛, 떫은 맛, 신맛, 구수한 맛등이 조화를 이루어 미묘한 쾌감을 주는 기호 음료로서 피로감을 없애고 특유의 맛과 향이 있어서 널리 애호되고 있지만 단백질, 당분, 탄닌산, 지방을 제외하고 카페인은 대량 섭취시에 중추신경이 자극되어 악영향을 주고 있다.
한편 인삼에서 사포게닌(Sapogenine)과 같은 15여종의 배당체, 파나센과 같은 지용성성분, 함질소화합물, 비타민 및 미량 성분이 총체적으로 조혈, 강심, 신경안정등의 약리효능이 있는 우수한 약용식물로서 오래전부터 입증되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두가지 물질의 상호 길항적인 약리효과를 관찰한 결과 카케인은 중추신경 흥분작용이 있는 반면에 인삼의 사포닌배당체 및 파나센계 화합물은 이와 상반되는 흥분억제와 조절작용이 있음을 인지하고 이 두가지를 혼합하여 커피의 고유향과 맛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인체에는 오히려 유익한 약리효과를 갖는 독특한 풍미의 두향의 조화로서 생성되는 새로운 인삼 커피음료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젖당, 포도당, 수크로스 등을 접착 매개물로 인삼입자 주위에 커피입자를 포괄하여 접착하고 이것에 인삼의 향기 성분을 매개기체를 통하여 접촉시키므로서 음용할때 인삼향이 현저하게 발산되면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작용이 상쇄되는 새로운 인삼커피를 제조하였다.
인삼은 소위 방초(芳草)라고도 불리는 향기가 대단히 독특한 식물로서, 이 향기 성분은 뿌리에 약 0.05%정도 포함되어 있으며 비중이 0.925, 비점이 60-110℃사이의 낮은 비점을 갖고 있다.
이 성분들을 세스퀴테르펜(sequiterpene)계의 파나센, 파낙시놀등으로 그 구조가 불확실한 미지성분이 혼재되어 있는 황색의 유상물질로서 항암, 신경안정, 혈관운동 촉진등이 대단히 우수한 약리효과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 향기성분들은 백삼 혹은 홍삼 제조의 경우 4-6년근 수삼을 열탕으로 2-3시간 증숙하는 과정에서 100℃이상의 고온 열탕때문에 대부분 수증기와 함께 유실되며, 또한 홍삼세절분을 60-80℃의 온도에서 물 또는 유기용제로 추출하는 열처리 추출과정에서 일부 휘발되어 버린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증숙과 열처리의 이중 단게에서 발산되는 인삼향기 성분을 모두 수집하여 이들 성분을 냉동응축하여 인삼과 커피의 엑기스를 동결 건조시켜 얻은 과립체내에 침투시켜 흡착되도록 하므로서 대단히 우수한 맛, 향 및 약리효과를 발취하는 인삼커피를 제조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을 다음의 인삼차 제조공정을 한가지 예로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제조공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공정)
통상의 커피원도를 220℃전후의 토스터에서 볶은 후 건조(수분함량 2.5%이하), 열분해, 냉각시켜 진한 갈색의 배전두를 제조하여 전동밀을 이용하여 미세하게 마쇄한 후 유기용매류(예, 에탄올)에 의하여 추출한다.
한편 선별수집한 4-6년근 수삼을 수세후 일정한 크기로 세절하고 가열장치와 매개(carrer) 기체공급 및 배출구가 있는 증숙조에 넣고 60°-85°로 0.5-3시간 가열한다.
이때에 도관을 통하여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증숙조내에 불어넣어 수삼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향기성분이 매개기체의 이송과 함께 방출되어 상부의 배출구를 통하여 냉각응축실로 옮겨진다.
한편, 홍삼차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수삼을 100℃이상의 열탕, 증숙하는 과정에서 다량 휘발되는 향기 성분과 수증기 및 홍삼건조 세분체를 물 혹은 유기용제로 열처리 추출하는 과정에서 발산되는 인삼향기도 상기한 공정을 이용하여 수집하여 냉동응축실로 이송한다.
이결과 수삼의 수분 정도는 평균 10%이하로 감소되며 이 건조수삼을 주정등의 유기용매 혹은 젖당, 포도당등의 당용액에 침지시킨다. 3-5일간 침지시키면 인삼의 유효성분이 침출되는데, 온도를 약간 상승시키므로서 침출을 가속화할 수 있다. 단, 유효성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30℃이상의 가온은 좋지 않다.
(제 2 공정)
제 1 공정의 증숙조에서 발출되는 매개기체는 -78℃이하의 온도로 냉각되는 스크랩트월(Scraped-wall)형 열교환기에 공급되므로서 일종의 드라이아이스와 같은 "이산화탄소시리(frost)"가 발생되며 이 서리에는 인삼에서 추출되는 각종 향미성분과 수분도 함께 응축되어져 있게 된다.
(제 3 공정)
제 1 공정에서 생성된 커피 추출액과 인삼 추출액기스는 인삼엑기스의 함량이 5-35%가 되도록 균일혼합한다.
이때에 인삼엑기스는 젖당, 포도당 혹은 스크로스등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일종의 점결제 역활을 하여서 인삼입자 주위에 커피입자가 접착되는 결과가 된다.
이 혼합엑기스를 -40℃의 진공 동결 건조실에 투입하여 충분히 건조하면(수분함량 2%이하), 과립상의 건조제품이 얻어진다. 이 동결건조품은 수분이 동결된 상태에서 직접 승화된 결과 지극히 다공질인 해면 구조를 갖게 되는바, 이는 본 발명의 인삼 휘발성분이 흡착고정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 4 공정)
제 2 공정에서 응축시켜 좋은 이산화탄소서리를 압력용기에 옮겨놓고 주변의 자켓등의 열매치로 -29℃이상, 접합하게는 20°-60℃로 가온하면서 용기내를 6.8기압이상이 유지되도록 하면 서리상의 고체이산화탄소가 포화증기상으로 되면서 제 3 공정에서 제조된 과립상에 이송되어 이들과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에 이산화탄소의 증기에 실려있던 각종 휘발성분도 수분승화로 형성된 해면구조의 과립체표면 혹은 공극내부로 고르게 침투되어 침착된다.
최소한 10시간이상 접촉시킨 후 배기시키기 전에 다시 -40℃이하로 냉각시켜 이산화탄소의 응축에 따른 침착의 가속화를 유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냉각응축과 승화접촉 과정을 소정의 회수만큼 반복하므로서 더욱 완전한 인삼 휘발성분의 첨착이 가능하며 과립이 0℃이상으로 상승되면 이산화탄소는 완전히 배기되면서 유효한 향기성분만 잔존한다.
이결과 생성된 과립제품을 진공포장하여 출하한다.
이상과 같은 4개의 공정은 연속적으로 뱃취별로 진행되며 또한 인삼첵기스의 함량이 5%이하이면 필요한 수준의 맛, 향을 갖는 인삼커피 음료의 제조가 불가능하며 35%이상이면 커피입자가 인삼입자를 충분히 포괄(enoapsulation)하지 못하여 불안정한 인삼과 커피의 접착작용을 유지시키지 못하여 노출된 인삼입자의 변성이 발생될 염려가 있다.
또한, 매개기체도 CO2이외에 N2등의 불활성 기체의 사용도 가능하며 유기 용매 추출액은 커피 추출액과의 접착능을 고려하여 포도당과 젖당의 혼합물 혹은 단일물로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커피는 총중량에 대하여 5-35%가 사포닌과 파나센이 함유되어져서 인삼이 지니는 다양한 약리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커피의 카페인에 의한 중추신경흥분 작용도 파나센계 정유성분의 독특한 안정작용에 의하여 거의 상쇄되어 버려서 커피의 다량 섭취에 의한 악영향의 전혀 기대되지 않는다. 또한, 커피의 전처리가 불필요하므로 커피의 고유의 향도 그대로 존속되므로 소비자의 기호성에도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은 채 인삼의 향과 맛이 가미되어 전혀 색다른 맛과 향을 창출하였다.

Claims (1)

  1. 원두커피로 부터 추출한 커피엑시스 65-95%, 인삼엑기스 5-35%를 혼합하여 -40℃이하의 온도에서 진공동결건조하여 과립상의 미세다공상의 해면구조체 인삼커피과립체를 제조하고, 인삼의 고온증숙 혹은 열추출을 60-110℃로 진행시키는 중에 휘발되어 나오는 인삼향들을 냉동응축하여 상기한 과립체에 흡착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커피의 제조 방법.
KR1019860007040A 1986-08-25 1986-08-25 인삼커피의 제조 방법 KR880002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7040A KR880002028B1 (ko) 1986-08-25 1986-08-25 인삼커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7040A KR880002028B1 (ko) 1986-08-25 1986-08-25 인삼커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448A KR880002448A (ko) 1988-05-09
KR880002028B1 true KR880002028B1 (ko) 1988-10-13

Family

ID=1925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040A KR880002028B1 (ko) 1986-08-25 1986-08-25 인삼커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0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2391A1 (en) * 2003-03-18 2004-09-30 Se-Il Kim Method of preparing instant coffee containing aroma extract
KR100858699B1 (ko) * 2005-01-25 2008-09-17 주식회사 한불후치피아 동·식물성 식품의 가용성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및 그 제조방법
EP2862448A1 (de) 2013-10-15 2015-04-22 DMK Deutsches Milchkontor GmbH Wasserlösliche Kaffeezubereitung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2391A1 (en) * 2003-03-18 2004-09-30 Se-Il Kim Method of preparing instant coffee containing aroma extract
KR100858699B1 (ko) * 2005-01-25 2008-09-17 주식회사 한불후치피아 동·식물성 식품의 가용성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및 그 제조방법
EP2862448A1 (de) 2013-10-15 2015-04-22 DMK Deutsches Milchkontor GmbH Wasserlösliche Kaffeezubereit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448A (ko) 198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9862A (en) Tobacco extraction process
US5318050A (en) Tobacco treatment process
US3532506A (en) Process for preparing freeze dried extract of coffee,tea or chicory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US3021218A (en) Producing a stable coffee aroma product
KR100510322B1 (ko) 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스턴트 커피의 제조방법
KR101097427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커피 원두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커피 및 기능성 커피의 제조방법
KR920011371A (ko) 가용성 커피의 제조 방법
CN105007746B (zh) 咖啡加香方法
CN104068468A (zh) 应用于电子烟具及传统水烟烟具的水烟果燃及其制备方法
US3244533A (en) Aromatizing instant coffee
KR101097425B1 (ko) 기능성 커피 원두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커피 음료 및 커피음료의 제조방법
KR101509236B1 (ko)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KR880002028B1 (ko) 인삼커피의 제조 방법
JPH0452745B2 (ko)
KR930000100B1 (ko) 원료 커피 추출액의 보존방법
KR20190063852A (ko) 갯방풍 뿌리 증숙 차의 제조방법
KR20220003792A (ko) 액상의 식품 음료를 추출 및 음용하기 위하여 식품 추출 분말이 삽입 및 밀봉된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2345378A (en) Coffee extraction process
US3615666A (en) Heat treatment of steam distillate
US20060070528A1 (en) Method of preparing instant coffee containing aroma extract
JPS59113875A (ja) 梅ジユ−スの製造方法
US4045586A (en) Soluble coffee of improved stability and flavor
US2454510A (en) Method of forming a coffee concentrate
KR101106184B1 (ko) 참가시나뭇잎 액기스 제조 방법
US4057652A (en) Freeze particle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88001196; OPPOSITION DATE: 1988121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0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