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504B1 - 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of low ash content - Google Patents

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of low ash con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504B1
KR880001504B1 KR1019830005370A KR830005370A KR880001504B1 KR 880001504 B1 KR880001504 B1 KR 880001504B1 KR 1019830005370 A KR1019830005370 A KR 1019830005370A KR 830005370 A KR830005370 A KR 830005370A KR 880001504 B1 KR880001504 B1 KR 880001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uel
low ash
combustion
support plate
combus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3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40007165A (en
Inventor
다이하찌로오 무라세
Original Assignee
다이하찌로오 무라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246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89905A/en
Priority claimed from JP211787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00302A/en
Application filed by 다이하찌로오 무라세 filed Critical 다이하찌로오 무라세
Publication of KR840007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1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90/00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23B1/2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using imperforate fuel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3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combustion chamber
    • F23B1/3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combustion chamber shaft-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The solid fuel combustor comprises a holding board for holding solid fuels of low ash content. The board being free of grooves and slits has on its upper surface, a heat-insulating and heat-retaining layer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A cylindrical body defines a combustion chamber, removably mounted above a heat-insulating layer for movement toward and away from the layer and spaced to define an air intake. There is a further heat-insulating and heat-retaining layer of a heat-resistant material on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body. A drum portion on the top of the cylindrical body has an inlet opening for supplying fuel 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cover removably mounted over the inlet opening.

Description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Low Ash Solid Fuel Combustor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소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evice shown in FIG.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소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a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제3도의 요부에 대한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제5(a)도는 착화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5 (a)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gnition device.

제5(b)도는 제5(a)도와는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5 (b)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the fifth (a) diagram.

제6도는 제5(a)도의 착화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중앙 종단면도.6 is a centr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implementation state of the ignition device of FIG. 5 (a).

제7도는 착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7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ignition device.

제8(a)도는 제7도의 착화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중앙 종단면도.FIG. 8 (a) is a centr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mplementation state of the ignition device of FIG.

제8(b)도는 또 다른 착화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중앙 종단면도.8 (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other ignition device.

제9도는 착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9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ignition device.

제10도는 제9도의 착화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중앙 종단면도.FIG. 10 is a centr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gnition apparatus of FIG.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복수개의 연소장치를 1개의 장치로 한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11 is a plan view showing an arrangement in which a plurality of combustion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as one apparatus.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제13도는 연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bustion apparatus.

제14도는 제13도의 연소장치의 종단면도.1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ombustion device of FIG.

제15도는 착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1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ignition device.

제16도는 제15도의 착화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중앙 종단면도.FIG. 16 is a centr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implementation state of the ignition device of FIG.

제17도는 연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17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bustion apparatus.

제18도는 연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중앙 종단면도.18 is a centr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bustion apparatus.

제19도는 또 다른 연소장치의 실시상태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19 is a centr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other combustion apparatus.

제20도는 착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20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ignition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저회분 고형연료 2 : 받침판1: low ash solid fuel 2: base plate

3 : (원)통체 4 : 연소실3: (circle) cylinder 4: combustion chamber

5 : 드럼부 6 : 고형연료투입구5 drum 6 solid fuel inlet

7 : 굴뚝 8 : 덮개7: chimney 8: cover

9 : 공기구멍 10 : 링9: air hole 10: ring

11 : 착화재 12 : 착화장치11: ignition material 12: ignition device

13 : 히터전극 14 : 가스버너13 heater electrode 14 gas burner

15 : 역화방지용 금속판 15" : 원추체15: Flashback prevention metal plate 15 ": Cone

16 : 탄소봉 17 : 아아크 발생용 금속판16: carbon rod 17: metal plate for arc generation

17' : 금속판 조작부 21 : 받침판의 단열보온층17 ': metal plate control panel 21: heat insulating layer of the support plate

23 : 셔터 31 : (원)통체의 단열보온층23: shutter 31: heat insulation thermal insulation layer of (circle)

33 : 핀 34 : 원통케이스33: pin 34: cylindrical case

35 : 테이퍼 홈 36 : 공기흡입간극35: tapered groove 36: air suction gap

본 발명은 저회분(低灰分) 고형연료의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회분 고형연료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연소시키는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device for low ash solid fue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bustion device for simple and efficient combustion of low ash solid fuels.

종래의 고형연료 연소장치에 있어서는, 연소실내에 중앙부의 소정위치에 다수개의 통기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재의 로우스터(roaster)가 설치되어 있다. 고형연료를 연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로우스터 상에 고형연료를 소정의 높이로 쌓아올리고 적당한 착화수단에 의해 그 쌓아올려진 고형연료를 착화시켜 계속적으로 연소시키도록 되어 있다(일본 실용신안공고공보 제36174/1964호, 제36175/1964호 및 23003/1965). 이러한 연소과정에 있어서, 사용될 고형연료는 그 용도의 목적상, 장시간의 화기(火氣) 보존성을 지녀야 할 필요가 있다. 연소시 10% 이하의 회분을 포함한 고형연료를 사용할 경우, 이는 로우스터의 공간으로 부터 낙하하게 되며, 그 결과 열효율이 저하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a roaster of a plate material is provided in which a plurality of ventilation slit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center of the combustion chamber. When the solid fuel is to be combusted, the solid fuel is stacked on the roaster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accumulated solid fuel is ignited by a suitable ignition means to be continuously burned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36174/1964, 36175/1964 and 23003/1965. In this combustion process, the solid fuel to be used needs to have long-term fire preservation for the purpose of its use. If a solid fuel containing less than 10% ash is used during combustion, it will fall from the space of the roaster, resulting in lower thermal efficiency.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10% 이상의 회분 함유량을 가진 고형연료를 사용하게 되면, 이는 연소된 후일지라도 고형연료의 원래의 형상을 가진 재로 남게 되어 로우스터로 부터 낙하하는 일이 없어지므로, 열효율을 장시간 유지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연소후 잔류하는 재의 량이 많아져 이를 폐기하는데 많은 수고가 들 뿐만 아니라, 연료의 원료의 선택이나 그 성형(成形)에 있어서 생산원가의 상승이 불가피하다. 상기의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형연료중에서 회분 함유량이 적은 것을 사용하게 되면, 대기를 오염시킬 염려가 거의 없고, 연소장치내에 잔류하는 재의 폐기에 관한 문제점도 해결될 수 있다.In order to eliminate this drawback, the use of solid fuel with ash content of 10% or more will remain as ash with the original shape of the solid fuel even after it has been burned, so that it will not fall off from the roaster, so that thermal efficiency will be extended for a long time. Can be maintained. However, in such a case, the amount of ash remaining after combustion increases, and not only a lot of labor is required to dispose of it, but also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 in the selection of fuel raw materials and its molding is inevitable.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drawbacks, the use of low ash content in the solid fuel hardly contaminates the atmosphere, and the problem of disposal of ash remaining in the combustion apparatus can be solved.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저회분 고형연료의 사용시 효율을 한층 더 높이고, 또 뜻하지 않게 불이 꺼지는 것과 같은 예기치 못한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연소물의 잔류량을 소량으로 줄일 수 있는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low ash solid fuel,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unexpected events such as unintentional extinguishing and low ash solid fuel which can reduce the residual amount of unburned material in small amounts. It is to provide a combustion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형연료를 통기 슬릿을 구비하지 않은 평판에 쌓아올리도록 되어 있다. 이 평판상에는 고형연료를 에워싸서 연소실을 형성하는 원통체가 설치된다. 상기 원통체의 하단과 평판의 사이에는 배기량에 비례한 폭을 가진 작은 공기흡입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상에는 상단 중앙부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형태를 가진 보호지지용 원추체가 설치되어, 고형연료가 아아치 형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id fuel is stacked on a flat plate having no venting slit. On this flat plate, a cylindrical body is formed around the solid fuel to form a combustion chamber. A small air intake gap having a width proportional to the displacement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plate. In addition, a protective support cone having a form tha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upper center portion is installed on the flat plate, so that the solid fuel is maintained in the arch form.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하에서는 연소실내에서 고형연료가 높은 연소온도에서 연소되어 균열 또는 비산(飛散)되더라도, 미세화한 고형연료는 보호지지용 원추체와 평판에 의해 지지되어 이들로 부터 떨어지는 일은 없으며, 또 고온으로 있는 중앙부의 고형연료가 낮아지는 일도 일어나지 않게 된다.Under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olid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is burned or cracked or scattered at a high combustion temperature, the fine solid fuel is supported by the protective support cone and the flat plate and is not dropped from them. As a result, the solid fuel in the center is not lowered.

이리하여 고체연료는 폭이 작은 공기흡입간극을 통하여 보온상태의 보호지지용 원추체의 경사면을 따라 자연적으로 흡입되는 적당한 양의 공기에 의해 계속적으로 연소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고형연료는 거의 완전 연소하여 불이 미세한 고형연료의 낙하에 의해 기인하거나 낙하 고형연료 자체에 의해 기인하여 도중에 꺼져버리는 비효율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us, the solid fuel is continuously burned by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naturally suck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tective support cone in a warm state through a small air intake gap, whereby the solid fuel is almost completely burne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inefficiency caused by the fall of the fine solid fuel or due to the falling solid fuel itself.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고형연료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연소시키게 할 수 있는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device capable of easily and efficiently burning solid fuel as described above.

각종 용도에 사용되는 연료로서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이 있지만 이들은 각각 장점 및 단점을 가지고 있다.Fuels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include coal, petroleum, and natural gas, but these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respectively.

예컨대 석탄은 그 자체가 고형이기 때문에 운반이나 저장시에 특별한 용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취급이 간편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공간 점유면에서 적층율이 낮기 때문에 운반이나 저장시 큰 공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연소에 따른 재의 생성량이 많고, 배기 가스중에 먼지가 혼입되어 공해의 원인이 되며, 또 연소장치내에 잔존하는 재의 폐기처분이 곤란한 것 등의 결점이 있다. 더우기, 석탄은 고형으로서 휘발성분이 그다지 많지 않기 때문에 착화에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연소장치 내부에 투입되는 석탄의 양이나 불씨가 너무 작은 때에는 불이 도중에 꺼져버리는 결점도 있다.Coal, for example, is solid in itself, which does not require a special container for transportation or storage, and is easy to handl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tacking rate is low in terms of space occupancy, it requires not only a large space for transportation or storage. There are drawbacks such as a large amount of ash generated by combustion, dust in the exhaust gas, which causes pollution, and it is difficult to dispose of the ash remaining in the combustion apparatus. Moreover, since coal is a solid and not very volatile, it takes time to ignite, and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fire is turned off when the amount of coal or the ignition is too small.

한편, 석유, 천연가스 등은 연소에 따른 재의 생성량이 거의 없고, 배기가스중에는 먼지가 거의 혼입되지 않기 때문에 대기를 오염시킬 염려는 거의 없다.On the other hand, petroleum, natural gas, and the like generate little ash due to combustion, and since there is little dust in the exhaust gas, there is little concern about polluting the air.

또한 휘발성분이 많기 때문에 착화를 극히 간단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성분에 공급하는 석유, 천연가스 등의 양을 적게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반면에, 석유나 천연가스 등은 그들 자체가 액체 또는 기체이기 때문에 운반이나 보관 등에 특별한 용기를 필요로 하고, 게다가 인화점이 낮기 때문에 화재나 폭발 등의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극히 높아 그 사용에 있어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결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a lot of volatile components, the ignition is extremely simple and the amount of petroleum and natural ga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omponents can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petroleum and natural gas are liquids or gases themselves, and thus require special containers for transportation and storage, and since the flash point is low, the risk of fire or explosion is extremely high. There is a flaw that requires attention.

또한, 가격면에서 볼때 석유나 천연가스 등은 석탄, 코우크스 등의 고형연료보다 비싸다. 따라서, 연료를 다량으로 소비하는 각 공장이나 온실 등과 한랭지에서의 동계난방에 있어서는 부득이 막대한 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실정에 놓여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운반이나 보관에 있어서 취급이 간편하며 착화가 빠르고 화재나 폭발 등의 염려가 없는 고형연료로서 조개탄, 연탄, 석탄 등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In terms of price, petroleum and natural gas are more expensive than solid fuels such as coal and coke. Therefore, in the case of winter heating in each factory, greenhouse, etc. which consume a large amount of fuel in a cold district, it is inevitably required to spend enormous costs. Under these circumstances, briquettes, briquettes, coal, and the like have been widely used as solid fuels that are easy to handle in transportation and storage, have a high ignition rate, and are free from fire or explosion.

이러한 고형연료를 위한 종래의 연소장치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소실내에는 평판과 이 평판의 중심부에 다수개의 통기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로우스터가 설치되어 있다. 로우스터상에 고형연료를 소정의 높이로 두껍게 쌓아올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적당한 착화장치에 의해 착화시킨 후 계속적으로 연소시키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공고공보 제36175/1964호, 제36174/1964호, 제23003/1965호). 상기에서 사용된 고형연료는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높은 화기 보존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10% 이상의 회분 함유량을 가진 고형연료를 사용할 경우, 고형연료는 연소시 로우스터의 공간으로 부터 낙하하여 열효율의 저하를 야기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10% 이상의 회분 함유량을 가진 고형연료를 사용할 경우, 이 고형연료를 연소후에도 로우스터로 부터 낙하하지 않고 고형연료의 원래의 형상을 갖는 재로서 남게 되므로 열효율성이 장시간 높게 보존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연소후의 재의 잔존량이 증가하여 이를 폐기시키는데 많은 수고가 들 뿐만 아니라 그 원료 선택이나 성형에 필요한 생산원가도 비교적 크게 된다.As a conventional combustion device for such a solid fuel, as described above, a flat plate and a roaster in which a plurality of vent slits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lat plate are provided. The solid fuel is piled thickly on the roaster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n such a state, the fuel is ignited by a suitable ignition device and then burned continuously (for example,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36175/1964, 36174). / 1964, 23003/1965). The solid fuel used above requires high fire resistance according to its use. When using a solid fuel having a ash content of 10% or more, the solid fuel falls from the space of the roaster during combustion, causing a decrease in thermal efficiency. In order to prevent this, when a solid fuel having an ash content of 10% or more is used, the solid fuel is not dropped from the roaster even after combustion, and thus remains as a material having the original shape of the solid fuel, so that thermal efficiency is preserved for a long time. However, in this case, as noted above, the residual amount of ash after combustion increases, and much labor is required to dispose of it, as well as the production cost required for the selection and molding of the raw material becomes relatively large.

이러한 결점들을 해소하는 일환으로서, 고형연료중 회분 함유량이 적은 것을 사용하게 되면 대기를 오시킬 염려를 거의 없앨 수 있고 연소장치내에 잔존하는 재의 폐기에 관한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part of eliminating these shortcomings, the use of low ash content in the solid fuel can almost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erroneous air and solve the problem of disposal of ash remaining in the combustion apparatus.

종래의 저회분 고형연료로서 목탄, 갈탄, 석탄피치코우크스, 석유코우크스, 카르사이너코우크스 등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가격이 저렴하고 칼로리도 높은 것이지만, 이와 같은 저회분 고형연료는 유황분이 많아 연소에 따라 금속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들 고형연료를 공업용으로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그 사용법에 유의하여 석탄을 병용한다든지 유황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세멘트 소성용 요로(窯爐 : kiln)중에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 저회분 고형연료를 일반 난방용 연료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좋지 않은 냄새가 날 뿐만 아니라 그 저회분 때문에 10% 이상의 회분을 가진 고형연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낙하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8%의 회분을 가진 고형연료는 연소에 따라 고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로우스터로 부터 낙하하며, 그 고온 연소에 의해 연료에 균열이 생겨 표면적이 커지면서 한층 더 연소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이 동안에, 미세화된 연소 연료는 로우스터의 통기 슬릿으로 부터 낙하하며, 방열 때문에 연소온도가 저하하여 연소가 멈추게 되므로 미연소 잔탄이 생겨 낭비가 되었다. 따라서, 고형연료의 연소 효율이 낮아지고, 연소도중에 연료의 퇴적량이 감소되어 예기치 않은 때에 불이 도중에 꺼지는 것과 같은 일이 발생하는가 하면, 연소도중에 로우스터의 통기 슬릿으로 부터 낙하하는 미세한 연료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생기는 것 등의 부수적인 작업이 소요되었다. 또한, 상기한 코우크스류는 그 제조공정중에 물을 뿌리기 때문에, 건조 및 탈수가 불충분할 경우에는 연소시 함유 수분이 화기의 열에 의해 증기로 되어 방출되므로, 연료는 비산되고 평상시보다 더 로우스터로 부터 낙하하는 일이 잦게 되었다.Conventional low ash solid fuels are charcoal, lignite, coal pitch coke, petroleum coke, carcinner coke, etc., which are inexpensive and high in calories, but such low ash solid fuels contain a lot of sulfur. Combustion will adversely affect the metal. Therefore, when these solid fuels were to be used for industrial purposes, they were used in a cement kiln (窯爐: kiln), which is not affected by sulfur in consideration of its usage or using coal in combination. In addition, when these low ash solid fuels are used as fuels for general heating, not only a bad odor is generated but also a fall phenomenon which is not found in solid fuels having a ash content of 10% or more due to the low ash tends to occur. Solid fuel with an ash content of 8% falls from the roaster without sustaining solids as it is burned, and cracks in the fuel due to its high temperature combustion cause the surface area to be increased and the combustion speed is further increased. During this time, the refined combustion fuel falls from the aeration slit of the roaster, and the combustion temperature is lowered due to the heat dissipation, which causes the combustion to stop, resulting in unburned residual coal and wasting. Therefore,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solid fuel is lowered, the amount of fuel deposited is reduced during combustion, and when the fire is unexpectedly turned off during the combustion, fine fuel falling from the aeration slit of the roaster must be removed during combustion. Additional work was required, such as the need to do so. In addition, since the coke is sprayed with water during its manufacturing process, when the drying and dehydration are insufficient,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ombustion is released as steam by the heat of the fire, so that the fuel is scattered and the roaster is more than usual. Falls are often frequent.

따라서 상기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저회분 고형연료의 이용효율을 높히며, 예기치 않게 불이 도중에 꺼지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고, 미연소되는 연소량을 최소로 줄이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어떠한 통기 슬릿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고형연료를 지지하는 평판과, 고형연료를 에워싸도록 평판상에 설치되어 연소실을 형성하고 있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하단과 평판사이에 설치되며 배기 가스량에 비례하는 폭을 가지고 있는 공기흡입간극과, 상기 평판상에 설치되며 연료를 아아치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단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보호지지용 원추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소장치를 구비하고 있다.Therefore,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i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low ash solid fuel, to prevent the unexpectedly extinguished fire, and to reduce the amount of unburned combustion to a minimum.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with any vent slits, and includes a flat plate supporting solid fuel, a cylindrical body installed on a flat plate to surround the solid fuel, and a combustion chamber, and a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Air intake gap installed between the plate and the plate and having a width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exhaust gas, and a protective support cone installed on the plate and having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upper center portion to keep the fuel in an arch shape. The combustion device which consists of etc. is provided.

따라서, 고형연료의 연소온도가 상승하여 고온으로 됨에 따라 연료가 균열 또는 비산하여도, 미세화된 연료는 보호지지용 원추체 및 평판에 의해 지지되므로 평판으로 부터 낙하하는 일이 없으며 고온에 의해 퇴적 연료의 중앙부가 저하되는 일도 생기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하여 고형연료는 좁은 공기흡입간극을 통하여 보온 상태의 원추체의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흡입되는 적당량의 공기와 함께 계속 연소되어 완전 연소하게 되므로, 미세화된 연료의 낙하에 의해 불이 도중에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하연료 자체의 불이 꺼짐에 따른 연료의 낭비를 피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fuel is cracked or scattered as the combustion temperature of the solid fuel rises to a high temperature, the micronized fuel is supported by the protective support cone and the flat plate so that it does not fall from the flat plate and does not fall from the flat plate. The center part does not fall, either. In this way, the solid fuel is continuously combusted and completely combusted along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naturally drawn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e in a warm state through a narrow air suction gap, so that the fire can be prevented from extinguishing due to the drop of fine fue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void waste of fuel when the falling fuel itself is turned off.

본 발명의 연소장치에 있어서는 저회분 고형연료로서 약 5% 이하의 회분 함유량을 가진 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 종래 사용된 고형연료 가운데 무연탄은 약 10%의 회분 함유량을 가지고 있으며, 석탄코우크스는 약 10 내지 14%의 회분 함유량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재의 폐기처분이 곤란하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중에서, 예컨대 오갈라이트와 갈탄은 5% 이하의 회분 함유량을 또 석유코우크스는 1% 이하의 회분 함유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갈탄, 석유코우크스, 석탄피치코우크스, 성형코우크스, 연탄, 카르사이너코우크스, 목탄 등과 같이 저렴한 연료를 사용하여 재의 폐기 처분의 곤란성을 극복할 수 있다.In the combus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el having a ash content of about 5% or less can be used as the low ash solid fuel. Among the solid fuels used in the prior art, anthracite has an ash content of about 10%, and coal coke has an ash content of about 10 to 14%, all of which are difficult to dispose of ash. However, in conventional fuels, for example, agarite and lignite have ash content of 5% or less and petroleum coke has ash content of 1% or less, so lignite, petroleum coke, coal pitch coke, shaping coke, Inexpensive fuels such as briquettes, carcinner cokes, charcoal and the like can be us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disposal of ash.

다음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preferred embodiments.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상기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소장치는 저회분 고형연료(1)를 지지하는 받침판(2)과, 이 받침판(2)상에 설치되어 고형연료(1)를 에워싸서 연소실(4)을 형성하는 원통체(3)와, 원통체(3)의 상단부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드럼부(5)와, 드럼부(5)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형연료 투입구(6)와, 드럼부(5)의 상단쪽에 있는 측벽에 설치된 굴뚝(7)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굴뚝(7)에는 배기량을 적당하게 조절하는 댐퍼(damper)(7')를 설치할 수 있다. 원통체(3)의 횡단면 형상은 설치장소에 의한 필요성이나 디자인 상의 요망에 따라 원형, 8각형, 6각형, 5각형, 4각형, 3각형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mbustion apparatus includes a support plate 2 supporting the low ash solid fuel 1 and a cylindrical body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2 to surround the solid fuel 1 to form the combustion chamber 4. (3), the drum portion 5 which is continuous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3, the solid fuel inlet 6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drum portion 5, and the upper end of the drum portion 5 It is comprised from the chimney 7 etc. provided in the side wall which existed. The chimney 7 can be provided with a damper 7 'for appropriately adjusting the displace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ylindrical body 3 can be comprised in circular, octagonal, hexagonal, pentagonal, pentagonal, triangular, etc. according to the necessity by the installation site and a design request.

받침판(2)은 주로 소정두께를 가진 금속 평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받침판(2)의 상면에는 예컨대 캐스터블 단열브릭(castable heat insulating brick)과 같은 단열보온재를 소정두께로 점착하여 단열보온층(21)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판(2)의 저면 주연부에는 일정 길이의 다리(22), (22), (22)가 설치되어 있다. 받침판(2)의 중앙부에는 저회분 고형연료(1)를 낙하시키는 셔터(shutter)(23)가 설치되어 있다.The base plate 2 is mainly comprised from the metal flat material which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 insulating heat insulating layer 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2 by attaching an insulating heat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castable heat insulating brick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Legs 22, 22, and 22 of constant length are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bottom face of the backing plate 2. In the center part of the support plate 2, the shutter 23 which drops the low ash solid fuel 1 is provided.

원통체(3)는 소정두께의 금속제 원통을 주체로 하여 구성되며, 그 내벽에는 단열 보온력이 우수하고 견고한 내화재가 점착된 단열보온층(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열보온층(31)의 내면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금속제 원통의 하단에는 일정 길이의 다리(32), (32), (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금속제 원통의 하단측 외주연에 핀(33), (33), (33)이 돌설되어 있다. 한편, 금속제 원통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원통케이스(34)의 소정위치에는 핀(33), (33), (33)이 삽입될 수 있는 테이퍼홈(35), (35), (35)이 뚫어져 있기 때문에, 원통케이스(34)를 회동시키면 원통케이스(34)는 상하로 승강하여 원통케이스(34)의 하단과 받침판(2) 사이에 형성된 공기흡입간극(36)의 폭을 조절하게 된다.The cylindrical body 3 mainly consists of a metal cylinder of predetermined thickness, The inner wall is formed with the heat insulation heat insulation layer 31 to which the heat insulation thermal insulation power was excellent and to which the solid fireproof material was affixed. The inner surface of this heat insulation thermal insulation layer 31 is formed with the taper surface becoming narrower gradually downward. The lower ends of the metal cylinders are provided with legs 32, 32, and 32 of predetermined length. In addition, pins 33, 33, and 33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side of the metal cylinder. Meanwhile, tapered grooves 35, 35, and 35 into which pins 33, 33, and 33 can be inserted are drill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cylindrical case 34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metal cylinder. Therefore, when the cylindrical case 34 is rotated, the cylindrical case 34 is moved up and down to adjust the width of the air suction gap 36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case 34 and the support plate 2.

원통케이스가 각형(角形)인 경우에는 종래 공지의 수단으로 상하 이동시켜 승강시킬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8은 고형연료투입구(6)를 폐쇄하는 덮개이며, 9는 대기를 직접 드럼부(5)에 공급하여 연소를 조정하는 공기구멍이고, 10은 구멍(9)을 폐쇄하는 링이다.When the cylindrical case is a square, it can be moved up and down by a conventionally known means. In FIG. 1 and FIG. 2, 8 is a cover for closing the solid fuel inlet 6, 9 is an air hole for controlling combustion by directly supplying the atmosphere to the drum part 5, and 10 is a hole 9 It is a ring to close.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저회분 고형연료의 연소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ombustion device of low ash solid fue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어떠한 착화장치도 내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우선 받핌판(2)상에 착화재(11)를 투입하고 착화재(11)를 점화할 필요가 있다. 착화재(11)로서는 예컨대 장작을 적당한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겹쳐 쌓은 것이나 종이를 막대기 모양으로 압축하여 뭉쳐서 기름을 발라 놓은 것등과 같은 종래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연소시키기 위해 착화재(11)가 발화된 것을 확인한 후에 고형연료투입구(6)를 통하여 일정량의 저회분 고형연료를 투입한다. 연소실내에서 고형연료(1)는 착화재(11)를 덮고 있는 상태로 받침판(2)상에 얹혀지는데, 여기서 고형연료의 각각의 조각은 그의 덩어리 형태 때문에 서로간에 일정한 간극을 유지한 채 퇴적되므로, 충분하게 통풍이 유지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no ignition device is incorporat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first put the ignition material 11 on the support plate 2 and ignite the ignition material 11. As the complexing material 11, for example, conventional materials such as stacking firewood differently in a suitable direction, compressing paper into sticks, agglomeration, and applying oil may be used. After confirming that the ignition material 11 is ignited to combust, a certain amount of low ash solid fuel is input through the solid fuel inlet 6. In the combustion chamber, the solid fuel (1) is placed on the backing plate (2), covering the ignition material (11), where each piece of solid fuel is deposited with a constant gap between each other due to its mass form. Provide adequate ventilation.

그후 착화재(11)가 연소함에 따라 고형연료의 가열온도가 상승하며, 열분해에 의해 휘발성분이 고형연료로부터 방출하여 공기중에서 연소되는 동안 연소실내의 분위기 온도는 상승하여 소정온도에 도달한다. 그후 고형연료는 발화점에 도달하였을때 공기중의 산소와 접촉하여 연소하기 시작한다. 저회분 고형연료가 연소하기 시작하고 퇴적된 전체의 고체가 적열(赤熱)됨으로써 복사열에 의해 고온연소하게 되면 고형연료는 균열이 발생하여 미세화되어 비산하게 된다. 이 때 통기 슬릿을 전혀 구비하고 있지 않은 평판상의 받침판(2)에 고형연료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미세화된 고형연료라 할지라도 낙하하는 일 없이 고온의 연소실(4)에 체류하게 된다. 따라서 고형연료는 원통체(3)의 구조에 의한 복사열 및 보온효과와, 주위로 부터의 흡기효과에 의해 계속적으로 연소하게 된다. 또 저회분 고형연료가 연소됨에 따라 연소배기가스는 굴뚝(7)을 통하여 배출되는 한편, 대기가 공기흡입간극(36)을 통해 연소실(4)에 흡입된다.Thereafter, as the ignition material 11 burns,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olid fuel rises, and while the volatile component is released from the solid fuel by pyrolysis and burned in the air, the ambient temperature in the combustion chamber rises to reach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solid fuel then combusts in contact with oxygen in the air when the ignition point is reached. When the low ash solid fuel starts to burn and the entire deposited solid is glowing and is burned at high temperature by radiant heat, the solid fuel cracks and becomes fine and scatters. At this time, since the solid fuel is supported by the plate-shaped support plate 2 which is not provided with the ventilation slit at all, even the solid fuel that has been refined remains in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chamber 4 without falling. Therefore, the solid fuel is continuously burned by the radiant heat and thermal insulation effect by the structure of the cylindrical body 3 and the intake effect from the surroundings. As the low ash solid fuel is burned, combustion exhaust is discharged through the chimney 7, while the atmosphere is suck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4 through the air suction gap 36.

실험을 통하여 공기흡입간극(36)의 크기가 저회분 고형연료(1)의 연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수 있다. 따라서 흡기 및 배기간에 적당한 밸런스를 설정함으로써 고형연료가 두껍게 쌓아올려지지 않더라도 세차게 연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는 어떤 특별한 송풍장치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Through experiments, it can be seen that the size of the air suction gap 36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ombustion of the low ash solid fuel 1. Therefore, by setting an appropriate balance for the intake and exhaust periods, the solid fuel can be burned vigorously even if it is not stacked thickly.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ny special blower in the present invention.

만약 공기흡입간극(36)을 너무 크게 하면, 차가운 공기가 다량으로 연소실(4)에 유입하여 열의 산란속도가 열발생속도를 상회하므로, 연소실(4)의 분위기 온도가 저하되어 고형연료가 도중에 꺼져버릴 염려가 있다. 반면에, 공기흡입간극(36)을 너무 작게 하면, 연소실(4)에 유입하는 공기의 양이 너무 적게 되어 저회분 고형연료(1)가 도중에 꺼져버리거나 역화(逆火)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If the air intake gap 36 is made too large, a large amount of cold air flow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4 and the scattering rate of heat exceeds the heat generation rate, so that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chamber 4 is lowered and the solid fuel is turned off. I might throw it away. On the other hand, if the air intake gap 36 is made too small,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4 may be too small and the low ash solid fuel 1 may be turned off or backfire may occur. .

연소가 계속됨에 따라, 저회분 고형연료의 양이 서서히 감소되어 연소를 계속할 수 있는 한계에 가까워지면, 저회분 고형연료투입구(6)를 열어서 저회분 고형연료를 추가로 투입함으로써 연소를 다시 계속할 수 있다. 고형연료의 추가 공급은 사람의 손이나 기계 등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As combustion continues, if the amount of low ash solid fuel gradually decreases and approaches the limit to continue combustion, combustion can be continued again by opening the low ash solid fuel inlet 6 and injecting additional low ash solid fuel. have. The additional supply of solid fuel can be carried out by human hands, by machine or the like.

더우기, 굴둑(7)을 통과하는 연소배기가스의 온도를 검지하는 감온소자를 설치하고 또 감온소자에 의해 검지된 배기가스의 온도가 소정온도 이하로 되었을때 소정량의 저회분 고형연료(1)를 투입하는 공급장치를 설치하면, 고형연료(1)의 투입을 잊어버리는 것에 의한 연소의 중단은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a thermosensitive element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chimney 7 is provided,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detected by the thermosensitive element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less, a predetermined amount of low ash solid fuel 1 is removed. By providing a feeding device, the interruption of combustion due to forgetting to inject the solid fuel 1 can be reliably prevented.

연소를 중단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단열재로 만들어져 기밀(氣密)상태로 되어 있는 소위 소화(消火)단지를 설치하고, 셔터(23)를 열어서 연소실(4)내의 고형연료를 소화단지내에 떨어뜨려 넣은 다음, 소화단지가 연료로 가득 채워지면 셔터(23)를 닫고 소화단지를 꺼내면 된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원통케이스(34)를 하강시켜 공기흡입간극(36)을 밀폐시키고 공기구멍(9)을 개방시켜도 좋다.When it is necessary to stop combustion, a so-called fire extinguishing complex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kept in an airtight state is installed, and the solid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4 is dropped into the fire extinguishing complex by opening the shutter 23. Then, when the fire extinguishing complex is filled with fuel, close the shutter 23 and take out the fire extinguishing complex. As another method, the cylindrical case 34 may be lowered to seal the air suction gap 36 and the air hole 9 may be opened.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회분 고형연료가 균열되어 미세화되더라도 하등 낙하함이 없이 받침판에 의해 지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실의 하단 외주연에 설치된 공기흡입간극을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고 미세화된 고형연료는 덩어리 형태의 고형연료와 함께 완전 연소하므로 연소실에 공급된 거의 모든 고형연료가 연소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low ash solid fuel is cracked and miniaturized, it is not only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without falling down, but also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air suction gap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refined solid fuel is completely combusted together with the solid fuel in the form of agglomeration, so that almost all solid fuel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can be combusted.

저회분 고형연료로서 0.2%의 회분을 함유한 석유코우크스를 사용하는 경우, 당초연소실에 투입된 500g의 석유코우크스에 대하여 받침판(2)위에 미연소 상태로 잔류하는 석유코우크스의 양의 약 10%이다. 이 잔류 석유코우크스는 재차 연소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석유코우크스를 매회 500g씩 반복적으로 투입하여 연속적으로 연소시키더라도 받침판(2)의 상면에 미연소 상태로 잔류하는 석유코우크스의 양은 항상 약 10% 정도로 되어 거의 변화가 없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재의 생성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When petroleum coke containing 0.2% ash is used as the low ash solid fuel, about 10 g of the petroleum coke remaining unburned on the support plate (2) with respect to 500 g of petroleum coke introduced into the initial combustion chamber. %to be. Since the residual petroleum coke can be burned again, the amount of petroleum coke remaining in the unburned s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 is always low, even if the petroleum coke is repeatedly injected by 500 g each time. It's about 10% and there's little change. In this case, the formation of ash was hardly found.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3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소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소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가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원통체(3)의 내면에 형성된 단열보온층(31)의 형상 뿐이다. 즉,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단열보온층(31)은 그 내면이 수직 평탄면으로 되어, 연소실(4)은 그 상부로 부터 하부에 걸쳐서 균등한 횡단면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기타 다른 부분의 구성은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이하 제1실시예라고 함)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3 and 4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the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hape of the heat insulation insulating layer 31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3 differs from the embodiment of FIG. 3, FIG.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on insulating layer 31 shown in FIG. 3 and FIG. 4 becomes a vertical flat surface, and the combustion chamber 4 has an equal cross sectional area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In FIG. 3 and FIG. 4, the configuration of other parts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FIG.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작용 및 효과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차이점은 연소실(4)의 하부가 넓으므로 제1실시예와 동등한 퇴적 높이를 얻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고형연료(1)를 투입할 필요가 있는 것 뿐이다.Therefore, the operation and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4 is wider, so that more solid fuel 1 needs to be added to obtain a deposition height equivalent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only there.

제5(a)도 및 제6도는 착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실시예에서와 다른 점은 받침판(2)위에 착화장치(1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여기서, 제5(a)도는 받침판(2)의 상방에서 착화장치(12)를 바라본 평면도이고, 제6도는 제5(a)도에 도시된 착화장치를 포함하는 연소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5 (a) and 6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ignition device, which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ignition device 12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2. 5 (a) is a plan view of the ignition device 12 from above the support plate 2, and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mbustion device including the ignition device shown in FIG. 5 (a). to be.

제5(a)도 및 제6도에 나타낸 착화장치(12)는 평면상으로 대개 국자 또는 표주박형으로 나타나는 세라믹 히터로 구성되며, 받침판(2)의 최상면에 위치한 단열보온층(2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세라믹 히터의 전극(13), (13)은 원통체(3)로 에워싸인 연소실(4)의 외부에 설치되어, 석유코우크스 등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시의 고온 분위기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The ignition device 12 shown in Figs. 5 (a) and 6 is composed of a ceramic heater which is usually shown in a scoop or circumferential shape on a plane, and is an upp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insulating layer 21 loc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 It is fixed at. The electrodes 13 and 13 of the ceramic heater are installed outside the combustion chamber 4 surrounded by the cylindrical body 3 to prevent direct exposure to a high temperature atmosphere during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such as petroleum coke. have.

한편, 제5(a)도 및 제6도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공지의 판상, 각형(角形), 둥근 로드형, 튜브형과 같은 다수개의 세라믹 히터를 단열 보온층(31)의 내측면에 삽입하여 설치하고(제5(b)도 참조), 각 세라믹 히터의 전극부를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보호하여 연소실 밖에서 통전(通電)시킨다. 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 기타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저회분 고형연료는 제1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연소되며, 착화를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세라믹 히터에 전류를 공급하기만 하면 되므로, 조작이 보다 더 간편해진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ose shown in FIGS. 5 (a) and 6, a plurality of ceramic heaters, such as plate, square, round rod, and tubular tubes, are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insulating layer 31. (See also fifth (b)), the electrode portion of each ceramic heater is protec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energized outside the combustion chamber. In FIG. 5 and FIG. 6, the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embodiment, the low ash solid fuel is bur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in order to perform ignition, simply supplying a current to the ceramic heater makes operation easier.

제7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착화장치(12)를 수납하는 받침판(2)의 평면도이고, 제8(a)도는 제7도에 도시된 착화장치의 실시상태를 보여주는 연소장치 요부의 종단면도이며,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착화장치(12)를 받침판(2)상에 설치한 것 뿐이다. 즉, 제7도 및 제8(a)도에 도시된 착화장치(12)는 받침판(2)의 중앙 상면부에 고정되는 가스버너(14)와, 원통체(3)의 하단부에 느슨하게 삽입되어 가스버너(14)의 상면에 재치되는 금속판(15)과, 받침판(2)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가스버너(14)에 연료를 공급하는 파이프(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스버너(14)로 구성된 착화장치에서는 제7도 및 제8(a)도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상기한 금속판(15)을 사용함이 없이 원통체(3)의 하면에는 가스버너(14)를 설치하여 가스버너(14)의 내측에 있는 일련의 소공들로 부터 화염을 방출시킴으로써 직접 퇴적코우크스의 하단을 착화하여 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기타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 7 is a plan view of a support plate 2 for housing the ignition device 1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8 (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combustion device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gnition device shown in FIG. The only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FIG. 2 is that the ignition device 12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s provided on the base plate 2. That is, the ignition device 12 shown in FIGS. 7 and 8 (a) is loosely inserted into the gas burner 14 fixed to the central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 and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3. The metal plate 15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as burner 14, the pipe 14 'which can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support plate 2, and supplies fuel to the gas burner 14 is comprised. In addition, in the ignition apparatus composed of the gas burner 14 as shown in FIG. 8 (b), unlike the case shown in FIGS. 7 and 8 (a), the cylindrical body without using the metal plate 15 described above ( The lower surface of 3) is provided with a gas burner 14 to discharge the flame from a series of small pores inside the gas burner 14 to ignite and heat the lower end of the deposition coke directly.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so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저회분 고형연료는 제1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연소되며, 고형연료를 착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스버너(14)를 점화하는 것만으로도 되므로 조작이 보다 더 간편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중에 있어서 가스버너(14)의 상면에 금속판(15)을 재치한 것은 미세화된 고형연료가 가스버너(14)의 가스토출 소공(小孔)의 근방에 위치하여 역화현상을 일으킬 우려가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역화현상이 일어날 염려가 전혀 없는 경우에는 금속판(15)을 생략할 수 있다. 또, 가스버너(14)를 단열보온층(31)의 하단 개구부보다 큰 링 모양으로 하고 그의 내주연에 가스 토출공을 천설한 구성으로 하면 금속판(15)이 불필요하게 된다.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7 and 8, the low ash solid fuel is combus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when the solid fuel is to be ignited, only by igniting the gas burner 14 This makes operation easi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tal plate 15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as burner 14 so that the refined solid fuel may be located near the gas-storing pores of the gas burner 14 to cause backfire. Is to prevent reliably. If there is no fear of backfire, the metal plate 15 may be omitted. In addition, when the gas burner 14 is formed into a ring shape larger than the lower end opening of the heat insulating insulating layer 31 and the gas discharge hole is install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the metal plate 15 becomes unnecessary.

제9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착화장치(12)를 수납하는 받침판(2)의 평면도이고,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착화장치의 실시상태를 보여주는 연소장치 요부의 종단면도이며,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하기와 같은 구성의 착화장치(12)를 받침판(2)의 상면 주연부 근처에 설치한 점이다. 즉,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착화장치에서는 받침판(2)의 주연부를 관통하여 탄소봉(16)을 설치함과 동시에, 탄소봉(16)가 접리(接離) 가능하도록 요동하는 금속판(17)을 설치하여, 탄소봉(16)과 금속판(16) 사이에 직류전압을 인가하고 있다. 그리고 금속판(17)을 요동시키는 조작부(17')를 연소실(4)의 외부에 위치시키고, 금속판(17)을 수동 또는 모터에 의해서 요동시킴으로써 탄소봉(16)과 금속판(17)의 사이에 아아크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기타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저회분 고형연료는 제1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연소되며, 고형연료를 착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금속판(17)을 요동시켜 아아크를 발생하는 것만으로도 되므로 조작이 더 간편해진다.9 is a plan view of a support plate 2 for receiving the ignition device 1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combustion device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gnition device shown in FIG.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the ignition device 12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s provided near the upper periphery of the base plate 2. That is, in the ignition apparatus shown in FIG. 9 and FIG. 10, the metal plate 17 which oscillates so that the carbon rod 16 can be folded while installing the carbon rod 16 through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plate 2 is provided. ), A DC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carbon rod 16 and the metal plate 16. An arc is placed between the carbon rod 16 and the metal plate 17 by positioning the operation unit 17 ′ which swings the metal plate 17 out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4 and by rocking the metal plate 17 by manual or motor. To be generated.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embodiment, the low ash solid fuel is combus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when the solid fuel is to be ignited, the operation is simpler because only the arc 17 is generated by rocking the metal plate 17. .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탄소봉(16)과 금속판(17)을 받침판(2)의 주연부 근처에 설치한 이유는 연소실(4)에 투입된 저회분 고형연료가 개재하여 금속판(17)의 요동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금속판(17)의 요동, 즉 금속판(17)의 탄소봉(16)에 대한 왕복운동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면 탄소봉(16)과 금속판(17)을 받침판(2)의 중앙부에 설치하는 것이 착화효율을 높이는데에 훨씬 바람직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rbon rod 16 and the metal plate 17 are installed near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plate 2. The reason why the fluctuation of the metal plate 17 is inhibited by the low ash solid fuel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4 is prevented. And the carbon rod 16 and the metal plate 17 at the center of the backing plate 2 if the rocking of the metal plate 17, that is,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carbon plate 16 of the metal plate 17 can be ensured. It is much preferable to install to increase the ignition efficiency.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판(17)의 요동을 확보하기 위해서 예컨대 받침판(2)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탄소봉(16)을 반듯하게 세워서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받침판(2)의 상면 소정위치에 탄소봉(16)과 대향하는 오목홈을 천설하여 금속판(17)이 왕복 운동할 수 있게 한다. 이 구조에서 저회분 고형연료(1)는 오목홈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고형연료가 오목홈 안으로 끼어 들어갈 우려는 없다. 따라서 금속판(17)의 원활한 왕복운동이 가능해지고, 고형연료가 많이 존재하는 받침판 중앙부에서 고형연료의 착화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secure the rocking of the metal plate 17 as described above, the carbon rod 16 is erected upright and fixedly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2, and at the same time, the carbon rod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 A concave groove facing the 16 is laid so that the metal plate 17 can reciprocate. In this structure, since the low ash solid fuel 1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oncave grooves, there is no fear that the solid fuel may get into the concave grooves. Therefore, smooth reciprocation of the metal plate 17 becomes possible, and solid fuel igni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support plate in which many solid fuel exists.

제11도는 다량의 고형연료를 동시에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한 또 다른 실시예의 연소장치의 평면도이고,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연소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제11도 및 제12도에서 복수개의 받침판(2), (2)…을 근접 또는 인접하여 병설함과 동시에 각 받침판위에는 원통체(3), (3)…를 장착하고, 다시 모든 원통체(3), (3)…를 덮을 수 있도록 1개의 드럼부(5)를 설치하는 한편, 드럼부(5)의 소정위치에 배기가스 토출용 덕트(18)를 설치하고 있다.FIG. 11 is a plan view of a combustion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capable of simultaneously burning a large amount of solid fuel, and FIG.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ombustion apparatus shown in FIG. In FIG. 11 and FIG. 12,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2, 2,. The cylinders (3), (3).. And then all the cylinders (3), (3). One drum portion 5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same, and an exhaust gas discharge duct 18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rum portion 5.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연소실(4)을 포함하는 전체가 1개의 연소실로 되며, 이 연소용 원통체의 각각에 있어서 동시에 저회분 고형연료가 연소되므로, 각 원통체의 복사열이 서로 작용하여 연소장치 전체로서의 발열량 및 연소배기가스의 발생량이 연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hole including the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4 becomes one combustion chamber, and the low ash solid fuel is simultaneously burned in each of the combustion cylinders, so that the radiant heat of each cylinder acts on each other to burn.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as a whole of the apparatus and the amount of generation of combustion exhaust gas can be increased slightly.

따라서 다량의 연소배기가스를 예컨대 건조실(도시하지 않음)과 같은 장소로 급송하여 건조실내의 피건조물질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Therefore, a large amount of combustion exhaust gas may be fed to a place such as a drying chamber (not shown), for example, to efficiently dry the dry substance in the drying chamber.

이런 경우에는 저회분 고형연료(1)로서 석유코우크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유코우크스는 1% 이하의 회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연소배기가스중에는 거의 먼지가 들어 있지 않으므로 피건조물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는 조금도 없다. 또한 고형연료를 대체로 얇은 층상으로 하여 사용하게 되면 효율적인 연소를 얻을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se petroleum coke as the low ash solid fuel (1). Since petroleum coke contains less than 1% of ash, the combustion exhaust gas contains almost no dust, so there is little concern about adverse effects on the dry matter. In addition, when solid fuel is generally used in a thin layer, efficient combustion can be obtained.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14도는 제13도의 종단면도이며, 여기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연소실(4)의 하부에 착화장치(12)를 설치하고 그 위에 구이용 망(37)을 설치한 점이다. 제13도 및 제14도에 나타낸 착화장치(12)는 튜브형 등의 다수 세라믹 히터로 구성되어 연소실(4)의 바닥으로 부터 약간 상방에 위치한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다리를 가진 상방에 위치한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다리를 가진 구이용 망(37)은 장방형 통체(3)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세라믹 히터(1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극부(13')는 통체(3)의 한 측면으로 부터 인출된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13, wherein the firs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ignition apparatus 12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4; It is installed and the grilling net 37 is installed on it. The ignition device 12 shown in FIGS. 13 and 1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eramic heaters, such as tubular, and is installed in an inner space located slightly above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4, and is located above the legs. It is installed in the space, the grilling net 37 with legs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rectangular cylinder (3), and the electrode portion 13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ceramic heater (12) is one of the cylinders (3). It is withdrawn from the side.

본 실시예에서 고형연료(1)는 연소상태에서 통체(3)의 상부에 있는 구이용 망(37)에 얹혀 있는 물고기 등을 굽게 된다. 기타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회분 고형연료는 제1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연소되며, 착화를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세라믹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기만 하면 되므로 연소장치의 조작이 한층 더 간편해지는 한편, 물고기 등을 굽는데 적합한 연소장치가 제공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olid fuel 1 bakes a fish or the like placed on the roasting net 37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3 in a combustion stat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embodiment, the low ash solid fuel is bur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in order to ignite, simply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ceramic heater makes the operation of the combustion device simpler, A combustion apparatus suitable for baking is provided.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착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된 착화장치를 구비한 연소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제16도에 도시된 연소장치는 제1실시예에서의 드럼부를 화덕(5)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이 화덕(5)은 천정판(5A)과, 솥 등의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5C)와, 저회분 고형연료의 투입구(5B)로 이루어진다. 또 화덕(5)의 내부에는 연소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단부(段部)가 형성되어 있으며, 화덕(5)의 상단에는 배기가스용 굴뚝(7)이 설치되어 있고, 개구부(5C)에는 솥이 걸쳐진다. 연소장치의 하부에는 착화장치(12)로서 세라믹 히터가 설치되며, 이 착화장치는 제1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극부(13')를 구비하고 있다.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가진 통체(3)에 의해 형성된 연소실(4)내에는 저회분 고형연료가 채워져 상기의 착화장치(12)위에 위치하게 된다. 전극부(13')를 통하여 세라믹 히터의 착화장치(12)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고형연료는 연소하게 된다.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화장치(12)를 구비하고 있는 받침판(2)과 통체(3)의 사이에는 공기흡입간극(36)이 설치되어 있으며, 화덕(5)의 측면에는 연료투입구(5B)가 자유롭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ign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ombustion device with the ignition device shown in FIG. The combustion apparatus shown in FIG. 16 comprises the drum sec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s the oven 5, which has a ceiling plate 5A, an opening 5C into which a pot or the like can be inserted, It consists of a low ash solid fuel inlet (5B). In addition, an end portion in which the combustion device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oven 5, an exhaust gas chimney 7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oven 5, and a pot is formed in the opening 5C. This spans. In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apparatus, a ceramic heater is provided as the ignition device 12, and the igni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n electrode portion 13 'as shown in FIG. The low ash solid fuel is fi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4 formed by the cylinder 3 whic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and is located on the ignition apparatus 12 above. The solid fuel is combusted by supplying a current to the ignition device 12 of the ceramic heater through the electrode portion 13 '. As shown in FIG. 16, an air suction gap 36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late 2 having the ignition device 12 and the cylinder 3, and the fuel inlet (side) of the furnace 5 is provided. 5B)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freely.

제1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소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여기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원통체(3) 내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보호지지용 원추체(15')가 받침판(2)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점 뿐이며, 기타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rs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protective support cone 15 'protrudes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body 3; It is only provided in the center part of the support plate 2, and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제18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소장치의 종단면도로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호지지용 원추체(15')상에 착화장치(12)를 설치한 점이다. 제1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착화장치(12)는 받침판(2)으로 부터 원통체(3)내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원추체(15')의 원추면에 설치되며, 이 착화장치(12)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극부(13)는 원추체(15')의 하부에서 인출된다. 기타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1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ich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ignition device 12 is provided on a protective support cone 15 'as shown in FIG. Is the point. As shown in FIG. 18, each ignition device 12 is provided on the conical surface of the cone 15 'protruding upward from the support plate 2 in the cylindrical body 3, and on this ignition device 12. As shown in FIG. The electrode portion 13 for supplying the current is drawn ou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e 15 '. 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9도는 본 발명의 연소장치 또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여기서 특징적인 구성은 제8(a)도에 도시된 금속판(15)을 원추형으로 구성하여 이것(15')을 연소실(4)내에 설치한 것이다.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mbustion apparatus o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is a conical shape of the metal plate 15 shown in FIG. Installed in the

제20도는 연소장치내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받침판(2)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원통체(3)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보호지지용 원추체(15')를 받침판(2)의 중앙부에 설치한 점이다. 기타 다른 구성은 제9도 및 제10도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FIG. 20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acking plat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combustion apparatu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9 and 10 and protrudes upward in the cylindrical body 3. The cone for protecting support 15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2. 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FIGS. 9 and 10,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7도 내지 제20도의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원추체(15')를 설치함으로 인해서 연소중의 기류의 순환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지지용 원추체상에 잔존하는 약간의 재는 원추체의 표면을 따라 낙하하므로, 연소실의 바닥을 평탄한 받침판이나 금속판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연료가 가끔씩 받침판의 중앙부에 낙하하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소효율이 더욱 증진된다.In the embodiments of FIGS. 17 to 20, by providing the cone 15 ', the circulation of the airflow during combustion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some ash remaining on the protective support cone falls along the surface of the cone, when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made of a flat support plate or a metal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uel from occasionally falling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Accordingly, the combustion efficiency is further improv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소도중에 균열이 발생하는 저회분 고형연료는 통기 슬릿을 전혀 갖고 있지 않은 받침판위에 직접 또는 보호지지용 원추체를 통하여 지지되고, 또 받침판상의 저회분 고형연료를 에워싸 연소실을 형성하는 원통체의 하단과 받침판(또는 보호지지용 원추체)의 사이에 공기흡입간극이 형성되므로, 로우스터를 제거한 상태에서 고형연료를 완전 연소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각종 코우크스와 같은 고형연료에 대하여 미세 분말화의 억제처리 또는 연소도중의 비산 등을 방지하기 위한 재성형처리 등 일련의 작업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고형연료를 그대로 효율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유해가스의 발생이나 재에 의한 대기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염가의 고형연료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용도에 따라 로우스터가 각종 형상 및 구조를 갖도록 발명 및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에 따른 제조원가의 상승 요인이 없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 ash solid fuel in which cracking occurs during combustion is supported directly on a support plate having no aeration slit or through a protective support cone, and surrounded by a low ash solid fuel on the support plate. Since the air suction ga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support plate (or the protective support cone) to form a,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burn the solid fuel in the state of removing the roster. Solid fuels, such as conventional coke, can be efficiently burned as they are without being subjected to a series of operations such as suppressing fine powdering or reforming to prevent scattering during combustion. have.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pollution due to the generation of harmful gases and ashes, and to use inexpensive solid fuel as it is.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invent and manufacture the roaster to have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according to the use, and there is no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연소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지지용 원추체를 설치함으로써, 연소기류의 원활한 상승을 도모하고 있는 동시에 비록 약간 잔존하는 재가 원추체위를 미끄러져 내려와도 고형연료가 연소도중에 받침판의 중앙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연소효율이 현저하게 증대하게 된다.In the combus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protective support cone, solid fuel flows down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during combustion, even though some remaining ashes slide down the cone, even though some residual ashes slide down the cone. Since it does not prevent, combustion efficiency will increase remarkably.

Claims (10)

홈이나 슬릿 등을 전혀 구비하지 않으며 저회분 고형연료를 지지하는 받침판과, 이 받침판 위에 설치되어 연소실을 형성하는 통체와, 통체의 하단과 받침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흡입간극과, 받침판의 중앙부에서 통체의 내부로 돌출하는 보호지지용 원추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low ash solid fuel without any grooves or slits, a cylinder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to form a combustion chamber, an air suction gap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and the support plate, an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rotective support cone protrud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ylin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원추체가 통체의 내주 하단연으로 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The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e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cylinder. 제1항에 있어서, 흡입공기량에 비례하는 체적을 갖는 배기가스의 배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The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xhaust port of the exhaust gas having a volume proportional to the intake air amount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받침판 또는 보호지지용 원추체상에 착화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2. The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gnition device is installed on a support plate or a protective support cone. 제1항에 있어서, 통체에 의해 형성된 연소실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The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bustion chamber formed by the cylinder has a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downward. 홈이나 슬릿 등을 전혀 구비하지 않으며 저회분 고형연료를 지지하는 큰 받침판과, 큰 받침판상에서 서로 인접 또는 근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한 연소실을 형성하는 다수의 통체들과,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용 간극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체의 각각이 받침판상에 있는 통체의 안에서 돌출하는 보호지지용 원추체를 포함하고, 상기 통체전부가 상부에 있는 한 드럼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A large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low ash solid fuel without any grooves or slits, and a plurality of cylinders which are installed adjacent to or adjacent to each other on a large support plate to form a combustion chamber, and for air suction to intake air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comprising a gap portion, each of the cylinders includes a protective support cone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cylinder on the support plate, the entire cylinder portion is connected to a drum portion thereon; .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각의 통체의 내주 하단과 보호지지용 원추체의 하단 사이에 소정의 근소한 간격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7. The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predetermined slight ga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each cylinder and the lower end of the protective support cone. 제6항에 있어서, 흡입공기량에 비례하는 체적을 갖는 배기가스의 배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7. The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exhaust port of the exhaust gas having a volume proportional to the intake air amount is provided. 제6항에 있어서, 받침판상에 착화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7. The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ignition device is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제6항에 있어서, 통체에 의해 형성된 연소실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회분 고형연료 연소장치.7. The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mbustion chamber formed by the cylinder has a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downward.
KR1019830005370A 1982-11-12 1983-11-11 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of low ash content KR88000150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199246 1982-11-12
JP19924682A JPS5989905A (en) 1982-11-12 1982-11-12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device
JP211787 1982-12-01
JP82-211787 1982-12-01
JP21178782A JPS59100302A (en) 1982-12-01 1982-12-01 Low ash content solid fuel burning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165A KR840007165A (en) 1984-12-05
KR880001504B1 true KR880001504B1 (en) 1988-08-16

Family

ID=2651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370A KR880001504B1 (en) 1982-11-12 1983-11-11 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of low ash content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880001504B1 (en)
AU (1) AU574337B2 (en)
CA (1) CA1212006A (en)
DE (1) DE3340936A1 (en)
NL (1) NL191543C (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04063A (en) *
DE120961C (en) *
US1413286A (en) * 1920-02-16 1922-04-18 Murdo Johanna Furnace grate
US1602131A (en) * 1925-10-12 1926-10-05 F M Poore Auxiliary draft device
FR1399739A (en) * 1964-04-10 1965-05-21 Brevets Greffe Soc D Grid for heater
US3413935A (en) * 1966-03-28 1968-12-03 Burton E Adams Container for igniting charcoal and the like
US3865052A (en) * 1973-10-15 1975-02-11 Charles E Streets Charcoal starter device
JPH0423003A (en) * 1990-05-18 1992-01-27 Hitachi Ltd Feedback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12006A (en) 1986-09-30
NL191543B (en) 1995-05-01
AU574337B2 (en) 1988-07-07
KR840007165A (en) 1984-12-05
NL8303880A (en) 1984-06-01
NL191543C (en) 1995-09-04
DE3340936C2 (en) 1990-03-08
DE3340936A1 (en) 1984-05-17
AU2109283A (en) 198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9521A (en) Gravity fed pellet burner
WO1998048219A1 (en) Solid fuel burner for a heating apparatus
PL198756B1 (en) Burner for solid fuel
US4441436A (en) Solid fuel burning methods and apparatus
US4719899A (en) Depot for granular carbonaceous fuel and method employing the same to provide high efficiency fires for charbroiling and the like
KR880001504B1 (en) 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of low ash content
US4532913A (en) Combustion means for solid fuel of low ash content
JPH0412332Y2 (en)
JPH0212404Y2 (en)
JPH0151742B2 (en)
JPH0150801B2 (en)
JP6756963B1 (en) Pellet combustor and pellet stove
RU219323U1 (en) Solid fuel mobile long burning stove
JPS6246761B2 (en)
EP4227580A1 (en) Fireplace intended for solid fuels with multi-fuel device arranged into its burning place
KR102037741B1 (en) Charcoal stove with device that regulates the heat output uniformly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i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231292B2 (en)
CN207990639U (en) A kind of waste gas combustion furnace combustion system
KR20180076470A (en) Top Ignition type and burning time and heating value controllable Disposable Charcoal Stov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S5989905A (en) Low ash solid fuel combustion device
RU2664887C2 (en) Heat exchanging device with lined furnace for the solid, loose fuels and waste processing into the heat energy
CA3148195A1 (en) Fireplace intended for solid fules with multi-fuel device arranged into its burning space
JP2015165179A (en) Combustor for pellet-shaped fuel
FI20200053A1 (en) Fireplace intended for solid fuels, where a multi-fuel device is arranged in the combustion chamber
KR20240009571A (en) Small burner for charcoal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